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체는 이탈리아어로 "지도자"를 의미하는 칭호로, 이탈리아 통일 당시 주세페 가리발디를 찬양하는 데 사용된 것이 시초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군 최고 사령관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고, 이후 가브리엘레 다눈치오와 베니토 무솔리니가 사용하면서 파시즘과 연관되었다. 특히 무솔리니를 지칭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었지만, 현대에는 반파시즘 정서로 인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무솔리니의 제유법으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총리 -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실비오 베를루스코니는 이탈리아의 사업가이자 정치인으로, 세 차례에 걸쳐 총리를 역임했으며, 미디어셋 설립, 포르차 이탈리아 창당, 친미 외교 정책, 탈세 및 성 스캔들 등 여러 법적 문제와 논란에 휘말렸다. - 이탈리아의 총리 - 프란체스코 코시가
프란체스코 코시가는 이탈리아의 내무부 장관, 총리,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알도 모로 납치 사건과 비밀 조직 글라디오 등의 논란을 거치며 이탈리아 정치사에서 중요한 논쟁을 남긴 인물이다. - 이탈리아의 역사 - 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왕국은 1861년 사르데냐 왕국의 주도로 통일되어 건국되었으며, 자유주의 시대를 거쳐 파시스트 정권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겪은 후 국민투표로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 이탈리아의 역사 - 중프랑크 왕국
중프랑크 왕국은 843년 베르됭 조약으로 성립되어 북해에서 지중해에 이르는 영토를 차지했으나, 분열과 국경 변동을 겪다가 신성로마제국에 흡수되었다.
두체 | |
---|---|
직책 개요 | |
직책 명칭 | 정부 수반, 파시즘 지도자 및 제국 건국자 |
원어 명칭 | Sua Eccellenza Benito Mussolini, Capo del Governo, Duce del Fascismo e Fondatore dell'Impero (각하 베니토 무솔리니, 정부 수반, 파시즘 지도자 및 제국 건국자) |
로마자 표기 | Capo del Governo, Duce del Fascismo e Fondatore dell'Impero |
스타일 | 각하 (Sua Eccellenza), 지도자 (Il Duce, DUX) |
거주지 | 키지 궁 (Palazzo Chigi) (1925–1929) 베네치아 궁 (Palazzo Venezia) (1929–1943) 빌라 토를로니아 (Villa Torlonia) (1925–1943) 펠트리넬리 저택 (Palazzo Feltrinelli) (1943–1945) |
임명권자 | 국가 파시스트당 (파시스트 대평의회) (1925–1943) 공화 파시스트당 (1943–1945) |
정부 | 이탈리아 왕국 정부 (1925–1943)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정부 (1943–1945) |
임기 | 무기한 |
직책 시작 | 1925년 12월 24일 |
직책 종료 | 1945년 4월 25일 |
전신 | 총리 |
후신 | 없음 |
비공식 명칭 | 두체 |
부관 | 없음 |
웹사이트 | 없음 |
기타 | 없음 |
상징 | |
![]() | |
인물 | |
![]() | |
초대 | 베니토 무솔리니 |
마지막 | 베니토 무솔리니 |
역사 | |
설립 | 1919년 3월 23일 |
폐지 | 1945년 4월 28일 |
사용 언어 | |
언어 | |
추가 정보 | |
설명 | 두체 (it) (Fasci Italiani di Combattimento) |
2. 유래
'두체'라는 칭호는 직역하면 지도자를 의미하며, 반드시 국가원수를 나타내는 호칭은 아니다. 이 칭호는 이탈리아 통일 전쟁 당시 이탈리아 삼걸 중 한 명인 군사 지도자 주세페 가리발디에 대한 존칭으로 퍼진 것으로 여겨진다. 가리발디 본인이 사용한 것은 아니고, 칭호는 그에 대한 주변의 비공식적인 찬사에 머물렀다.[6] 1860년 이탈리아 통일 당시 주세페 가리발디를 찬양하는 일부 출판물에서 전통적인 귀족적 의미 외에 이 칭호가 사용되었지만, 가리발디 본인이 공식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았다.[3]
'두체'라는 칭호는 이탈리아 통일 당시 지도자 주세페 가리발디를 찬양할 때 처음 사용되었다. 1860년 이탈리아 통일 당시 일부 출판물에서 가리발디를 칭송하며 이 칭호를 사용했지만, 가리발디 본인이 공식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았다.[3]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스스로를 왕국의 Duce Supremo|최고 지도자it라고 선언하며, 전군에 대한 통수권을 다시금 표명했다. 대전 후, 시인 가브리엘레 다눈치오가 피우메를 점령하여 카르나로 이탈리아 섭정(피우메 사건)의 수립을 선언하자, 섭정부의 최고 지도자로서 '두체'의 칭호를 사용했다.
