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보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임보이는 닌텐도에서 개발하여 1989년 일본에서 출시된 휴대용 게임기이다. 닌텐도 연구 개발 1부 팀에 의해 설계되었으며, 요코이 군페이의 "시들어버린 기술을 활용한 발상의 전환" 철학에 따라 흑백 화면과 저렴한 부품을 사용하여 비용 절감과 배터리 수명을 늘렸다. 1996년 출시된 '포켓몬스터'의 성공으로 다시 인기를 얻었으며, 2000년에는 누적 판매 1억 대를 돌파하며 휴대용 게임기 시장을 선도했다. 게임보이는 흑백 화면, D-패드, A/B 버튼, 통신 기능 등을 갖추었으며, 게임 팩을 통해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임보이 - 게임 링크 케이블
게임 링크 케이블은 닌텐도 휴대용 게임기인 게임보이, 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보이 미크로 등에서 게임 간 통신에 사용되는 케이블로, 모델에 따라 형태가 다르며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통신 교환 기능으로 활용도가 높았다. - 게임보이 - 슈퍼 게임보이
슈퍼 게임보이는 슈퍼 패미컴에서 게임보이 게임을 컬러로 즐길 수 있게 해주는 어댑터이며, 1994년에 출시되어 2인용 플레이, 음질 향상 등의 기능을 지원했고, 1998년에는 링크 포트가 추가된 슈퍼 게임보이 2가 출시되었다. - Z80 기반 비디오 게임 콘솔 - 게임보이 컬러
게임보이 컬러는 1998년 닌텐도에서 출시된 휴대용 게임기로, 흑백 화면의 게임보이 단점을 보완하여 컬러 화면을 지원하며 기존 게임보이 게임과의 호환성을 갖춘 게임기이다. - Z80 기반 비디오 게임 콘솔 - 세가 마스터 시스템
세가 마스터 시스템은 세가가 1985년 일본에서 출시하여 닌텐도의 패밀리 컴퓨터와 경쟁한 가정용 비디오 게임 콘솔로, 하드웨어 성능은 우수했지만 지역별로 상이한 성공을 거두었다. - 1989년 도입 - ISO 639-2
ISO 639-2는 ISO 639-1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언어 코드 표준으로, 세 글자로 된 코드를 각 언어에 부여하며 B 코드와 T 코드 두 가지 유형이 존재하고, 일부 코드는 특정 용도로 예약되어 있다. - 1989년 도입 - VTEC
VTEC은 혼다가 개발한 가변 밸브 타이밍 및 리프트 제어 시스템으로, 엔진 회전수에 따라 밸브 작동 방식을 변경하여 성능과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게임보이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DMG-01 미니 컴보이(KR) |
개발 | 닌텐도 R&D1 |
제조사 | 닌텐도 |
제품군 | 게임보이 |
종류 | 휴대용 게임기 |
세대 | 4세대 |
출시일 | 1989년 4월 21일(JP) 1989년 7월 31일(NA) 1990년 9월 28일(EU) 1991년 5월 2일(KR) (SA) (YU) 1994년 4월 14일(BR) 1994년 10월 6일(PL) |
가격 | |
단종 | 2003년 3월 31일(WW) |
판매량 | 1억 1869만 대 (모든 변형 및 게임보이 컬러 포함) |
미디어 | 게임보이 게임 팩 |
시스템 온 칩 (SoC) | 오리지널: 닌텐도 DMG-CPU (샤프 LR35902) 포켓/라이트: 닌텐도 CPU MGB |
중앙 처리 장치 (CPU) | 샤프 SM83 |
CPU 속도 | 4 MHz |
메모리 | 8 KB RAM, 8 KB VRAM |
디스플레이 | 오리지널: STN LCD 포켓/라이트: FSTN LCD |
최고 판매 게임 | 포켓몬스터 적, 녹, 청 (4600만 장) |
이전 제품 | 게임 & 워치 |
다음 제품 | 게임보이 컬러 |
기술 사양 | |
CPU | LR35902 (4MHz) |
GPU | 해당 정보 없음 |
미디어 | 롬 카트리지 |
저장 장치 | 배터리 백업 |
컨트롤러 | 내장 |
외부 연결 단자 | 통신 포트 |
온라인 서비스 | 해당 정보 없음 |
판매 정보 | |
일본 판매량 | 2,007만 대 |
미국 판매량 | 2,421만 대 |
유럽/호주 판매량 | 2,529만 대 |
전 세계 판매량 | 6,957만 대 |
최고 판매 소프트웨어 (전 세계) | 테트리스 / 3,026만 개 (2022년 말 기준) |
최고 판매 소프트웨어 (일본) | 테트리스 / 424만 개 (2022년 말 기준, 단독) |
최고 판매 소프트웨어 (포켓몬스터) | 포켓몬스터 적·녹 / 822만 개 (2009년 9월 말 기준, 2개 합계) |
호환 기종 | |
호환 기종 | 게임보이 게임보이 포켓 게임보이 라이트 게임보이 컬러 |
2. 역사
게임 & 워치의 후속 기기로 개발된 게임보이는 휴대용 게임기 시장을 개척한 선구적인 제품이다. 닌텐도를 완구 제조 업체로 성장시킨 요코이 군페이가 개발하였다. 1988년 8월 발매 예정이었으나 이듬해 봄에 발매되었다. 슈퍼 마리오 랜드, 어레이웨이, 베이스볼, 역만(役満), 테트리스가 동시 발매 소프트웨어였다.[108][109]
에폭 사의 게임 포켓콘을 이은 롬 카트리지 교환 방식을 채택하여 하나의 게임보이로 여러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샤프와 공동 개발하여 액정은 샤프의 것을 사용했으며, 전력 소비량과 가격의 균형을 위해 흑백을 채택했다. 기본 배경색은 초록색이었으나, 게임보이 포켓에서 흰색으로 변경되었다. A, B, SELECT, START 버튼 배열은 닌텐도 DS 이전까지 닌텐도 휴대용 게임기의 기본 배열이 되었다.
