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디슈티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디슈티라는 힌두 서사시 《마하바라타》의 주요 등장인물로, '전투에서 흔들림 없는 자'라는 의미를 지닌다. 판다바 형제의 장남으로, 정의롭고 덕망 있는 인물로 묘사된다. 그는 주사위 도박으로 인해 13년간의 추방 생활을 겪고, 쿠룩셰트라 전쟁에서 승리하여 하스티나푸라의 왕이 된다. 통치 기간 동안 선정을 베풀었으며, 말년에는 왕위를 물려주고 히말라야로 순례를 떠나 천상에 도달한다. 유디슈티라는 정직함, 정의로움, 관용의 상징으로, 여러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 인도네시아 그림자 인형극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묘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루의 신화적 왕 - 판두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쿠루 왕국의 왕인 판두는 니요가 관습에 따라 태어나 드르타라슈트라의 이복동생으로, 시각 장애를 가진 형을 대신해 왕위를 계승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나, 킨다마의 저주로 인해 여성과 관계를 가지면 죽는 운명에 처해 신들의 힘을 빌려 얻은 판다바 형제 이후 저주로 죽음을 맞이한다. - 쿠루의 신화적 왕 - 드리타라슈트라
드리타라슈트라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쿠루 왕국의 맹인 왕으로, 아들에 대한 맹목적인 사랑과 우유부단함으로 왕국 분열과 쿠루 전쟁을 초래하는 비극적인 인물이다. - 판다바 - 아르주나
- 판다바 - 나쿨라
나쿨라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판다바 형제 중 한 명으로, 쌍둥이 형제 사하데바와 함께 아슈빈 쌍둥이 신의 아들이며, 뛰어난 무술과 말 다루는 능력,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의 역할, 그리고 북 마드라의 왕으로서 용맹, 지혜, 고뇌를 보여주는 인물이다. - 마하바라타의 등장인물 - 카르나
카르나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중요 인물로, 태양신의 아들이자 뛰어난 전사였으나 미혼모의 아들로 버려져 마부에게 길러졌고, 아르주나의 숙명적인 라이벌이자 두리요다나의 충실한 동맹으로서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활약하며 그의 삶과 죽음은 다르마에 대한 윤리적 질문을 제기하고 다양한 인도 문화 작품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마하바라타의 등장인물 - 아르주나
유디슈티라 | |
---|---|
기본 정보 | |
![]() | |
무기 | 창, 검, 활 |
배우자 | 드라우파디 데비카 |
가족 | 다르마 (아버지) 판두 (양아버지) 쿤티 (어머니) 마드리 (계모) 카르나, 비마, 아르주나, 나쿨라, 사하데바 (형제) |
자녀 | 프라티빈디야 (드라우파디와의 사이에서) 야우데야 (데비카와의 사이에서) |
친척 | 카우라바 (부계 사촌) 크리슈나 (외사촌) 발라라마 (외사촌) 수바드라 (외사촌) 시슈팔라 (외사촌) 단타바크라 (외사촌) 미트라빈다 (외사촌) 바드라 (외사촌) |
직위 | 차크라바르틴 삼라트 다르마라자 |
힌두교 | |
관련 문서 |
2. 어원 및 역사적 배경
"유디슈티라(Yudhiṣṭhira)"라는 이름은 산스크리트어로 "전투에서 흔들림 없는 자"를 의미한다. 이는 "전투에서"라는 뜻의 유디(yudhi)와 "흔들림 없는"이라는 뜻의 스티라(sthira)가 합쳐진 알룩(aluk) 합성어이다.[6]
불교 자료에 따르면, 후기 베다 시대 이후 쿠루는 코라브야(Koravya)라는 추장이 통치하는 작은 국가가 되었고, Yuddhiṭṭhila|유디슈티라pi gotta|고타pi에 속했다.[7]
2. 1. 다른 이름
"유디슈티라(Yudhiṣṭhira)"라는 단어는 "전투에서 흔들림 없는 자"를 의미한다. 이는 "전투에서"라는 뜻의 유디(yudhi)와 "흔들림 없는"이라는 뜻의 스티라(sthira)가 합쳐진 것이다.[6] 그의 다른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의미 | 비고 |
---|---|---|
바라타반시(Bharata-vanshī) | 바라타의 후손 | |
아자타샤트루(Ajātashatru) | 적 없이 태어난 자 | |
다르마난다나(Dharmanandana) 또는 다르마푸트라(Dharmaputra) | 다르마(정의) 또는 야마 다르마 라자(Yama Dharma Raja)의 아들 | |
다르마라자(Dharmarāja) 또는 다르마라야(Dharmarāya) 또는 다르마자(Dharmaja) | 다르마의 군주 | |
판두푸트라(Pānduputra) | 판두의 아들 | |
판다바그라자(Pāndavāgrajah) | 판다바 형제 중 장남 | |
젱슈타카운테야(Jyeshthakaunteya) | 군티의 장남 | |
사르바바우마(Sārvabhauma) / 삼라트 차크라바르티(Samrāt Chakravarti) | 지구 전체의 황제 | |
캉카(Kanka) | 유디슈티라가 13년간의 유배 중 드라우파디에게 받은 또 다른 이름 |
불교 자료에 따르면, 후기 베다 시대 이후 쿠루는 코라브야(Koravya)라는 추장이 통치하는 작은 국가가 되었고, Yuddhiṭṭhila|유디슈티라pi 족(gotta|고타pi)에 속했다.[7]
2. 2. 역사적 배경
불교 문헌에 따르면, 유디슈티라는 후기 베다 시대 쿠루 왕국의 왕족이었다.[7]3. 탄생과 성장
판두 왕은 숲에서 사슴으로 오인하여 킨다마 선인 부부를 활로 쏘는 실수를 저질렀다. 킨다마 선인은 죽기 전 판두에게 성관계를 맺으면 죽는 저주를 내렸고, 이 때문에 판두는 직접 자식을 가질 수 없었다.[8] 이에 판두는 왕위를 포기하고, 그의 형 드리타라슈트라가 왕위를 이었다.
