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베르제의 법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뒤베르제의 법칙은 프랑스의 정치학자 모리스 뒤베르제가 제시한 선거제도와 정당 수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가설이다. 이 법칙은 단순 다수 대표제는 양당제와, 결선투표제와 비례대표제는 다당제와 친화성이 있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다수 대표 소선거구제는 정당의 통합과 유권자의 전략적 투표로 인해 양당제를 유발하며, 비례대표제는 소수 정당의 진입 장벽을 낮춰 다당제를 촉진한다.
하지만, 뒤베르제의 법칙은 여러 예외와 반증 사례를 가지며, 사회의 균열 구조, 지역 정당의 존재, 선거 제도 개혁 등에 따라 그 적용이 달라진다. 비판과 수정 과정을 거치며, 최근 연구에서는 선거 제도가 정당 체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정당 체제가 선거 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뒤베르제의 법칙은 한국과 일본 정치에도 적용되어 논의되었으며, 선거 제도 개혁과 정당 체제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표 이론 - 선거 제도
선거 제도는 국가 대표자를 선출하기 위한 규칙과 규정의 집합으로, 다수 대표제, 비례 대표제, 혼합 선거 제도로 분류되며, 헌법 또는 선거법에 의해 규정되고 유권자 참여, 의석 배분 등 다양한 측면을 포함하며, 콩도르세 기준 등으로 평가되고, 한국은 소선거구제와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 투표 이론 - 무효표
무효표는 선거에서 유권자의 의사를 명확히 알 수 없어 유효하지 않은 투표로 처리되는 표를 의미하며, 국가별 선거법 및 제도에 따라 무효표 기준과 유형, 처리 방식이 다양하고, 무효표 발생을 줄이기 위한 선거 제도 개선 및 유권자 교육이 중요하다. - 사람 이름을 딴 낱말 - 옴의 법칙
옴의 법칙은 1827년 게오르크 옴이 발표한, 전압(V)은 전류(I)와 저항(R)의 곱(V=IR)으로 표현되는, 전압, 전류, 저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 법칙이다. - 사람 이름을 딴 낱말 - 무어의 법칙
무어의 법칙은 집적회로의 성능이 일정 기간마다 두 배로 증가한다는 경험적 관찰로, 반도체 산업 발전을 이끄는 지표였으나, 최근 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기술 혁신을 통해 성능 향상이 지속되며 기술 혁신 과정 자체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뒤베르제의 법칙 | |
---|---|
뒤베르제의 법칙 | |
기본 정보 | |
유형 | 정치학 이론 |
설명 | 단순 다수결 투표 제도(single-member district plurality)는 양당제 경향을 가진다. 비례 대표제는 다당제 경향을 가진다. |
창시자 | 모리스 뒤베르제 |
발표 시기 | 1950년대 |
영향 | 정치 시스템 연구 |
관련 개념 | 정당 체제 선거 제도 |
주요 내용 | |
단순 다수제와 양당제 | 단순 다수제 선거 제도 하에서는 유권자들이 승산이 낮은 정당 대신 양대 정당 중 하나에 투표하는 경향이 있어서 결과적으로 양당제가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
비례 대표제와 다당제 | 비례 대표제는 다양한 정당이 의석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아 다당제가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
심리적 효과 | 유권자들이 전략적으로 투표를 결정하는 경향과 승자독식 제도의 영향으로 작은 정당이 성장하기 어렵다는 점을 설명한다. |
기계적 효과 | 득표율이 의석수로 직접 연결되는 선거 제도 자체의 영향력을 강조한다. |
예외 및 비판 | |
예외 사례 | 캐나다, 인도 등 일부 국가에서는 단순 다수제임에도 다당제가 유지되는 예외가 있다. |
비판 | 뒤베르제 법칙이 선거 제도가 정당 체제에 미치는 영향을 과도하게 단순화한다는 비판이 있다.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맥락 등 다른 요인도 정당 체제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이 있다. 전략적 투표를 지나치게 강조한다는 비판이 있다. |