STN 반사식 흑백 액정은 픽셀을 종횡으로 격자 모양으로 배치한 도트 매트릭스 액정으로, 이전 게임 & 워치의 제한적인 표현에서 벗어나 모든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STN형 액정은 반사가 약해 화면 명암 조절 다이얼이 있으며, 명암을 낮추면 건전지 소비량이 낮아졌다. 그러나 액정의 흐릿함과 잔상 문제로 슈팅 및 액션 게임에서는 가독성이 좋지 않았다.
통신 케이블을 통해 다른 게임보이와 연결하여 대전 및 데이터 교환이 가능했다. RDY/ACK 신호가 없어 정확한 통신을 위해서는 복잡한 프로그램이 필요했고, 통신 중 케이블을 뽑으면 데이터가 손상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이용한 버그 기술도 있었으며, 포켓 몬스터에서는 포켓몬 복사 방법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AC 어댑터(6V DC, 150mA)와 AA 배터리 4개로 전원을 공급받으며, 약 15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어 게임보이 시리즈 중 가장 긴 배터리 지속 시간을 가졌다.
아이들을 고려하여 튼튼하게 설계되었으며, 야마우치 히로시 사장이 시험 제작 모델을 카펫에 던져도 문제없이 작동하여 발매를 결정했다는 일화가 있으나, 닌텐도 측은 사실무근이라고 밝혔다. 걸프 전쟁 당시 폭격 맞은 게임보이가 정상 작동했다는 사례[111]와 일본 네티즌이 게임 팩을 프라이팬에 익혀도 작동했다는 사례[112]도 있다.
닌텐도3DS의 닌텐도 E샵에서 과거 발매 타이틀을 버추얼 콘솔로 이식하여 판매하고 있다.
'''연혁'''
- 1989년
- * 1월 17일: 4월 14일 발매 예정 발표. 본체 월 30만 대, 소프트웨어 월 100만 개 생산 계획.[84]
- * 3월: 코나미, 반다이, 캡콤, 아스키, 자레코 등 21개 회사와 라이선스 계약 체결.
- * 4월 21일: 게임보이 발매.
- * 8월 말: 국내 71만 대, 미국 45만 대, 총 100만 대 이상 출하. 품귀 현상으로 본체 월 40만 대, 1990년 8월까지 월 100만 대로 증산. 서드 파티 약 50개사.[85]
- 1990년
- * 1월: 완구 도매상 6개사, 지점 8곳이 독점 금지 및 공정 거래 확보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입점 검사.
- * 5월 말: 출하 대수 262만 대, 서드 파티 72개사.[86]
- * 7월 31일: 빅 토카이, 게임보이 전용 확대경 '라이트 보이'를 미국과 일본에서 동시 발매. 1991년 3월까지 50만 개 출하 예정.[87]
- * 8월: 출하 대수 304만 대, 소프트웨어 74 타이틀, 1872만 개 출하.
- 1991년
- * 2월: 게임 기어, PC 엔진 GT 등 경쟁 기기 등장으로 "휴대용 게임기 전쟁" 시작.
- * 5월 2일: 한국에서 현대전자 (현 SK하이닉스)에서 현대 미니컴보이로 발매.
- * 10월: 완구 도매상 업계, 게임보이 소프트웨어 재고 심각.
- 1992년
- * 5월: 일본항공, 국제선에서 기내용 게임보이 무료 대여 시작.
- * 12월: 아시아에서 게임보이 복제 소프트 유통.
- 1993년 12월: 국내 출하 대수 974만 대, 미국 1477만 대, 소프트웨어 출하 수 국내 6105만 개, 미국 6290만 개.[88]
- 1994년
- * 5월 1일: 게임보이 본체 (DMG-001) 8000엔으로 가격 인하.
- * 11월 21일: 최초의 컬러 바리에이션 게임보이 브로스 발매.
- 1995년 10월: 타카라, 게임보이 모티브 "게임보이 샴푸" 발매.
- 1996년
- * 2월: 『포켓몬스터 적·녹』 발매.
- * 7월 21일: 게임보이 포켓 발매.
- 1997년
- * 7월: 하드슨 전국 캐러밴, 『슈퍼 비다맨 파이팅 피닉스』 개최.
- * 12월: 포켓몬 쇼크 발생. 『포켓몬스터 적·녹』의 화면 고속 점멸에 따른 건강 문제 유무 거론.
- 1998년
- * 7월: 반다이, 게임보이 접속 어군 탐지기 "포켓 소나" 발매.
- * 10월 21일: 상위 호환 신형기 『게임보이 컬러』 발매.
- 2000년 3월 1일: 닌텐도 파워에서 게임 소프트웨어 재기록 시작.[90]
- 2003년 9월: "'''게임보이'''", 게임보이 라이트, 게임보이 포켓을 포함한 흑백 시리즈 생산 종료.
- 2007년 10월 31일: 수리 지원 종료.