이탈리아 사회당의 젊은 정치인으로 장래를 촉망받던 베니토 무솔리니는 당 안팎에서 정치적 실력자라는 의미로 '두체'라는 별명을 얻었다. 무솔리니를 지칭하는 용어 사용의 첫 기록은 그가 포를리에서 아반티!의 편집장으로 새롭게 임명된 것을 축하하기 위해 1912년에 열린 만찬에서 찾을 수 있다.[4] 이윽고 민족주의 관점에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호소한 결과 사회당에서 제명되자, 무솔리니는 군인으로 전향하여 전장에 몸을 던졌다. 전후에는 민족주의적인 전체주의를 목표로 하는 파시즘(결속주의)을 내걸고, 퇴역 군인들의 정치 단체로 전투 파쇼를 결성, 후에 정당화하여 국가 파시스트당으로 재편했다.
로마 진군으로 국가 파시스트당이 정권을 획득하여 무솔리니는 총리 (각료 평의회 의장)에 취임하지만, 점차 왕가와 당을 배경으로 지배권을 강화하여, 1925년 12월 24일에 독재 체제를 확립했다. 이후, 무솔리니는 통상적인 총리직과는 다른 독재 권한을 가진 국가 지도자로 인식되었고, '두체'의 칭호도 무솔리니를 가리키는 칭호로 정착되었다.
3. 역사
Duce Supremoit (최고 지도자)는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5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군 최고 사령관으로서의 역할을 지칭하며 더욱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1920년 가브리엘레 다눈치오가 자칭 카르나로 이탈리아 섭정의 독재자로 칭했을 때도 사용되었다.[4]
'두체'(Il Duceit)라는 칭호는 파시즘과 연관되면서, 베니토 무솔리니를 지칭하는 경우 외에는 더 이상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현대의 반파시즘 정서 때문에, 이탈리아어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지도자를 지칭하는 다른 단어를 사용하며, 주로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Duceit는 무솔리니를 가리키는 제유법으로 남아있다.
3. 1. 이탈리아 사회당과 무솔리니
이탈리아 사회당의 젊은 정치인으로 장래가 촉망되던 베니토 무솔리니는 당 안팎에서 정치적 실력자라는 의미로 '두체'라는 별명을 얻었다. 민족주의 관점에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호소하다가 사회당에서 제명되자, 무솔리니는 군인으로 전향하여 전장에 몸을 던졌다. 전후에는 민족주의적인 전체주의를 목표로 하는 파시즘(결속주의)을 내걸고, 퇴역 군인들의 정치 단체인 전투 파쇼를 결성, 후에 정당화하여 국가 파시스트당으로 재편했다.[6]
3. 2. 파시스트당 집권과 두체 칭호 정착
'두체'(Duce)라는 칭호는 이탈리아 통일 전쟁 (리소르지멘토) 당시 주세페 가리발디에 대한 존칭으로 퍼졌으나, 가리발디 본인이 사용한 것은 아니고 주변의 비공식적인 찬사에 머물렀다.[3][6]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스스로를 왕국의 ''Duce Supremo''(통수권자)라고 선언하며, 전군에 대한 통수권을 표명했다. 대전 후, 시인 가브리엘레 다눈치오가 피우메를 점령하여 카르나로 이탈리아 섭정(피우메 사건)의 수립을 선언하자, 섭정부의 최고 지도자로서 ''Duce'' 칭호를 사용했다.
이탈리아 사회당의 젊은 정치인이었던 베니토 무솔리니는 당 안팎에서 정치적 실력자라는 의미로 ''Duce''라는 별명을 얻었다. 무솔리니는 민족주의 관점에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호소한 결과 사회당에서 제명되었고, 이후 파시즘(결속주의)을 내걸고 전투 파쇼를 결성, 후에 정당화하여 국가 파시스트당으로 재편했다.
로마 진군으로 국가 파시스트당이 정권을 획득하여 무솔리니는 총리에 취임하였고, 1925년 12월 24일에 독재 체제를 확립했다. 이후 무솔리니는 통상적인 총리직과는 다른 독재 권한을 가진 국가 지도자로 인식되었고, ''Duce'' 칭호도 무솔리니를 가리키는 칭호로 정착되었다.
3. 3. 무솔리니 실각과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1943년 7월 25일, 무솔리니가 이탈리아 왕국과 파시스트당에서의 모든 직위에서 해임되면서 '두체'라는 칭호는 실질적으로 사라졌다.[6] 1943년 9월 23일, 나치 독일 정권의 지원으로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이 건국되어, "사회 공화국의 ''두체''"(Duce della Repubblica Sociale Italianait)[7]로 칭호가 다시 사용되었다.
1945년 4월 25일,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의 붕괴와 무솔리니의 죽음으로 다시 칭호는 의미를 잃었고, 현대에는 파시스트를 연상시키는 용어로 인식되고 있다.
