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두클라 고개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클라 고개 전투는 1944년 9월, 제2차 세계 대전 중 슬로바키아 민족 봉기를 지원하기 위해 소련군이 카르파티아 산맥의 두클라 고개를 돌파하려 한 군사 작전이다. 소련군은 두클라 고개를 통해 슬로바키아로 진입하려 했으나, 독일군의 강력한 방어에 직면하여 작전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실패했다. 전투는 격렬하게 전개되었으며, 소련군은 많은 사상자를 냈지만, 슬로바키아 민족 봉기는 결국 진압되었다. 전투 이후 희생자들을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고, 체코슬로바키아 축구팀의 이름이 변경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슬로바키아가 참가한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와 작전 - 크루세이더 작전
    크루세이더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영국군이 토브루크 포위 해제를 목표로 감행한 공세 작전으로, 이집트와 수에즈 운하에 대한 추축국의 위협을 종식시키는 데 기여했지만, 롬멜의 반격으로 이어져 공방전이 지속되었다.
  • 체코슬로바키아가 참가한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와 작전 -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 헝가리가 참가한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와 작전 - 스탈린그라드 전투
    스탈린그라드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과 추축국이 소련의 스탈린그라드를 점령하기 위해 벌인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전투 중 하나로, 소련군의 승리로 끝났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헝가리가 참가한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와 작전 - 유고슬라비아 침공
    1941년 4월 6일, 추축국은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추축국에 가입한 것에 반발한 쿠데타 직후 유고슬라비아를 침공하여 4월 17일 항복을 받아냈고, 그 결과 유고슬라비아는 분할 점령되어 저항 운동이 일어났다.
  • 1944년 9월 - 모로타이섬 전투
    모로타이섬 전투는 1944년 9월 연합군이 필리핀 진격을 위한 거점 확보를 위해 인도네시아 모로타이섬을 공격하여 시작되었으며, 압도적인 전력으로 섬을 점령하고 비행장을 건설하여 주요 군사 기지로 사용했다.
  • 1944년 9월 - 펠렐리우 전투
    펠렐리우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해병대와 육군이 필리핀 탈환 작전의 일환으로 팔라우 제도 펠렐리우 섬에서 일본군과 벌인 전투로, 일본군의 완강한 저항과 새로운 방어 전술, 험준한 지형으로 인해 미군에게 큰 어려움과 막대한 사상자를 안겨주며 전략적 가치에 비해 과도한 희생을 치렀다는 논란이 있다.
두클라 고개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전투명두클라 고개 전투
두클라 고개 전투 기념비
두클라 고개 전투를 기념하는 기념비 (슬로바키아 측 두클라 고개)
전투 위치두클라 고개, 현재의 슬로바키아-폴란드 국경
관련 전역제2차 세계 대전 동부 전선
날짜1944년 9월 8일 – 1944년 10월 28일
결과연합군의 전술적 승리
소련군의 슬로바키아 반군 지원 실패
추축군의 해당 지역에서 철수
교전 세력
교전국 1나치 독일
헝가리
교전국 2소련
체코슬로바키아
지휘관
지휘관 1고타르트 하인리히
미클로시 벨러 (1944년 9월 8일 – 16일)
데죄 라슬로 (1944년 9월 16일 – 10월 28일)
지휘관 2이반 코네프
안드레이 그레치코
키릴 모스칼렌코
루드비크 스보보다
병력 규모
병력 1100,000명
포 2,000문
전차 350대
병력 2378,000명
16,700명
포 1,517문
박격포 1,724문
전차 1,000대
피해 규모
피해 규모 161,000명 (체코 추정)
70,000명 (러시아 현대 추정)
피해 규모 2 (체코 추정):
사망: 10,060명
부상: 41,387명
질병: 13,548명
실종: 1,806명
:
사망: 935명
부상: 4,518명
실종: 756명
피해 규모 2 (독일 역사학자 프라이저 추정)131,000명
사용된 군대
군대 1하인리히 군단
제1기갑군
제8기갑사단
제544국민척탄병사단
제545국민척탄병사단
제100엽병사단
제101엽병사단
제1군
군대 2제1우크라이나 전선군
제38군
제2항공군
제1근위기병군단
제25기갑군단
제1군단
제4우크라이나 전선군
제1근위군
제18군
제8항공군
기타 정보