2. 1. 개발 배경
닌텐도 연구 개발 1부(R&D1)에서 게임 & 워치의 후속 기기로 게임보이를 개발했다.[11][12] 개발 초기, R&D1 부서 책임자 요코이 군페이와 부책임자 오카다 사토루는 개발 방향에 대해 의견이 달랐다. 요코이는 단순한 기기를 구상했으나, 오카다는 닌텐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NES)처럼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를 가진 강력한 기기를 원했다.[13]닌텐도 사장 야마우치 히로시의 격려로 프로젝트를 진행했지만, 닌텐도 내부에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었다. 일부 직원들은 이 프로젝트에 "다메 게임"("다메"(だめ)는 일본어로 "가망 없다"는 뜻)이라는 별명을 붙였다.[14][15]
초기 코드명은 "도트 매트릭스 게임"(DMG)이었으며, 이는 도트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를 채택한 것에서 유래한다. DMG는 최종 제품 모델 번호인 "DMG-01"에 사용되었다.[16]
샤프와 협력하여 액정 디스플레이(LCD) 기술을 확보했다.[18] 야마우치 히로시의 요구에 따라 수퍼 트위스트 네마틱(STN) 액정을 채택해 가시성을 높였다.[18][19]
요코이 군페이는 '시들어버린 기술을 활용한 발상의 전환' 철학을 바탕으로, 흑백 화면과 백라이트를 없애 비용 절감과 배터리 수명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개발을 진행했다.[11][20]
2. 2. 출시 및 인기
1989년 4월 21일 일본에서 게임보이가 출시되었을 때, 슈퍼 마리오 랜드, 어레이웨이, 베이스볼, 역만(役満) 4개의 게임이 함께 출시되었다.[66] 북미 출시 때는 테트리스와 테니스가 추가되었고, 야쿠만은 일본 외 지역에서는 출시되지 않았다.[67][68]테트리스나 슈퍼 마리오 랜드, 마계탑사 Sa.Ga등의 인기로 인해 게임보이는 발매 후 수개월 동안 품절 상태가 계속되었다.[85] 1990년대 중반, 가정용 게임기와의 성능 차이로 판매량이 한계에 도달했지만, 1996년에 발매된 포켓몬스터가 다시 큰 인기를 얻으면서 휴대성과 통신 기능이 재평가받아 판매량이 빠르게 증가했다.
포켓몬스터 적·녹은 킬러 소프트가 되어 게임보이 시장을 다시 활성화시켰다.[85] 특히 포켓몬스터 적·녹은 통신 케이블을 이용한 포켓몬 교환 및 대전 기능으로 사회 현상까지 일으킬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
2. 3. 대한민국 출시
1991년 5월 2일2. 4. 개정판 및 후속 기기


1995년 3월 20일, 닌텐도는 "Play It Loud!" 캠페인을 통해 여러 특별판 게임보이 모델을 출시하며 게임보이의 첫 번째 개정판을 선보였다.[43] 이 캠페인은 일본에서 게임보이 브라더스|일본어로 알려져 있다. Play It Loud! 기기는 빨간색, 노란색, 녹색, 파란색, 검은색, 흰색 및 투명한 색상으로 제작되었다. Play It Loud!의 화면은 일반 게임보이보다 더 어두운 테두리를 가지고 있다.[44]
1996년에는 게임보이 포켓이 출시되었다. 이 슬림화된 기기는 단 두 개의 작은 AAA 건전지만을 필요로 했지만, 10시간의 게임 플레이 시간만을 제공한다는 단점이 있었다.[45] 다른 주요 변화는 화면이 필름 보상 슈퍼 트위스트 네마틱(FSTN) LCD로 변경되었다는 것이다. 이 필름 보상 층은 기존 게임보이의 녹색 색조 대신 진정한 흑백 디스플레이를 구현했다.[46] 포켓은 또한 더 작은 게임 링크 케이블 포트를 가지고 있어, 기존 게임보이와의 연결을 위해서는 어댑터가 필요했다. 이 작은 포트 디자인은 이후 모든 게임보이 모델에 사용되었다.[47]
게임보이 포켓은 1996년 7월 20일 일본에서, 1996년 9월 2일 북미에서 출시되었다.[49] 초기 버전은 은색으로만 출시되었으며 전원 LED가 없었다. 1997년 초 개정판에서는 전원 LED가 추가되었고, 다양한 케이스 색상(빨강, 녹색, 노랑, 검정, 금색 메탈, 투명, 파랑)이 출시되었다.[53] 1998년 중반, 게임보이 컬러가 출시되기 몇 달 전 가격은 더욱 인하되었다.[54]
게임보이 라이트는 1998년 4월 14일에 출시된 일본 전용 개정판이다. 게임보이 포켓과 마찬가지로, 이 시스템의 가격은 6800JPY이었다.[55] 게임보이 라이트는 게임보이 포켓보다 약간 크며, 어두운 곳에서도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기 발광(EL) 백라이트가 특징이다. AA 배터리 두 개를 사용하며, 백라이트를 켜면 약 12시간, 끄면 약 20시간 동안 게임을 할 수 있다.[55] 금색과 은색의 두 가지 기본 색상으로 판매되었다.[55][56]
;게임보이 포켓
:1996년 7월 21일 발매. 모델 번호는 MGB-001
;게임보이 라이트
:1998년 4월 14일 발매. 모델 번호는 MGB-101
;게임보이 컬러
:1998년 10월 21일 발매. 모델 번호는 CGB-001
3. 하드웨어
게임보이는 롬 카트리지 교환 방식을 채택하여 하나의 게임기로 여러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샤프와 공동 개발하여 액정은 샤프의 것을 사용했으며, 전력 소비량과 가격의 균형을 위해 흑백에 기본 배경색은 초록색을 사용했다. 게임보이 포켓에서는 흰색으로 변경되었다.[118] 버튼은 A, B, SELECT, START가 있었으며, 이 배열은 닌텐도 DS가 나오기 전까지 휴대용 닌텐도 제품의 기본 배열이었다.
화면은 STN 반사식 흑백 액정을 사용했다. 픽셀을 격자 모양으로 배열한 도트 매트릭스 액정을 채용하여 이전의 게임&워치보다 훨씬 다양한 표현이 가능했다. STN형 액정은 반사가 약해 명암 조절 다이얼이 있으며, 명암을 낮출수록 건전지 소비량이 줄어들었다. 그러나 액정의 흐릿함과 잔상 때문에 빠른 움직임을 요구하는 게임에서는 가독성이 좋지 않았다.
