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는 일본 역사에서 오다 노부나가의 아즈치성과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모모야마성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1568년부터 1603년까지를 아우르는 시대를 지칭한다. 이 시기는 오다 노부나가의 정권 확립,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천하 통일, 그리고 도요토미 정권의 몰락과 에도 막부 수립으로 이어진다. 사회적으로는 도시의 발전과 상인 계급의 부상, 화려한 성곽 건축과 모모야마 문화의 발달이 특징이며, 특히 다도와 남만 문화가 번성했다. 또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나라 정복 시도로 발발한 임진왜란은 조선과의 관계를 규정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일본의 도자기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다카마쓰성 (가가와현)
    다카마쓰성은 가가와현 다카마쓰시에 위치한 윤곽식 평성 해성으로, 에도 시대 다카마쓰번의 번청이었으며 일본 3대 수성 중 하나이고, 이코마 지카마사에 의해 축성 시작, 마쓰다이라 요리시게에 의해 수리, 현재는 다마모 공원으로 정비되어 일부 건물이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천수각 복원 사업이 추진 중이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교토
    교토는 혼슈 중앙부에 위치하며 약 천 년간 일본의 수도였던 도시로, 헤이안쿄로 설계되어 전란과 화재를 겪었으나 복구 노력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에도 시대에는 문화와 상공업의 중심지로, 오늘날에는 세계적인 관광 도시로 번영하며 수많은 유적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일본 - 후쿠시마 TV
    후쿠시마 TV는 후쿠시마현 최초의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여러 네트워크와의 제휴 및 탈퇴를 거쳐 현재는 FNN/FNS 계열의 완전 독점 방송국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후쿠시마현이 주식의 절반을 소유하여 공공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 일본 - FM 오사카
    FM 오사카는 1970년 간사이 지역 최초의 민영 FM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오사카부를 중심으로 85.1MHz 주파수로 방송되며 자체 제작 프로그램과 JFN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FM OH!'라는 애칭을 사용하다 2020년 'FM오사카'로 변경, 음주운전 방지 캠페인 등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는 일본의 라디오 방송국이다.
  • 위키백과 보호 중인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위키백과 보호 중인 - 직물
    직물은 날실과 씨실을 교차시켜 만든 것으로, 의류, 인테리어, 산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평직, 능직, 새틴 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된다.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아즈치모모야마 시대
로마자 표기Azuchi–Momoyama jidai
일본어 표기安土桃山時代
다른 이름쇼쿠호 시대 (織豊時代)
시대 구분일본의 역사
존속 기간1568년 ~ 1600년
이전 시대센고쿠 시대
다음 시대도쿠가와 막부
수도교토 (천황 거주지), 아즈치 (쇼군 거주지, 1568년–1582년)
최대 도시교토 (1568년–1596년), 오사카 (1596년–1600년)
공용어후기 중세 일본어
정부 형태봉건제 연합 군사 독재
정치
천황오기마치 천황 (1557년–1586년), 고요제이 천황 (1586년–1611년)
쇼군아시카가 요시아키 (1568년–1573년)
수장오다 노부나가 (1568년–1582년), 아케치 미쓰히데 (1582년), 도요토미 히데요시 (1583년–1598년), 오대로 (1598년–1600년)
입법부없음 (1568년–1598년), 오대로 (1598년–1600년)
역사
주요 사건 시작오다 노부나가 교토 점령 (1568년 10월 18일)
아시카가 막부 폐지1573년 9월 2일
오다 노부나가 사망혼노지의 변 (1582년 6월 21일)
야마자키 전투1582년 7월 2일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1598년 9월 18일
오대로 설치1598년
주요 사건 종료세키가하라 전투 (1600년 10월 21일)
통화
통화
국기 및 문장
오다 가문의 문장
오다 가문의 문장 (1568년–1582년)
도요토미 가문의 문장
도요토미 가문의 문장 (1585년–1615년)

