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쉰은 청나라 말기부터 중화민국 시기까지 활동한 군벌로, 청나라 군대에 입대하여 청불전쟁, 청일전쟁 등에 참전했다. 신해혁명 이후 청나라에 대한 충성을 지키며 변발을 유지했고, 중화민국 시기에는 위안스카이를 지지하며 혁명 세력을 진압했다. 1917년에는 푸이를 복위시키려는 '장쉰 복벽'을 주도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톈진에서 사망했다. 단순하고 용감한 성격이었으나 군대의 기강 해이로 비판받았으며, 그의 복벽 시도는 시대착오적인 행동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군주주의자 - 캉유웨이
캉유웨이는 청나라 말기의 학자, 정치가, 사상가, 서예가로서 공양학에 기반한 독자적인 사상을 정립하고 입헌군주제를 주장하며 무술변법을 주도했으나 실패 후 망명 생활을 했으며, 대동서, 공자개제고, 신학위경고 등의 저서를 남기고 캉체를 창안하는 등 한국 근대 사회에도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중국의 군주주의자 - 옌푸
옌푸는 청나라 말기 서양 학문과 사상을 중국에 소개하는 데 기여한 학자이자 번역가였으나, 만년에는 보수적인 행보를 보여 비판을 받기도 했다. - 북양군벌 - 베이징 정변
1924년 펑위샹이 봉천파와 결탁하여 일으킨 베이징 정변은 직예파 수장 차오쿤 축출과 선통제 폐위 등 중국 정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후 군벌 간 권력 다툼을 심화시켰다. - 북양군벌 - 쉬스창
쉬스창은 청나라 말 문관으로 시작하여 중화민국 국무총리와 대총통을 역임했으며, 군벌 간의 세력 다툼 속에서 조정 역할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예술 활동에 전념했다. - 북양장군부 상장군 - 펑궈장
펑궈장은 청나라 군대에서 시작하여 위안스카이 밑에서 경력을 쌓고 신해혁명 진압에 기여, 직례총독을 거쳐 위안스카이 사후 부총통 및 대통령 권한대행까지 역임했으나, 군벌 간 권력 다툼과 정치적 혼란 속에 퇴임 후 사망한 중국 북양군벌의 지휘관이자 정치인이다. - 북양장군부 상장군 - 돤치루이
단기서는 중국 북양군벌 시대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북양무비학당 졸업 후 독일에서 군사학을 수학했고, 위안스카이의 심복으로 활동하며 여러 차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나, 1920년 직환전쟁 패배 후 은퇴하고 1924년 임시집정을 거쳐 상하이에서 사망했다.
장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충용친왕 |
출생일 | 1854년 9월 16일 |
출생지 | 청나라 강서성 의춘시 봉신현 |
사망일 | 1923년 9월 11일 |
사망지 | 중화민국 톈진시 |
소속 정당 | 왕당파 |
충성 | 청나라 중화민국 중화제국 |
군사 복무 | 북양군 |
복무 기간 | 1884년–1917년 |
최종 계급 | 장군 원수 |
별명 | 땋은 머리 장군 |
정치 경력 | |
직책 | 내각총리대신 |
재임 기간 | 1917년 7월 1일 – 1917년 7월 12일 |
군주 | 선통제 |
전임자 | 위안스카이 (1912년) |
후임자 | 직책 폐지 |
직책 2 | 북양통상대신 |
재임 기간 2 | 1917년 7월 1일 ~ 1917년 7월 12일 |
직책 3 | 직례총독 |
재임 기간 3 | 1917년 7월 1일 ~ 1917년 7월 12일 |
직책 4 | 소조정 섭정 |
재임 기간 4 | 1917년 7월 1일 ~ 1917년 7월 12일 |
전임자 4 | 보국공 푸쥔 |
후임자 4 | 여허나라 나둥 |
주요 전투 | |
전투 | 의화단 운동 신해혁명 제2차 혁명 호국전쟁 장쉰 복벽 |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장쉰은 1854년 장시성의 농가에서 태어나 어려운 유년 시절을 보냈다. 어릴 적 부모를 잃고 머슴살이를 하다가 늦게나마 글공부를 시작했다.[2] 1879년 군에 입대하였고, 1884년 청불전쟁에 참전하여 공을 세워 참장(參將)으로 발탁되었다.[2]
1894년 청일전쟁 발발 후 펑톈에 주둔하였고,[2] 1895년 천진으로 이동하여 위안스카이 휘하에서 공병영관대에 임명되었다. 1899년에는 산둥성에서 의화단을 진압하며 부장(副將)·총병(總兵)으로 승진했다.[3] 1901년 베이징 황궁 수비를 맡았고, 서태후와 광서제를 수행했다.[2] 1906년에는 펑톈으로 부임하여 봉군요북총통으로 창도현에 주둔했다가 2년 뒤 운남 제독, 감숙 제독에 임명되었으나 실제로는 부임하지 않고 창도에 계속 주둔했다. 1910년에는 난징의 포구로 이동하여 강방영을 통솔하게 되었고, 1911년 8월에는 강남제독으로 승진했다.[3]
2. 1. 신해혁명과 청나라 충성
1911년 신해혁명이 발발하자, 장쉰은 난징을 수비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혁명군에게 패하여 쉬저우로 후퇴했다. 청나라 정부는 그를 강소순무 겸 양강총독서리, 남양대신에 임명하였다. 선통제가 퇴위하고 중화민국이 수립된 후에도, 장쉰은 부대원들에게 변발을 자르지 못하게 하고 청나라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였다. 이로 인해 그의 군대는 "변자군"(辫子軍), 장쉰은 "변수"(辨帥, 변발한 장군)"라는 별명을 얻었다.[2]3. 중화민국 시기 활동