다른 게임보이와 통신 케이블로 연결하여 대전이나 데이터 교환이 가능했다. RDY/ACK 신호가 없어 통신을 정확하게 하려면 복잡한 프로그램이 필요했고, 통신 중 케이블을 뽑으면 데이터가 손상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를 이용한 버그 기술도 있었는데, 특히 포켓몬스터에서는 포켓몬 복사에 활용되기도 했다.
전원은 AC 어댑터(6V DC, 150mA)와 AA 배터리 4개를 지원하며, 약 15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었다.[108][109] 이는 게임보이 시리즈 중 가장 긴 시간이다.
아이들이 사용할 것을 고려하여 튼튼하게 설계되었으며, 야마우치 히로시 사장이 시험 제작 모델을 바닥에 던져도 문제없이 작동하여 발매를 결정했다는 일화가 있다. (닌텐도 측에서는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이다.)[110] 또한 걸프 전쟁 당시 폭격을 맞은 게임보이가 정상 작동했다는 이야기도 있다.[111]
게임보이는 닌텐도3DS의 닌텐도 E샵에서 버추얼 콘솔로 이식되어 판매되고 있다.
게임보이의 제품 코드 '''DMG'''는 "Dot Matrix Game"에서 유래되었다.
3. 1. 사양

게임보이는 닌텐도가 ''DMG-CPU'', 샤프 주식회사(Sharp Corporation)가 ''LR35902''라고 명명한 맞춤형 시스템 온 칩(SoC)을 사용한다.[24]
DMG-CPU는 ''샤프 SM83''을 메인 프로세서로 사용하는데,[25] 이는 인텔 8080과 Zilog Z80의 하이브리드이다. SM83은 8080의 8비트 레지스터 7개(Z80의 대체 레지스터는 없음)를 가지고 있지만, Z80의 프로그래밍 구문과 추가 비트 조작 명령어를 사용하며, 하드웨어 배치와 관련된 특정 작업에 대해 프로세서를 최적화하기 위한 새로운 명령어를 추가했다.[11][24][26][27] 샤프 SM83은 4.194304MHz의 클럭 속도로 작동한다.[24]
DMG-CPU는 마더보드에 위치한 8KB 뱅크의 비디오 램(듀얼 포트 DRAM)을 사용하여 시각 효과를 렌더링하는 기본 GPU인 ''화상 처리 장치''를 통합한다.[24] 디스플레이는 가로 47mm, 세로 43mm의 2.5인치(대각선) 반사형 슈퍼 트위스트 네마틱(STN) 흑백 액정 디스플레이(LCD)이다. 화면은 160 픽셀 너비에 144 픽셀 높이, 10:9 화면비로 네 가지 음영을 렌더링할 수 있다.[28][29]
SoC는 장치 시작에 사용되는 256B의 "부트스트랩" ROM,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127B의 고속 램(CPU 캐시와 유사), 네 개의 채널을 가진 프로그래밍 가능한 사운드 발생기인 ''오디오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주파수 및 볼륨 변동을 갖는 펄스파 생성 채널, 볼륨 변동만 있는 두 번째 펄스파 생성 채널, RAM에 기록된 모든 파형을 재생할 수 있는 파형 채널, 볼륨 변동이 있는 백색 잡음 채널이 있다.[24][30][31][32] 마더보드에는 8KB의 "작동 RAM" 칩도 있다.[24]
게임보이는 D-패드(방향 패드), 'A', 'B', 'SELECT', 'START'로 표시된 네 개의 버튼, 제거 방지용 카트리지 잠금 장치가 있는 슬라이딩 전원 스위치를 갖추고 있다. 볼륨과 대비는 양쪽에 있는 다이얼로 조절한다.[33] 오리지널 게임보이는 네 개의 AA 건전지로 내부 전원을 공급받는다.[34] 장시간 사용을 위해 AC 어댑터(옵션) 또는 충전식 배터리 팩을 왼쪽의 동축 전원 커넥터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35] 게임보이는 단일 모노럴 스피커와 전화 커넥터(오디오) 3.5mm 스테레오 헤드폰 잭이 있다.[36]
3. 2. 특징
샤프와 공동 개발한 커스텀 8-bit CPU는 인텔 8080과 Zilog Z80의 특징을 결합한 독특한 구조다.[113] 8 kB의 인터널 S-RAM[114]과 8 kB의 비디오 메모리를 가지고 있다.[115]STN 반사식 흑백 액정[118]은 160×144 해상도[115]로, 4단계의 흑백 음영을 표현한다.[115] 화면의 명암은 조절 다이얼을 통해 바꿀 수 있다.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면 다른 게임보이와 연결하여 대전하거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115] 이는 포켓몬스터 시리즈에서 포켓몬 교환에 핵심적인 기능으로 쓰였다.
