독군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군단은 1916년 원세개 사후, 북양정부의 혼란 속에서 군벌들이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결성한 단체이다. 장훈을 중심으로 한 독군단은 중국국민당을 '폭렬분자'로 규정하고 정권 참여를 저지하려 했으며, 탕사오이의 외교총장 취임을 반대하는 등 군사력을 배경으로 정치에 개입했다. 1917년 단기서 내각과 국회 간의 갈등 속에서 국회 해산을 요구하고, 장훈 복벽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직계와 환계의 갈등으로 와해되면서 군벌의 정치 개입이 민주주의 발전을 저해한 사례로 평가된다.
1916년 6월 6일, 원세개(袁世凱)가 사망하면서 중화제국의 홍헌제제(洪憲帝制)는 실패하고, 북양정부의 통일 국면도 막을 내렸다. 이후, 각 지역의 군벌들은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1916년 6월 6일, 위안스카이(원세개)가 사망하면서 북양정부의 통일 국면은 막을 내렸다. 장강순열사 장쉰(장훈)은 남경회의에 참가했던 7개 성 대표를 서주(쉬저우)에 모이게 하여 회의를 열었다. 이 회의에서 독군단은 단결, 안보, 헌정 실시, '폭력적인 분자의 정권 참여 저지'를 결의했는데, 여기서 '폭력적인 분자'는 중국국민당을 가리키는 것이었다.[1]
2. 독군단의 형성
장강순열사(長江巡閱使) 장쉰(張勳)은 이전에 남경회의(南京會議)에 참가한 7개 성 대표를 다시 불러 쉬저우에서 회의를 열었다. 이 회의는 '제1차 독군단 쉬저우 회의'로 불리며, 단결 강화, 치안 유지, 헌정 실시, 그리고 '폭렬분자'(중국국민당을 암시)의 정치 참여 저지를 결의하였다.[1]
1916년 9월, 13개 성 독군 대표가 다시 쉬저우에 모여 각성구연합회(各省區聯合會)를 결성하고 장쉰을 맹주로 추대하였다. 이들은 '폭란분자'와 국회를 비판하며, 당소의의 외교총장 취임을 반대하였다. 당소의는 이에 사직하며 군부의 정치 간섭을 비판했다. 각성구연합회는 이후 여론에 의해 독군단으로 불리게 되었다.
1917년 1월 9일, 장쉰, 근운붕(靳雲鵬), 서수쟁(徐樹錚) 등은 쉬저우에서 제3차 회의를 열고 국회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4] 같은 해 4월, 단기서(段祺瑞) 내각과 여원홍(黎元洪) 총통부 및 국회는 대독일 선전포고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을 빚었다. 단기서는 북양 각 성 독군을 이용하여 국회를 압박하려 했으나, 국회는 독군단의 간섭을 거부했다. 독군단은 국회 해산을 요구하며 5월 21일 단체로 베이징을 떠나 쉬저우로 가서 장쉰을 만났다.[7]
5월 23일, 여원홍이 단기서의 총리직을 해임하자, 독군단은 각자의 성으로 돌아갔다.[8] 5월 28일, 봉천독군(奉天督軍) 장작림(張作霖)은 여원홍에게 단기서 복귀 및 국회 해산을 요구하며 중앙 정부와 관계 단절을 위협했다.[9] 안휘, 하남, 섬서, 절강, 흑룡강, 직례, 산동, 복건, 산서 등 여러 성이 독립을 선포하고 중앙에서 이탈했다.
6월 2일, 독군단은 톈진에서 '각성군무총참모처(各省軍務總參謀處)'를 설립하고, 뇌진춘(雷震春)을 총참모로 임명했다.[10] 6월 1일, 여원홍은 장쉰에게 베이징으로 와서 화해할 것을 요청했고, 장쉰은 군사 3천 명을 이끌고 베이징에 들어왔다. 7월 1일, 장쉰은 푸이를 옹위하여 복벽을 시도했으나(장훈복벽), 단기서가 이를 진압하고 다시 정권을 장악했다. 단기서는 공화제를 재건한다며 중화민국 임시약법과 국회를 폐지하고, 일본에 의존하며 독군단을 끌어들여 무력 통일 정책을 추진, 손문(孫文)의 호법운동(護法運動) 세력을 토벌하려 했다.
1918년 봄, 직계(直系)와 환계(皖系) 간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독군단 조직은 점차 와해되었다.
