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강은 대한민국을 흐르는 강으로,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서해안에서 한반도 내륙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수송로 역할을 했다. 백제 시대에는 웅진(공주)과 사비(부여)가 금강 유역에 위치했으며, 부여에서는 백마강으로 불리며 많은 전설과 노래 '꿈꾸는 백마강'의 소재가 되었다. 금강은 '다이아몬드'를 뜻하는 단어와 동음이의어이며, 일본에서는 장포강으로 불리기도 했다. 금강은 뜬봉샘에서 발원하여 여러 지류와 합류하며, 대청댐과 용담댐을 통해 농업 및 공업 용수를 공급한다. 금강 유역에는 다양한 나루와 정자가 있으며, 현재는 여러 교량이 건설되어 교통 편의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강 권역 - 삽교천
삽교천은 현재 문서가 제공되지 않아 구체적인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 금강 권역 - 갑천
갑천은 계룡산에서 발원하여 대전광역시를 관통하고 금강으로 합류하는 대전의 주요 하천으로, 생태적 가치가 높아 '한국의 아름다운 하천 100선'에 선정되었으며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이용된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하천 - 미호강
미호강은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흐르며 다수의 지류를 거느린 하천으로, 농업용수 공급, 홍수 조절, 생태계 유지 등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한 수질 오염 문제가 심각하여 지속적인 관리 및 보호가 필요하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하천 - 조천 (하천)
- 대전광역시의 하천 - 대전천
대전천은 대전광역시를 흐르는 하천으로, 생태 복원 사업을 통해 과거 하상도로 철거와 수질 개선 등의 효과를 보았으나, 오염 문제, 생태계 단절 등의 과제가 남아 시민 편의시설 확충과 자연성 회복 간의 균형을 맞추는 노력이 필요한 하천이다. - 대전광역시의 하천 - 갑천
갑천은 계룡산에서 발원하여 대전광역시를 관통하고 금강으로 합류하는 대전의 주요 하천으로, 생태적 가치가 높아 '한국의 아름다운 하천 100선'에 선정되었으며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이용된다.
금강 | |
---|---|
지도 | |
개요 | |
이름 | 금강 |
다른 이름 | 백마강 웅진강 |
로마자 표기 | Geumgang |
한자 표기 | 錦江 |
설명 | 한국에서 세 번째로 긴 강 |
지리 정보 | |
위치 | 대한민국 |
지방 |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북도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
발원지 | 소백산맥 신무산의 강태등골 계곡 |
발원지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장수읍 수분리 |
발원지 고도 | 약 830m 지점 |
하구 | 황해의 금강하굿둑 부근 수역 |
하구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충청남도 서천군 |
강 길이 | 397km |
유역 면적 | 9,912 km² |
수계 | 금강 독립수계 |
지류 | |
왼쪽 지류 | 갑천 강경천 |
오른쪽 지류 | 미호강 |
수문 정보 | |
평균 유량 | 132 m³/s |
평균 유량 위치 | 공주 공주대교 |
기타 | |
![]() | |
![]() |
2. 역사
금강과 그 지류는 선사 시대부터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서해안에서 한반도 내륙으로 들어가는 고대 수송로 및 문화적 접촉의 통로였다. 기원전 850년경부터 서기 100년까지 이 지역에서는 청동기 문화가 번성했으며,[9]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한국 남부의 일부 초기 복합 사회가 이 강의 지류가 형성한 계곡에서 잠시 번영했다.[9]
부여군 지역에서는 이 강을 백마강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흰말강이라는 뜻이다. 많은 전설들이 고대 백제를 백마강과 연관짓고 있다. 백마강은 신민요 '꿈꾸는 백마강'의 소재이기도 하다.
금강의 한국어 이름은 "다이아몬드"를 뜻하는 단어와 동음이의어이며, 북한의 금강산과는 관련이 없다.