게임보이는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 걸프 전쟁에서 폭격을 맞고도 정상 작동했다는 사례가 있을 정도로 튼튼하게 설계되었다.[111]
항목 | 사양 |
---|---|
CPU | 커스텀 8-bit Sharp LR35902[113] 코어 4.19 MHz |
RAM | 8 kB 인터널 S-RAM[114] (32 kB까지 확장 가능)[115] |
비디오 메모리 | 8 kB 인터널[115] |
ROM | On-CPU-Die 256바이트 부트스트랩;[116] 256 kb, 512 kb, 1 Mb, 2 Mb, 4 Mb , 8 Mb 카트리지 |
사운드 | 펄스 파형 2 채널, 1개의 PCM 4비트 웨이브 샘플 채널 (64개의 4비트 샘플은 1×64 뱅크 또는 2×32 뱅크에서 재생), 1개의 노이즈 발생기 및 카트리지로부터 하나의 오디오 입력.[117] 스테레오 헤드폰 지원, 내장 스피커는 모노 |
화면 | STN 반사식 흑백 액정[118] |
해상도 | 160×144 픽셀[115] |
프레임 레이트 | 일반 게임보이: 약 59.7 FPS, 슈퍼 게임보이: 약 61.1 FPS[119] |
Vertical Blank Rate | 약 1.1ms[119] |
화면 크기 | 대각선 66mm (2.6인치)[120] |
컬러 팔레트 | 2-bit (4단계 모노크롬)[115] |
통신 | 2대의 게임보이를 통신 시리얼 포트로 연결, DMG-07을 이용하면 최대 4대까지 연결 가능[115] |
전원 | 6 V, 0.7 W (4개의 AA 배터리로 15–30+ 시간 사용가능)[118] |
크기 | 90mm (가로) × 148mm (세로) × 32mm (두께)[118] |
4. 소프트웨어
게임보이는 닌텐도에서 게임 & 워치의 후속으로 개발한 휴대용 게임기로, 휴대용 게임기 시장을 개척한 선구적인 제품이다. 롬 카트리지 교환 방식을 채택하여 하나의 게임기로 여러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샤프와 공동 개발하여 샤프의 액정을 사용했으며, 전력 소비와 가격의 균형을 위해 흑백 화면을 채택했다. 초기에는 화면 배경색이 초록색이었으나, 게임보이 포켓에서 흰색으로 변경되었다. 조작 버튼은 A, B, SELECT, START 버튼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닌텐도 DS 이전까지 닌텐도 휴대용 게임기의 기본 배열이 되었다.
STN 반사식 흑백 액정은 도트 매트릭스 방식을 채용하여 이전 게임 & 워치의 제한적인 표현에서 벗어나 모든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다만, STN형 액정의 특성상 반사가 약해 화면 명암 조절 다이얼이 부착되었고, 흐릿한 잔상으로 인해 빠른 움직임을 요하는 게임에서는 가독성이 좋지 않았다.
통신 케이블을 통해 다른 게임보이와 연결하여 대전이나 데이터 교환이 가능했다. 특히 포켓 몬스터에서는 이 기능을 이용해 포켓몬을 복사하는 방법이 알려지기도 했다.
1989년 4월 21일에 출시되었으며, 슈퍼 마리오 랜드, 어레이웨이, 베이스볼, 역만(役満), 테트리스가 동시 발매되었다. 특히 테트리스는 게임보이와 함께 판매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1996년 2월에는 포켓몬스터 적·녹이 발매되어 게임보이 시장을 다시 활성화시킨 킬러 소프트가 되었다.
게임보이 게임은 리전 락이 없어 다른 나라에서 발매된 게임도 플레이할 수 있다.[84]
4. 1. 게임 카트리지
게임보이 게임은 게임 팩이라고 불리는 카트리지 형태로 제공되며, 카트리지 교환을 통해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다.[57] 초기에는 롬(ROM) 크기가 32KB로 제한되었으나, 닌텐도는 카트리지 내에 메모리 뱅크 컨트롤러(MBC)를 사용하여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였다. MBC는 프로세서와 롬 칩 사이에 위치하여 CPU가 한 번에 32KB만 접근할 수 있지만, 여러 뱅크의 32KB 롬 간에 전환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기술을 통해 닌텐도는 최대 1메가바이트의 롬을 사용하는 게임보이 게임을 만들 수 있었다.[24]
일부 카트리지는 게임보이 시스템에 추가 기능을 제공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최대 128KB의 램(RAM)을 포함하여 게임 진행 상황을 저장하거나, 실시간 시계 칩을 통해 시간을 추적하거나, 럼블 팩을 통해 진동 피드백을 제공하는 카트리지도 있었다.[60][61]
4. 2. 대표적인 게임
게임보이의 대표적인 게임은 다음과 같다:
- 테트리스: 게임보이와 함께 번들로 판매되어 3,500만 개 이상 판매되며 큰 인기를 얻은 퍼즐 게임이다.[64][65] 1989년 6월에 발매되어 423만 개가 판매되었다.
- 슈퍼 마리오 랜드: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게임보이용 액션 게임이다. 1989년 4월 21일 게임보이 런칭 타이틀로 발매되었다.
- 포켓몬스터 적·녹: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으로, 4,600만 개 이상 판매되었으며, 통신 기능을 활용한 포켓몬 교환 및 대전 시스템이 특징이다.[62][63] 1996년 2월에 발매되어 게임보이 시장을 다시 활성화시킨 킬러 소프트이다.
- 젤다의 전설 꿈을 꾸는 섬: 젤다의 전설 시리즈의 게임보이용 액션 어드벤처 게임이다.
4. 3. 리전 락 및 호환성
게임보이 게임은 기본적으로 리전 락이 없어, 다른 나라에서 발매된 게임도 플레이할 수 있다.[84] 게임보이 컬러 전용 게임은 게임보이에서 사용할 수 없지만, 게임보이 컬러 및 이후 출시된 게임보이 어드밴스, SP, 게임보이 미크로에서는 게임보이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5. 사회문화적 영향
게임보이는 닌텐도가 게임 & 워치를 잇는 게임기로 개발하여 휴대용 게임기 시장을 개척한 선구적인 제품으로 평가받는다.[108][109] 1989년 발매 당시에는 테트리스나 슈퍼 마리오 랜드 등이 큰 인기를 얻어 품절 사태가 지속되기도 하였다. 1990년대 중반에는 가정용 게임기와의 성능 차이로 판매량이 감소했지만, 1996년에 발매된 포켓몬스터가 킬러 소프트가 되어 휴대성과 통신 기능을 바탕으로 다시 인기를 얻었다.