2. 명칭 논란

오다 노부나가의 거성이었던 아즈치성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거성 후시미성의 위치에서 유래한다. 아즈치성시가현 오미하치만시 아즈치정에, 후시미성교토시 후시미구 모모야마정에 있었다. 특히, 도요토미 가문이 전국을 지배했던 후반기는 '''모모야마 시대'''라고 하며, 이 시대를 중심으로 번영했던 문화를 '''모모야마 문화'''라고 부른다.[14] 다만, 모모야마라는 명칭은 에도 시대에 폐성된 후시미 성 터에 복숭아나무가 심어지고, 안에이 9년(1780년) 『후시미감』이 발행된 무렵부터 "모모야마"라고 불리게 된 것이며, 모모야마성이라고 불리는 성이 존재했던 것은 아니다.[14]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시작과 끝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다. 시작 시기는 오다 노부나가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하여 교토에 상락한 에이로쿠 11년(1568년), 요시아키가 교토에서 쫓겨나 무로마치 막부가 사실상 멸망한 겐키 4년(1573년), 아즈치성 건설이 시작된 덴쇼 4년(1576년)이라는 견해가 있다.

끝 시기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한 게이초 3년(1598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승리한 게이초 5년(1600년), 이에야스가 후시미성에서 세이이타이쇼군에 임명되어 에도 막부를 개막한 게이초 8년(1603년) 등이 있다. "오다・도요토미 시대"라는 개념을 어디서 구분할 것인가의 차이이지만,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와 중복되는 것이 그 정의를 어렵게 하고 있다.

3. 연혁

오다 노부나가센고쿠 다이묘 중 가장 강력한 세력으로 부상하여,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하여 1568년 교토에 입성했다. 천황과 무로마치 막부 쇼군의 권위를 이용하여 키나이 및 도카이 지방을 지배했다. 그는 병농분리와 주력 무기궁시에서 철포로 바꾸는 군사 개혁을 실시했고, 락시·락좌, 관소의 폐지, 사카이 등 자치 도시 지배, 선전령 등의 경제 정책을 시행했다. 겐키 4년(1573년)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교토에서 추방하여 무로마치 막부를 사실상 붕괴시키고, 명실공히 오다 정권을 확립했다.

오다 노부나가의 아즈치성.


덴쇼 4년(1576년) 아즈치성 축성을 시작하여 전 일본을 통일, 통치하려 했다. 노부나가의 지배 아래 평화를 되찾은 교토를 중심으로, 사카이, 아즈치, 나가사키에서 새로운 남만 문화가 꽃피었다.

노부나가는 기독교를 보호하고 서유럽 문화에 관심을 가졌으며, 이는 일본에 새로운 음식, 그림 기법, 천문학, 지리학, 의학, 인쇄 기술 등을 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2] 특히 유럽과의 무역을 통해 아르케부스(arquebus)와 같은 새로운 무기를 확보하여 군사력을 강화했다.[2]

1575년 나가시노 전투에서 다케다 가쓰요리가 이끄는 다케다 군대를 상대로 아르케부스를 활용하여 중요한 승리를 거두었다.[4] 이는 일본 전통 전쟁 방식을 완전히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4]

1580년, 11년간의 포위 공격 끝에 이시야마 혼간지를 함락시켜 일향일규 세력을 제압했다.

그러나 1582년 혼노지의 변에서 아케치 미쓰히데의 공격을 받고 자결함으로써, 그의 천하통일 야망은 좌절되었다.

오다 노부나가혼노지의 변에서 아케치 미쓰히데에게 암살당한 후, 그의 뒤를 이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야마자키 전투에서 아케치 미쓰히데를 격파하고 권력을 장악했다. 1583년 시즈가타케 전투에서 시바타 가쓰이에를 물리치고, 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대립하였으나, 결국 화해하였다. 히데요시는 오사카를 중심으로 도호쿠와 규슈에 이르는 지역을 평정하였고, 1590년 오다와라 정벌을 통해 호조 가문을 멸망시키고 천하통일을 완수하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후시미성.