2. 배경

1944년 여름, 슬로바키아인들은 나치에 반대하여 봉기했고, 체코슬로바키아 정부는 소련에 도움을 요청했다. 같은 해 8월 31일, 소련의 원수 이반 코네프는 슬로바키아에 주둔한 나치군을 격멸하기 위한 공격 계획을 준비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 계획은 스비드니크 인근의 두클라 고개를 통해 카르파티아 산맥의 옛 슬로바키아-폴란드 국경을 돌파하여 슬로바키아 본토로 진입하는 것이었다.[8]

한편, 독일군은 이 지역을 요새화하여 ''카르파텐페스퉁''(Karpatenfestung, "카르파티아 요새") 또는 ''아르파드 선''을 구축했다.

2. 1. 슬로바키아 민족 봉기

1944년 여름, 슬로바키아인들은 나치에 반대하여 봉기했고, 체코슬로바키아 정부는 소련에 도움을 요청했다.[8] 같은 해 8월 31일, 소련의 원수 이반 코네프는 슬로바키아에 주둔한 나치군을 격멸하기 위한 공격 계획을 준비하라는 명령을 받았다.[8] 이 계획은 스비드니크 인근의 두클라 고개를 통해 카르파티아 산맥의 옛 슬로바키아-폴란드 국경을 돌파하여 슬로바키아 본토로 진입하는 것이었다.[8]

한편, 독일군은 이 지역을 요새화하여, ''카르파텐페스퉁''(Karpatenfestung, "카르파티아 요새") 또는 ''아르파드 선''을 구축했다.

2. 2. 소련군의 작전 계획

1944년 여름, 슬로바키아인들은 나치에 반대하여 봉기했고, 체코슬로바키아 정부는 소련에 도움을 요청했다. 1944년 8월 31일, 소련의 원수 이반 코네프는 슬로바키아에 주둔한 나치군을 격멸하기 위한 공격 계획을 준비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 계획은 스비드니크 인근의 두클라 고개를 통해 카르파티아 산맥의 옛 슬로바키아-폴란드 국경을 돌파하여 슬로바키아 본토로 진입하는 것이었다.[8]

2. 3. 독일군의 방어 준비

독일군은 이 지역을 요새화하여 ''카르파텐페스퉁''(Karpatenfestung, "카르파티아 요새") 또는 ''아르파드 선''을 구축했다.[8]

3. 전투 경과

소련군의 작전 계획은 고개를 넘어 5일 안에 프레쇼프 시를 점령하는 것이었다.[9]

작전은 9월 8일에 시작되었다. 소련군은 크로스노를 점령하는 데 3일이 걸렸고(9월 11일 해방), 두클라 마을 북서쪽 해발 534m 언덕 점령 전투는 9월 10일부터 20일까지 계속되었으며, 그동안 언덕의 지배권이 20번 넘게 바뀌었다.[9] 9월 21일에는 두클라 마을이 해방되었다.[9] 독일군에 의해 강력하게 요새화된 이전 체코슬로바키아 국경 지역은 10월 6일에 해방되었으나, 소련군이 슬로바키아에 도달하는 데는 거의 한 달이 걸렸다.[9]

두클라 작전은 소련군이 고개를 돌파하면서 끝나지 않았다. 전투 지역은 동부 슬로바키아로 이동하여 소련군은 여전히 강력하고 많은 요새를 갖춘 독일군을 포위하고 밀어내려 했다. 고개 남쪽, 도브로슬라바 마을 바로 서쪽에 "죽음의 계곡"으로 알려진 지역에서는 소련과 독일 장갑차가 쿠르스크 전투의 축소판과 같은 충돌을 일으켰다. 스비드니크는 10월 28일, "옵샤르" 언덕은 11월 25일에 확보되었다.[9]