2. 1. 제1차 쉬저우 회의 (1916년 6월)
1916년 6월 6일, 원세개가 사망하자 중화제국의 홍헌제제(洪憲帝制)는 실패로 끝났고, 북양정부의 통일 국면도 막을 내렸다. 장강순열사 장쉰은 이전에 남경회의에 참가했던 7개 성 대표, 즉 직(直, 북직례), 예(豫, 하남), 진(晉, 산서), 환(皖, 안휘), 봉(奉, 봉천), 길(吉, 길림), 흑(黑, 흑룡강) 대표들을 다시 쉬저우에 불러 모아 회의를 열었다.[1] 6월 9일 회의 후, 이들은 10개 조항의 요강을 발표했는데,[1] 이것이 '제1차 독군단 쉬저우 회의'이다. 회의에서는 단결 강화, 치안 유지, 헌정 실시, 그리고 '폭렬분자'(중국국민당을 암시)의 정치 참여 저지를 결의하였다.[1]
2. 2. 각성구연합회 결성 (1916년 9월)
1916년 9월 22일, 산동, 봉천, 길림, 흑룡강, 하남, 직례, 절강, 강소, 호북, 강서, 수원, 차하르, 열하 13개 성 독군 대표가 다시 쉬저우에 모였다. 장훈과 예사충(니스충)은 서명서에 첫 이름을 올리고 각성구연합회(各省區聯合會) 성립을 선포하고 8조강령(八條綱領)을 제정하였다.[2] 또한 장훈을 맹주(盟主)로 옹위하고 전보를 쳐서 '폭란분자(暴亂份子)' 및 '국회(國會)'가 핑계를 대고 국가정무를 흔드는 것을 공격하게 하였다. 각성구연합회는 후에 여론에 의해 독군단으로 칭하였다. 9월 25일, 장훈과 예사충 등 34명은 전보를 쳐서 당소의(탕사오이)가 외교총장(外交總長)에 취임하는 것을 반대하였다.[3] 다음날 당소의는 사직하였고 군인의 정치 간섭을 강하게 비판하였다.
3. 독군단의 정치 개입
1916년 9월 22일, 13개 성 독군 대표가 다시 서주에 모였다. 장훈과 니스충(예사충)은 각성구연합회(各省區聯合會) 성립을 선포하고 8조 강령을 제정했다.[2] 이들은 장훈을 맹주로 추대하고, '폭란분자'와 '국회'가 국가 정무를 흔든다고 비난했다. 각성구연합회는 이후 여론에 의해 독군단으로 불리게 되었다. 9월 25일, 장훈과 니스충 등 34명은 탕사오이(당소의)가 외교총장에 취임하는 것을 반대하는 전보를 쳤고,[3] 다음 날 탕사오이는 사직하며 군인의 정치 간섭을 강하게 비판했다.
1917년 5월 21일, 독군단은 베이징을 떠나 서주로 가서 장훈을 만났고,[7] 23일 리위안훙이 돤치루이의 총리직을 해임했다는 소식을 듣고 각자의 성으로 돌아갔다.[8] 28일, 봉천독군 장작림(장쭤린)은 리위안훙에게 돤치루이의 내각 복귀와 국회 해산을 요구하며 중앙 정부와의 관계 단절을 위협했다.[9] 29일, 안휘성장 니스충(예사충)은 안휘성의 독립을 선포했고, 다른 성들도 뒤따라 독립을 선포하며 중앙 정부에서 벗어났다. 6월 2일, 독군단은 천진(톈진)에서 '각성군무총참모처'를 설립하고, 뇌진춘(레이전춘)을 총참모로 삼아[10] 군대를 북경(베이징)으로 진격시켰다.[11]
1917년 6월 1일, 리위안훙은 장훈에게 북경으로 들어와 화해할 것을 요청했고, 장훈은 군사 3천 명을 이끌고 북경에 들어왔다. 7월 1일, 장훈은 선통제(푸이)를 옹위하여 복벽을 시도했는데, 이를 장훈복벽이라 한다. 돤치루이는 이 기회를 틈타 장훈을 공격하고 다시 중앙 정권을 장악했다. 돤치루이는 공화제를 재건했다는 명분을 내세우며 중화민국 임시약법을 폐지하고 국회를 해산했다. 그는 일본에 의지하고, 독군단을 끌어들여 자신의 무력 통일 정책을 지지하게 했으며, 내전을 일으켜 손문(쑨원)을 중심으로 하는 호법운동 세력을 토벌하려 했다.
1918년 봄, 직계와 환계의 갈등이 심화되고 독군단 조직이 분열되면서 독군단은 점차 와해되었다.
