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환(胴丸)은 일본 헤이안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까지 사용된 갑옷 형식 중 하나이다. 몸통을 감싸는 형태로, 오른쪽 옆구리에서 개폐하는 구조를 가지며, 하급 보병 무사가 주로 사용했다. 오요로이와 달리 쿄요라는 작은 철판을 어깨에 부착하며, 하반신을 보호하는 쿠사즈리가 8장으로 나뉘어 움직임이 편하다.
원래는 하급 무사의 갑옷이었으나, 시대가 흐르면서 상급 무사에게도 사용되었고, 디자인도 화려하게 발전했다. 남북조 시대에는 투구와 오소데를 함께 착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었으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당세 구족의 등장으로 쇠퇴했다. 현재는 오야마즈미 신사의 자색 가죽 威胴丸 등 유품이 남아 있다.
도마루는 오요로이, 하라마키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지만, 옆구리가 열리는 점과 쿠사즈리의 수, 제작 방식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동환 | |
---|---|
개요 | |
![]() | |
유형 | 일본 갑옷 |
사용 시기 | 가마쿠라 시대 후기 ~ 무로마치 시대 |
설명 | |
특징 | 가볍고 활동성이 뛰어나다. 일반 병사들이 착용하기에 적합하다. 몸통을 감싸는 형태이며, 등에서 여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역사 | 가마쿠라 시대 후기에 등장하여 난보쿠초 시대와 무로마치 시대에 걸쳐 널리 사용되었다. 기존의 오요로이보다 간편하고 저렴하여 하급 무사들에게 인기가 있었다. 센고쿠 시대에는 당세구족의 등장으로 쇠퇴하였다. |
구조 | 몸통: 여러 개의 작은 철판이나 가죽 조각을 엮어 만든다. 어깨: 견당(肩当) 또는 소매(袖)로 보호한다. 허리: 초박(草摺)으로 보호한다. |
착용자 | 주로 하급 무사나 보병들이 착용하였다. 때로는 상급 무사들도 가볍게 착용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했다. |
유사 갑옷 | 복권, 동복(胴服) |
2. 형식
일본에서 헤이안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까지 성행했던 갑옷 형식에는 오요로이, 도마루, 하라마키 등이 있다. 도마루는 착용자의 몸통 주위를 덮고, 오른쪽 옆구리에서 여닫는(引っ合わせ, 히키아와세) 형식을 가리킨다. 오요로이의 동(胴)도 오른쪽에서 히키아와세하지만, 오른쪽 측면만 비어 있고 그곳에 와키다테(脇楯, 옆구리 방패)라는 다른 방어구를 부착한다. 반면 도마루의 동은 전체가 하나로 이어진 형태이다. 도마루를 히키아와세할 때에는 등 쪽을 가슴 쪽 위로 겹쳐서 묶기 때문에, 하라마키와 달리 히키아와세 부분에 틈이 생기지 않는다.[1]
헤이안 시대 후기의 『반 다이나곤 에코토바』, 가마쿠라 시대의 『헤이지 이야기 그림 두루마리』, 『몽골 습래 그림 두루마리』와 같은 그림 두루마리에도 胴丸(동환)을 착용한 무사가 등장한다. 이러한 그림 자료를 보면, 말 위에 탄 지위가 높은 무사는 오요로이, 투구, 오소데를 착용하고 손에는 활과 화살을 든 반면, 胴丸을 착용하는 자는 대부분 보병 무사로, 투구나 오소데를 착용하지 않는 것이 기본이다.
도마루는 끈으로 엮고 래커를 칠한 가죽 또는 금속의 작은 조각으로 제작되었으며, 각 판은 갑옷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엮었다. 철의 무게 때문에 갑옷 제작자들은 철의 사용을 갑옷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제한하고 나머지는 가죽을 사용했다.[3]
[1]
웹사이트
Warrior in domaru armor
http://www.iz2.or.jp[...]
2023-11-26
원래는 하급 보병 무사가 사용하던 것으로, 하반신을 방호하는 쿠사즈리(草摺, 풀치마)가 8장으로 나뉘어 있다(오요로이의 경우 4장). 이는 다리를 움직이기 쉽고, 걸어서 움직이기에 편리한 구조이다. 오요로이의 경우, 동의 정면에 실용과 장식을 겸하여 쓰루바시리노카와(弦走韋, 활 시위 가죽)라는 에가와(絵韋, 그림 가죽)를 붙이고, 상반신 정면 좌우에 센단노이타(栴檀板, 전단판)와 큐비노이타(鳩尾板, 비구판), 양 어깨에 오소데(大袖, 양 어깨에서 상완부를 보호하는 방패 모양의 방어구)라는 방어구를 늘어뜨린다. 하지만 도마루의 경우에는 이것들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오소데 대신 양 어깨 부위에 쿄요(杏葉, 살구 잎)라고 부르는 소형 철판을 늘어뜨렸다.[1]
3. 역사
그러나, 그 후의 전법 변화에 따라 胴丸은 점차 기승한 상급 무사에게도 사용되게 되었고, 디자인적으로도 상급 무사에 걸맞는 화려한 것으로 발전해 갔다. 남북조 시대 즈음부터는, 胴丸을 착용한 무사도 투구와 오소데를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 오소데가 부착된 영향으로, 쿄요가 어깨 위에서 어깨의 전면으로 이동하는 등의 변화를 겪으며 남북조·무로마치 시대에는 하라마키와 함께 갑옷의 주류가 되었으나,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는 당세 구족의 등장으로 쇠퇴·소멸한다. 에도 시대에는 다시 옛 시대의 갑옷이 (아마도 장식품으로 사용하는 목적에서) 재평가되게 되었지만, 그러한 에도 시대에 胴丸을 모방하여 만들어진 복고풍 갑옷은 당세 구족으로 분류되어 있다.
胴丸의 현존 유품으로는, 오야마즈미 신사의 자색 가죽 威胴丸은 헤이안 시대 말기~가마쿠라 시대 초기에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보이며, 나머지는 대체로 남북조 시대 이후의 것에 한정된다.
덧붙여, 현재 "胴丸"이라고 불리는 형식은 원래 "하라마키"라고 불리던 것이지만, 무로마치 시대 후기~에도 시대 초기에 그 호칭이 뒤바뀌어 현재에 이른다.[4]
4. 도마루요로이(胴丸鎧)
오야마즈미 신사에는 붉은 실로 엮은 '''도마루요로이'''라고 불리는, 오요로이와 도마루의 절충형과 같은 것이 1령만 남아 있다("적사위갑 대수부"・국보 전해지는 미나모토노 요시츠네 헌납). 이것은 동체 정면에 겐바시카와를 붙이고, 상반신의 좌우에 센단판과 큐비판, 양 어깨에서 오소데를 늘어뜨리는 점은 오요로이의 형식이나, 동체는 오른쪽 옆구리에서 맞닿는 한 개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하반신의 쿠사즈리가 4장이 아니라 7장으로 나뉘는 점은 도마루에 가깝다. 헤이지 이야기 그림 두루마리와 몽골 침략 그림 두루마리에는 이와 유사한 형식의 도마루요로이가 묘사되어 있지만, 현존하는 것은 오야마즈미 신사의 1령뿐이다.[3]
5. 갤러리
참조
[2]
서적
Oriental Armour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3]
서적
Samurai: The Weapons and Spirit of the Japanese Warrior
https://books.google[...]
Globe Pequot Press
2016-10-17
[4]
간행물
日本甲冑の基礎知識
雄山閣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