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두샤사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샤사나는 힌두 서사시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인물로, 드르타라슈트라의 아들이자 두료다나의 동생이다. 그의 이름은 "다스리기 어려운 자"를 의미하며, 두료다나, 샤쿠니와 함께 판다바를 제거하려는 음모에 가담했다. 주사위 놀음에서 드라우파디를 모욕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며,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비마에게 죽임을 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우라바 - 비카르나
    비카르나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카우라바 백형제 중 한 명으로,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지혜와 정의로운 면모를 지녔으나, 친구 두료다나를 지지하여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비마에게 죽임을 당하는 비극적인 인물이다.
  • 카우라바 - 두료다나
    두료다나는 힌두 서사시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인물로, 하스티나푸라 왕위를 탐내 판다바 형제와의 쿠루크셰트라 전쟁을 일으켰으며, 탐욕과 권력욕으로 악행을 저지르다 비마와의 결투에서 패배하여 죽음을 맞이했다.
  • 마하바라타의 등장인물 - 유디슈티라
    유디슈티라는 힌두 서사시 《마하바라타》의 주요 등장인물로, 정의롭고 덕망 있는 판다바 형제의 장남이며, 주사위 도박과 쿠룩셰트라 전쟁을 겪고 하스티나푸라의 왕이 되어 선정을 베풀다가 히말라야로 순례를 떠나 천상에 도달하는 인물이다.
  • 마하바라타의 등장인물 - 카르나
    카르나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중요 인물로, 태양신의 아들이자 뛰어난 전사였으나 미혼모의 아들로 버려져 마부에게 길러졌고, 아르주나의 숙명적인 라이벌이자 두리요다나의 충실한 동맹으로서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활약하며 그의 삶과 죽음은 다르마에 대한 윤리적 질문을 제기하고 다양한 인도 문화 작품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두샤사나
인물 정보
이름두샤사나
로마자 표기Duḥśāsana
의미다스리기 어려운 자
산스크리트어दुःशासन
가족 관계
아버지드리타라슈트라
어머니간다리
형제두료다나
비카르나
치트라세나
96명의 다른 형제들
자매두샬라
이복형제유유추
친척판다바 (아버지의 이복 사촌)
샤쿠니 (외삼촌)
자녀드루마세나
설명
두샤사나가 드라우파디의 옷을 벗기는 모습, M. V. 두란다르의 그림
두샤사나가 드라우파디의 옷을 벗기는 모습, M. V. Dhurandhar의 그림

2. 어원

그의 이름은 산스크리트어 단어 ''duḥ-'' "어려운"과 ''śāsana'' "통치"에서 유래했으며, 따라서 ''duḥśāsana''는 "[통치하기] 어려운 자"를 의미한다.[1]

3. 탄생과 초기 생애

드르타라슈트라의 왕비 간다리는 임신 기간이 길어지자 판두의 아내 쿤티가 유디슈티라를 낳은 것에 질투심을 느껴 자궁을 쳤고, 굳은 회색 살덩어리가 나왔다. 간다리는 100명의 아들을 낳을 것이라 예언했던 비야사에게 도움을 요청했다.[2]

비야사는 살덩어리를 101개의 조각으로 나누어 우유 항아리에 넣고 2년간 땅에 묻었다. 2년 후, 첫 번째 항아리에서 두료다나가 나왔고, 한 달 안에 나머지 99명의 아들과 외동딸이 태어났다. 두샤사나는 두료다나 다음으로 두 번째였다.[2]

두샤사나는 형 두료다나에게 헌신적이었으며, 두료다나 및 샤쿠니와 함께 판다바를 제거하기 위한 음모에 깊이 관여했다.

4. 드라우파디 모욕 사건

두샤사나가 드라우파디를 침실에서 끌어내는 모습


유디슈티라가 샤쿠니와의 주사위 놀음에서 왕국, 형제들, 아내인 드라우파디까지 잃은 후, 두샤사나는 형 두료다나의 명을 받아 드라우파디의 머리카락을 잡아 회의장으로 끌고 갔다.[3] 두료다나 일파는 이전부터 사촌인 판다바 형제를 적대시하여, 판다바 형제를 주사위 도박에 유혹해 유디슈티라가 걸었던 재산, 왕국, 그의 형제와 아내인 드라우파디를 사기 수법으로 전부 빼앗았다.

도박에서 드라우파디가 획득당하는 전대미문의 사건에 그 자리는 소란스러워졌다. 비두라를 비롯한 쿠루 가문의 신하들의 비판도 듣지 않고, 두료다나는 두샤사나에게 그 자리에 드라우파디를 데려오라고 명령했다.[6] 두샤사나는 억지로 드라우파디의 머리카락을 잡고 끌고 왔다.

