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격! 빠빠라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돌격! 빠빠라대는 마츠자와 나츠키의 만화를 원작으로 하는 작품으로, 총에 맞아도 죽지 않는 불사신 미즈시마가 지옥의 부대 빠빠라대에 배속되면서 겪는 이야기를 다룬다. 1998년에 TV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TV 도쿄 계열에서 방영되었으며, 2000년에는 게임보이용 슈팅 게임으로도 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TV 아이치의 애니메이션 작품 - 베리베리 뮤우뮤우
《베리베리 뮤우뮤우》는 요시다 레이코의 만화를 원작으로, 평범한 여중생 이치고가 고양이 유전자를 얻어 뮤우뮤우로 변신해 지구를 지키는 이야기이며, 애니메이션과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되었고, 다섯 소녀의 활약과 이치고의 짝사랑 상대와의 관계가 주요 내용이다. - TV 아이치의 애니메이션 작품 - 트랜스포머 프라임
사이버트론 멸망 후 지구에서 옵티머스 프라임이 이끄는 오토봇이 메가트론의 디셉티콘과 인간 조직 M.E.C.H.에 맞서 싸우며 에너존 확보와 사이버트론의 비밀을 두고 갈등하는 미국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다. - 월간 소년 간간의 만화 - 강철의 연금술사
강철의 연금술사는 아라카와 히로무의 만화로, 인체 연성 실패 후 신체 일부를 잃은 엘릭 형제가 '현자의 돌'을 찾아 떠나는 여정 속에서 국가의 음모와 맞서는 이야기를 그린 미디어 믹스 작품이다. - 월간 소년 간간의 만화 - 정글은 언제나 맑은 뒤 흐림
정글은 언제나 맑은 뒤 흐림은 김다니치 렌쥬로가 그린 만화로, 정글 소년 하레와 정체불명의 소녀 구우를 중심으로 한 일상 코미디 작품이며, 만화, 애니메이션, OVA 등으로 제작되었다. - 드라마 CD - 포의 일족
《포의 일족》은 18세기부터 21세기까지 영국과 독일을 배경으로 불멸의 뱀파넬라 에드가 포츠넬과 주변 인물들의 삶을 그린 만화 및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에드가는 뱀파넬라가 되어 동료 앨런 트와일라잇과 함께 긴 세월을 보내며 인간의 삶과 영원한 삶의 의미를 탐구한다. - 드라마 CD - GOSICK -고식-
《GOSICK -고식-》은 1924년 소뷔르 왕국의 성 마르그리트 학원을 배경으로 일본인 유학생 쿠죠 카즈야와 천재 소녀 빅토리카 드 블루아의 만남과 사건 해결을 그린 미디어 믹스 작품이며, 후속 시리즈에서는 두 사람이 연인으로서 탐정사를 운영하며 새로운 사건에 맞서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돌격! 빠빠라대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제목 | 돌격! 빠빠라대 |
원제 | !パッパラ}} |
장르 | 코미디, 성인만화 |
만화 (돌격! 빠빠라대) | |
작가 | 마쓰자와 나쓰키 |
출판사 | 에닉스 GM커뮤니케이션그룹 |
연재 잡지 | 월간 소년 간간 |
연재 시작 | 1991년 4월호 |
연재 종료 | 2000년 8월호 |
권수 | 18권 |
만화 (역습! 빠빠라대) | |
작가 | 마쓰자와 나쓰키 |
출판사 | 이치진샤 |
연재 잡지 | 코믹 REX |
연재 시작 | 2006년 7월호 |
권수 | 3권 (연재중) |
애니메이션 | |