히데요시는 1585년 간바쿠(關白)에 취임하고, 이듬해 1586년에는 태정대신에 올라 도요토미 성을 하사받았다. 그는 태합검지를 실시하여 기존의 토지 제도인 장원·공령제를 없애고, 석고제를 도입하여 도량형을 통일했다. 1588년에는 검 수거령(刀狩)을 발표하여 농민들의 무기를 몰수하고, 1591년 신분 통제령을 통해 병농분리를 추진하는 등 중세적 지배 체계를 억제하고 신분 제도를 재확립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오다 노부나가 사후 오사카를 중심으로 도호쿠와 규슈에 이르는 지역을 평정하여 1582년 천하통일을 완수하였다. 히데요시는 중세적 지배체계와 지배세력을 억제하고, 태합검지를 통해 기존의 토지제도인 장원·공령제를 폐지했다. 전국 통일로 정치와 경제가 안정되면서 모모야마 문화가 꽃피었고, 히데요시는 문란해진 신분제도를 재확립하고 간바쿠(關白)에 올랐다.

1598년 전국적인 토지 측량이 실시되었는데, 전국 쌀 생산량은 1850만 곡으로 측정되었고, 그 중 200만 곡은 히데요시가 직접 통제하였다. 히데요시가 간토 지방으로 이전시킨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250만 곡을 소유했다. 이 측량은 "태합 측량"(Taikō kenchi)으로 알려져 있다. 히데요시는 상업을 장려하고 사회를 안정시키기 위해 도로변의 유료 통행소와 검문소를 없애고 군사 요새를 철거하는 등 행정 혁신을 단행했다. 또한, 계층 이동을 제한하고 농민의 무기 소지를 금지했으며, 검 갈취(''katanagari'')를 통해 무기를 수집했다.

1584년 명나라-일본 무역선 깃발, 세 명의 명나라 상인의 서명과 각인(가오, かおう)이 새겨져 있음; 다음 해 현재 시모노세키시(야마구치현립문서관)에 도착할 때 게양될 예정


1586년 히데요시는 규슈정벌(1586-1587)을 통해 시마즈 씨족으로부터 규슈를 정복하였다.[5] 그리고 1587년 규슈에서 선교사들을 추방하여 기독교를 억압했다.[6] 1597년에는 일본의 26 순교자 사건을 일으켜 기독교와 외국 영향력을 억제했다.[7] 히데요시는 다이묘들의 영지를 재배치하고 인질 제도를 통해 자신의 지위를 확보하려 했다. 1591년 태합(太閤) 칭호를 얻고 섭정직을 조카 도요토미 히데츠구에게 넘겼으며, 5장로회 등을 설치하여 권력 균형을 공식화하려 했다.

히데요시는 명나라 정복을 목표로 1592년 임진왜란을 일으켰다.[11] 일본군은 조선을 침략하여 서울과 평양을 점령하고 선조를 피난하게 만들었으며, 두 왕자를 포로로 잡았다.[8][9] 조선의 요청으로 명나라가 지원군을 파병했고, 이여송이 일본군을 북쪽으로 몰아냈다.[10][11] 1593년부터 평화 회담이 진행되었으나, 히데요시의 무리한 요구로 결렬되었다.[11] 1597년 다시 침략을 감행했지만, 이순신 장군의 활약과 명나라의 개입으로 실패했다.[12] 1598년 히데요시가 사망하고 후계자 도요토미 히데요리가 어렸기 때문에, 일본은 조선에서 철수했다.[12]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영토 확장과 국내 불순 세력의 무력 소모를 위해 임진왜란을 일으켰으나, 전쟁 기간 중 후시미 성(伏見城)에서 생을 마감하였고, 일본군은 조선에서 철수했다. 히데요시는 임종 직전 도쿠가와 이에야스, 마에다, 우키타, 우에스기, 모리 등 유력 다이묘들에게 아들 히데요리의 성년까지 오봉장으로서 통치할 것을 명했다.