그들의 폭거를 카우라바 형제 중 한 명인 비카르나가 비난했지만, 두료다나의 맹우인 카르나는 그 비카르나의 발언에 격노하며, 이미 획득된 판다바들은 노예나 다름없다며 두샤사나에게 "판다바와 드라우파디의 옷을 벗겨라"라고 명령했다.[7] 두샤사나는 드라우파디의 옷을 벗기려 했으나, 크리슈나에게 기도한 드라우파디의 사리는 무한한 길이로 늘어나 두샤사나가 벗길 수 없게 되었다.[3] 모여 있던 사람들은 이 기적에 경탄하며 두샤사나를 비난하고 드라우파디를 칭찬했다. 그러나 드라우파디는 머리카락을 잡혀 법정으로 끌려간 것에 굴욕감을 느꼈다.[3]

이 일에 드라우파디의 남편 중 한 명인 판다바의 차남 비마는 분노하여 "나는 두샤사나의 가슴을 찢어 그 피를 마시겠다"라고 맹세했다. 비마는 또한 이 맹세를 이행할 수 없다면 천국에서 그의 조상들을 만날 수 없을 것이라고 외쳤다.[3]

4. 1. 한국의 관점

5. 쿠루크셰트라 전쟁과 죽음

비마가 두샤사나의 피를 마시다


비마센이 드라우파디의 머리카락을 두샤사나의 피로 씻는 모습, 마하바라트; 칼리가트 그림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두샤사나는 중요한 역할을 맡아 많은 전사들과 싸웠다.[4] 전쟁 첫날, 두샤사나는 첫 번째 화살을 쏘았다. 그는 나쿨라와 격렬한 전투를 벌였고, 유디슈티라와도 싸웠지만 패했다. 둘째 날에는 나쿨라의 보디가드를 죽였고, 분노한 나쿨라는 칼싸움에서 두샤사나를 거의 죽일 뻔했다. 10일째, 두샤사나는 비슈마를 구하기 위해 시칸디를 공격하여 부상을 입혔다. 13일째, 두샤사나는 아비마뉴를 잔혹하게 살해한 전사들 중 한 명이었으며, 아비마뉴에게 심한 부상을 입었다. 14일째, 아르주나가 자야드라타에게 가는 것을 막으려 했지만 패했다. 밤의 전쟁 동안, 두샤사나는 비라타의 보디가드를 물리치고 죽였다.[4]

쿠루크셰트라 전쟁 16일째, 두샤사나는 마가다의 대신 브리한타를 죽였다. 비마는 몽둥이 싸움에서 두샤사나와 싸워 그를 물리쳤다. 두샤사나가 비마와 싸울 수 없게 되자 비마는 두샤사나의 두 팔을 뽑아냈다. 그러고 나서 그는 갑옷을 벗고, 맨손으로 가슴을 찢어 두샤사나를 죽였다. 두샤사나의 죽음은 이 서사시 전체에서 가장 잔혹한 죽음이었다. 맹세를 이행하기 위해 비마는 두샤사나의 열린 가슴에서 피를 마셨다. 이 잔혹한 장면을 목격한 병사들은 비마를 괴물로 생각하며 기절했다. 모든 카우라바 지원 전사들은 이 장면에 매우 동요했다.[4]

마하바라타에는 증명되지 않았지만, 민간 설화에 따르면 비마는 드라우파디의 굴욕에 대한 상징적인 복수로 두샤사나의 피로 드라우파디의 머리카락을 씻었다.[5]

5. 1. 비마의 복수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두샤사나는 중요한 역할을 맡아 많은 전사들과 싸웠다.[4] 전쟁 첫날, 두샤사나는 첫 번째 화살을 쏘았다. 그는 나쿨라와 격렬한 전투를 벌였고, 유디슈티라와도 싸웠지만 패했다. 둘째 날에는 나쿨라의 보디가드를 죽였고, 분노한 나쿨라는 칼싸움에서 두샤사나를 거의 죽일 뻔했다. 10일째, 두샤사나는 비슈마를 구하기 위해 시칸디를 공격하여 부상을 입혔다. 13일째, 두샤사나는 아비마뉴를 잔혹하게 살해한 전사들 중 한 명이었으며, 아비마뉴에게 심한 부상을 입었다. 14일째, 아르주나가 자야드라타에게 가는 것을 막으려 했지만 패했다. 밤의 전쟁 동안, 두샤사나는 비라타의 보디가드를 물리치고 죽였다.[4]

쿠루크셰트라 전쟁 16일째, 두샤사나는 마가다의 대신 브리한타를 죽였다. 비마는 몽둥이 싸움에서 두샤사나와 싸워 그를 물리쳤다. 두샤사나가 비마와 싸울 수 없게 되자 비마는 두샤사나의 두 팔을 뽑아냈다. 그러고 나서 그는 갑옷을 벗고, 맨손으로 가슴을 찢어 두샤사나를 죽였다. 두샤사나의 죽음은 이 서사시 전체에서 가장 잔혹한 죽음이었다. 맹세를 이행하기 위해 비마는 두샤사나의 열린 가슴에서 피를 마셨다. 이 잔혹한 장면을 목격한 병사들은 비마를 괴물로 생각하며 기절했다. 모든 카우라바 지원 전사들은 이 장면에 매우 동요했다.[4]

마하바라타에는 증명되지 않았지만, 민간 설화에 따르면 비마는 드라우파디의 굴욕에 대한 상징적인 복수로 두샤사나의 피로 드라우파디의 머리카락을 씻었다.[5]

6. 평가

6. 1. 중도진보적 관점

참조

[1]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of Hindu Mythology and Religion, Geography, History, an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Trubner & Co.
[2]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 Adi Parva: Sambhava Parva: Section CXV https://www.sacred-t[...] 2020-09-01
[3] 웹사이트 The Clothes of Draupadi https://devdutt.com/[...] 2020-09-01
[4]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8: Karna Parva: Section 83 https://www.sacred-t[...] 2022-06-10
[5] 논문 TRUE LIES - BHĪMA’S VOWS AND THE REVISION OF MEMORY IN THE ‘MAHĀBHĀRATA’S’ CODE http://www.jstor.org[...] 2024-11-04
[6] 서적 原典訳 マハーバーラタ2 ちくま学芸文庫
[7] 서적 (동일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