쿤티는 두르바사 현인에게 받은 신통력으로 신의 축복을 받아 아이를 가질 수 있었다. 판두는 쿤티에게 다르마(정의의 신)를 불러 아들을 얻도록 요청했고, 그 결과 5월 보름에 판다바 형제 중 맏아들인 유디슈티라가 태어났다.[9] 유디슈티라의 동생으로는 바유의 축복으로 태어난 비마, 인드라의 축복으로 태어난 아르주나, 아슈빈 쌍둥이 신의 축복으로 태어난 나쿨라와 사하데바가 있었다.[9]
유디슈티라는 쿠루 왕족의 스승인 크리파와 드로나에게서 종교, 과학, 행정, 군사 기술을 배웠다. 특히 창술에 뛰어났는데, 그의 창은 돌담을 종이처럼 쉽게 뚫을 정도였다고 한다. 또한 그의 경건함 덕분에 그의 전차는 항상 땅에서 4 손가락 정도 높이로 떠 있었다고 전해진다.[10]
4. 결혼과 자녀
아르주나(Arjuna)가 드라우파디(Draupadi)의 스와얌바라(Swayamvara)에 참석하여 그녀와 결혼했으나, 쿤티(Kunti)의 오해로 드라우파디는 판다바 형제 모두의 공동 아내가 되었다. 이후 인드라프라스타(Indraprastha)에서 드라우파디는 유디슈티라에게 프라티빈드햐라는 아들과 수타누라는 딸을 낳았다. 수타누는 나중에 크리슈나와 사탸바마(Satyabhama)의 맏아들인 아스바바누와 결혼했다. 유디슈티라에게는 데비카(Devika)라는 또 다른 아내가 있었지만, 드라우파디가 그의 정실이자 황후였다.[11]
유디슈티라는 시비 왕국(Sivi Kingdom)의 왕인 고바세나가 주선한 자유로운 선택 결혼식을 통해 데비카와 결혼했다. 그들은 야우데야라는 아들을 낳았다. 푸라나에 따르면, 야우데야는 프라티빈드햐의 아들의 이름이기도 했다.[12] 바가바타 푸라나(Bhagavata Purana)와 비슈누 푸라나(Vishnu Purana)는 파우라비를 유디슈티라의 아내 중 한 명으로 언급하며, 이 부부에게는 데바카라는 아들이 태어났다고 한다.[13]
5. 인드라프라스타 통치
판다바 형제들은 하스티나푸라에서 분할받은 땅에 마야수라의 도움으로 인드라프라스타라는 웅장한 도시를 건설하고 통치했다.[14]
유디슈티라는 라자수야 제사(야즈나)를 거행하기 위해[15] 아르주나, 비마, 나쿨라, 사하데바에게 군대를 이끌고 전 세계의 모든 왕국으로부터 공물을 징수하게 했다. 마가다 왕 자라산다는 비마와 크리슈나에게 패배했다. 유디슈티라는 자신의 제사에서 크리슈나를 존경받는 손님으로 선택했고, 이 제사에는 두료다나와 시슈팔라를 포함한 많은 왕들이 참석했다. 시슈팔라는 그의 악행으로 크리슈나에게 목이 잘렸다.[16]
5. 1. 하스티나푸라 분할
판다바들이 은신 생활을 마치고 하스티나푸라로 돌아오자, 유디슈티라와 두료다나 사이에 하스티나푸라의 왕세자 자리를 둘러싼 갈등이 발생했다. 유디슈티라는 본래 하스티나푸라의 왕세자였으나, 락샤그리하 사건 이후 사람들은 그가 죽었다고 생각했고, 두료다나가 새로운 왕세자로 책봉되었다.[14]비슈마의 조언에 따라 드리타라슈트라는 판다바들에게 왕국의 절반을 다스리도록 했다. 그러나 그 땅은 탁샤카의 지배 아래에 있었다. 판다바들은 탁샤카를 물리치고, 마야수라의 도움으로 인드라프라스티라는 웅장한 도시를 건설했다.[14]
5. 2. 라자수야 제사
인드라프라스타에서 즉위한 지 몇 년 후, 유디슈티라는 라자수야 제사(야즈나)를 거행하기 시작했다.[15] 아르주나, 비마, 나쿨라, 사하데바는 유디슈티라의 제사를 위해 전 세계의 모든 왕국으로부터 공물을 징수하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갔다. 순응하지 않은 마가다 왕 자라산다는 비마와 크리슈나에게 패배했다. 유디슈티라는 자신의 제사에서 크리슈나를 존경받는 손님으로 선택했다. 이 제사에는 두리요다나와 시슈팔라를 포함한 많은 왕들이 참석했다. 시슈팔라는 그의 악행으로 크리슈나에게 목이 잘렸다. 화가 나고 질투심에 찬 두리요다나는 하스티나푸라로 돌아갔다.[16]
6. 주사위 도박과 추방
두료다나는 샤쿠니의 계략에 따라 유디슈티라를 주사위 도박에 끌어들였다. 크샤트리아에게 도박 제의 거절은 수치였기에 유디슈티라는 응했지만,[51] 샤쿠니의 속임수에 넘어가 모든 것을 잃고 13년간 추방당했다.[17]
유디슈티라가 주사위를 좋아해 유혹에 넘어갔다는 묘사도 있으며, 훗날 아르주나에게 이 점을 질책받기도 한다.[52]
6. 1. 주사위 도박
두르요다나는 샤쿠니의 계략에 따라 유디슈티라를 주사위 도박판에 불러들였다. 크샤트리아의 수치로 여겨졌기에 유디슈티라는 시합에 응했으나,[51] 샤쿠니의 속임수에 말려 패배하고, 전 재산과 동생들, 자신, 그리고 아내 드라우파디까지 모두 빼앗기고, 심지어 왕국에서 13년간 추방당한다. 샤쿠니는 아버지의 뼈로 만든 주사위를 사용했는데, 이 주사위는 그가 원하는 숫자가 항상 나오도록 만들어졌다.[17]
유디슈티라는 자신이 자랑스럽게 여기고 소유권을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을 걸 수 있었다. 형제들과 제국을 잃은 후, 그는 자신과 아내를 걸었고, 그 결과 바스트라하란(Vastraharan)으로 이어졌다.[17]
이 주사위 도박에 대해서는 유디슈티라 자신이 주사위를 좋아해서 유혹에 넘어가 참가했다는 묘사도 있다. 도박 이후나 후년에 동생인 아르주나에게 "주사위를 좋아한다"는 점을 질책받는다.[52]
6. 2. 13년의 방랑
유디슈티라는 하스티나푸라에서 사촌인 두료다나에게 주사위 게임 도전을 받았다. 두료다나는 유디슈티라의 부와 권력을 질투하여 그를 초대했다. 샤쿠니는 아버지의 뼈로 만든 주사위를 사용했는데, 이 주사위는 그가 원하는 숫자가 항상 나오도록 만들어졌다. 유디슈티라는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걸었고, 형제들과 제국, 자신과 아내까지 잃어 바스트라하란(Vastraharan)으로 이어졌다. 이후 다시 게임에서 왕국을 잃고 1년간 익명으로 지내는 것을 포함한 13년간의 망명 생활을 강요받았다.[17]
유디슈티라는 아우들과 아내와 함께 13년 유배 기간 중 12년을 여러 곳을 방랑하며 보냈다. 비야사 등에게 가르침을 받으며 성지 순례를 하고, 브리하드 아슈바에게 주사위 게임 비법을 전수받았다. 13년째 마츠야 국에 잠입했을 때는 궁정 도박사 칸카로 행세했다.[53]
방랑 중, 유디슈티라는 일행이 물을 구하러 갔다가 돌아오지 않자 직접 찾아 나섰고, 그곳에서 아버지인 다르마 신의 시련을 받았다.[54]
6. 2. 1. 악샤야 파트라 획득
숲으로 간 지 얼마 후 유디슈티라는 자신을 따라 숲으로 온 브라만들을 먹일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괴로워했다. 사제였던 다움야의 조언에 따라 유디슈티라는 강가에 서서 태양신 수르야의 108가지 이름을 낭송하며 그를 기렸다. 수르야 신은 유디슈티라에게 악샤야 파트라라는 구리 접시를 선물하며, 드라우파디가 매일 식사를 마칠 때까지 그 그릇에 조리된 음식은 무한할 것이라고 말하였다. 또한 유디슈티라가 14년 후 왕국을 되찾을 것이라고 축복했다.[18]6. 2. 2. 날라와 다마얀티 이야기
현자 브리하다슈바는 날라와 다마얀티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유디슈티라를 위로하며, 비참한 상황 속에서도 고통에 굴복하지 말라고 조언한다.[19] 이야기가 끝난 후, 유디슈티라는 현자로부터 만트라를 받아 도박의 달인이 된다.[19]6. 2. 3. 유디슈티라와 나후샤
어느 날, 비마가 숲을 거닐던 중 거대한 뱀에게 잡혔고, 뱀은 시선만으로 판다바의 힘을 억눌렀다. 한편, 걱정하던 유디슈티라가 비마를 찾던 중 뱀의 손아귀에 있는 그를 발견했다. 놀랍게도 그 뱀은 고대 왕 나후샤, 야야티의 아버지이자 판다바의 전설적인 조상임을 밝혔다.나후샤는 유디슈티라에게 영적인 질문을 던졌고, 그의 답변에 만족했다. 그 대가로 나후샤는 유디슈티라가 가지고 있던 일부 영적인 주제에 대한 의문을 풀어주었다. 그 후 나후샤는 유디슈티라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옛날에 스바르가를 다스렸던 이야기, 교만에 취해 멸망한 이야기, 그리고 브리구와 아가스팃야라는 성자들의 저주로 뱀이 된 이야기 등을 들려주었다. 나후샤는 자신의 이야기를 통해 유디슈티라에게 교만의 결과를 경고했다.
