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훈복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훈 복벽은 1917년 중화민국에서 안휘성 독군 장훈이 청나라 복고를 시도한 사건이다. 당시 중화민국 대총통 리위안훙과 국무총리 돤치루이의 갈등 속에서, 장훈은 리위안훙의 요청으로 베이징에 입성하여 푸이를 황제로 복위시켰다. 그러나 여론의 반대와 돤치루이의 토벌군에 의해 12일 만에 실패로 돌아갔다. 이 사건은 호법운동을 촉발하고 군벌 시대의 도래를 앞당기는 등 중화민국의 정치적 혼란을 심화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7년 정치 - 와이오밍주의 기
파란색 바탕에 흰색 테두리가 있는 아메리카 들소 윤곽이 중앙에 배치된 와이오밍주의 기는 하늘을 상징하는 파란색과 주의 광물을 상징하는 흰색, 빨간색을 사용하여 와이오밍의 자연 유산과 개척 정신을 나타내며, 들소 갈비뼈 형태의 주 문장이 사용된 것이 특징이다. - 1917년 정치 - 인디애나주의 기
인디애나주의 기는 폴 해들리가 디자인한 금색 바탕의 깃발로, 자유와 계몽을 상징하는 횃불과 미국 가입 순서를 나타내는 19개의 별을 포함하며, 주의 상징으로 다양한 장소와 분야에서 활용된다. - 1917년 7월 - 7월 정국
7월 정국은 1917년 러시아에서 케렌스키 공세 실패와 임시 정부에 대한 불만으로 발생한 정치적 격변과 위기를 의미하며, 볼셰비키의 역할과 재기를 포함하여 러시아 혁명의 중요한 전환점이자 10월 혁명의 배경이 되었다. - 1917년 7월 - 1917년 7월 19일 일식
- 푸이 - 바오딩 육군군관학교
바오딩 육군군관학교는 1902년 청나라 말기에 바오딩에 설립되어 위안스카이의 신군을 훈련시키고 신해혁명에 기여했으며, 장제스, 바이충시 등 주요 인물을 배출하고 1923년 폐교되었다. - 푸이 - 저우젠런
저우젠런은 중국의 교육자, 출판인이자 정치인으로, 교육자로서 후학 양성에 힘쓰고 진화론을 중국에 소개했으며, 중국민주촉진회 창립 멤버이자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에는 저장성 성장 등을 역임하며 활동했다.
장훈복벽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갈등 | 장훈 복벽 |
시대 | 군벌 시대 |
기간 | 1917년 7월 1일 ~ 1917년 7월 12일 (12일) |
장소 | 베이징 |
결과 | 중화민국 승리 |
교전 세력 1 | 복원된 청 제국 정부 |
교전 세력 1-1 | 정무군 종사당 (제한적 참여) |
교전 세력 2 | 중화민국 |
교전 세력 2-1 | 펑톈 군벌 안휘 군벌 직예 군벌 |
지휘관 1 | 장훈 푸이 (법률상) 강유위 강조종 왕사진 주가보 사걸석 양돈언 재도 당옥린 심증식 보위 |
지휘관 2 | 리위안훙 펑궈장 돤치루이 펑위샹 쑹저위안 장사오쩡 왕청빈 우페이푸 장쭤린 루젠장 |
이미지 | |
![]() | |
관련 정보 | |
명칭 | |
중국어 (정체) | 張勳復辟 |
중국어 (간체) | 张勋复辟 |
한어 병음 | Zhāng Xūn Fùbì |
웨이드-자일스 | Chang Hsün Fu-pi |
중국어 (정체) | 宣統復辟 |
중국어 (간체) | 宣统复辟 |
한어 병음 | Xuāntǒng Fùbì |
한국어 음독 | 선통복벽 |
중국어 (정체) | 丁巳復辟 |
중국어 (간체) | 丁巳复辟 |
한어 병음 | Dīngsì Fùbì |
2. 역사적 배경
신해혁명(1911년)으로 청나라가 멸망했으나, 만주족과 몽골족을 중심으로 청나라 부흥을 바라는 복고주의 흐름이 여전했다. 이들은 새로운 공화정부에서 차별받는다고 느꼈고, 일부 한족들도 복고주의를 지지했다. 복왕당과 같은 친청 복고주의 단체들은 1910년대 중국 정치에서 중요한 세력이었다.[18]
1917년 중화민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문제를 두고 대총통 리위안훙과 국무총리 돤치루이 사이에 부원지쟁이라 불리는 권력 다툼이 벌어졌다. 일본은 돤치루이를, 영국과 미국은 리위안훙을 지지하면서 대립은 심화되었다. 이로 인해 정치적 불안이 커졌고, 결국 군벌들이 개입하게 되었다. 돤치루이가 총리직에서 해임되자, 군벌들은 천진에 모여 리위안훙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수도를 점령할 것을 논의했다. 이에 리위안훙은 1917년 6월 7일 장훈에게 중재를 요청했지만, 장훈은 의회 해산을 요구하면서 리위안훙과 갈등을 빚었다.