활용 | |
연구 | 정치학 연구에서 선거 제도가 정치 체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도구로 사용된다. |
정책 | 선거 제도 개혁 논의에서 양당제와 다당제 사이의 균형을 고려하는 데 활용된다.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Masket, Seth (2023). Giving Minor Parties a Chance. Democracy Journal, 70. Blake, Aaron (2021). Why are there only two parties in American politics? Washington Post. Duverger, Maurice (1964). Political parties: their organization and activity in the modern state. London: Methuen. |
2. 원인과 작동 원리
모리스 뒤베르제는 단순 다수대표 소선거구제가 양당제와 친화적인 이유를 두 가지 제시했다. 첫째는 약한 정당들이 "통합"(연합도 통합과 유사)을 통해 서로 합쳐지거나 큰 정당에 흡수되기 때문이다. 둘째는 유권자들이 점차 약한 정당은 당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여 투표를 포기하면서 유권자에 의한 "제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4][5][6]
뒤베르제의 법칙에 따르면 단순다수대표제는 양당제와, 비례대표제는 다당제와 친화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여러 예외와 반증 사례가 존재한다.
뒤베르제가 제시한 예시를 통해 이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급진적 성향의 유권자 8만 명, 온건한 성향의 유권자 10만 명이 있고, 급진적 후보 1명, 온건한 후보 2명이 출마한 상황을 가정해 보자. 온건한 후보 중 한 명이 2만 표 이하를 얻지 않는 한, 급진적 후보가 당선된다. 그러나 유권자들은 전략적으로 사고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후보에게 집중적으로 투표해 급진적 후보를 낙선시킨다. 이러한 상황에서 온건한 정당 2개는 서로 통합하거나, 하나가 사라지게 된다. 뒤베르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양대 정당으로 수렴되는 현상을 양극화라고 불렀다.[7]
소선거구제에서는 각 지역구에서 1명만 선출하므로 유권자는 한 명에게만 투표한다. 따라서 소선거구제는 제3당의 발전을 억제하고 양대 정당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이는 소선거구제에서 당선될 가능성이 있는 후보는 소수에 불과하다는 인식에 기반한다. 합리적인 유권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정당의 후보보다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에게 투표하게 되고, 결국 표는 어느 정도 우파와 어느 정도 좌파 양당에 집중된다.
비례대표제, 특히 전국을 하나의 선거구로 하는 이스라엘과 같은 경우, 선거 제도는 다당제를 촉진한다. 득표수가 정당의 의석을 결정하므로, 새로운 정당은 틈새 공략을 통해 발전할 수 있다. 따라서 비례대표제는 다당제와 친화적이다.
뒤베르제는 다수 대표제가 새로운 정치 세력의 등장을 늦추고 약화되는 세력의 소멸을 가속화하는 반면, 비례 대표제는 반대의 효과를 갖는다고 보았다.[7]
같은 선거구에서 여러 번 선거 및 여론조사가 실시되면, 유권자들은 각 후보자의 득표수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자신의 지지 후보가 당선에 필요한 득표수보다 많은 표를 얻을 것으로 예상하는 유권자는 차선 후보(예: 같은 선거구, 같은 정당의 다른 후보)에게 투표해도 지지 후보가 낙선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지지 후보의 득표수가 당선 가능성이 낮다고 예상하는 유권자는, 더 적은 표로 당선될 수 있는 차선 후보에게 투표하는 것이 사표를 방지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이유로, 예상 순위가 당락을 다투는 후보에게 표가 집중되고, 그 외 후보의 득표수와 순위는 하락한다.