아가스팃야와 브리구는 유디슈티라가 나후샤를 그의 저주에서 구원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유디슈티라와 대화를 나눈 후 나후샤는 원래 모습을 되찾고 스바르가로 돌아갔다.[20]
6. 2. 4. 유디슈티라와 마르칸데야
항상 젊은 현자 마르칸데야가 유디슈티라를 방문했다. 그는 유디슈티라에게 유가의 특징, 시비 왕의 이야기, 사비트리와 사티야반의 이야기 등 여러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그는 또한 유디슈티라에게 라마의 이야기를 들려주었고, 영적 철학에 대해 논했다.[21]6. 2. 5. 야크샤 프라슈나

유배 중이던 판다바 형제들은 야크샤(Yaksha)가 지키고 있는 호수를 발견했다. 야크샤는 형제들에게 물을 마시기 전에 자신의 도덕적 질문에 답하라고 했지만, 네 명의 판다바는 비웃으며 물을 마셨다. 그 결과, 물에 질식하여 죽었다. 마지막으로 유디슈티라가 왔고, 야크샤가 던진 많은 질문에 답했다. 야크샤는 유디슈티라의 답변에 만족하고, 형제 중 한 명을 되살릴 기회를 주었다. 유디슈티라가 나쿨라를 선택하자, 야크샤는 그 이유를 물었다. 유디슈티라는 쿤티의 아들은 자신이 살아있지만, 마드리의 아들은 아무도 살아있지 않으므로 나쿨라를 선택했다고 대답했다. 야크샤는 다시 감명받아 모든 판다바 형제들을 되살렸다.[22]
야크샤는 다른 소원이 있냐고 물었고, 부, 힘, 권력 등 원하는 것을 무엇이든 말하라고 했다. 유디슈티라는 네 명의 형제가 모두 되살아난 것만으로 이미 힘, 부, 권력을 얻었다며 다른 소원은 없다고 말했다. 유디슈티라는 "나는 당신, 영원한 신들의 신이신 당신을 감각으로 직접 본 것만으로 충분합니다! 오 아버지여, 당신께서 내게 주시는 어떤 은혜라도 기꺼이 받겠습니다! 오 주여, 저는 항상 탐욕과 어리석음과 분노를 정복하고, 제 마음은 항상 자선, 진실, 그리고 금욕적인 고행에 헌신하게 해주십시오!"라고 대답했다.[22]
이 이야기는 종종 유디슈티라의 올바른 원칙의 예로 자주 인용된다. 야크샤는 나중에 유디슈티라의 아버지인 다르마임을 밝히고, 그들에게 마츠야 왕국으로 가서 익명으로 유배 생활의 마지막 해를 보내라고 알려주었다.[22]
어느 날, 유디슈티라 일행은 물을 찾다가 연못을 발견했다. 유디슈티라는 아우 나쿨라에게 물을 떠오라고 명령했지만 돌아오지 않았고, 걱정이 된 유디슈티라는 막내아우 사하데바를 보냈지만, 두 사람 모두 돌아오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아르주나, 비마세나도 돌아오지 않았고, 마침내 유디슈티라 자신이 가보니 숨진 아우들의 모습이 있었다. 거기에 나타난 야크샤와 유디슈티라는 몇 가지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는다.[54]
''야크샤: 무엇이 태양을 뜨게 하는가? 무엇이 태양과 함께 하는가? 무엇이 태양을 지게 하는가? 태양은 무엇에 의지하여 존재하는가?''
''유디슈티라: 브라마가 태양을 뜨게 한다. 신들이 태양과 함께 한다. 달마가 태양을 지게 한다. 진실에 의지하여 태양은 존재한다.''
''야크샤: 대지보다 무거운 것은 무엇인가? 하늘보다 높은 것은 무엇인가? 바람보다 빠른 것은 무엇인가? 인간보다 많은 것은 무엇인가?''
''유디슈티라: 대지보다 무거운 것은 어머니이다. 하늘보다 높은 것은 아버지이다. 바람보다 빠른 것은 생각이다. 인간보다 많은 것은 걱정이다.''
이러한 문답이 계속되고, 유디슈티라의 답변에 만족한 야크샤는 아우들 중 한 명만을 되살린다고 한다. 유디슈티라는 친형제가 아닌 이복동생인 나쿨라를 선택한다. 그는 쿤티의 아들과 마드리의 아들이 각각 한 명씩 남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한다. 이에 야크샤는 다르마 신으로 모습을 바꾸어 시련을 성공적으로 통과했다고 알리고 모든 아우들을 되살린다.[54]
6. 3. 익명 생활
유디슈티라와 그의 형제들은 마지막 1년간의 망명 생활을 마츠야 왕국에서 보냈다. 그는 칸카라는 이름의 브라만으로 변장하고(판다바들끼리는 그를 자야라고 불렀다) 왕에게 주사위 게임을 권했다.[23]빔이 키차카를 죽인 후, 키차카가 트리가르타 왕국을 침략했던 것에 대한 보복과 하스티나푸르의 두리요다나와 공모하여 마츠야는 트리가르타의 수샤르마 왕에게 침략당했다. 수샤르마의 군대가 왕국을 포위하자, 칸카는 침략자에 맞서기 위해 비라타 왕을 따라갈 것을 자원했고, 변장한 채 그의 세 형제 발라바(빔), 그란티카(나쿨라), 탄트리팔라(사하데바)를 데리고 갔다. 전장에서 형제들은 용감하게 싸워 비라타 왕을 지킨 후 마침내 수샤르마 왕을 물리쳤다.
유디슈티라와 비라타 왕이 수샤르마와 싸우러 간 사이, 하스티나푸르의 군대가 도시를 공격했다. 도시 방어를 맡았던 우타르 왕자와 브리한날라(아르주나)는 왕국을 지키기 위해 결집했고, 아르주나는 자신의 정체를 드러내 침략을 막았다. 비라타 왕이 전투에서 돌아왔을 때, 모든 판다바들의 정체가 드러났고, 유디슈티라는 아르주나가 제안한 대로 우타라 공주와 압히만유의 결혼을 축하했다.
7. 쿠룩셰트라 전쟁
13년의 추방 기간이 끝난 후, 판다바 형제들은 두료다나에게 왕국을 돌려줄 것을 요구했지만, 두료다나는 "다섯 개의 마을"조차 주지 않았다. 결국 판다바들은 쿠룩셰트라 전쟁을 벌이게 된다. 카우라바 군대는 11개 군단, 판다바 군대는 7개 군단으로 전력 차이가 있었지만, 아르주나와 비마의 활약으로 판다바 군이 승리한다. 하지만 전쟁 후 아슈와타만의 야습으로 판다바 5형제, 크리슈나, 사티야키만이 살아남는다.
