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카르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카르나는 산스크리트어로 '귀가 없는 자' 또는 '귀가 큰 자'라는 상반된 의미를 지닌 이름이며,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그는 카우라바 형제 중 한 명으로, 궁술에 능했으며, 주사위 놀음에서 드라우파디의 부당한 대우에 항의하는 등 정의로운 면모를 보였다.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두료다나를 위해 싸웠으며, 비마와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비카르나는 다르마를 따르려 노력하고, 불의에 맞서 양심의 목소리를 낸 인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우라바 - 두샤사나
두샤사나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드르타라슈트라의 아들이자 두료다나의 동생으로, 판다바 형제들을 해치려는 음모에 가담했으며 드라우파디를 모욕하려 한 사건으로 유명하지만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비마에게 죽임을 당하고 여성에 대한 폭력의 상징으로 비판받는 동시에 재해석되기도 한다. - 카우라바 - 두료다나
두료다나는 힌두 서사시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인물로, 하스티나푸라 왕위를 탐내 판다바 형제와의 쿠루크셰트라 전쟁을 일으켰으며, 탐욕과 권력욕으로 악행을 저지르다 비마와의 결투에서 패배하여 죽음을 맞이했다. - 쿠루크셰트라 전쟁 관련자 - 카르나
카르나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중요 인물로, 태양신의 아들이자 뛰어난 전사였으나 미혼모의 아들로 버려져 마부에게 길러졌고, 아르주나의 숙명적인 라이벌이자 두리요다나의 충실한 동맹으로서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활약하며 그의 삶과 죽음은 다르마에 대한 윤리적 질문을 제기하고 다양한 인도 문화 작품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쿠루크셰트라 전쟁 관련자 - 아슈와타마
아슈와타마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드로나와 크리피의 아들이며, 불멸에 가까운 존재로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활약했지만 크리슈나의 저주를 받아 영원히 고통받는 존재가 되었다. - 마하바라타의 등장인물 - 유디슈티라
유디슈티라는 힌두 서사시 《마하바라타》의 주요 등장인물로, 정의롭고 덕망 있는 판다바 형제의 장남이며, 주사위 도박과 쿠룩셰트라 전쟁을 겪고 하스티나푸라의 왕이 되어 선정을 베풀다가 히말라야로 순례를 떠나 천상에 도달하는 인물이다. - 마하바라타의 등장인물 - 카르나
카르나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중요 인물로, 태양신의 아들이자 뛰어난 전사였으나 미혼모의 아들로 버려져 마부에게 길러졌고, 아르주나의 숙명적인 라이벌이자 두리요다나의 충실한 동맹으로서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활약하며 그의 삶과 죽음은 다르마에 대한 윤리적 질문을 제기하고 다양한 인도 문화 작품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비카르나 | |
---|---|
정보 | |
소속 | 카우라바 |
정보 | |
아버지 | 드리타라슈트라 |
어머니 | 간다리 |
형제 | 두료다나, 두샤사나, 치트라세나, 그 외 96명 |
자매 | 두샬라 |
이복형제 | 유유추 |
친척 | 판다바 (아버지의 사촌) |
외삼촌 | 샤쿠니 |
무기 | |
주무기 | 활과 화살 |
2. 어원
'비카르나'라는 이름은 '없이'를 뜻하는 '비나'(विनाsa) 또는 '큰'을 의미하는 '비샬라'(विशालsa)와 '귀'를 뜻하는 '카르나'(कर्णsa)로 구성되어 두 가지 의미를 가진다. 이는 '귀가 없는 자' 또는 '귀가 큰 자'를 의미한다. '귀가 없는 자'는 그가 다른 사람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는(자존심이 강한) 성격을, '귀가 큰 자'는 그의 (큰) 귀를 통해 지혜를 듣고 받아들이는 성격을 나타낸다.