2. 1. 백제
백제는 금강을 통해 중국, 일본과 교류했다. 공주(웅진)와 부여(사비)는 금강 유역에 위치한 백제의 주요 도읍이었다. 백제는 금강을 통한 수운이 편리하고 군사상 방어가 용이하여 공주로 도읍을 옮겼으며, 이후 금강을 중국과 백제를 잇는 교통로로 이용하였다. 부여(사비) 역시 금강의 수운을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이었다. 당시 곰나루에서 출발한 배는 한 달쯤 뒤 오사카 항에 도착할 수 있었다.[9]금강 유역에는 마한의 여러 부족들이 존재했으며, 백제 초기의 중심지였던 웅진(475년-538년)과 사비(538년-660년)가 백마강 부근에 위치해 있다.[10]
2. 2. 조선
태조 이성계가 100일 기도 후에 하늘에 보이는 무지개 너머로 날아오른 봉황이 가리킨 곳에 가보니 샘이 있어 뜬봉샘이라 이름 붙였다는 설화가 전해진다.구한말 1900년대에 금강 수계를 왕래하던 배는 매년 1만 5천 척 정도였으며 군산, 강경, 공주, 부강 간에는 정기 기선이 운행되었다. 군산에서 부강까지 기선은 8시간, 그 반대는 5시간 정도가 걸렸다. 또한 범선도 운행되었는데 군산에서 공주까지 이틀, 공주에서 군산까지는 하루 정도가 걸렸다.[19]
3. 지리
금강은 '호수 같은 강'이라는 의미의 '호강'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지역에 따라 적벽강, 백마강, 웅진강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금산군에서는 '''적벽강''', 부여군에서는 '''백마강''', 공주시에서는 '''웅진강'''(熊津江)으로 불린다.[11] 부여 지역에서는 백마강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흰말강이라는 뜻이며, 고대 백제 왕국과 관련된 많은 전설이 전해진다. 백마강은 '꿈꾸는 백마강'이라는 유명한 노래의 소재이기도 하다.
금강과 그 지류는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서해안에서 한반도 내륙으로 들어가는 고대 수송로의 기능을 통해 문화적 접촉의 통로였다. 기원전 850년경부터 서기 100년까지 청동기 문화가 번성했으며,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한국 남부의 초기 복합 사회가 금강 지류의 계곡에서 번영했다.[9]
금강 유역에는 마한의 여러 부족들이 존재했으며, 백제 초기의 중심지였던 웅진(475년-538년)과 사비(538년-660년)가 백마강 부근에 위치해 있다.[10]
금강의 한국어 이름은 "다이아몬드"를 뜻하는 단어와 동음이의어이며, 북한의 금강산(金剛山)과는 관련이 없다. 금강은 전라북도 장수군의 소백산맥 신무산(神舞山, 897m) 동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다가, 충청남도 연기군(현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남부에서 제1지류인 미호천(渼湖川)과 합류한 후 남서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이후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도 경계를 따라 흐르다 논산천(論山川)과 합류하여 논산평야를 관통하고, 군산과 서천의 시·군 경계에서 군산만을 형성하며 황해로 흘러든다.[11] 수원에서 하구까지 직선거리는 90km에 불과하지만, 시계 반대 방향으로 흘러 총 길이는 그 4배를 넘는다.[11] 유역 전체 수계의 수로 총연장은 24,900km, 평균 해발고도 224m, 평균 경사 17%, 최고 해발고도는 1,609m이다.[11] 연안의 강경과 하구인 군산은 물자 집산지로 번영하였다.
금강은 삼국시대 백제에게 중요한 수상 교통로였다. 공주에는 백제의 옛 도읍인 웅진(熊津), 부여에는 새 도읍인 사비(泗沘)가 있었기에, 고대에 일본·백제와 신라·당 사이에 벌어진 백강전투가 벌어진 백강(白江)은 금강으로 추정된다.