전쟁 14일째, 아르주나가 자야드라타를 찾는 동안 드로나는 유디슈티라를 사로잡으려 했으나 실패한다. 유디슈티라는 드로나와 치열한 결투를 벌였지만 패배하고,[27] 이후 두료다나를 두 번이나 물리쳤지만 드로나에게 구출된다.[29]
15일째, 드로나는 유디슈티라에게 아슈와타마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묻는다. 유디슈티라는 '아슈와타마라는 코끼리가 죽었다'는 반쪽 진실을 말해 드로나를 무력화시킨다.[32]
17일째, 유디슈티라는 두료다나에게 큰 부상을 입혔지만 비마의 충고로 살려준다.[33] 같은 날, 카르나와 아슈와타마에게 패하기도 한다. 아르주나가 카르나를 죽이지 못했다며 유디슈티라가 질책하자, 아르주나는 분노하여 유디슈티라를 죽이려 하지만 크리슈나의 중재로 그만둔다.[34],[35]
전쟁 마지막 날, 유디슈티라는 카우라바의 마지막 최고 사령관인 샬리아와 결투를 벌여 비마의 도움으로 그를 죽인다.[36]
두료다나가 늪에 숨자, 유디슈티라는 두료다나에게 판다바 중 누구와도 결투를 제안하며, 승리하면 하스티나푸라의 왕위를 주겠다고 약속한다.[37] 두료다나는 비마를 선택했고, 비마가 두료다나를 쓰러뜨린 후 모욕하자 유디슈티라는 비마에게 전장에서 물러날 것을 명령한다.[38]
전쟁이 끝난 후, 쿤티의 고백으로 카르나가 자신의 형제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 유디슈티라는 슬픔에 빠진다.[70]
7. 1. 전쟁 준비

유배 기간이 끝났을 때, 두료다나는 유디슈티라의 왕국을 돌려주기를 거부했다. 유디슈티라는 평화적으로 왕국을 되찾기 위해 여러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지만 소용이 없었다. 다른 방법이 없자 유디슈티라는 전쟁을 시작했다.[24]
유디슈티라의 전차 깃발에는 주변에 행성들이 있는 황금 달 그림이 새겨져 있었다. 난다(Nanda)와 우파난다(Upananda)라고 불리는 크고 아름다운 두 개의 큰북이 전차에 매달려 있었다. 전쟁이 시작되기 전에 유디슈티라는 전차에서 내려 조부인 비슈마, 스승인 드로나와 크리파, 그리고 삼촌인 샬리아에게 축복을 받았다. 이들은 모두 전쟁에서 유디슈티라의 반대편에 있었지만 그는 어른들에 대한 존경심을 보였다. 그는 또한 카우라바 측 사람들 중에서 자발적으로 참여할 의향이 있는 자들에게 자신의 편에 합류할 것을 요청했다. 그의 요청에 따라 드리타라슈트라의 아들 중 한 명인 유유츠가 판다바 측에서 전쟁에 참여했다.[25]
유디슈티라는 뛰어난 전차 전사이자 창 전투의 명수로 묘사되었다. 유디슈티라는 전쟁에서 두료다나와 같이 많은 전사들을 물리쳤다. 유디슈티라의 창은 원래 이샤나(Ishana)에게 속한 것이었는데, 그는 이 창을 사용하여 전쟁 중에 샬리아를 죽였다.[26]
7. 2. 주요 전투
두료다나는 유배 기간이 끝났음에도 유디슈티라에게 왕국을 돌려주지 않았다. 유디슈티라는 평화적으로 왕국을 되찾기 위해 노력했지만 실패했고, 결국 전쟁을 시작했다.[24]
전쟁이 시작되기 전, 유디슈티라는 비슈마, 드로나, 크리파, 샬리아에게 축복을 받고, 카우라바 측 사람들에게 자신의 편에 합류할 것을 요청했다. 드리타라슈트라의 아들 유유츠가 이에 응했다.[25]
유디슈티라는 뛰어난 전차 전사이자 창 전투의 명수로 묘사되었다. 그는 전쟁에서 두료다나 등 많은 전사들을 물리쳤다.[26] 17일째, 카르나와 아슈와타마에게 패했다.

카우라바 군대가 전멸하고 두료다나가 늪에 숨자, 유디슈티라는 판다바 형제들과 크리슈나와 함께 그를 찾아 나섰다. 유디슈티라는 두료다나에게 원하는 무기로 판다바 중 누구와도 결투를 제안하며, 승리하면 하스티나푸라의 왕위를 주겠다고 약속했다.[37]
두료다나는 비마를 선택했고, 비마가 두료다나를 쓰러뜨린 후 모욕하자 유디슈티라는 비마에게 전장에서 물러날 것을 명령했다. 유디슈티라는 쓰러진 두료다나의 마지막 말을 듣고 그를 죽음의 침상에 남겨두었다.[38]
13년간의 유배 후, 판다바들은 생존을 위해 빼앗긴 왕국의 절반을 요구했지만, 두료다나는 "다섯 개의 마을"조차 주지 않았다. 판다바들은 카우라바 100왕자들과 전면전을 벌였고, 카우라바 군대는 11개 군단, 판다바 군대는 7개 군단이었다. 아르주나와 비마의 활약으로 승리했지만, 아슈바타만의 야습으로 판다바 5형제, 크리슈나, 사티야키만 살아남았다.
7. 2. 1. 드로나와의 전투
두료다나는 유배 기간이 끝났음에도 유디슈티라에게 왕국을 돌려주지 않았다. 유디슈티라는 평화적으로 왕국을 되찾기 위해 여러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으나 실패했고, 결국 전쟁을 시작했다.[24]전쟁이 시작되기 전, 유디슈티라는 전차에서 내려 자신의 반대편에 있던 조부 비슈마, 스승 드로나와 크리파, 삼촌 샬리아에게 축복을 빌었다. 어른들에 대한 존경심을 보인 그는 카우라바 측 사람들에게 자신의 편에 합류할 것을 요청했고, 드리타라슈트라의 아들 유유츠가 이에 응하여 판다바 측에 합류했다.[25]
전쟁 14일째, 아르주나가 자야드라타를 찾는 동안 드로나는 유디슈티라를 사로잡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유디슈티라와 드로나는 치열한 결투를 벌였지만, 결국 유디슈티라는 패배했다.[27] 이후 유디슈티라는 두료다나를 두 번이나 물리쳤지만, 두료다나는 드로나에게 구출되었다.[29] 드로나와 유디슈티라는 활쏘기 결투를 벌였지만 승부가 나지 않았다.[30]
15일째, 드로나는 유디슈티라에게 접근하여 그의 아들 아슈와타마가 비마에게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진실을 확인하려 했다. 유디슈티라는 아슈와타마라는 코끼리가 죽었다는 사실을 확인하면서 '코끼리'라는 부분을 생략하여 반쪽짜리 진실을 말했고, 이는 드로나를 무력화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32]
17일째, 유디슈티라는 두료다나에게 큰 부상을 입혔지만 비마의 충고로 살려주었다. 비마는 유디슈티라에게 두료다나를 죽이겠다는 맹세를 상기시켰다.[33]
7. 2. 2. 카르나, 아슈와타마와의 전투