신해혁명이 발발하자, 장쉰은 난징을 사수하라는 명령을 받고 제9신군을 이끌고 수비했으나, 혁명군에게 패하여 쉬저우로 후퇴했다. 이후 청나라 정부에 의해 강소순무 겸 양강총독서리, 남양대신에 임명되었다. 위안스카이가 총통에 취임하자, 그는 부대이름을 무위전군(武衛前軍)이라고 개칭하고 청나라에 변함없는 충성을 표방하였다. 특히 부대원이 변발을 자르는 것을 엄금하여 사람들은 그의 군대를 "변자군" (辫子軍), 그를 "변수(辨帥, 변발한 장군)"라고 불렀다.[2]
3. 1. 이차혁명 진압과 장강순열사 임명
신해혁명이 발발하자, 장쉰은 난징을 사수하라는 명령을 받고 제9신군을 이끌고 수비했다. 오래지 않아 혁명군에게 패하여 쉬저우로 후퇴했다. 중화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위안스카이가 총통에 취임하자, 그는 부대이름을 무위전군(武衛前軍)이라고 개칭하고, 청나라에 변함없는 충성을 바칠 것을 표방하였다. 특히 부대원이 변발을 자르는 것을 엄금하여 사람들은 그의 군대를 "변자군" (辫子軍), 그를 "변수(辨帥, 변발한 장군)"라고 불렀다.[2]1913년 이차혁명이 일어나자, 장쉰은 자신의 군대를 이끌고 난징을 공격하여 혁명군을 진압하였다. 이 과정에서 병사들의 살인과 약탈을 방관하여 비판을 받았다.[2] 위안스카이는 군공을 인정하여 장쉰을 강소독군, 장강순열사에 임명하고 쉬저우로 이동시켰다.[5]
3. 2. 복벽 운동과 실패
1917년 중화민국 국회를 해산하는 문제로 총통 리위안훙과 국무총리 돤치루이가 대립하는 "부원지쟁"(府院之爭)이 벌어졌다. 리위안훙은 돤치루이를 해임했고, 돤치루이는 톈진으로 가서 자신의 부하들을 쉬저우로 소집해 무력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독립을 선포하고 베이징 정부를 인정하지 않았다. 리위안훙은 장쉰을 베이징으로 불러 중재를 요청했고, 장쉰은 3천 명의 병력을 이끌고 베이징에 입성했다.[7][8]1917년 6월 30일, 장쉰은 입궁하여 "어전회의"를 열고 선통제 복위(復辟, 복벽)와 청조 부흥을 선포했다. 장쉰의 병력은 기차역과 전신국 등을 점령했고, 리위안훙에게도 협력을 권유했다.[8]
1917년 7월 1일 새벽, 장쉰은 청나라 조복을 입고 캉유웨이 등과 함께 12세의 푸이를 황제로 옹립했다. 이후 장쉰은 스스로 의정대신과 직례총독 겸 북양대신에 올라 군권과 정권을 장악하고, 각종 공화 제도를 다시 전제왕정으로 되돌리려는 복고 정책을 반포하였다.[8]
복벽 소식이 알려지자 전국에서 반대 목소리가 터져 나왔고, 쑨원은 상하이에서 이를 반역으로 규정하고 혁명당원에게 토벌을 명령했다. 리위안훙은 복벽에 협력하지 않고 중화민국 주재 일본 대사관으로 피신했다.[8]
병력을 보유하고 있던 돤치루이는 일본의 지원을 받아 1917년 7월 3일 톈진에서 군사를 일으켰다. 돤치루이는 장쉰의 군대를 격파했고, 장쉰은 네덜란드 대사관으로 도피했다. 1917년 7월 12일 푸이는 다시 퇴위했고, 1917년 7월 14일 돤치루이는 베이징에 입성하여 정부를 장악했다.[9]
4. 말년과 사망
1918년 신임 총통인 쉬스창은 장쉰을 사면했다. 1919년 반제국주의를 기치로 한 애국적인 5.4 운동이 발발하자 장쉰은 이를 지지하기도 하였다.[2] 장쉰은 이후 톈진으로 가서 각종 산업 투자로 많은 재산을 모았다. 몇 차례 장쭤린 등의 청원을 받는 등 다시 군직 복귀 관련 요청을 받기도 했지만, 장쉰은 이를 거절하였다. 1923년 9월 12일 장쉰은 70세로 사망하였고,[2] 그에 의해 복위될 뻔했던 푸이는 그에게 '충무'(忠武)라는 시호를 내리고 조문하기도 하였다.
5. 평가 및 성격
장쉰은 성격이 단순하고 급했지만, 전투에는 용감했다. 전통적인 충의와 보은을 중시했으며, 술수나 음모를 모르는 명랑한 성격이었다고 한다.[2] 그러나 그의 군대는 군기가 문란하여 민폐를 끼쳤다는 비판을 받았다.[2]
장쉰의 복벽 시도는 시대착오적이며 실패할 수밖에 없는 행동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6.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1차 득표율 | 1차 득표수 | 2차 득표율 | 2차 득표수 | 3차 득표율 | 3차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16년 선거 | 중화민국 부총통 | 2대 | 무소속 | -% | 1표 | 14위 | 낙선 |
참조
[1]
웹사이트
复辟失败后的张勋:做生意颇红火 关照贫苦人士
https://www.chinanew[...]
[2]
서적
我的前半生 [The First Half of My Life; From Emperor to Citizen: The Autobiography of Aisin-Gioro Pu Yi]
Foreign Languages Press
1964
[3]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80
[4]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80
[5]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80
[6]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80
[7]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80
[8]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80
[9]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80
[10]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8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