도요토미 정권 말기에는 아사노 나가마사마에다 겐이이시다 미쓰나리・마스다 나가모리・나가쓰카 마사이에 5인에 의한 오봉행 제도가 창설되어 사법, 종교, 행정, 토목, 재정을 담당했다. 1598년 히데요시 사후, 도요토미 가문은 이시다 미쓰나리를 중심으로 하는 문치파가토 기요마사후쿠시마 마사노리 등의 무단파로 분열되었고, 오대로의 수장인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두각을 나타냈다. 1599년 마에다 토시이에가 사망하면서 불안한 평화는 깨졌고, 이에야스는 조선 원정군 철수 강화 협상에서도 주도권을 쥐고 실질적인 정권 운영자로 발돋움했다.

이에 이시다 미쓰나리를 중심으로 한 반(反) 이에야스 세력이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를 일으켰다. 이 전투는 일본 전국을 양분하는 큰 전쟁이었으며, 전투의 전초전으로 후시미 성 전투(伏見城の戦い)가 벌어져 후시미 성이 함락되기도 했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이에야스가 승리하면서 도요토미 정권은 종말을 고하고, 도요토미 가문은 점차 쇠퇴하였다. 3년 후인 1603년, 이에야스는 후시미 성(伏見城)에서 정이대장군(征夷大將軍)에 임명되었고, 에도 시대가 시작되었다.

1614년 오사카 겨울 전투와 1615년 오사카 여름 전투를 거쳐 오사카 성이 함락되면서 도요토미 가문은 완전히 몰락했다.

3. 1. 오다 노부나가의 정권 확립 (1568년 ~ 1582년)

오다 노부나가센고쿠 다이묘 중 가장 강력한 세력으로 부상하여,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하여 1568년 교토에 입성했다. 천황과 무로마치 막부 쇼군의 권위를 이용하여 키나이 및 도카이 지방을 지배했다. 그는 병농분리와 주력 무기궁시에서 철포로 바꾸는 군사 개혁을 실시했고, 락시·락좌, 관소의 폐지, 사카이 등 자치 도시 지배, 선전령 등의 경제 정책을 시행했다. 겐키 4년(1573년)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교토에서 추방하여 무로마치 막부를 사실상 붕괴시키고, 명실공히 오다 정권을 확립했다.

덴쇼 4년(1576년) 아즈치성 축성을 시작하여 전 일본을 통일, 통치하려 했다. 노부나가의 지배 아래 평화를 되찾은 교토를 중심으로, 사카이, 아즈치, 나가사키에서 새로운 남만 문화가 꽃피었다.

노부나가는 기독교를 보호하고 서유럽 문화에 관심을 가졌으며, 이는 일본에 새로운 음식, 그림 기법, 천문학, 지리학, 의학, 인쇄 기술 등을 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2] 특히 유럽과의 무역을 통해 아르케부스(arquebus)와 같은 새로운 무기를 확보하여 군사력을 강화했다.[2]

1575년 나가시노 전투에서 다케다 가쓰요리가 이끄는 다케다 군대를 상대로 아르케부스를 활용하여 중요한 승리를 거두었다.[4] 이는 일본 전통 전쟁 방식을 완전히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4]

1580년, 11년간의 포위 공격 끝에 이시야마 혼간지를 함락시켜 일향일규 세력을 제압했다.

그러나 1582년 혼노지의 변에서 아케치 미쓰히데의 공격을 받고 자결함으로써, 그의 천하통일 야망은 좌절되었다.

3. 2.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천하 통일 (1582년 ~ 1590년)

오다 노부나가혼노지의 변에서 아케치 미쓰히데에게 암살당한 후, 그의 뒤를 이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야마자키 전투에서 아케치 미쓰히데를 격파하고 권력을 장악했다. 1583년 시즈가타케 전투에서 시바타 가쓰이에를 물리치고, 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대립하였으나, 결국 화해하였다. 히데요시는 오사카를 중심으로 도호쿠와 규슈에 이르는 지역을 평정하였고, 1590년 오다와라 정벌을 통해 호조 가문을 멸망시키고 천하통일을 완수하였다.