3. 예외 및 반증 사례
이러한 예외는 뒤베르제의 법칙이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선거 제도 외에도 다양한 요인이 정당 체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윌리엄 H. 라이커는 강력한 지역 정당이 존재할 경우, 단일 선거구에서 두 정당만 경쟁력을 갖더라도 의회에 두 개 이상의 정당이 의석을 확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10][11]
또한, 뒤베르제는 다수 대표제가 새로운 정치 세력의 등장을 지연시키고 약화되는 세력의 소멸을 가속화하는 반면, 비례 대표제는 반대의 효과를 갖는다고 제안했다.[7]
4. 평가 및 수정
뒤베르제의 법칙은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일부 학자들은 빈부 갈등과 같이 한 가지 균열 구조를 가진 사회에서는 이 법칙이 타당하지만, 종교, 지역, 문화, 언어 등 여러 균열 구조가 혼재하는 사회에서는 잘 맞지 않는다고 지적한다.[24] 예를 들어 특정 소수 민족이나 문화 집단이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다수대표제에서도 다당제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특정 세력이 한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지, 아니면 여러 지역에 흩어져 있는지도 법칙 적용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라이커(W. H. Riker)는 뒤베르제의 법칙 중 "단순 다수제는 양당제와 친화성이 있다"는 부분은 타당하지만, "결선투표제와 비례대표제는 다당제와 친화성이 있다"는 부분은 경험적 사례에 의해 부정된다고 주장했다.[24]
툴록(G. Tullock)과 같은 학자들은 많은 반례에도 불구하고 뒤베르제의 법칙이 타당하다고 보았다. 다만, "이 법칙이 실현되는데 200년이 걸리지만"이라는 단서를 달아, 법칙의 효과가 단기간이 아닌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다고 주장했다.[25]
최근 일부 연구자들은 선거 제도가 정당 체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정당 체제가 선거 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수정된 주장을 제시한다.[26] 단순다수대표제에서 비례대표제로 선거 제도를 개혁한 사례들은 주로 2개보다 많은 유효정당수가 있는 정당 체제에서 이루어졌으며, 비례대표제 도입 이후에도 실질적인 유효정당수가 증가하지 않았다는 점을 보여준다.[27]
케네스 베누아는 선거 제도와 정당 제도 간의 인과 관계가 상호적이거나 어느 한 방향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8] 호세프 콜로메르는 다수대표제에서 비례대표제로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의 실효 정당이 출현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실효 정당 수의 증가는 단기간이 아닌 중장기적으로 일어난다고 주장했다.[9]
맷 골더는 2016년에 현재까지의 경험적 증거를 검토하면서, 일부 모순되는 사례에도 불구하고 이 법칙은 여전히 유효한 일반화로 남아 있다고 결론지었다.[18]
스티븐 R. 리드는 2001년에 이탈리아에서 뒤베르제 법칙을 관찰할 수 있으며, 선거구의 80%가 점진적으로 하지만 상당히 두 개의 주요 정당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주장했다.[19] 그는 일본에서도 유사한 효과를 발견했는데, 이는 주요 정당의 수를 예상되는 결과로 이동시키는 느린 시행착오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20]
에릭 딕슨과 케네스 셰브는 2007년에 사회가 동질적이거나 밀접하게 분열되어 있을 때 뒤베르제 법칙이 가장 강력하지만, 여러 중간 정체성이 존재할 때 약화된다고 주장했다.[21] 뒤아멜은 이에 대한 증거로, 유권자의 25% 이상이 두 주요 연합체 외부의 정당에 투표하는 인도의 사례를 언급했다.[22]
5. 일본에서의 동향
스티븐 R. 리드는 2001년에 이탈리아에서 뒤베르제 법칙을 관찰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일본에서도 유사한 효과를 발견했는데, 이는 주요 정당의 수를 예상되는 결과로 이동시키는 느린 시행착오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설명했다.[20]
다나카 각에이는 경험칙으로 이것을 잘 알고 있었기에 나카가와 이치로의 파벌(나카가와 파)은 실패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당시 다나카 파, 후쿠다 파, 스즈키 파, 나카소네 파, 가와모토 파의 5개 파벌이 자유민주당 내에 존재하고 있었고, 당시 중의원 선거의 선거구 정수가 최대 5명이었기 때문에, 야당 의석을 고려하면 나카가와 파는 M+1(5+1=6)에 들어갈 수 없다는 계산이 성립했기 때문이었다.