2000년에는 누적 판매량 1억 대를 돌파하여 2005년까지 세계 최대 판매량을 기록한 게임기가 되었다. 특히 개발도상국에도 널리 보급되었으며, 일본에서는 약 1,200개의 게임보이용 게임이 발매되었다.
걸프 전쟁 당시 폭격을 맞은 게임보이가 정상 작동했다는 일화나,[111] 일본의 한 네티즌이 게임보이 게임 팩을 프라이팬으로 익혔는데도 정상 작동했다는 사례는[112] 게임보이의 내구성을 보여주는 유명한 일화이다.
6. 논란 및 비판
세가 게임 기어, 아타리 린스 등 경쟁 기기들과 비교했을 때 게임보이는 기술적으로 뒤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았다.[69][70] 컬러 화면을 지원하는 기기들과 달리 흑백 화면을 채택한 점, 모션 블러 현상으로 인해 빠른 움직임을 표현하는 게임에서 가독성이 떨어지는 점 등이 단점으로 지적되었다.[76]
2024년에는 '게임보이'라는 명칭이 자동차 스마트키 탑재 차량 해제 도구로 사용되면서 자동차 절도에 악용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는 원래 게임보이와는 외형만 비슷할 뿐, 전혀 다른 하드웨어이다.[107]
닌텐도가 모션 블러 현상과 흑백 화면을 개선하지 않고, 동일한 게임기를 새로운 포장으로 재판매한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76]
6. 1. 기술적 한계
게임보이는 세가 게임 기어, 아타리 린스 등 경쟁 기기들에 비해 기술적으로 뒤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았다. 특히 흑백 화면은 컬러 화면을 지원하는 기기들에 비해 단점으로 지적되었다.[69][70] 또한 모션 블러 현상으로 인해 빠른 움직임을 표현하는 게임에서는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76]6. 2. '게임보이' 명칭 논란
'게임보이'라는 명칭은 2024년 자동차 스마트키 탑재 차량 해제 도구 중 하나로 사용되면서 자동차 절도에 악용되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원래의 게임보이와는 외형만 비슷할 뿐, 전혀 다른 하드웨어이다.[107]6. 3. 닌텐도의 상술 비판
일부에서는 닌텐도가 게임보이의 모션 블러 현상과 흑백 화면을 개선하지 않고, 동일한 게임기를 새로운 포장으로 재판매하고 있다는 비판을 제기했다.[76] 그러나 게임보이는 저렴한 가격과 긴 배터리 수명 덕분에 세가 게임 기어, 아타리 린스, NEC 터보익스프레스 등 경쟁 기기들보다 더 큰 성공을 거두었다.[69][70]참조
[1]
간행물
retrodiary: 1 April – 28 April
Imagine Publishing
2011-04-00
[2]
간행물
Gameboy Club
1989-07-00
[3]
웹사이트
Video Games Around the World: South Africa
https://www.linkedin[...]
2022-09-25
[4]
웹사이트
Playtronic lança em abril Game Boy da Nintendo
https://www1.folha.u[...]
1994-03-30
[5]
웹사이트
Bajtek 1994 11
https://archive.org/[...]
1994-11-00
[6]
뉴스
Happy 30th B-Day, Game Boy: Here are six reasons why you're #1
https://arstechnica.[...]
2019-04-21
[7]
뉴스
The Real Cost of Gaming: Inflation, Time, and Purchasing Power
https://www.ign.com/[...]
2013-10-15
[8]
간행물
Console Crazy!
https://segaretro.or[...]
2024-04-01
[9]
뉴스
Matsch-Screen statt Touchscreen
https://www.spiegel.[...]
2015-10-12
[10]
웹사이트
Consolidated Sales Transition by Region
https://web.archive.[...]
Nintendo
2016-04-26
[11]
서적
Videogames Hardware Handbook
Imagine Publishing
[12]
웹사이트
Satoru Okada talks Game & Watch, Game Boy and Nintendo DS development
http://www.japanesen[...]
Retro Gamer Magazine
[13]
서적
L'Histoire de Nintendo Vol. 4: L'incroyable Histoire de la Game Boy
Omaké books
[14]
뉴스
NX, Ultra 64, Revolution… Petite histoire de Nintendo à travers ses noms de code
http://www.lemonde.f[...]
2015-03-18
[15]
웹사이트
駄目
https://en.wiktionar[...]
[16]
뉴스
Nintendo Console Codenames and Product Codes
https://www.nintendo[...]
2020-05-06
[17]
웹사이트
Satoru Okada – 2022 Retrospective Interview
https://shmuplations[...]
4gamer.net
2022-00-00
[18]
뉴스
ゲームボーイの生みの親・岡田 智氏が任天堂での開発者時代を語った「黒川塾 八十八(88)」聴講レポート
https://www.4gamer.n[...]
2022-07-15
[19]
뉴스
元任天堂・岡田 智氏の独立独歩 後編 ひたすらに意志を貫いたゲームボーイ&ゲームボーイアドバンス開発 「ビデオゲームの語り部たち」:第28部
https://www.4gamer.n[...]
2022-03-29
[20]
서적
Super Mario: How Nintendo Conquered America
Portfolio Penguin
2011-00-00
[21]
서적
Before Mario: the fantastic toys from the video game giant's early days
http://blog.beforema[...]
Omaké books
2011-03-19
[22]
뉴스
IGN Presents the History of Game Boy
http://www.ign.com/a[...]
2009-07-27
[23]
뉴스
Toys: It's serious business as Nintendo's Game Boy goes head to head with Atari's Lynx
https://www.latimes.[...]