3. 1. 발원과 종점
1910년대 박은식은 한국통사에서 금강이 속리산과 덕유산에서 발원한다고 기술하였다. 금강은 섬진강의 발원지인 팔공산을 마주보고 있는 신무산의 '''뜬봉샘'''에서 발원한다. 뜬봉샘에서 발원한 물은 장수군 수분리 마을을 지나는 수분천이 되어 흘러내린다. 뜬봉샘은 금강의 발원지이며, 산림청이 국가산림문화자산으로 지정하여 물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교육장 역할을 한다. 또한 조선 태조와 얽힌 유래는 금강 발원지의 역사성과 문화적 가치를 보여준다.[20]신무산 중턱에는 뜬봉샘 가는 길을 안내하는 장승이 있고, 장승 좌우로 서로 다른 계곡이 흘러내려온다. 이 중 뜬봉샘이라 적은 표지석이 있는 곳은 오른쪽 계곡 위쪽에 있지만, 하구로부터 최장 거리를 기준으로 할 때 진정한 발원지는 왼쪽 계곡 위쪽에 있다. 이곳에도 뜬봉샘을 알리는 표지판이 있으며, 장수읍 수분리 신무산 동쪽 계곡 해발 830 m 지점이다. GPS 좌표는 이며 뜬봉샘보다 길이가 약 50 m 정도 더 긴 것으로 계측되었다.[21]
전라북도 장수군의 소백산맥 신무산(神舞山, 897m) 동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는 금강은 황해로 흘러든다.[11]
3. 2. 주요 구간
금강은 여러 지역을 지나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구간 | 이름 및 특징 |
---|---|
무주 구천동 ~ 금산 | 설천, 남대천, 적벽강 (제원면 천내리 일대는 천내강)으로 불림. 조약돌밭이 넓어 야영 장소로 좋음.[19] |
영동 | 양강. 양산면에는 영국사, 강선대, 비봉산, 봉황대 등 명승지인 양산8경이 있음. 송호유원지, 자라별유원지는 소나무 숲, 자갈밭, 은모래가 특징. |
대전, 청주, 보은, 옥천 | 대청호. 대청댐 (1981년 완공)은 소양호, 충주호에 이어 세 번째로 큰 호수. 홍수 방지 및 물 공급. |
공주 | 곰강(웅진). 백제인의 정체성과 관련, 훗날 금강이 됨. |
부여 | 백마강. 백제 수도, 부소산 근처 소정방이 백마로 용을 낚았다는 조룡대 위치. |
논산 강경읍 강경포 | 논산천, 강경천 합류. 충청남도와 전북특별자치도 경계. |
금강하구둑 | 서천 장항읍-군산 사이. 1990년 완공. 충청남도-전북특별자치도 경계. 농업·공업용수 공급, 홍수 조절. 강경 기능 상실, 황복 등 특산품 사라짐. |
3. 3. 지류
금강의 제1지류로는 갑천, 논산천, 미호강, 장수천, 무주남대천, 하신천, 용추천, 장계천, 계북천, 구량천, 진안천, 정자천, 주자천, 삼유천, 현내천, 봉황천, 소옥천, 주원천, 회인천, 품곡천, 영동천, 이원천, 초강, 보청천, 금천, 용수천, 대교천, 정안천, 유구천, 용성천, 치성천, 지천, 잉화달천, 은산천, 석성천, 길산천, 산북천, 원산천 등이 있다.제2지류로는 유등천, 무심천, 조천, 노성천, 강경천, 석천, 추풍천, 보강천, 백곡천, 병천천, 월하천 등이 있고, 제3지류로는 대전천, 미평천, 율량천 등이 있다.