유배 기간이 끝난 후, 두료다나는 유디슈티라에게 왕국을 돌려주기를 거부했다. 유디슈티라는 평화적으로 왕국을 되찾기 위해 여러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지만 소용이 없었고, 결국 전쟁을 시작했다.[24]전쟁이 시작되기 전, 유디슈티라는 전차에서 내려 조부인 비슈마, 스승인 드로나와 크리파, 그리고 삼촌인 샬리아에게 축복을 받았다. 그는 어른들에 대한 존경심을 보였고, 카우라바 측 사람들에게 자신의 편에 합류할 것을 요청했다. 그의 요청에 따라 드리타라슈트라의 아들 중 한 명인 유유츠가 판다바 측에서 전쟁에 참여했다.[25]
유디슈티라는 뛰어난 전차 전사이자 창 전투의 명수로 묘사되었다. 그는 전쟁에서 두료다나와 같이 많은 전사들을 물리쳤다. 유디슈티라의 창은 원래 이샤나에게 속한 것이었는데, 그는 이 창을 사용하여 전쟁 중에 샬리아를 죽였다.[26]
전쟁 14일째, 아르주나가 자야드라타를 찾는 동안 드로나는 유디슈티라를 사로잡으려 했지만 아르주나는 드로나의 계획을 좌절시켰다. 유디슈티라와 드로나는 치열한 결투를 벌였고, 결국 유디슈티라는 드로나에게 패했다.[27] 유디슈티라는 나중에 조카인 가토타카차가 아수라 알람부샤를 죽이는 것을 도왔다.[28]
유디슈티라는 나중에 두료다나를 두 번 물리쳤고, 두료다나는 드로나에게 구출되어야 했다.[29] 드로나와 유디슈티라는 활쏘기 결투를 벌였지만 결론이 나지 않았다.[30] 유디슈티라는 나중에 크리타바르마에게 패했다.[31]
15일째, 드로나가 유디슈티라에게 접근했다. 드로나는 그의 아들 아슈와타마가 비마의 손에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드로나를 무력화시켜야 할 의무와 자신의 도덕을 지켜야 할 의무 사이에서 갈등을 겪던 유디슈티라는 아슈와타마라는 코끼리가 죽었다는 사실을 확인하면서 코끼리라는 부분을 생략하여 반쪽짜리 진실을 말하기로 했다. 이것은 드로나를 무력화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지만, 이 사건 이전까지 약간 떠 있었던 그의 전차가 마침내 땅에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유디슈티라는 드로나의 영혼이 그의 몸을 떠나는 것을 목격한 5명 중 한 명이었다.[32]
17일째, 그는 두료다나를 심하게 부상시켰고 그를 죽이려고 했지만 비마의 충고에 따라 그를 살려두기로 결정했다. 비마는 그에게 두료다나를 죽이겠다는 맹세를 상기시켰다.[33] 유디슈티라는 카르나와 아슈와타마에게 패했다.
아르주나는 유디슈티라의 안전을 걱정하여 전장에서 물러가 그를 찾았고, 그가 진영에 피신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아직 카르나를 죽이지 않은 아르주나에게 화가 난 유디슈티라는 아르주나가 카르나를 죽일 수 없다고 생각한다면 간디바를 다른 전사에게 넘겨야 한다고 말하며 그를 모욕했다.[34] 아르주나는 유디슈티라의 모욕에 분노하여 그를 검으로 죽이려 했지만 크리슈나의 개입으로 막혔다. 후회로 가득 찬 아르주나는 자살하려 했지만 크리슈나에 의해 막혔다. 형제들은 서로의 불화를 해소하고 서로 포옹했다.[35]
전쟁 마지막 날, 유디슈티라는 매우 활기가 넘쳤고, 카우라바의 마지막 최고 사령관인 샬리아와 치열한 결투를 벌였다. 비마의 도움으로 유디슈티라는 그의 삼촌을 죽이는 데 성공했다.[36]
7. 2. 3. 샬리아와의 전투
전쟁 마지막 날, 유디슈티라는 카우라바의 마지막 최고 사령관인 샬리아와 치열한 결투를 벌였다. 유디슈티라는 창 전투의 명수로 알려져 있었는데, 그의 창은 원래 이샤나(Ishana)에게 속한 것이었다.[26] 비마의 도움으로 유디슈티라는 이 창을 사용하여 자신의 삼촌인 샬리아를 죽이는 데 성공했다.[36]7. 3. 유디슈티라의 저주
전쟁이 끝난 후, 쿤티의 고백으로 카르나가 자신의 형제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 유디슈티라는 슬픔에 빠져 전사자들의 위령제를 성대하게 거행했다.[70] 그는 모든 여자들이 비밀을 지킬 수 없도록 저주했는데, 만약 쿤티가 카르나의 출생의 비밀을 미리 밝혔다면 전쟁을 피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유디슈티라는 "궁정에서 도박을 벌였을 때, 카르나의 욕설에 분노를 느낄 때에도 그의 발을 보면 어째서인지 화가 가라앉았습니다. 그의 발과 어머니 쿤티의 발이 매우 닮았기 때문입니다."라고 회상했다.[70]8. 전쟁 후 통치
하스티나푸라의 왕으로 즉위한 유디슈티라는 웃어른들을 공경하며 36년간 나라를 다스렸다.[39] 그는 통치에 대해 드리타라슈트라와 상의하고 보고하였으며, 15년 후 드리타라슈트라, 간다리, 쿤티, 비두라가 숲으로 은퇴하여 세상을 떠나자 큰 슬픔에 잠겼다.[39]
전쟁이 끝난 후, 간다리는 유디슈티라 형제를 비난했지만, 크리슈나의 설득으로 분노를 가라앉히고 판다바들을 받아들였다. 친족 간의 전쟁에 염세적인 기분을 느낀 유디슈티라는 왕위를 동생에게 물려주고 은둔하려 했으나, 동생들과 크리슈나, 비야사의 설득으로 즉위식을 올리고 드리타라슈트라가 죽을 때까지 15년 동안 그를 존중하며 왕국을 통치했다.[59]
8. 1. 비슈마의 가르침
전쟁 50일 후, 유디슈티라와 왕족들은 패배한 이후 화살 침상에 누워 있던 비슈마(Bhishma)를 방문하였다. 비슈마는 늙은 수호자가 자신의 의지로 생을 마감하기 전에 새로운 왕에게 다르마(dharma)와 왕실 행실에 대한 가르침인 ''아누샤사나(Anushasana)''를 내렸다. 그 후 유디슈티라는 하스티나푸라(Hastinapura)의 전 수호자를 위한 위대한 의식을 거행하여 화장하였다.[39]8. 2. 아슈바메다 야즈나
전쟁에서 승리한 후 유디슈티라는 하스티나푸라의 황제로 즉위하여 36년 동안 통치하였다.크리슈나와 비야사의 권유로 아슈바메다 야즈나를 수행했다. 이 제사에서 말 한 마리를 1년 동안 방랑하도록 풀었고, 유디슈티라의 형제인 아르주나가 판다바 군대를 이끌고 말을 따라갔다. 말이 방랑한 모든 나라의 왕들은 유디슈티라의 통치에 복종하거나 전쟁을 치를 것을 요구받았다. 모두 조공을 바쳤고, 다시 한번 유디슈티라를 바라타바르샤(Bharatavarsha)의 명실상부한 황제로 확립하였다.[39]