1989-11-29
[24]
웹사이트
Game Boy / Color Architecture – A Practical Analysis
https://www.copetti.[...]
2019-02-21
[25]
웹사이트
Game Boy: Complete Technical Reference
https://gekkio.fi/fi[...]
2024-04-23
[26]
웹사이트
The Nintendo Game Boy, Part 1: The Intel 8080 and the Zilog Z80
https://realboyemula[...]
RealBoy Emulator Blog
2013-01-02
[27]
웹사이트
CPU Comparison with Z80
https://gbdev.io/pan[...]
[28]
웹사이트
GameBoy User Manual
https://www.flickr.c[...]
Nintendo of America
[29]
웹사이트
Interrupt Descriptions
https://web.archive.[...]
2009-08-22
[30]
웹사이트
Game Boy
http://www.8bitcolle[...]
2008-11-05
[31]
웹사이트
Gameboy Bootstrap ROM
http://gbdev.gg8.se/[...]
2009-11-12
[32]
웹사이트
Game Boy Advance Service Manual
https://drive.google[...]
Nintendo
[33]
웹사이트
Game Boy Owner's Manual
https://www.flickr.c[...]
Nintendo of America
[34]
웹사이트
Game Boy Owner's Manual
https://www.flickr.c[...]
Nintendo of America
[35]
웹사이트
Nintendo Game Boy (DMG-001)
http://www.vidgame.n[...]
[36]
웹사이트
Game Boy Owner's Manual
https://www.flickr.c[...]
Nintendo of America
2024-05-26
[37]
웹사이트
Game Boy Owner's Manual
https://www.flickr.c[...]
Nintendo of America
2024-05-26
[38]
서적
Game On
Universe Publishing
[39]
웹사이트
Technical data
https://www.nintendo[...]
2018-02-04
[40]
웹사이트
Game Boy Versions
https://www.retrorgb[...]
2024-05-06
[41]
웹사이트
TASVideos / Platform Framerates
http://tasvideos.org[...]
2020-02-29
[42]
서적
Game Boy Programming Manual
https://archive.org/[...]
Nintendo
1999-12-03
[43]
웹사이트
Color it loud with hot new Game Boys; Game Boy reflects players own style with five exciting new colors
http://www.thefreeli[...]
2009-11-03
[44]
웹사이트
Boy, Oh Game Boy: Play It Loud!
https://www.oldschoo[...]
2023-10-28
[45]
간행물
The Incredible Shrinking Game Boy Pocket
Ziff Davis
1996-07-01
[46]
간행물
Game Boy Relaunched
Imagine Media
1996-08-01
[47]
웹사이트
Link Cable Adapter
https://www.nintendo[...]
2024-05-11
[48]
웹사이트
MGB-xCPU schematic
https://github.com/G[...]
2024-05-22
[49]
웹사이트
1998 Sears Christmas Book, Page 161 – Christmas Catalogs & Holiday Wishbooks
https://christmas.mu[...]
2019-12-01
[50]
뉴스
A game that's small enough to score where it counts
https://infoweb.news[...]
2024-05-22
[51]
간행물
Pocket Cool
Ziff Davis
1996-12-01
[52]
뉴스
The Expo Challenge: Dodging the Pretenders
https://www.latimes.[...]
2024-05-22
[53]
간행물
Tidbits...
Ziff Davis
1997-05-01
[54]
뉴스
Nintendo unchallenged as big Boy in town
https://infoweb.news[...]
2024-05-22
[55]
간행물
Game Boy Lights Up
Ziff Davis
1998-04-01
[56]
웹사이트
https://www.nintendo[...]
Nintendo
2009-11-03
[57]
웹사이트
Game Boy (original) Games
http://www.nintendo.[...]
Nintendo of America
2023-04-13
[58]
웹사이트
Game Boy Color Games
http://www.nintendo.[...]
Nintendo of America
2023-04-13
[59]
웹사이트
Game List – Released Titles
http://www.gameboy.c[...]
Nintendo of America
2018-08-20
[60]
웹사이트
Exploring the Gameboy Memory Bank Controller
https://b13rg.github[...]
2024-04-29
[61]
웹사이트
Game Boy Programming Manual
https://ia803208.us.[...]
2024-04-30
[62]
뉴스
'Pokken Tournament' and Pokemon's $1.5 Billion Brand
http://www.huffingto[...]
AOL
2017-04-25
[63]
웹사이트
All-time best-selling Pokémon games 2024
https://www.statista[...]
2024-05-21
[64]
웹사이트
'Tetris' by the numbers
http://content.usato[...]
2024-05-21
[65]
웹사이트
After 25 years, Tetris has sold 125 million copies
https://venturebeat.[...]
2023-06-21
[66]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Game Boy's Launch Titles
https://gamerant.com[...]
2024-05-21
[67]
웹사이트
Game Boy Launch Titles
https://www.gamegrin[...]
2024-05-21
[68]
웹사이트
Yakuman for Game Boy (1989) – MobyGames
http://www.mobygames[...]
2016-12-30
[69]
웹사이트
AtariAge – Lynx History
http://www.atariage.[...]
AtariAge
2016-11-22
[70]
웹사이트
A Time of Endings, Part 2: Epyx
http://www.filfre.ne[...]
2016-12-23
[71]
서적
The Ultimate History of Video Games
Prima Publishing
2001
[72]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Game Console Warfare: Game Boy
http://images.busine[...]
McGraw-Hill
[73]
간행물
Cart Queries
IDG
1994-08
[74]
뉴스
Makers Of Games Focus On Girls
https://news.google.[...]
1995-01-15
[75]
뉴스
Ball, Game Boy, Big Wheel enter toy hall of fame
http://www.rbj.net/a[...]
[76]
간행물
EGM's Special Report: Which System Is Best?