비카르나는 아르주나처럼 궁술에 뛰어난 드로나의 제자 중 한 명이었다.[1] 드로나는 훈련을 마친 카우라바스에게 드루파다를 구루 다크시나(스승에게 바치는 보답)로 데려오라고 요청했다.[1] 두료다나, 두샤사나, 유유추, 비카르나를 포함한 카우라바스는 하스티나푸라 군대와 함께 판찰라를 공격했지만, 공격은 격퇴되었다.[1] 비카르나와 그의 형제들은 전장에서 도망쳐야 했다.[1]
마하바라타의 악명 높은 주사위 게임에서 비카르나는 게임 전체, 특히 형수인 드라우파디가 부당하게 대우받는 것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 비카르나는 드라우파디가 쿠루 장로들에게 던졌던 질문에 답할 것을 요구했다. 비슈마와 드로나 같은 현명한 장로들조차 침묵했다.[3]
비카르나는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카우라바 편에 가담하여 두료다나를 위해 싸웠다. 비슈마는 비카르나를 카우라바 측의 위대한 전사 중 한 명으로 꼽았다.[1]
3. 성장 과정
4. 주사위 놀음에서의 항의
이야기의 다른 버전에 따르면, 침묵 속에서 카르나는 나중에 비카르나의 외침을 비난하고 조롱했다. 비카르나는 조용히 대답했다.[3]
5. 쿠루크셰트라 전쟁
5. 1. 주요 전투
전쟁 4일째, 비카르나는 아비만유의 진격을 막으려 했으나 실패했다.[1] 전쟁 5일째, 판다바 진영에 대한 마히스마티 왕의 방어를 뚫으려 했으나 실패했다.[1] 7일째, 비마의 공격으로부터 형제들을 보호하고, 드루파다와 시칸디를 저지하여 큰 부상을 입히고 후퇴시켰다.[1] 10일째, 아르주나와 시칸디가 비슈마에게 접근하는 것을 막으려 했으나 드루파다에게 저지당했다.[1]
전쟁 13일째, 비카르나는 아비만유의 죽음에 대해 방관했다는 설과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는 설이 있다.[1] 14일째, 아르주나가 해가 지기 전에 자야드라타를 죽이기 위해 드로나의 차크라뷰하를 돌파하자, 두료다나는 비카르나에게 비마의 진격을 막으라고 명령했다.[1] 드르타라슈트라의 아들들을 모두 죽이겠다고 맹세한 비마는 비카르나에게 달마를 따르는 사람이라며 물러서라고 했지만, 비카르나는 크리슈나가 있는 편이 이길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두료다나를 저버릴 수 없다고 답했다.[1] 비마가 주사위 놀이에서 비카르나가 자신의 형제를 비판했던 것을 상기시키자, 비카르나는 다음과 같이 답했다.[1]
: 그때는 그것이 나의 의무였고, 지금은 이것이 나의 의무이다. 바람의 아들이여, 나와 싸워라![1]
비마는 곧 비카르나를 죽였다.[1] 어떤 이야기에서는 비카르나가 비마에게 자신의 장례를 치러달라고 요청했다고 한다.[1] 비카르나의 죽음은 비마를 슬프게 했다.[1] 비마는 비카르나의 죽음 이후, 다음과 같이 말했다.[1]
: 아, 비카르나여, 당신은 정의로웠고 달마가 무엇인지 알았소! 당신은 충성스럽게 의무의 부름에 따라 싸웠소. 정말 이 전투는 당신과 같은 사람들이… 도살되어야 했던 우리에게 내려진 저주요.[1]
6. 비마와의 대결과 죽음
전쟁 14일째, 아르주나가 해가 지기 전에 자야드라타를 죽이기 위해 드로나의 차크라뷰하를 돌파했다. 두료다나는 비마의 진격을 막기 위해 비카르나를 보냈다. 드르타라슈트라의 아들들을 모두 죽이겠다고 맹세한 비마는 비카르나를 달마를 따르는 사람이라고 칭하며 물러서라고 충고했다. 비카르나는 크리슈나가 있는 편이 전쟁에서 이길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두료다나를 저버릴 수 없다고 대답했다. 비마는 주사위 놀이에서 비카르나가 자신의 형제를 비판했던 것을 상기시키며 간청했다. 비카르나는 다음과 같이 답했다.
तत् तदा मम धर्म आसीत्, अयं तु मम धर्मो सांप्रतम्। वायोः पुत्र, मया सह युध्यस्व!|탓 타다 마마 다르마 아-씯, 아얌 뚜 마마 다르모 삼-쁘라땀. 와-요-흐 뿌뜨라, 마야- 사하 유디야쓰와!|그것은 그때의 나의 의무였고, 지금은 이것이 나의 의무이다. 바람의 아들이여, 나와 싸워라!sa
비마는 재빨리 비카르나를 죽였다. 이야기의 어떤 버전에서는 비카르나가 비마에게 자신의 장례를 치러달라고 요청하기도 한다. 그의 죽음은 비마의 눈에 눈물을 자아냈다. 비마는 그의 죽음 이후, 슬퍼하며 말했다.
हा, विकर्ण, त्वं न्याय्यवान् असि, धर्मं च जानासि! त्वं कर्तव्यस्य आज्ञया निष्ठावान् अभवत्। सत्यम्, एषा युद्धं अस्माकं शापः यत्र त्वत्सदृशाः... हन्तव्याः अभवन्।|하-, 위까르나, 뜨왕 니야-이야완 아씨, 다르망 짜 자-나-씨! 뜨왕 까르따위야씨야 아-즈냐-야 니쉬타-완 아바왇. 싸띠얌, 에-샤- 유드당 아쓰마-깜 샤-빠흐 야뜨라 뜨왇싸드리샤-흐... 한따위야-흐 아바완.|아, 비카르나여, 당신은 정의로웠고 다르마가 무엇인지 알았소! 당신은 충성스럽게 의무의 부름에 따라 싸웠소. 정말 이 전투는 당신과 같은 사람들이… 도살되어야 했던 우리에게 내려진 저주요.sa
7. 평가
비카르나는 라마야나의 쿰바카르나와 비교되기도 한다. 비카르나와 쿰바카르나는 모두 형의 행동이 달마에 어긋난다는 것을 알면서도, 결국 형에게 충성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비카르나는 쿠룩셰트라 전쟁 시작 시점에 두료다나의 행동에 결함이 있다고 느껴 판다바 측으로 전향한 유유추와 대조된다.[4]
참조
[1]
서적
Untold Tales from the Mahabharata: The Epic Beyond the Obviou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1-04-18
[2]
서적
Karna, the son of Kunti: Stories from the Mahabharatha
https://books.google[...]
SA Krishnan
2017-07-01
[3]
서적
Mahabharata
https://books.google[...]
Bharatiya Vidya Bhavan
2015-03-13
[4]
서적
Critical Perspectives on the Rāmāyaṇa
Sarup & Sons
2001-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