2. 1. 청나라 복고주의 흐름
1911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했지만, 만주족과 몽골족을 중심으로 청나라 부흥을 바라는 움직임이 있었다. 이들은 공화정부로부터 차별받는다고 믿었으며, 일부 한족도 복고주의를 지지했다. 많은 사람이 공화정부가 중국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것에 실망했다.[18] 복왕당과 같은 친청 복고주의 단체들은 1910년대 중국 정치에서 무시할 수 없는 세력이었다.[18]2. 2. 중화민국 초기의 정치적 혼란
1917년 5월부터 중화민국의 대총통 리위안훙(리위안훙)과 국무총리 돤치루이(돤치루이) 사이에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문제를 놓고 권력 다툼, 즉 부원지쟁이 일어났다.[18] 일본은 돤치루이를, 영국과 미국은 리위안훙을 지지하며 대립이 심화되었다.[18] 이는 정치적 불안을 야기했고, 군벌들의 개입을 초래했다. 돤치루이가 총리직에서 해임된 후, 군벌들은 톈진에 모여 리위안훙에 반란을 일으켜 수도를 점령하자고 촉구했다. 이에 리위안훙은 1917년 6월 7일 장훈에게 중재를 요청했으나, 장훈은 의회 해산을 요구하며 리위안훙과 대립했다.3. 장훈 복벽의 전개
중화민국(中華民國)은 1917년 5월부터 독일 제국에 대한 참전 문제를 놓고 대총통(大總統) 여원홍(리위안훙)과 국무총리(國務總理) 단기서(돤치루이) 사이에 부원지쟁이 일어났다. 일본은 단기서를, 영국과 미국은 여원홍과 풍국장(펑궈장)을 각각 지지하고 있었다. 여원홍은 단기서를 파면하려고 했고, 단기서는 이에 대항하여 예하의 각 성(省) 독군들에게 독립을 선언하게 했다. 여원홍은 안휘독군인 장훈에게 베이징(北京)에 들어가 조정하도록 요청했다. 6월 장훈은 3000명의 군사를 이끌고 북쪽으로 향했고, 14일, 베이징에 들어갔다.
이후 장훈은 베이징에 진입하여 푸이를 복위시켰으나, 단기서(돤치루이)가 이끄는 토역군의 반격으로 복벽은 실패로 끝났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18]
복벽에는 강유위(캉유웨이)가 관여한 것 외에도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중국의 대 독일 참전을 원치 않는 독일이 배후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17]
3. 1. 장훈의 베이징 진입과 푸이 복위
중화민국은 1917년 5월부터 독일 제국에 대한 참전 문제를 놓고 대총통 여원홍(리위안훙)과 국무총리 단기서(돤치루이) 사이에 부원지쟁이 일어났다. 여원홍은 단기서를 파면하려고 했고, 단기서는 이에 반발하여 휘하 군벌들에게 독립을 선언하게 했다. 여원홍은 안휘독군 장훈에게 조정을 요청했고, 장훈은 1917년 6월 군사를 이끌고 베이징에 진입했다. 6월 30일, 자금성 내에서 진보침 등이 ‘어전회의’를 열어 청나라 부활을 모의했고, 그날 심야에 역이나 우체국에 방화하여 여원홍에게 ‘대정봉환’을 권유했다.7월 1일, 장훈, 육군총장 왕사진, 보군통령 강조종, 경찰총감 우병상, 제12수장 진광원, 제13수장 이진재, 강유위(캉유웨이), 유정침, 심증식, 라오나이시안 등 300명이 정식으로 푸이를 옹립하여 여원홍을 일등공으로 하고, 장훈, 왕사진, 진보침, 양돈언, 유정침, 원대화, 장진방을 내각의정 대신으로, 민국 6년을 선통 9년으로 개정하고, 오색기를 용기(龍旗)로 고치며, 청나라 관제를 부활시켰다. 장훈은 의정대신(議政大臣)과 직례총독(直隷總督) · 북양대신(北洋大臣)을 겸하게 되었다.