원작 | 마쓰자와 나쓰키 (에닉스/월간 소년 간간 연재) |
기획 | 야나기사와 다카유키, 야타가이 고스케 (ADEX) |
감독 | 마에지마 겐이치 |
감수 | 데자키 사토시 |
시리즈 구성 | 고이데 가즈미, 스에나가 미쓰요 |
프로듀서 | 오키모토 유키카쓰 (TV아이치), 데자키 사토시, 간노 데쓰오 |
캐릭터 원안 | 마쓰자와 나쓰키 |
캐릭터 디자인 | 고바야시 유카리 |
메카닉 디자인 | 우미 고나미 |
총 작화 감독 | 고바야시 유카리 |
음향 감독 | 후지야마 후사노부, 기모쓰키 가네타 |
음악 | 마스다 다카노부 |
미술 | 와키 다케시 (미술감독) 사토 마사히로 (미술설정) |
애니메이션 제작 | 매직버스 |
제작사 | TV아이치, SOFTX, 매직버스 |
방송사 | TV아이치, TV도쿄 어린이TV (2004년) |
방영 시작 | 1998년 10월 3일 |
방영 종료 | 1999년 3월 27일 |
화수 | 25 |
2. 스토리
총에 맞아도 끄떡없는 불사신 주인공 미즈시마(강세찬)는 "사신"이라 불리며 두려움을 받았다. 그런 그는 가장 죽음에 가깝다고 여겨지는 "땅끝 최전선", "지옥의 최강 부대"인 "빠빠라대"에 배속되었다. 하지만 그 부대의 정체는 사실 놀기만 하는 엉성한 부대였다. 미즈시마는 이 부대를 싫어했지만, 란코(홍애리)와 토비카게(닌자) 등의 부대원과 지내며 점점 마음이 바뀌어갔다. 오늘도 여전히 란코와 친구들의 장난에 몸이 남아나지 않는 그였다.[1]
이야기는 OPERATION: 1부터 OPERATION: 38까지가 '제1부', OPERATION: 39부터 OPERATION: 108까지가 '제2부 (슈바르츠 란트 편, 작가 왈 질풍노도 편)', OPERATION: 109부터 OPERATION: 125까지가 '제3부 (빠빠라 아카데미 편)', OPERATION: 126부터 FINAL OPERATION까지가 '제4부 (미래 편)'로 크게 나뉜다.
3. 등장인물
4. 미디어 믹스
1998년 10월 3일부터 1999년 3월 27일까지 TV 도쿄 계열 각 방송국에서 매주 토요일 오전 8시부터 8시 30분까지 (JST) 총 25화로 TV 애니메이션이 방송되었다. 원작의 총격전과 과격한 개그는 TV 도쿄의 규제와 방송 시간대를 고려하여 내용이 수정되었다. TV 도쿄 계열의 토요일 오전 8시 시간대는 TV 아이치의 제작 시간대로 정착되었으며, 본 작품 종료 후에도 2021년 현재까지 어린이 대상 프로그램 시간대로 자리 잡는 계기가 되었다.
J・윙에서 2000년 3월 9일에 게임보이용으로 슈팅 게임 모음집을 발매했다. 원작의 독특한 구성과 개그는 게임에서 제대로 표현되지 못했고, 캐릭터가 너무 커서 적의 탄을 피하기 어렵고, 표정과 대사가 일치하지 않는 등 게임 밸런스가 조잡하여 "망 캐릭터 게임"이라는 평가를 받았다.[1]
4. 1. TV 애니메이션
이 작품은 1998년 10월 3일부터 1999년 3월 27일까지 TV도쿄 계열국에서 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되었다. 총 25화로, 제작은 TV 아이치가 맡았으며, TV 아이치는 이 작품을 통해 처음으로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하게 되었다.1998년 10월 3일부터 1999년 3월 27일까지 TV 도쿄 계열 각 방송국에서 매주 토요일 오전 8시부터 8시 30분까지(JST) 총 25화가 방송되었다. 원작은 총격전과 과격한 개그가 특징이었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주요 방송국인 TV 도쿄의 규제와 방송 시간대를 고려하여 내용이 수정되었다.