Ziff Davis
1998-03
[77]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Game Console Warfare: Game Boy
http://images.busine[...]
McGraw-Hill
[78]
웹사이트
Lifetime sales of video game consoles worldwide as of February 2024
https://www.statista[...]
2024-03
[79]
웹사이트
データが語る ゲームボーイファミリーの人気っぷり
http://www.nintendo.[...]
[80]
서적
2023 CESAゲーム白書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協会
[81]
서적
2023 CESAゲーム白書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協会
[82]
웹사이트
約4年ぶり! ポケモン完全新作が2010年内発売へ
https://life.oricon.[...]
2010-01-29
[83]
서적
ファミリーコンピュータMagazine
徳間書店
1989-02-17
[84]
뉴스
任天堂、液晶ゲーム「ゲームボーイ」発表 ソフト交換式で 他社からもカートリッジ許諾発売へ
https://onitama.tv/g[...]
1989-02-15
[85]
뉴스
「ゲームボーイ」好調で 携帯用市場拡大 サードパーティーも参入
https://onitama.tv/g[...]
1989-11-01
[86]
뉴스
FC/GBソフトの評価情報を提供 「スーパーマリオクラブ」で
https://onitama.tv/g[...]
1990-08-01
[87]
뉴스
GBの画面を 明るく拡大する ビック東海の「ライトボーイ」
https://onitama.tv/g[...]
1990-08-01
[88]
뉴스
GBソフトが使える SFC周辺装置 任天堂が6月にも発売
https://onitama.tv/g[...]
1994-04-15
[89]
서적
ファミコン通信
アスキー
1994-05-27
[90]
웹사이트
ゲームボーイ書き換え開始でますますパワフル! ニンテンドウパワー
https://www.nintendo[...]
任天堂
1999-10
[91]
문서
ストラップホールは横井の死後、ゲームボーイカラーに付けられた
[92]
웹사이트
DS故障は無償交換!?任天堂の“神対応”は本当か - ZAKZAK
http://www.zakzak.co[...]
2009-05-25
[93]
웹사이트
This Game Boy Survived a Bombing in the Gulf War
https://www.esquire.[...]
Esquire.com
[94]
문서
なお、ゲームボーイポケット以降ではベースをやや白色に変えたり耐久性を見直したこともあり、かなり視認性が向上した。
[95]
웹사이트
初代ゲームボーイの液晶ライン抜け修理のこと | tee-suzuki.com
http://www.tee-suzuk[...]
tee-suzuki.com
[96]
문서
腕時計に使われる防水用の円形ゴムも振動で劣化し弾性がなくなり防水の役割を果たさなくなるが、据え置いている品はゴム部の弾性がそれなりに長持ちする。
[97]
문서
この点は後にゲームボーイポケットで改善している
[98]
서적
PC ENGINE FAN
徳間書店
1989-04-01
[99]
뉴스
「スーパーファミコン」発売間近で 関心高めるソフト 初心会のSFC/FC/GB展
https://onitama.tv/g[...]
1990-10-01
[100]
문서
当初はファミコンと同じCPU「[[MOS 6502]]」を採用し、ファミコンより性能を上げたものを作ろうとしていたが、当時、スーパーファミコンの開発が始まっており、山内溥から、リコーのリソースは使うなと言われ、シャープ製CPUを採用することになった。
[101]
서적
見学! 日本の大企業 任天堂
株式会社ほるぷ出版
2012-11-20
[102]
서적
DMG-01 取扱説明書 REV.4
任天堂
[103]
웹사이트
ゲームボーイチラシ 【ゲームボーイ本体チラシ】
https://web.archive.[...]
[104]
웹사이트
ゲームボーイ
https://www.nintendo[...]
任天堂
[105]
웹사이트
ゲームボーイ アクセサリー
https://www.nintendo[...]
任天堂
[106]
간행물
80年代アイドルcollection
別冊宝島
[107]
웹사이트
史上最恐の盗難ツールとして話題の[ゲームボーイ]だが……ほぼ100%盗まれない方法は果たしてあるのか!?
https://bestcarweb.j[...]
2024-05-31
[108]
문서
Owner's Manual
[109]
웹사이트
Nintendo Game Boy (DMG-001)
http://www.vidgame.n[...]
2006-08-22
[110]
웹사이트
DS故障は無償交換!?任天堂の“神対応”は本当か
http://www.zakzak.co[...]
[111]
웹사이트
湾岸戦争で爆撃を受けて、ボロボロになったゲームボーイのムービー
http://gigazine.net/[...]
[112]
웹사이트
방화를 할 생각이다.(2CH VIP 번역)
http://vip2ch.tistor[...]
2014-01-15
[113]
웹사이트
季節報 Nintendo DS ブログ : 解体新書。初代GBをバラしてみる。 (Game Boy hardware dissection)
http://nintendods.ex[...]
2009-01-02
[114]
웹사이트
Gameboy Internals (CPU Section)
http://marc.rawer.de[...]
2011-06-03
[115]
웹사이트
The Gameboy Project: 1.1 Technical Details
http://marc.rawer.de[...]
2011-06-03
[116]
웹사이트
Gameboy Bootstrap ROM
http://gbdev.gg8.se/[...]
2010-10-24
[117]
웹사이트
Game Boy - 8bc Chiptune Wiki
http://www.8bitcolle[...]
2009-03-26
[118]
웹사이트
GameBoy : User Manual, Page 12
http://www.flickr.co[...]
Nintendo of America
2011-02-12
[119]
웹사이트
GameBoy : Using the GameBoy skeleton for serious business (Interrupt Descriptions)
http://verhoeven272.[...]
2010-03-25
[120]
웹사이트
GameBoy CPU Manual
http://marc.rawer.de[...]
2011-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