3. 2. 복벽에 대한 반발과 실패
이 소식이 전해지자 여론은 청나라의 부활에 반대했다. 여원홍(리위안훙)은 협력을 거부하고, 일본 대사관으로 피신하여 각 성에 출병하여 토벌하도록 전보를 쳤다. 단기서(돤치루이)는 ‘토역군(討逆軍)’을 조직하고 7월 7일에 랑팡에서 장훈 군대를 격파했다. 7월 12일, ‘토역군’은 베이징에 입성했고, 부의는 장훈의 사직과 자신의 퇴위를 선언했다. 장훈은 네덜란드 대사관을 거쳐 천진(톈진) 조계로 도피하면서 복벽은 실패로 끝났다.[18]4. 장훈 복벽의 영향
장훈이 리위안훙을 압박하여 국회를 해산시키자, 손문(쑨원)은 광주에서 국회의원들에게 남하할 것을 호소하고, 각 성의 중화혁명당원들에게 토벌을 명령하여 호법운동이 발발하였다.
왕당군의 군사적 실패로 청나라 궁정과 황실은 공화정부의 의심을 받는 불안정한 입장에 놓였다.[16]
리위안훙은 대통령직 복귀를 거부하고 풍궈장에게 맡겼다.[5][16] 리위안훙이 공화당 지도부를 이탈하면서 돤치루이가 정부를 장악했고, 수도 탈환 한 달 후인 8월 14일, 중국은 리위안훙의 반대 없이 돤치루이의 원래 바람대로 독일에 선전포고했다. 돤치루이의 집권으로 중앙 정부는 직례파-안후이파의 손에 넘어가면서, 중국은 군벌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4. 1. 호법운동의 발발
장훈이 리위안훙을 압박하여 국회를 해산시키자, 쑨원은 광주에서 국회의원들에게 남하할 것을 호소하고, 각 성의 중화혁명당원들에게 토벌을 명령했다. 이것이 호법운동으로 이어진다.[16]4. 2. 군벌 시대의 도래
리위안훙의 사퇴는 중국 북부 군벌 세력을 강화시켰고, 이미 분열된 중앙 정부는 돤치루이가 장악한 직례파-안후이파의 손에 넘어갔다.[16] 중앙 정부가 약화되면서 중국은 더욱 분열되었고, 군벌 시대를 예고했으며, 남부에서는 쑨원의 헌법보호준정부의 인기와 세력이 증가했다.5. 장훈 내각
장훈 복벽 당시 구성된 내각 명단은 다음과 같다.
직책 | 이름 |
---|---|
내각총리대신, 직례총독, 북양대신 | 장훈 |
외무부상서 | 양돈언 |
민정부상서 | 주가보 |
탁지부상서 | 장진방 |
학무부상서 | 당경숭 |
육군부상서 | 뇌진춘 |
참모부상서, 육군총장 | 왕사진 |
해군부상서 | 살진빙 |
법부상서 | 로내선 |
우전부상서 | 첨천우 |
이번원상서 | 공상락이포 |
농공상부상서 | 이성탁 |
학부상서 | 심증식 |
5. 1. 기타
6. 관련 인물
직책 | 이름 |
---|---|
필덕원정원장 | 서세창 |
필덕원부원장 | 강유위 |
대학사 | 구홍기 |
양강총독・남양대신 | 풍국장 |
고문대신 | 조이손 |
경찰총감 | 오병상 |
보군통령 | 강조종 |
제12사장 | 진광원 |
제13사장 | 이진재 |
양광총독 | 육영정 |
참조
[1]
서적
Manchuria Under Japanese Domin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6-02-08
[2]
서적
Modern Chinese History Dictionary
https://books.google[...]
History of Chinese Communist Party Publishing House
[3]
서적
Shih Yuan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History of National Taiwan University
[4]
서적
Literary Knowledge
https://books.google[...]
Henan People's Publishing House
[5]
논문
[6]
논문
[7]
논문
[8]
서적
Modern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Progress Publishers
2016-09-24
[9]
서적
People's Republic of China Zeng Dictionary (revised edition)
Hebei People's Publishing House
[10]
서적
Republic of China Official Chronology
Zhonghua Book Company
[11]
서적
Manchuria Under Japanese Domin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16]
논문
[17]
서적
川島(2010)
[18]
서적
『近代国家への模索1894‐1925 ―シリーズ中国近現代史〈2〉』
岩波新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