TV 도쿄 계열의 토요일 오전 8시 시간대는 1990년대 중반부터 TV 아이치의 제작 시간대로 정착되었으며, 이 작품을 통해 2021년 현재까지 어린이 대상 프로그램 시간대로 자리 잡는 계기가 되었다.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 미즈시마 (이토 켄타로)
- 란코 (마츠이 나오코)
- 마이 (키쿠치 쇼코)
- 토비카게 (우에다 쿄지)
- 고텐 (이시카와 카즈유키)
- 시라토리자와 (오오츠카 치카오)
- 미즈시마의 아버지 (칸토쿠 켄타)
- 미야모토 (후루타 노부유키)
- 해안 (오이카와 사토시)
- 스기노 (시미즈 아츠오)
- 린다 (아리카와 미호)
- 에구치 나츠미 (미즈타니 유코)
- 산초스 (노자와 마사코)
- 알마 (오노 이사오)
- 오우카 (사토 유미)
- 길 (오기하라 히데키)
- 가즈 (카이즈카 아츠시)
- 샤티 (카이즈카 타마미)
- 진 (요시나가 토모미)
- 미즈시마 아키코 (노자와 마사코)
- 미야하라 (오와다 코헤이)
- 와타시 (모토야마 루미코)
- 란쥬로 (호우키 카츠히사)
- 산다유 (도이 토시아키)
- 이즈미 (키쿠치 쇼코)
- 스마일리 (시미즈 아츠오)
- 타나카 (아라이 타카시)
- 와타루 (후쿠하라 사치코)
- 미랄카 (요시다 사유리)
- 마텔 (야마구치 캇페이)
- X-하토 (노자와 마사코)
- 스미노프 (아라이 타카시)
- 미야모토의 아버지 (오와다 코헤이)
- 실비 (미즈노 준코)
- 레이 (호리코시 마키)
- 사토루 (후쿠하라 사치코)
4. 1. 1. 한국어판 성우진
- 강수진 - 강세찬 (미즈시마)
- 윤미나 - 홍애리 (란코)
- 신영애 - 손예나 (마키노 마이), 미란다 공주
- 박영화 - 닌자 (토비카게)
- 김필진 - 한수영(에구치 나츠미)
- 서선주 - 유체리(오우카), 린다
- 권영호 - 대장
- 이상헌 - 장군
- 신한호 - 죠, 마텔
- 홍승표 - 마르코
4. 1. 2. 제작진
역할 | 담당 |
---|---|
원작・캐릭터 원안 | 마츠자와 나츠키 (에닉스 「간간 코믹스」 간행) |
감독 | 마에지마 켄이치 |
감수 | 데자키 사토시 |
시리즈 구성 | 코데 이즈미, 스에나가 미츠요 |
캐릭터 디자인・총 작화 감독 | 코바야시 유카리 |
메카 디자인 | 우미코나미 |
미술 감독 | 와키 타케시 |
미술 설정 | 사토 마사히로 |
색채 설정 | 코바야시 메구미 |
촬영 감독 | 카미야마 시게오 |
편집 | 후나미 야스에, 이토 토헤이 |
음향 감독 | 칸토쿠 켄타, 후지야마 후사노부(제1화~제5화), 야마다 타이헤이(제6화~) |
음향 연출 | 후지야마 후사노부(제21화) |
선곡 | 토조 베후 미타마 |
음향 프로듀서 | 야마다 타이헤이 |
음향 제작 | 무비 텔레비전 (현・브로드미디어) |
음악 | 마스다 타카노리 |
음악 프로듀서 | 미야즈미 슌스케 |
기획 | 야나기사와 타카유키, 야타가이 켄스케 |
기획 협력 | 일본경제광고사 |
프로듀서 | 오키모토 유키카츠, 데자키 사토시, 스가노 테츠오 |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듀서 | 마츠자키 요시유키 |
제작 | TV 아이치, SOFTX, 매직 버스 |
4. 1. 3. 주제가
- 오프닝 테마 「기자기자 MAKE A MOTION」
- : 작사·작곡 - 나가이 마사토 / 편곡 - 마스다 타카노부 / 노래 - Misty(소니 레코드)
- 엔딩 테마 「Wanna Wanna」
- : 작사 - 후지바야시 세이코 / 작곡·편곡 - 나가이 마사토 / 노래 - Misty(소니 레코드)
4. 1. 4. 각 화 목록
10월 3일스나가 나가요
스나가 나가요
1월 9일
야마모토 케이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