9. 은퇴와 천상으로의 승천
칼리 유가가 시작되고 크리슈나가 사망하자, 유디슈티라는 파릭시트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형제들과 함께 은퇴했다. 이들은 모든 소유와 유대 관계를 버리고 개 한 마리와 함께 히말라야로 순례를 떠났다. 순례 도중 드라우파디와 형제들이 차례로 죽었다. 유디슈티라는 마지막까지 자신을 따르던 개와 함께 천상에 도달했다.[40]
인드라는 유디슈티라를 천국으로 초대하면서 개는 두고 가라고 했지만, 유디슈티라는 이를 거절했다. 그 개는 사실 다르마 신이었고, 유디슈티라는 시험을 통과한 것이었다. 천상에서 두료다나를 본 유디슈티라는 분노하여 지옥으로 갔지만, 그곳에서 형제들을 만났다. 이는 인드라의 시험이었고, 유디슈티라는 스바르가에서 가족과 재회했다.[41][42][43][60][61]
9. 1. 마지막 시험

칼리 유가가 시작되고 크리슈나가 죽자 유디슈티라와 형제들은 쿠룩셰트라 전쟁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후손인 아르주나의 손자 파릭시트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은퇴했다. 이들은 모든 소유물과 유대 관계를 버리고 개 한 마리와 함께 히말라야로 최후의 순례를 떠났다. 순례 중 드라우파디를 시작으로 한 명씩 산에서 죽었는데, 유디슈티라는 드라우파디의 아르주나 편애, 사하데바의 지혜에 대한 자만, 나쿨라의 미모에 대한 허영심, 아르주나의 궁술 자랑, 비마의 식사 중 다른 사람들의 필요를 무시한 행동을 그들이 죽은 이유로 꼽았다.[40]
정상에 도착한 유디슈티라에게 인드라는 천국으로의 승천을 제안했지만, 동행한 개는 두고 가라는 조건을 붙였다. 유디슈티라는 개의 헌신을 들어 이를 거절했고, 인드라가 형제들과 아내를 버린 것을 비난하자 그들의 죽음을 막을 수 없었지만 가난한 생명체를 버리는 것은 큰 죄라고 답했다. 이 개는 사실 변장한 유디슈티라의 아버지 야마였다. 야마는 아들의 굳건한 원칙을 칭찬했다. 유디슈티라는 나라다의 안내를 받아 천상의 탈것을 타고 천국으로 향했고, 나라다는 그가 육체적 형태로 천국에 들어간 최초의 인간임을 알려주었다.[41]
천국에서 유디슈티라는 두료다나를 비롯한 카우라바들을 발견했지만, 형제들과 드라우파디는 없었다. 분노한 유디슈티라는 가족을 찾아 지옥으로 향했고, 그곳에서 카르나, 형제들, 드라우파디 등을 만났다. 유디슈티라는 가족과 함께 지옥에 남기로 결정했다.[42] 그러나 인드라가 나타나 이는 유디슈티라가 드로나에게 한 거짓말 때문에 겪은 환상임을 밝혔다.
야마는 아들이 세 번째이자 마지막 시험(첫 번째는 야크샤 프라슈나, 두 번째는 개를 버리지 않은 것)을 통과했음을 축하했다. 유디슈티라는 천상의 갠지스강에서 목욕하여 필멸의 형태를 벗고 스바르가에서 가족과 재회했다.[43]
전쟁 36년 후, 간다르바의 저주로 크리슈나와 그의 일족이 멸망하자 유디슈티라는 자신의 역할이 끝났음을 깨닫고 유유츠에게 왕국을 맡기고, 파릭시트에게 하스티나푸라를, 야다바족의 생존자 바주라에게 인드라프라스타의 왕위를 주고, 죽음의 여정을 떠난다.[60]
인드라가 유디슈티라를 천계에서 맞이하러 왔을 때, 개를 두고 가라고 말했지만 유디슈티라는 “자신을 따르는 자를 버려서는 안 된다”며 거절했다. 그러자 그 개는 아버지 다르마 신으로 모습을 바꾸고, 유디슈티라가 시련을 통과했음을 알렸다. 유디슈티라는 개와 함께 천계로 올라갔지만, 그곳에서 두료다나 등이 편안하게 살고 있는 것을 보고 분노했다. 인드라에게 안내받은 지옥에서는 형제들이 고통을 받고 있었다. 유디슈티라는 참을 수 없는 악취의 지옥에서도 형제들과 함께 있기를 선택했지만, 이 또한 다르마 신의 시련이었고, 지옥에서 고통받는 형제들은 환술이었다. 시련을 통과한 유디슈티라는 무사히 형제들이 있는 천계로 올라갔다.[61]
9. 1. 1. 인드라의 시험
칼리 유가가 시작되고 크리슈나가 죽자 유디슈티라와 그의 형제들은 쿠룩셰트라 전쟁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후손인 아르주나의 손자 파릭시트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은퇴했다. 판다바들은 모든 소유물과 유대 관계를 버리고 개 한 마리와 함께 히말라야로 최후의 순례 여정을 떠났다. 순례 중 드라우파디를 시작으로 한 명씩 산에서 죽어갔는데, 유디슈티라는 그들이 죽은 이유로 드라우파디의 아르주나 편애, 사하데바의 지혜에 대한 자만, 나쿨라의 미모에 대한 허영심, 아르주나의 궁술 자랑, 비마의 식사 중 다른 사람들의 필요를 무시한 행동을 꼽았다. 마침내 유디슈티라만이 개와 함께 정상에 도달할 수 있었다.[40]
정상에 도착하자 인드라는 그를 축하하며 천국으로 승천하면 불멸과 신성을 약속했다. 그러나 인드라가 천국에 들어가기 전에 개를 버리라고 요청하자 유디슈티라는 개의 변함없는 헌신을 이유로 거절했다. 인드라가 히말라야 정상에 도달하기 위해 형제들과 아내를 버렸다고 비난하자, 유디슈티라는 그들의 죽음을 막을 수 없었지만 가난한 생명체를 버리는 것은 큰 죄라고 말했다. 그 개는 변장한 그의 아버지 야마였다. 야마는 아들을 축하하며 그의 확고한 원칙을 칭찬했다. 유디슈티라는 나라다를 안내자로 삼아 천상의 탈것을 타고 천국으로 향했고, 나라다는 그가 육체적 형태로 천국에 들어간 최초의 인간임을 알려주었다.[41]
도착하자 유디슈티라는 천국에서 두료다나와 그의 카우라바 사촌들을 발견했지만 그의 형제들과 드라우파디는 없었다. 분노한 유디슈티라는 나라다에게 가족을 찾을 수 있는 곳으로 데려가 달라고 요구했다. 나라다는 유디슈티라를 지옥으로 데려왔고, 거기서 그는 카르나, 그의 형제들, 드라우파디, 드리슈타댜움나, 그리고 우파판다바들을 만났다. 격분한 유디슈티라는 사촌들과 함께 천국에 사는 것보다 가족과 함께 지옥에 사는 편이 낫다고 결정했다.[42] 그러자 인드라가 나타나 환상을 걷어내고 유디슈티라에게 속임수를 알려주었다. 인드라가 드로나에게 거짓말을 했기 때문에 유디슈티라가 지옥을 엿본 것이라고 밝혔다.