히데요시는 1585년 간바쿠(關白)에 취임하고, 이듬해 1586년에는 태정대신에 올라 도요토미 성을 하사받았다. 그는 태합검지를 실시하여 기존의 토지 제도인 장원·공령제를 없애고, 석고제를 도입하여 도량형을 통일했다. 1588년에는 검 수거령(刀狩)을 발표하여 농민들의 무기를 몰수하고, 1591년 신분 통제령을 통해 병농분리를 추진하는 등 중세적 지배 체계를 억제하고 신분 제도를 재확립했다.

3. 3.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통치와 조선 침략 (1590년 ~ 1598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오다 노부나가 사후 오사카를 중심으로 도호쿠와 규슈에 이르는 지역을 평정하여 1582년 천하통일을 완수하였다. 히데요시는 중세적 지배체계와 지배세력을 억제하고, 태합검지를 통해 기존의 토지제도인 장원·공령제를 폐지했다. 전국 통일로 정치와 경제가 안정되면서 모모야마 문화가 꽃피었고, 히데요시는 문란해진 신분제도를 재확립하고 간바쿠(關白)에 올랐다.

1598년 전국적인 토지 측량이 실시되었는데, 전국 쌀 생산량은 1850만 곡으로 측정되었고, 그 중 200만 곡은 히데요시가 직접 통제하였다. 히데요시가 간토 지방으로 이전시킨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250만 곡을 소유했다. 이 측량은 "태합 측량"(Taikō kenchi)으로 알려져 있다. 히데요시는 상업을 장려하고 사회를 안정시키기 위해 도로변의 유료 통행소와 검문소를 없애고 군사 요새를 철거하는 등 행정 혁신을 단행했다. 또한, 계층 이동을 제한하고 농민의 무기 소지를 금지했으며, 검 갈취(''katanagari'')를 통해 무기를 수집했다.

1586년 히데요시는 규슈정벌(1586-1587)을 통해 시마즈 씨족으로부터 규슈를 정복하였다.[5] 그리고 1587년 규슈에서 선교사들을 추방하여 기독교를 억압했다.[6] 1597년에는 일본의 26 순교자 사건을 일으켜 기독교와 외국 영향력을 억제했다.[7] 히데요시는 다이묘들의 영지를 재배치하고 인질 제도를 통해 자신의 지위를 확보하려 했다. 1591년 태합(太閤) 칭호를 얻고 섭정직을 조카 도요토미 히데츠구에게 넘겼으며, 5장로회 등을 설치하여 권력 균형을 공식화하려 했다.

히데요시는 명나라 정복을 목표로 1592년 임진왜란을 일으켰다.[11] 일본군은 조선을 침략하여 서울과 평양을 점령하고 선조를 피난하게 만들었으며, 두 왕자를 포로로 잡았다.[8][9] 조선의 요청으로 명나라가 지원군을 파병했고, 이여송이 일본군을 북쪽으로 몰아냈다.[10][11] 1593년부터 평화 회담이 진행되었으나, 히데요시의 무리한 요구로 결렬되었다.[11] 1597년 다시 침략을 감행했지만, 이순신 장군의 활약과 명나라의 개입으로 실패했다.[12] 1598년 히데요시가 사망하고 후계자 도요토미 히데요리가 어렸기 때문에, 일본은 조선에서 철수했다.[12]

3. 4. 도요토미 정권의 몰락과 에도 막부 수립 (1598년 ~ 1600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영토 확장과 국내 불순 세력의 무력 소모를 위해 임진왜란을 일으켰으나, 전쟁 기간 중 후시미 성(伏見城)에서 생을 마감하였고, 일본군은 조선에서 철수했다. 히데요시는 임종 직전 도쿠가와 이에야스, 마에다, 우키타, 우에스기, 모리 등 유력 다이묘들에게 아들 히데요리의 성년까지 오봉장으로서 통치할 것을 명했다.

