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우쟁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우쟁이는 몸이 길고 원통형이며, 주둥이가 길고 입이 아래에 있는 민물고기이다. 한반도의 한강, 임진강, 금강, 대동강, 압록강과 중국, 베트남, 러시아 동북부에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소형 갑각류와 부착 조류를 먹는다. 중국 어류 연구가인 피에르 다브리 드 티에르상을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1년 기재된 물고기 - 강준치
강준치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준치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다른 과에 속하고, 깊은 물에서 수서곤충, 갑각류, 어린 물고기 등을 먹고 사는 은백색 또는 청백색의 물고기이다. - 모래무지아과 - 참붕어
참붕어는 잉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은백색 몸에 검은색 세로줄이 있고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잡식성으로 수생 곤충 등을 먹고, 봄부터 여름까지 번식하며 기생충의 매개체로 식용 및 낚시 대상이 되기도 한다. - 모래무지아과 - 돌고기
돌고기는 압록강 이남의 한반도, 일본에 분포하며, 몸길이 10~15cm로, 하천이나 용수로에 서식하며 수생 곤충 등을 먹고, 5~6월에 알을 낳으며, 서식지 변경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식용 또는 관상어로 이용된다. - 피터르 블레이커르가 명명한 분류군 - 아프리카유리메기과
아프리카유리메기과는 메기목에 속하는 어류 과의 하나로, 15개의 속으로 구성되며 계통 분류 연구 결과 메기목 내 Big Africa 분지군에서 클라로테스과와 자매군을 이룬다. - 피터르 블레이커르가 명명한 분류군 - 청어목
청어목은 덴티케프스아목과 청어아목으로 나뉘는 조기어류 분류군으로, 멸치, 청어, 정어리 등을 포함하여 전 세계 해역에 널리 분포하는 약 405종의 현존하는 대부분의 종이 청어아목에 속한다.
| 두우쟁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학명 | Saurogobio dabryi |
| 명명자 | 블레커, 1871년 |
| 이명 | Armatogobio dabryi Gobiosoma amurensis Longurio athymius Pseudogobio amurensis Pseudogobio drakei Pseudogobio productus Saurogobio drakei Saurogobio longirostris Pseudogobio productus |
2. 형태
몸은 아주 길고 원통형이며 몸 뒷부분은 가늘다. 주둥이는 길고 둥글며 입은 주둥이 아래에 있다. 입수염은 1쌍이다. 입술은 돌기로 덮여 있다. 눈은 크고 머리 윗부분에 있다. 등지느러미는 몸의 앞부분에 있다. 옆줄은 뚜렷하다.[4]
(내용 없음)
3. 서식지
4. 생태
4. 1. 먹이
잡식성으로 소형 갑각류와 부착 조류를 먹고 산다.
5. 어원
피에르 다브리 드 티에르상(1826-1898)을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졌으며, 그는 중국 주재 프랑스 영사이자 중국 어류 연구가였으며 파리 국립 자연사 박물관에 표본을 보냈다.[2]
참조
[1]
FishBase
[2]
웹사이트
Order CYPRINIFORMES: Families ACHEILOGNATHIDAE, GOBIONIDAE and TANICHTHYIDAE
http://www.etyfish.o[...]
Christopher Scharpf and Kenneth J. Lazara
2018-09-22
[3]
FishBase
[4]
서적
민물고기 쉽게 찾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