야마는 아들이 세 번째이자 마지막 시험(첫 번째는 야크샤 프라슈나, 두 번째는 개를 버리지 않은 것)을 통과한 것을 축하했다. 유디슈티라는 천상의 갠지스 강에서 목욕하여 필멸의 형태를 벗어던지고 스바르가에서 가족과 재회했다.[43]
전쟁 36년 후, 간다르바의 저주로 크리슈나와 그의 일족이 멸망하자 유디슈티라는 자신의 역할이 끝났음을 깨닫고 유유츠(드리타라슈트라가 천민 여성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에게 왕국을 맡기고, 아르주나의 손자인 파릭시트(아르주나와 수바드라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아비마뉴의 아들)에게 쿠루족의 왕으로서 하스티나푸라를 다스리게 하고, 야다바족(크리슈나의 일족)의 생존자 바주라에게 인드라프라스타의 왕위를 주고, 죽음의 여정을 떠난다.[60]
여정에서 차례차례 죽어가는 아내와 동생들의 죄를 말하며 유디슈티라는 나아가고, 마침내 인드라 신이 천계에서 맞이하러 온다. 그동안 데리고 온 개를 두고 가라고 말하지만 유디슈티라는 단호히 거부하며 “자신을 따르는 자를 버려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자, 그 개는 아버지 다르마 신으로 모습을 바꾸고, 유디슈티라가 시련을 통과했음을 알린다. 유디슈티라는 개와 함께 천계로 오르지만 거기서 두르요다나 등이 편안하게 살고 있는 것을 보고 분노를 느끼고, 동생들의 행방을 인드라 신에게 묻는다. 인드라 신에게 안내받은 지옥에서는 형제들이 고통을 받고 있는 것을 본다. 유디슈티라는 참을 수 없는 악취의 지옥에서도 형제들과 함께 있기를 선택하고 머물지만, 이 또한 다르마 신의 시련이며, 지옥에서 고통받는 형제들은 환술이었다. 시련을 통과한 유디슈티라는 무사히 형제들이 있는 천계로 올라갔다.[61]
9. 1. 2. 다르마의 시험 (개)
칼리 유가가 시작되고 크리슈나가 죽자 유디슈티라와 그의 형제들은 은퇴하여 아르주나의 손자 파릭시트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판다바들은 모든 소유물과 유대 관계를 버리고 개 한 마리와 함께 히말라야로 최후의 순례를 떠났다. 순례 중 드라우파디를 시작으로 한 명씩 산에서 죽었는데, 유디슈티라는 그들이 죽은 이유로 드라우파디의 아르주나 편애, 사하데바의 지혜에 대한 자만, 나쿨라의 미모에 대한 허영심, 아르주나의 궁술 자랑, 비마의 식탐을 꼽았다. 마침내 유디슈티라만이 개와 함께 정상에 도달했다.[40]정상에 도착하자 인드라는 유디슈티라를 축하하며 천국으로 오르면 불멸과 신성을 얻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인드라가 천국에 들어가기 전에 개를 버리라고 하자, 유디슈티라는 개의 변함없는 헌신을 이유로 거절했다. 인드라가 히말라야 정상에 도달하기 위해 형제들과 아내를 버렸다고 비난하자, 유디슈티라는 그들의 죽음을 막을 수 없었지만 가난한 생명체를 버리는 것은 큰 죄라고 말했다. 그 개는 변장한 그의 아버지 야마였다. 야마는 아들을 축하하며 그의 확고한 원칙을 칭찬했다. 유디슈티라는 나라다를 안내자로 삼아 천상의 탈것을 타고 천국으로 향했고, 나라다는 그가 육체적 형태로 천국에 들어간 최초의 인간임을 알려주었다.[41]
천국에서 유디슈티라는 두료다나와 그의 카우라바 사촌들을 발견했지만, 그의 형제들과 드라우파디는 없었다. 분노한 유디슈티라는 나라다에게 가족을 찾을 수 있는 곳으로 데려가 달라고 요구했다. 나라다는 유디슈티라를 지옥으로 데려갔고, 거기서 그는 카르나, 그의 형제들, 드라우파디, 드리슈타듐나, 우파판다바들을 만났다. 격분한 유디슈티라는 사촌들과 함께 천국에 사는 것보다 가족과 함께 지옥에 사는 편이 낫다고 결정했다.[42] 그러자 인드라가 나타나 환상을 걷어내고 유디슈티라에게 속임수를 알려주었다. 인드라가 드로나에게 거짓말을 했기 때문에 유디슈티라가 지옥을 엿본 것이라고 밝혔다.
야마는 아들이 세 번째이자 마지막 시험(첫 번째는 야크샤 프라슈나, 두 번째는 개를 버리지 않은 것)을 통과한 것을 축하했다. 유디슈티라는 천상의 갠지스강에서 목욕하여 필멸의 형태를 벗어던지고 스바르가에서 가족과 재회했다.[43]
인드라 신이 유디슈티라를 천계에서 맞이하러 왔을 때, 개를 두고 가라고 말했지만 유디슈티라는 단호히 거부하며 “자신을 따르는 자를 버려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그 개는 아버지 다르마 신으로 모습을 바꾸고, 유디슈티라가 시련을 통과했음을 알렸다. 유디슈티라는 개와 함께 천계로 올라갔지만, 그곳에서 두료다나 등이 편안하게 살고 있는 것을 보고 분노를 느꼈다. 인드라 신에게 안내받은 지옥에서는 형제들이 고통을 받고 있었다. 유디슈티라는 참을 수 없는 악취의 지옥에서도 형제들과 함께 있기를 선택했지만, 이 또한 다르마 신의 시련이었고, 지옥에서 고통받는 형제들은 환술이었다. 시련을 통과한 유디슈티라는 무사히 형제들이 있는 천계로 올라갔다.[61]
10. 유디슈티라에 대한 평가
유디슈티라는 정직, 정의, 현명함, 관용, 선행, 분별력을 갖춘 영웅으로 묘사된다.[44] 그는 분노하면 누구든 재로 만들 수 있는 힘을 지녔지만, 대부분 차분하고 침착하게 지냈다.[45] 드리타라슈트라는 산자야에게 유디슈티라의 분노가 정당하기에 두렵다고 말하기도 했다.[45]
그러나 유디슈티라가 도박에 약했다는 점은 비판받을 만하다. 판다바 5형제가 인기를 얻자, 두르요다나는 샤쿠니의 계략으로 유디슈티라를 도박판에 끌어들였다. 유디슈티라는 도박 제안을 거절하면 크샤트리아의 수치라고 여겨 응했지만,[51] 샤쿠니의 속임수에 넘어가 전 재산, 형제들, 자신, 아내 드라우파디까지 모두 잃고 13년간 추방당하는 신세가 되었다.[51]
유디슈티라 자신이 주사위를 좋아해서 유혹에 넘어갔다는 묘사도 있다.[52] 그는 13년간의 추방 마지막 해에 궁정 도박사로 변장했고, 도박 이후 동생 아르주나에게 주사위를 좋아한다는 점을 질책받기도 했다.[52]
11. 대중 문화
마하바라타의 중요 인물인 유디슈티라는 여러 영화, 드라마, 연극 등에서 다양한 배우들이 연기했다.