도요토미 정권 말기에는 아사노 나가마사마에다 겐이이시다 미쓰나리・마스다 나가모리・나가쓰카 마사이에 5인에 의한 오봉행 제도가 창설되어 사법, 종교, 행정, 토목, 재정을 담당했다. 1598년 히데요시 사후, 도요토미 가문은 이시다 미쓰나리를 중심으로 하는 문치파가토 기요마사후쿠시마 마사노리 등의 무단파로 분열되었고, 오대로의 수장인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두각을 나타냈다. 1599년 마에다 토시이에가 사망하면서 불안한 평화는 깨졌고, 이에야스는 조선 원정군 철수 강화 협상에서도 주도권을 쥐고 실질적인 정권 운영자로 발돋움했다.

이에 이시다 미쓰나리를 중심으로 한 반(反) 이에야스 세력이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를 일으켰다. 이 전투는 일본 전국을 양분하는 큰 전쟁이었으며, 전투의 전초전으로 후시미 성 전투(伏見城の戦い)가 벌어져 후시미 성이 함락되기도 했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이에야스가 승리하면서 도요토미 정권은 종말을 고하고, 도요토미 가문은 점차 쇠퇴하였다. 3년 후인 1603년, 이에야스는 후시미 성(伏見城)에서 정이대장군(征夷大將軍)에 임명되었고, 에도 시대가 시작되었다.

1614년 오사카 겨울 전투와 1615년 오사카 여름 전투를 거쳐 오사카 성이 함락되면서 도요토미 가문은 완전히 몰락했다.

4. 사회·경제적 변화

이 시기에는 대규모 도시 중심지가 발전하고 상인 계급이 부상했다. 금박으로 장식된 그림이 그려진 병풍으로 장식된 화려한 성곽 건축과 내부는 다이묘의 권력을 반영했을 뿐만 아니라 무로마치 시대의 어두운 단색을 선호했던 것과는 확연히 다른 새로운 미적 감각을 보여주었다. 이 시기에 등장한 장르는 남만 양식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유럽의 사제, 상인, 그리고 다른 “남방 야만인들”을 이국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다도의 예술 또한 이 시기에 번성했으며, 노부나가히데요시는 모두 이 취미에 시간과 돈을 아낌없이 쏟았다. 차완, 차통, 그리고 다른 도구들을 수집하고, 호화로운 사교 행사를 후원하고, 센노 리큐와 같은 명성 있는 스승들을 후원했다.

히데요시는 1587년 나가사키를 점령했고, 그 후 국제 무역을 장악하고 이 항구를 통해 외부 세계와 접촉했던 상업 조합을 규제하려고 했다. 중국이 무역 특혜를 확보하려는 그의 노력을 거부했지만, 히데요시의 통상 사절단은 흑선을 타고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으로 성공적으로 파견되었다. 그는 또한 잠재적으로 파괴적이라고 생각했던 일본의 기독교를 의심했으며, 그의 정권에 의해 일부 선교사들이 십자가에 못 박혔다.

5. 모모야마 문화

오다 노부나가 시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대의 문화를 히데요시의 마지막 거성이었던 후시미 성의 지명을 따서 모모야마 문화라고 부른다. 신선함이 넘치는 호화롭고 장대한 화려한 문화이며, 신흥 다이묘와 호상이 중심이었다고 여겨진다.[15] 신흥 무사 세력과 호상의 기풍, 상인의 경제력을 반영하여, 불교 색채가 적은 현세적인 남만 문화의 영향을 받은 문화이다. 도시 지역에서 사카이의 이마이 소큐나 하카타의 시마이 소시츠 등 호상이라 불리는 신흥 상인이 성장한 시대였다.