지류명 | 발원지 | 합류 지점 | 길이 (km) | 유역 면적 (km²) |
---|---|---|---|---|
갑천 |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대둔산 | 대전광역시 북부 | 60 | 554 |
논산천 | 전북 완주군 운주면 고당리 왕사봉 | 충청남도 논산시 서부 | 55 | 666 |
미호강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부용산(644m) | 세종특별자치시 | 80 | 1,900 |
노성천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계룡산 | 논산시 취암동 | - | - |
강경천 | 충청남도와 전북특별자치도의 경계 | 강경읍 | - | - |
- '''갑천''': 대둔산에서 발원하여 계룡산에서 내려온 두계천을 합쳐 대전광역시의 도심을 흐른다.
- '''논산천''': 왕사봉에서 발원하여 논산시 양촌면에서 명암천과 만나 논산시 북서부를 남서쪽으로 흘러 탑정저수지에 머물렀다가 논산 도심을 서쪽으로 가로질러 강경읍에서 금강 본류로 합류한다.
- '''노성천''': 한천(漢川)으로도 불렸으며 계룡산에서 발원해 논산시 부적면에서 연산천과 합류한 뒤 다시 논산시 취암동에서 논산천과 만난다. 노성참게로 만든 간장게장이 유명하였다.
- '''강경천''': 미내(渼奈)라고도 불렸으며 충청남도와 전북특별자치도의 경계를 이룬다. 익산시 망성면에서 마산천과 만난 강경천은 강경읍에서 논산천과 합류해 금강 본류로 흘러들어간다. 금강의 편리한 수운으로 활용도가 높았을 때 강경천은 강경읍 시가지 중앙을 곡류하기에 수운교통의 이점도 있었지만 여름철에는 홍수로 인한 범람으로 가옥 피해도 컸다.
- '''미호강''': 금강 최대의 지류로, 부용산(644m)에서 발원하여 충청북도 북부에서 서남류한다. 청주시 도심을 흐르는 무심천 등 지류가 미호강에 합류하여 세종특별자치시에서 금강에 합류한다.
4. 교량
5. 나루
금강은 충청 지역의 수운을 담당했던 중요한 수로였다. 금강을 따라 강경포, 곰나루, 왕진나루 등 여러 포구가 발달했다. 과거에는 200톤 정도의 배는 강경포구까지, 50톤 정도의 소규모 배는 하구둑에서 130km 떨어진 충남 연기까지 운항할 정도로 내륙 수운이 발달했다.[22]
왕진나루는 1980년대까지 청양군 청남면과 부여군을 잇는 주요 교통로였다. 청양에서 부여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은 왕진나루를 건너 부여읍 저석리를 통하는 것이었다. 청양군 내의 청남면, 목면, 정산면 주민들까지 이용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정산면, 목면, 청남면, 장평면 등에서 생산된 쌀이 왕진나루를 통해 강경이나 군산으로 운송되었으며, 7~8월에는 제주도에서 새우젓배가 오기도 했다.[22]
6. 정자
금강 변에는 독락정, 한림정, 금벽정, 벽허정, 사송정, 쌍수정, 안무정[23], 원산정 등 8개의 유명한 정자가 있다. 이 정자들은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금남면 영곡리, 장기면 금암리와 공주시 소학동 오얏골 나루 근처, 월송동 아랫사송정마을, 공산성 안, 옛 철교 옆, 탄천면 유하리 원산 마을 뒷산 등에 위치해 있다.
7. 경제
금강 중·상류에는 대청댐과 용담댐 등이 건설되어 농업 및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의 농업 및 공업은 금강과 그 지류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11] 금강과 그 지류가 형성한 충적평야는 한국에서 중요한 농업 생산지이다.
8. 문화
백제는 금강을 통한 수운이 편리하고 군사상 방어가 용이한 공주로 도읍을 옮겨왔으며, 이후 중국과 백제를 잇는 교통로로서 금강을 이용하였다. 공주에서 천도한 부여지역도 금강의 수운을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이었다. 백제는 금강을 통하여 중국 그리고 일본과 교류를 하였다. 당시 곰나루에서 출항한 선박은 한 달쯤 후에는 오사카 항에 도착할 수 있었다.