3. 1. 초기 공세 (1944년 9월)

소련군은 9월 8일에 작전을 개시하여 3일 만인 9월 11일에 크로스노를 점령했다.[9] 두클라 마을 북서쪽 해발 534m 고지에서 격전이 벌어졌는데, 9월 10일부터 20일까지 20번 이상 주인이 바뀌었다.[9] 소련군은 9월 21일에 두클라 마을을 해방시켰다.[9]

3. 2. 슬로바키아 진입과 지연전

소련군의 작전 계획은 고개를 넘어 5일 안에 프레쇼프 시를 점령하는 것이었다.[9]

작전은 9월 8일에 시작되었다. 소련군은 크로스노를 점령하는데 3일이 걸렸고(9월 11일 해방), 두클라 마을 북서쪽에 있는 해발 534m 언덕 점령 전투는 9월 10일부터 20일까지 계속되어 그동안 언덕의 지배권이 20번 넘게 바뀌었다.[9] 두클라 마을은 9월 21일에 해방되었다.[9] 독일군에 의해 강력하게 요새화된 이전 체코슬로바키아 국경 지역은 10월 6일에 해방되었으나, 소련군이 슬로바키아에 도달하는 데는 거의 한 달이 걸렸다.[9]

두클라 작전은 소련군이 고개를 돌파하면서 끝나지 않았다. 전투 지역은 동부 슬로바키아로 이동하여 소련군은 여전히 강력하고 많은 요새를 갖춘 독일군을 포위하고 밀어내려 했다. 고개 남쪽, 도브로슬라바 마을 바로 서쪽에 "죽음의 계곡"으로 알려진 지역에서는 소련과 독일 장갑차가 쿠르스크 전투의 축소판과 같은 충돌을 일으켰다. 소련군과 체코슬로바키아군은 10월 28일 스비드니크에 진입했다. 고개 근처의 주요 독일 요새인 해발 532m "옵샤르" 언덕은 1944년 11월 25일에 확보되었다.[9]

3. 3. 주요 거점 확보

1944년 10월 28일, 소련군과 체코슬로바키아군은 스비드니크에 진입했다.[9] 같은 해 11월 25일, 두클라 고개 근처의 주요 독일군 요새인 해발 532m "옵샤르" 언덕이 확보되었다.[9]

4. 전투 서열

르보프-산도미에시 작전 이후, 소련군과 독일군은 카르파티아산맥 일대에서 대치했다. 소련군과 체코슬로바키아 연합군은 상당한 병력과 장비를 보유했고, 독일군과 헝가리 연합군은 이에 맞서 방어선을 구축했다.[16]

양측 군대 규모 비교[16]
구분소련군 및 체코슬로바키아 연합군독일군 및 헝가리 연합군
병력246,000명(자료 없음)
총/박격포5,140문3,250문
전차/자주포322대100대
전투기1,165기450대


4. 1. 소련군

이반 코네프가 이끄는 제1우크라이나 전선군의 좌익 부대가 동부 카르파티아산맥의 산기슭에 도달하여 크르니차즈드루이, 사노크, 스콜레, 크라스노일스크의 북서쪽 방어선에 자리를 잡았다. 소련-체코슬로바키아 연합군은 병력 246,000명, 총과 박격포 5,140문, 전차와 자주포 322대, 전투기 1,165기를 보유하고 있었다.[16]

4. 2. 독일군

하인리히 군단은 제1기갑군 및 헝가리 제1군으로 구성되어 1944년 9월 25일까지 소련군의 공격을 방어했다. 당시 독일-헝가리 연합군은 대포와 박격포 3,250문, 전차와 구축전차 100대, 항공기 450대를 보유하고 있었다.[16]