일본에 당도한 남만인들


미술사에서는 게이쵸 20년(1615년) 도요토미 가문의 멸망까지를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며, 특히 「모모야마 문화」, 「모모야마 미술」 등이라고 할 경우, 히데요시가 패권을 장악한 덴쇼 중반부터 분로쿠를 거쳐 게이쵸 말기에 이르기까지를 시대 구분으로 한다. 이는 정권의 있고 없음과 관계없이, 히데요시와 동시대의 유력자가 좋아했던 화려한 분위기가 여전히 일본을 지배하고 있었다고 인식되기 때문이다. 당시 문화적 중심지였던 교토 및 주변 지역에서는 히데요시를 계승한 도요토미 히데요리에 의해 여전히 활발한 사찰 건축이 이루어졌고, 그것을 본받아 각지에서도 공사가 활발하여, 세키가하라 전투에 의한 정권 교체로 인해 문화적 단절까지 생긴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도요토미 가문이 멸망한 겐와 엔부 이후, 세상이 안정되는 것을 배경으로 모모야마 문화는 변질되어 가면서, 한편으로는 세련의 정도를 더해 가쓰라리큐와 같은 소쇄한 수기야 건축을 낳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닛코 토쇼구와 무가의 고덴 등 화려함을 겨루는 바로크적 경향을 강하게 해 나갔다.

가노파 화가들이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등 당시 권력자들과 결탁하여 화단의 중심을 차지했다. 성곽, 사찰 등의 푸스마, 벽, 토코(床)나 빙풍 등에 그려진 장벽화가 발달했으며, 금박 바탕에 청록색을 채색한 진한 채색(농채)은 풍부한 색채와 강렬한 선묘, 장대한 구도가 특징적이다. 가노 에이토쿠의 당사자도 빙풍, 가노 산라쿠의 모란도, 하세가와 도하쿠의 지적원 푸스마 그림 단풍 그림, 하세가와 큐조의 지적원 푸스마 그림 벚꽃 그림 등이 대표적인 진한 채색 작품이다. 하세가와 도하쿠의 송림도 빙풍과 카이호쿠 유쇼의 산수도 빙풍은 대표적인 수묵화 작품이다. 가노 에이토쿠의 우에스기본 낙중낙외도 빙풍, 가노 나이젠의 호쿠코다이레이사이도 빙풍, 그리고 남만 빙풍 등은 당시의 풍속화이다.

고다이지 마키에와 오베야키(織部焼), 낙요(樂焼) 등도 발달하였다. 임진왜란에 참전했던 주력 다이묘(大名)들이 주둔지에서 조선의 공예품을 발견하고 물자 조달을 위해 우대하면서 조선의 영향을 받은 도자기와 가죽 무구가 발달하였다. 나베시마 나오시게(鍋島直茂)가 귀화를 허락한 도공이 시초인 이마리야키(伊万里焼), 모리 테루모토(毛利輝元)가 귀화를 허락한 도공이 시초인 하기야키(萩焼),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가 귀화를 허락한 도공이 시초인 사쓰마야키(薩摩焼), 호소카와 타다오키(細川忠興)가 오구라번(小倉藩)주가 되었을 때, 가신으로까지 발탁된 귀화 도공이 시초인 우에노야키(上野焼)(아가노야키) 등이 대표적이다. 印伝、上州印伝과 같이 가볍고 튼튼하며 부드러운 특징을 가진 대륙산 사슴가죽은, 히데요시의 명나라 방문 이후 유행하여 일본도의 손잡이, 갑옷 투구 등에 사용되었으며 잠자리 무늬가 유명하다.

센노 리큐(千利休)에 의해 와비차(わび茶)가 발달하였고, 다이묘차(大名茶)도 유행하였다. 幸若舞가 유행하고, 출운 아국에 의한 아국 가부키(가부키 춤)는 가부키의 발상이 되었다. 정가와 류타츠부시도 이 시대의 문화이다.

조선 기술자의 기술을 이식한 목판 활자 인쇄와, 예수회의 알레산드로 발리냐노가 전래한 서양 활자 인쇄가 있다. 후양성천황의 칙명으로 인쇄된 경장척판과 「아마쿠사판 평가물어리」, 「아마쿠사판 이소보물어리」, 「ぎゃ・ど・ぺかとる」, 「일포사전」과 같은 키리시탄판(아마쿠사판)이 대표적이다.