3. 4. 몰락
1943년 7월 25일, 무솔리니가 이탈리아 왕국과 파시스트당에서의 모든 직위에서 해임되면서 '두체'라는 칭호는 실질적으로 사라졌다.[6] 1943년 9월 23일, 나치 독일 정권의 지원으로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이 건국되어, "사회 공화국의 ''두체''"(Duce della Repubblica Sociale Italianait)[7]로 칭호의 사용이 재개되었다.
1945년 4월 25일, 사회 공화국의 붕괴와 무솔리니의 죽음으로 다시 칭호는 의미를 잃었고, 현대에서는 파시스트를 연상시키는 용어로 인식되고 있다.
4. 역대 두체
무솔리니는 파시즘 대의회가 그가 선택한 세 명의 명단에서 후임자를 선택하고, 그 이름을 국왕의 승인을 받도록 제출할 의도였다.[5] 1940년 기준으로 그는 사위인 갈레아초 치아노를 그 역할에 대비시키고 있었을 수도 있다.[5]
초상 | 두체 nome|이름it | 취임 | 퇴임 | 재임 | 정당 | |
---|---|---|---|---|---|---|
![]() | 베니토 무솔리니 (1883–1945) | 1919년 3월 23일 | 1921년 11월 9일 | rowspan="3" | | rowspan="3" | | 이탈리아 전투 파쇼 |
1921년 11월 9일 | 1943년 7월 25일 | 국가 파시스트당 | ||||
1943년 9월 23일 | 1945년 4월 28일 † | 공화 파시스트당 |
5. 현대적 의미
''두체''(Duce)는 "지도자"를 뜻하는 이탈리아어로, 반드시 국가원수를 나타내는 호칭은 아니다. 이 칭호는 이탈리아 통일 전쟁(리소르지멘토) 당시 이탈리아 삼걸 중 한 명인 군사 지도자 주세페 가리발디에 대한 존칭으로 퍼진 것으로 여겨진다. 가리발디 본인이 사용한 것은 아니고, 주변의 비공식적인 찬사에 머물렀다.[6]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스스로를 왕국의 ''Duce Supremo''(통수권자)라고 선언하며, 전군에 대한 통수권을 다시금 표명했다. 대전 후, 시인 가브리엘레 다눈치오가 피우메를 점령하여 카르나로 이탈리아 섭정(피우메 사건)의 수립을 선언하고 섭정부의 최고 지도자로서 ''Duce'' 칭호를 사용했다.
이탈리아 사회당의 젊은 정치인이었던 베니토 무솔리니는 당 안팎에서 정치적 실력자라는 의미로 ''Duce''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는 민족주의 관점에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호소하다 사회당에서 제명된 후 군인으로 전향하여 전장에 참전했다. 전후에는 민족주의적인 전체주의를 표방하는 파시즘(결속주의)을 내걸고, 퇴역 군인들의 정치 단체인 전투 파쇼를 결성, 후에 정당화하여 국가 파시스트당으로 재편했다.
로마 진군으로 국가 파시스트당이 정권을 획득하고 무솔리니는 총리 (각료 평의회 의장)에 취임했지만, 점차 왕가와 당을 배경으로 지배권을 강화하여 1925년 12월 24일 독재 체제를 확립했다. 이후 무솔리니는 통상적인 총리직과는 다른 독재 권한을 가진 국가 지도자로 인식되었고, ''Duce''는 무솔리니를 가리키는 칭호로 정착되었다. 1943년 7월 25일, 무솔리니가 이탈리아 왕국과 파시스트당에서 모든 직위를 잃으면서 칭호는 실질적으로 사라졌다. 1943년 9월 23일, 나치 독일의 지원으로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이 건국되어 "사회 공화국의 ''Duce''"(Duce della Repubblica Sociale Italianait)[7]로 칭호가 다시 사용되었다.
1945년 4월 25일,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이 붕괴하고 무솔리니가 사망하면서 칭호는 다시 의미를 잃었고, 현대에는 파시스트를 연상시키는 용어로 인식되고 있다.
참조
[1]
이미지
Propaganda poster of Benito Mussolini, with caption "His Excellency Benito Mussolini, Head of Government, Leader of Fascism, and Founder of the Empire ...".
commons:Image:Mussol[...]
[2]
서적
Mussolini's Last Republic: Propaganda and Politics in the Italian Social Republic
https://books.google[...]
[3]
서적
Garibaldi, Invention of a Hero
[4]
서적
Mussolini's Italy: Twenty Years of the Fascist Er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10-10
[5]
서적
Inside Europe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6]
서적
Garibaldi, Invention of a Hero
[7]
서적
Mussolini's Last Republic: Propaganda and Politics in the Italian Social Republic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