  • 하인리치 기갑군
  • * 제1 기갑군 (고트하르트 하인리치)
  • * 헝가리 제1군 (러슬로 데죄)의 부대

5. 결과 및 영향

소련군이 슬로바키아 영토를 확보할 무렵, Slovenské národné povstanie|슬로바키아 민족 봉기sk는 대부분 진압된 상태였다. 이는 두클라 고개에서 독일군의 저항이 예상보다 거셌고, 슬로바키아 반군이 초기 계획대로 고개 반대편을 확보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었다.[8]

1949년 체코슬로바키아 정부는 비슈니코마르니크에 기념비와 묘지를 세웠고, 1956년 축구 클럽 ATK 프라하는 팀 이름을 두클라 프라하로 변경했다. 2024년에는 전투 80주년을 기념하는 기사가 나왔으며, 국방부는 폴란드에 기념비를 세우기를 원한다고 밝혔다.[10]

5. 1. 슬로바키아 민족 봉기 진압

소련군이 슬로바키아 영토를 확보할 무렵, 슬로바키아 민족 봉기는 대부분 진압된 상태였다. 이는 두클라 고개에서 독일군의 저항이 예상보다 훨씬 거셌기 때문이다. 또 다른 요인은 슬로바키아 반군이 초기 준비 과정에서 슬로바키아 및 소련 지휘관들이 계획했던 대로 고개 반대편을 확보하는 데 실패했기 때문이다.[8]

5. 2. 전후 기념 사업

1949년, 체코슬로바키아 정부는 두클라 국경 검문소 남동쪽에 위치한 비슈니코마르니크 마을에 기념비와 묘지를 세웠다. 이곳에는 수백 명의 소련군과 체코슬로바키아 군인의 묘가 있다. 이 지역에는 여러 개의 다른 기념비와 묘지도 세워졌다.[8]

1956년, 축구 클럽 ATK 프라하는 전투에서 전사한 사람들을 기리기 위해 팀 이름을 두클라 프라하(Dukla Prague)로 변경했다.

2024년 10월, 체코 뉴스 기사에서 전투 80주년을 기념하는 기사가 게재되었다. 기사에 따르면, 전투에서 사망한 2,000명 중 617명의 체코 병사가 어떤 기념비에도 언급되지 않았다. 기사는 또한 국방부가 폴란드에 있는 그 군인들을 기리기 위한 기념비를 세우기를 원한다고 밝혔다.[10]

참조

[1] 서적 Draze zaplacená svoboda I Paseka Praha 2009
[2] 서적 Великая Отечественная без грифа секретности. Книга потерь Москва 2009
[3] 서적 Draze zaplacená svoboda I Paseka Praha 2009
[4] 서적 Draze zaplacená svoboda I Paseka Praha 2009
[5] 웹사이트 General Ludvik Svoboda: Commander of the 1st Czechoslovak Army Corps http://lemko.org/rus[...]
[6] 웹사이트 Battle of the Dukla Pass Lecture http://www.c-rs.org/[...]
[7] 웹사이트 The Carpatho-Dukla Operation https://web.archive.[...] 2008-02-15
[8] 웹사이트 Battle for Dukla Pass http://www.iabsi.com[...]
[9] 웹사이트 Facts about Carpathian – Dukla's Operation http://www.reenactme[...]
[10] 웹사이트 Over 600 Czechoslovak soldiers killed in the Battle of the Dukla Pass have no memorial https://english.radi[...] 2024-10-31
[11] 웹사이트 1st Czechoslovak Army Corps http://www.czechpatr[...]
[12] 서적 Великая Отечественная без грифа секретности. Книга потерь Москва 2009
[13] 서적 Draze zaplacená svoboda I Paseka Praha 2009
[14] 웹사이트 General Ludvik Svoboda: Commander of the 1st Czechoslovak Army Corps http://lemko.org/rus[...]
[15] 웹인용 The Carpatho-Dukla Operation https://web.archive.[...] 2008-02-15
[16] 웹인용 Восточно-Карпатская стратегическая наступательная операция (8 сентября — 28 октября 1944 г.) http://mil.ru/winner[...] 2020-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