3. 1. 제3차 쉬저우 회의 (1917년 1월)
1917년 1월 9일, 장훈(장쉰), 근운붕(진윈펑), 서수쟁(쉬수정) 등은 서주(쉬저우)에서 제3차 회의를 소집하여 국회에 대응하는 방법을 논의하였다.[4]
3. 2. 돤치루이 내각과 국회 압박 (1917년 4월~5월)
1917년 4월, 돤치루이 내각과 리위안훙 총통부 및 국회는 독일과의 전쟁 참전 문제를 두고 논쟁을 벌였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5] 돤치루이는 북양 각 성의 독군을 이용하여 국회가 대독일 선전포고 안건을 통과시키도록 압박하려 했다.[5] 5월 10일, 국회에서 참전 제안에 대한 표결이 진행되었는데, 돤치루이는 군인들을 시켜 무뢰배와 실직 유랑민을 조직하여 국회를 포위하고 공격하게 하였으며, 국회의원을 폭행하여 사회의 공분을 샀다.[5]
5월 13일, 독군단은 각 성 의원들을 연회에 초대하여 설득하였으나, 대부분의 의원들은 독군단의 간섭을 거부하였다.[6] 5월 19일, 독군단은 국회가 제정한 헌법 초안이 '폭민전정(暴民專政)'을 야기할 것이라고 비난하며 국회 해산을 요구하였다.[6]
4. 장쉰 복벽과 독군단의 분열
1916년 위안스카이가 사망하면서 북양정부의 통일된 국면은 막을 내렸다. 장강순열사였던 장쉰은 남경회의에 참가했던 7개 성 대표를 쉬저우에 모아 회의를 열고, '제1차 독군단 서주회의'를 개최했다.[1] 이들은 중국국민당을 '폭렬분자'로 지칭하며 정권 참여를 막으려 했다.
이후 여러 성의 독군 대표들이 다시 쉬저우에 모여 '각성구연합회'를 결성하고 장쉰을 맹주로 추대했다.[2] 이들은 군사력을 배경으로 정치에 간섭하며, 당소의의 외교총장 취임을 반대하기도 했다.[3]
1917년 돤치루이 내각과 리위안훙 총통부, 국회가 독일과의 전쟁 문제를 두고 갈등을 빚자, 단기서는 독군들을 이용해 국회를 압박하려 했다. 이 과정에서 국회가 공격받는 사건이 발생했고,[5] 독군단은 국회 해산을 요구하며[6] 쉬저우에서 장쉰과 만났다.[7] 장작림 등은 여원홍에게 단기서의 복귀와 국회 해산을 요구하며 중앙 정부와 관계를 단절하겠다고 위협했다.[9]
이러한 혼란 속에서, 장쉰은 푸이를 다시 황제로 옹립하는 장쉰 복벽을 일으켰으나, 단기서에게 진압당했다. 이후 독군단은 내부 갈등으로 인해 점차 와해되었다.
4. 1. 장쉰 복벽 (1917년 7월)
1917년, 장쉰은 푸이를 다시 황제로 옹립하여 청나라를 복고하려는 시도인 장쉰 복벽을 일으켰다.1916년 원세개가 사망한 후, 장쉰은 직(直, 북직례), 예(豫, 하남), 진(晉, 산서), 환(皖, 안휘), 봉(奉, 봉천), 길(吉, 길림), 흑(黑, 흑룡강) 7개 성 대표와 함께 서주에서 회의를 열고 '제1차 독군단 서주회의'를 개최했다.[1] 이들은 중국국민당을 '폭렬분자'로 규정하고 정치 참여를 막으려 했다. 이후 산동, 봉천, 길림, 흑룡강, 하남, 직례, 절강, 강소, 호북, 강서, 수원, 차하르, 열하 등 여러 성의 독군 대표들이 다시 서주에 모여 '각성구연합회'를 결성하고 장쉰을 맹주로 추대했다.[2] 이들은 당소의의 외교총장 취임을 반대하는 등[3] 군사력을 배경으로 정치에 간섭했다.
1917년, 단기서 내각과 여원홍 총통부, 국회가 독일과의 전쟁 문제를 두고 갈등을 빚었다. 단기서는 국회를 압박하기 위해 독군들을 이용했고, 이 과정에서 국회가 공격받는 사건이 발생했다.[5] 독군단은 국회 해산을 요구하며[6] 북경을 떠나 서주에서 장쉰과 만났다.[7] 장작림 등은 여원홍에게 단기서의 복귀와 국회 해산을 요구하며 중앙 정부와 관계를 끊겠다고 위협했다.[9] 안휘, 하남, 섬서, 절강, 흑룡강, 직례, 산동, 복건, 산서 등 여러 성이 독립을 선언하고 중앙에서 이탈했다.
이런 혼란 속에, 여원홍은 장쉰에게 북경으로 와서 중재할 것을 요청했다. 장쉰은 군대를 이끌고 북경에 들어와 1917년 7월 1일 푸이를 옹립하여 복벽을 선언했다. 그러나 단기서는 이를 기회로 장쉰을 공격하고 다시 정권을 장악했다. 그는 공화제를 재건한다면서 국회를 폐지하고, 손문의 호법운동 세력을 토벌하려 했다.
1918년 봄, 독군단은 내부 갈등으로 점차 와해되었다.