전국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걸쳐 광산 기술, 건축 기술, 축성 기술, 조선 기술 등이 발전하면서 군사적인 색채가 강한 산성에서 평산성으로 이행하였다. 성하 마을의 발전과 상업화로 성주가 정치 통치와 상인에 대한 경제적 지배를 중시하는 평성으로 이행하였다. 오리토요계 성곽이라고 불리며, 야마쓰미 석축이 사용되기 시작하여 천수각을 가진 성곽 건축이 주류가 된다. 현존하는 이누야마성과 마쓰모토성이 대표적이며, 혼노지의 변 후 소실된 아즈치성, 오사카의 진에서 소실된 오사카성(현재의 유구는 에도 시대에 만들어진 것), 에도 시대 초기에 폐성된 후시미성(고향궁신사 정문이 유구로 전해진다), 도요토미 히데쓰구 실각 시 파괴된 주라쿠다이(다이토쿠지 당문, 니시혼간지 비운각이 유구로 전해진다) 등도 이 시대의 성곽이다. 사와야마성, 다케다성, 나고야성, 히메지성도 유명하다. 문록·경장의 역에서 조선반도에 축성된 울산성, 서생포성, 순천성과 같은 왜성도 있다. 묘기암 다이안은 대표적인 다실이며, 다이고지 삼보원 표서원·정원, 보엄사 당문·관음당 등도 이 시대의 건축물이다.

조선시대의 문화와도 비교해 볼 만하다.

6. 조선과의 관계 (임진왜란)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는 명나라 정복을 목표로 하였다. 1592년 4월, 조선에 대한 침략이 시작되어 임진왜란이 발발했다.[8][9] 일본군은 침략 3개월 만에 평양에 도달했고, 서울을 점령했다. 선조는 피난을 가고, 두 왕자가 포로로 잡혔다.[8][9] 조선의 요청으로 명나라는 진린과 이여송을 파견하여 일본군을 북쪽으로 몰아냈다.[10][11] 1593년 1월, 일본군은 남쪽으로 후퇴했고, 이후 명나라와 평화 회담을 가졌다.[11]

1593년부터 1597년까지의 평화 회담에서 히데요시는 명나라와 동등한 지위, 조선 분할, 자유 무역, 명나라 공주와의 혼인을 요구했으나, 조선과 명나라는 이를 거절했다.

1597년, 두 번째 침략이 시작되었지만,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조선 수군과 명나라의 지원으로 인해 실패했다. 1598년 히데요시의 사망으로 도요토미 히데요리가 뒤를 이었으나, 일본 내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일본은 조선에서 철수했다.[12]

임진왜란 당시, 일본 다이묘들은 조선의 공예품에 주목하여 도공들을 일본으로 데려갔다. 이들은 이마리야키(伊万里焼), 하기야키(萩焼), 사쓰마야키(薩摩焼), 우에노야키(上野焼)(아가노야키), 타카토리야키(高取焼) 등 일본 도자기 문화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7.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를 소재로 하는 작품

참조

[1] 서적 Kodansha Encyclopedia of Japan Kodansha 1983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Vol. 4: Early Modern Japan https://www.amazon.c[...] 1991
[3] 서적 Japanese History: 11 Experts Reflect on the Past Kodansya International.Inc 1996
[4] 서적 The Samurai: a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96
[5] 서적 https://books.google[...] 1982
[6] 서적 https://books.google[...] 1982
[7] 웹사이트 Martyrs List https://web.archive.[...] Twenty-Six Martyrs Museum 2010-01-11
[8] 서적 History of Ming https://web.archive.[...]
[9] 간행물 北関大捷碑
[10] 웹사이트 Chronology, June 1592 http://jinju.museum.[...] Jinju National Museum October 2019 #Dead link date
[11] 서적 History of Ming https://web.archive.[...]
[12] 서적 The Columbia Encyclopedia 2006
[13] 서적 ケンペルと徳川綱吉 ドイツ人医師と将軍との交流 中央公論社 1994
[14] 웹사이트 伏見・桃山は江戸時代のタウンページで使われ定着した名称 歴史研究グループが発表 http://fushimi.keiza[...] みんなの経済新聞ネットワーク|伏見経済新聞 2016-11-19
[15] 서적 日本史図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