금강이 충청남도 부여군을 지날 때에는 백마강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부소산 근처에는 백제를 멸망시킨 소정방이 백마를 미끼로 해서 용을 낚았다는 조룡대가 자리하고 있다. 부여군 지역에서는 이 강을 백마강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흰말강이라는 뜻이다. 많은 전설들이 고대 백제 왕국을 백마강과 연관짓고 있다. 백마강은 신민요 전통의 유명한 노래인 '꿈꾸는 백마강'의 소재이기도 하다.
금강과 그 지류는 선사시대(문화재 발굴 결과 참조)부터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서해안에서 한반도 내륙 깊숙이 들어가는 고대 수송로의 기능을 통해 문화적 접촉의 통로였다. 기원전 850년경부터 서기 100년까지 이 지역에서는 청동기 문화가 번성했다(요녕 청동검 문화 참조).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한국 남부의 일부 초기 복합 사회가 이 강의 지류가 형성한 계곡에서 잠시 번영했다.[9]
금강 유역에는 마한의 여러 부족들이 존재했으며, 백제 초기의 중심지였던 웅진(서기 475년-538년)과 사비(서기 538년-660년)가 백마강 부근에 위치해 있다.[10]
이 강의 한국어 이름인 "금강"은 "다이아몬드"라는 뜻의 단어와 동음이의어이며, 북한의 금강산(金剛山; "Diamond Mountain")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유명한 가요곡 「꿈꾸는 백마강」(꿈꾸는 백마강)은 이 강을 노래한 것이다.
메이지 시대 초기에는 일본에서 장포강(Basil bay)이라고 불렸으며, 메이지 11년(1878년)에 일본 해군의 천성이 육안 관측을 통해 하구 부근의 개략 지도를 제작하였다.[14]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Rivers of South Korea, 2013
http://rhms.river.go[...]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Republic of Korea
2012-12-31
[2]
일반
[3]
웹사이트
Monthly Status & Predictions Report on Water Resources, January 2014
http://www.hrfco.go.[...]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Republic of Korea
2014-01-13
[4]
일반
[5]
웹사이트
Monthly Status & Predictions Report on Water Resources, January 2014
http://www.hrfco.go.[...]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Republic of Korea
2014-01-13
[6]
일반
[7]
서적
Hanguk-eui Chungjeok Pyeongya [Alluvial Plains of Korea]
Gyohak Yeongusa
1987
[8]
서적
1987
[9]
간행물
The Formation and Spread of Songguk-ri Culture in the Geum-gang River Area
Honam Archaeological Society – Hoseo Archaeological Society
2006
[10]
웹사이트
The Geum River, Baekje fragrance
https://terms.naver.[...]
[11]
서적
韓国(大韓民国)
全世界の河川事典
2013
[12]
웹사이트
연미산
http://tour.gongju.g[...]
공州市청
2017-04-06
[13]
좌표
[14]
일반
[15]
서적
한국하천일람 2014
http://www.river.go.[...]
국토교통부
2015
[16]
서적
한국하천일람 2014
http://www.river.go.[...]
국토교통부
2015
[17]
일반
[18]
웹사이트
2014년 1월 월간 수자원 현황 및 전망
http://www.hrfco.go.[...]
국토교통부 한강홍수통제소
2014-01-13
[19]
웹사이트
한국향토문화 전자대전
http://m.grandcultur[...]
[20]
간행물
국가 산림문화자산 고시
http://gwanbo.mois.g[...]
산림청장
2016-01-05
[21]
잡지
금강 발원지 답사기
http://www.riverlove[...]
한국하천협회
2010
[22]
뉴스
(다큐 錦江)문화가 흐르는 금강살리기-청양군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23]
웹사이트
충청남도의회 회의록
http://council.chu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