1990년대 선거 제도 개혁에서 소선거구제를 도입하면 전국 단위로 양당제가 탄생할 것이라고 선전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뒤베르제가 양당제가 확립되는 데 20년에서 50년의 기간을 예상했던 점과, 정치학자 요시다 토오루는 캐나다나 인도처럼 소선거구제를 채택하면서도 양당제를 확립하지 못한 나라도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 공산당과 사회민주당은 1996년 이후 2012년 무렵 민주당 분열까지 소선거구제하에서는 이 법칙으로 자민당 비판표가 민주당 등으로 흘러가 버리는 것(특히, 당의 지지층이 전략적 투표를 해 버리는 것)을 우려하여 당대회 등에서도 언급했다.
참조
[1]
논문
Giving Minor Parties a Chance
https://democracyjou[...]
2023-09-01
[2]
뉴스
Why are there only two parties in American politics?
https://www.washingt[...]
2023-09-25
[3]
서적
Political parties: their organization and activity in the modern state
https://archive.org/[...]
London : Methuen
1964-01-01
[4]
논문
Maurice Duverger and the Study of Political Parties
https://web.archive.[...]
2011-12-17
[5]
서적
The Japanese Election System: Three Analytic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4-01-14
[6]
서적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Analysis: Concept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9-25
[7]
서적
Party Politics and Pressure Groups
Thomas Y. Crowell
[8]
논문
Electoral Laws as Political Consequences: Explaining the Origins and Change of Electoral Institutions
[9]
논문
It's Parties that Choose Electoral Systems (or Duverger's Law Upside Down)
https://web.archive.[...]
2009-05-31
[10]
논문
The Two-party System and Duverger's Law: An Essay on the History of Political Science
https://www.cambridg[...]
2020-04-12
[11]
서적
The political consequences of electoral laws
Yale University Press
1971
[12]
학술지
Analysing multiparty competition in plurality rule elections
http://eprints.lse.a[...]
[13]
학술지
Why Big Reform is Possible
https://democracyjou[...]
2023-09-01 # Fall 2023을 9월 1일로 가정
[14]
학술지
A dynamic Duverger's law
https://doi.org/10.1[...]
2015-12-01 # December 2015를 12월 1일로 가정
[15]
학술지
Variants of Ranked-Choice Voting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https://www.cogitati[...]
2021-06-15
[16]
학술지
Rehabilitating Duverger's Theory: Testing the Mechanical and Strategic Modifying Effects of Electoral Laws
http://journals.sage[...]
2006-08-01 # August 2006을 8월 1일로 가정
[17]
서적
A mathematical proof of Duverger’s law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8]
서적
Far from equilibrium: The state of the field on electoral system effects on party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19]
학술지
Duverger's Law is Working in Italy
2001-04-01 # April 2001을 4월 1일로 가정
[20]
학술지
Structure and Behaviour: Extending Duverger's Law to the Japanese Case
[21]
저널
Social Identity, Electoral Institutions and the Number of Candidates
http://www.nyu.edu/g[...]
2007-02-20
[22]
서적
Droit constitutionnel et institutions politiques
https://books.google[...]
Éditions du Seuil
2019
[23]
서적
Making votes count: strategic coordination in the world's electoral system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24]
논문
The Two-party System and Duverger's Law: An Essay on the History of Political Science
1982-12
[25]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6]
저널
Electoral Laws as Political Consequences: Explaining the Origins and Change of Electoral Institutions
2007-06
[27]
웹인용
It's Parties that Choose Electoral Systems (or Duverger's Law Upside Down)
http://www.political[...]
20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