4. 2. 돤치루이의 재집권과 호법운동
1917년, 단기서(돤치루이) 내각과 여원홍(리위안훙) 총통부 및 국회는 대독일 선전포고 문제를 둘러싸고 논쟁을 벌였지만 결정되지 않았다. 돤치루이는 북양 각 성 독군을 이용하여 국회가 대독일 선전 안건을 통과하도록 압박하려 했다. 그는 국회가 참전 제안에 표결을 진행할 때 군인과 무뢰배, 실직 유랑민을 조직하여 국회를 포위, 공격하고 국회의원을 폭행하도록 방임하여 사회의 공분을 샀다.[5] 독군단은 국회 제정 헌법 초안이 '폭민전정(暴民專政)'을 초래할 것이라 비난하며 국회 해산을 요구했다.[6]1917년 5월 23일, 서주에서 리위안훙이 돤치루이의 총리직을 해임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독군단은 각자의 성으로 돌아갔다.[8] 5월 28일, 봉천독군(奉天督軍) 장작림(장쭤린)은 리위안훙에게 돤치루이가 다시 내각을 조직하고 국회를 해산하지 않으면 중앙과 관계를 끊겠다고 위협했다.[9] 5월 29일, 안휘성장(安徽省長) 예사충(倪嗣沖)이 솔선하여 난을 일으키고 안휘 독립을 선포했다. 하남(河南) 조척(자오티)(趙倜), 섬서(陝西) 진수번(천수판)(陳樹藩), 절강(浙江) 양선덕(양산더)(楊善德), 흑룡강(黑龍江) 필계방(비구이팡)(畢桂芳), 직례(直隸) 조곤(차오쿤)(曹錕), 산동(山東) 장회지(장화이즈)(張懷芝), 복건(福建) 이후기(리허우지)(李厚基), 산서(山西) 염석산(옌시산)(閻錫山)도 집단으로 독립을 선포하고 중앙에서 벗어났다. 독군단은 천진(天津)에 '각성군무총참모처(各省軍務總參謀處)'를 설립하고, 뇌진춘(레이전춘)(雷震春)을 총참모로 삼아[10] 계략을 짜고 지휘하게 했으며, 군대를 북경으로 진격시켰다.[11] 6월 1일, 리위안훙은 장쉰에게 북경에 들어와 화해하라는 전령(電令)을 내렸고, 장쉰은 군사 3천 명을 이끌고 북경에 들어왔다. 7월 1일, 장쉰은 북경에서 청나라 마지막 황제 애신각라부의(아이신기오로 푸이)(溥儀)를 옹위하여 복벽(復辟)을 시도했는데, 이를 장쉰복벽(張勳復辟)이라 한다. 돤치루이는 토역(討逆)을 맹세하고 장쉰을 공격하여 7월 중순 중앙 정권을 다시 장악했다. 그는 공화재조(共和再造)를 표방하며 중화민국임시약법과 국회를 폐지하고, 대외적으로 일본에 의지하며 대내적으로 독군단을 끌어들여 무력통일 정책을 지지하게 하고, 내전을 일으켜 손문(쑨원)을 수장으로 하는 호법운동(護法運動) 세력 토벌을 시도하였다.
4. 3. 독군단의 와해 (1918년)
1918년 봄, 직계와 환계 간의 갈등 심화로 독군단 조직이 분화되면서 점차 와해되었다.[1]5. 평가 및 영향
독군단의 활동은 중화민국 초기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독군단은 군벌 간의 권력 투쟁을 심화시키고 중앙 정부의 권위를 약화시켰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러나 이들은 반제국주의, 반봉건주의를 내세워 외세 침략에 맞서 싸우고, 새로운 정치 질서를 모색하려 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독군단의 활동은 한국 독립운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독군단이 반제국주의를 내세우며 일본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모습은 한국 독립운동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1]
서적
中華民國史事日志
[2]
뉴스
徐州會議之宣言書及議案
https://archive.org/[...]
1916-09-27
[3]
뉴스
張勳等反對唐紹儀就職原電
https://archive.org/[...]
1916-09-30
[4]
뉴스
徐州會議之眞相
https://archive.org/[...]
1917-01-13
[5]
문서
[6]
뉴스
武人主張解散國會之呈文
https://archive.org/[...]
1917-05-22
[7]
뉴스
督軍赴徐之情形
https://archive.org/[...]
1917-05-24
[8]
뉴스
徐州已無會議
https://archive.org/[...]
1917-05-29
[9]
뉴스
張作霖上大總統電
https://archive.org/[...]
1917-06-01
[10]
뉴스
天津總參謀處成立詳情
https://archive.org/[...]
1917-06-06
[11]
뉴스
皖直魯奉軍隊之進行
https://archive.org/[...]
1917-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