작품명 | 연도 | 배우/성우 | 언어 | 비고 |
---|---|---|---|---|
드라우파디 | 1931 | 엘리저 | 힌디어 | 영화 |
카르난 | 1964 | 프렘 쿠마르 | 타밀어 | 영화 |
베라비마뉴 | 1965 | 두리팔라 | 텔루구어 | 영화 |
다나 베라 수라 카르나 | 1977 | M. 프라바카르 레디 | 텔루구어 | 영화 |
마하바라타 | 1988 | 가젠드라 차우한 | 힌디어 | TV 드라마 |
마하바라타 카타 | 1997 | 가젠드라 차우한 | 힌디어 | TV 드라마 |
슈리 크리슈나 | 1993 | 라만 카트리 | 힌디어 | TV 드라마 |
엑 아우르 마하바라타 | 1997 | 비렌드라 싱 | 힌디어 | TV 드라마 |
드라우파디 | 2001 | 아룹 팔 | 힌디어 | TV 드라마 |
마하바라타 | 2013 | 로히트 바르드와지 | 힌디어 | TV 드라마 |
마하바라타 | 2013 | 마노지 바즈파이 | 힌디어 | 애니메이션 영화 (목소리) |
다르마크셰트라 | 2014 | 찬단 K 아난드 | 힌디어 | TV 드라마 |
수르야푸트라 카르나 | 2015 | 카난 말호트라 | 힌디어 | TV 드라마 |
라다크리슈나 | 2018 | 카난 말호트라 | 힌디어 | TV 드라마 |
쿠룩셰트라 | 2019 | 샤시 쿠마르 | 칸나다어 | 영화 |
아이톨리아, 미드나잇 에이지 | 게임 | |||
777 찰리 | 2022 | 칸나다어 | 영화 (유디슈티라와 개의 관계에서 영감) |
12. 와얀(인도네시아 그림자 인형극)
인도네시아의 인형극 와얀에서 유디슈티라는 아스티나(하스티나푸라) 왕 판두(판다와)의 장남으로 등장한다. 그는 “정법의 신 달마(다르마)의 피를 이어받은 흰 피를 지니고, 청렴결백하며, 방편으로도 거짓말을 하지 않고, 모든 다툼을 거부하며, 어쩔 수 없이 전쟁에 휘말리는 경우에도 결코 손을 쓰려 하지 않는다”고 여겨진다.[71]
와얀 인형에서는 검은색이 중요시되는데, 이는 인생 경험을 쌓아 욕망을 제어하고 행동할 수 있는 인물의 상징적인 색이다. 유디슈티라 또한 얼굴이 검은 인형으로 표현된다.[72] 푼토데워(푼도데와)라고 불리는 젊은 시절의 유디슈티라 인형은 얼굴이 하얗고, 유디슈티라보다 목걸이 등 장식이 많다.
“살리야의 죽음”이라는 연극에서 유디슈티라는 꾸란의 구절이 적힌 카리모소도(칼리모소도)의 부적을 지니고 살리야(살야)와 대치한다. 살리야의 초능력의 근원인 촌드로빌로워(촌드로빌로와)는 과거 그의 양부인 성직자 바카스파티(바카스파티)로부터 받은 것이었으나, “숭고한 흰 피”의 소유자인 유디슈티라에게 이끌려 살리야의 몸에서 나가 버리고, 싸우지 않고도 살리야를 쓰러뜨려 승리한다. 살리야는 마하바라타의 샤르야(샤르야)에 해당하며, 마찬가지로 유디슈티라에게 쓰러지지만, 그 방법은 기도와 주문을 담은 창을 던져 샤르야의 가슴을 관통하는 것이다.[73][74]
참조
[1]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 Adi Parva: Sambhava Parva: Section XCV
http://www.sacred-te[...]
[2]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https://sacred-texts[...]
[3]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2: Sabha Parva: Section I
https://sacred-texts[...]
[4]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4: Virata Parva: Section I
https://sacred-texts[...]
[5]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7: Mahaprasthanika Parva: Section III
https://sacred-texts[...]
[6]
웹사이트
Yudhishthira, Yudhiṣṭhira, Yudhisthira: 15 definitions
https://www.wisdomli[...]
2010-12-26
[7]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Longman|Pearson Education India
[8]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 Adi Parva: Section CXIX
https://sacred-texts[...]
[9]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 Adi Parva: Section CXXII
https://sacred-texts[...]
[10]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 Adi Parva: Section CXXXIV
https://sacred-texts[...]
[11]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 Adi Parva: Section CXLIII
https://sacred-texts[...]
[12]
웹사이트
Yaudheya, Yaudheyā: 15 definitions
https://www.wisdomli[...]
2016-07-02
[13]
웹사이트
Devaka: 17 definitions
https://www.wisdomli[...]
2014-08-13
[14]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2: Sabha Parva: Section I
https://sacred-texts[...]
[15]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2: Sabha Parva: Section XIV
https://sacred-texts[...]
[16]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2: Sabha Parva: Section XLIV
https://sacred-texts[...]
[17]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2: Sabha Parva: Section LXXV
https://sacred-texts[...]
[18]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Section III
https://sacred-texts[...]
[19]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Section LXXIX
https://sacred-texts[...]
[20]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Section CLXXX
https://sacred-texts[...]
[21]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Section CCXXX
https://sacred-texts[...]
[22]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Section CCCXII
https://sacred-texts[...]
[23]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4: Virata Parva: Section I
https://sacred-texts[...]
[24]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5: Udyoga Parva: Section CLI
https://sacred-texts[...]
[25]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6: Bhishma Parva: Section XLIII
https://sacred-texts[...]
[26]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9: Shalya Parva: Section XVII
https://sacred-texts[...]
[27]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7: Drona Parva: Section CV
https://sacred-texts[...]
[28]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7: Drona Parva: Section CVIII
https://sacred-texts[...]
[29]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7: Drona Parva: Section CLII
https://sacred-texts[...]
[30]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7: Drona Parva: Section CLVI
https://sacred-texts[...]
[31]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7: Drona Parva: Section CLXI
https://sacred-texts[...]
[32]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7: Drona Parva: Section CXCIII
https://sacred-texts[...]
[33]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8: Karna Parva: Section XXIX
https://sacred-texts[...]
[34]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8: Karna Parva: Section LXVIII
https://sacred-texts[...]
[35]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8: Karna Parva: Section LXXI
https://sacred-texts[...]
[36]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9: Shalya Parva: Section XVII
https://sacred-texts[...]
[37]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9: Shalya Parva: Section XXXII
https://sacred-texts[...]
[38]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9: Shalya Parva: Section LXI
https://sacred-texts[...]
[39]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4: Aswamedha Parva Index
https://www.sacred-t[...]
2020-06-09
[40]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7: Mahaprasthanika Parva: Section II
https://sacred-texts[...]
[41]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7: Mahaprasthanika Parva: Section III
https://sacred-texts[...]
[42]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8: Svargarohanika Parva: Section II
https://sacred-texts[...]
[43]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8: Svargarohanika Parva: Section III
https://sacred-texts[...]
[44]
웹사이트
Mahabharata Text
http://sacred-texts.[...]
2016-08-03
[45]
웹사이트
Mahabharata Section XXII
http://www.sacred-te[...]
2018-01-22
[46]
문서
プーナ版2巻12章
[47]
문서
プーナ版1巻114章
[48]
문서
プーナ版1巻117章
[49]
문서
プーナ版1巻119章
[50]
문서
山際版(第1巻)第1巻
[51]
문서
プーナ版2巻52章
[52]
문서
プーナ版8巻49章
[53]
문서
プーナ版3巻78章
[54]
문서
プーナ版3巻298章
[55]
문서
ドリタラーシュトラは、クル王国の半分を成人したパーンダヴァへ分割し統治させたため、パーンダヴァたちは追放前にインドラプラスタという都を築き繁栄させていた(プーナ版1巻195章)
[56]
문서
プーナ版5巻70章
[57]
문서
プーナ版5巻152章
[58]
문서
プーナ版9巻1章
[59]
문서
プーナ版15巻1章
[60]
문서
プーナ版17巻1章
[61]
문서
プーナ版18巻3章
[62]
문서
プーナ版1巻182章
[63]
문서
プーナ版15巻205章
[64]
문서
プーナ版14巻71章
[65]
문서
プーナ版3巻178章
[66]
문서
プーナ版3巻232章
[67]
문서
山際版(第9巻)第17巻
[68]
문서
プーナ版2巻68章
[69]
문서
山際版(第5巻)第8巻
[70]
문서
プーナ版12巻1章
[71]
서적
ワヤン人形図鑑
めこん
1983
[72]
서적
ワヤン人形図鑑
同上
[73]
서적
マハーバーラタの蔭に
八幡山書房
2009
[74]
문서
山際版(第5巻)第9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