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효정당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효정당수는 선거에서 경쟁하는 정당의 수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라악소와 타게페라가 제시한 공식, 그리고리 골로소프가 제안한 공식 등 여러 계산 방식이 존재하며, 각 공식은 득표율 또는 의석 점유율을 기반으로 한다. 유효정당수는 다양한 국가의 선거 결과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며, 좌석 곱 모델을 통해 예측할 수도 있다. 2020년 대한민국 총선 기준 유효정당수는 2.09로, 양당 체제를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당 제도 - 포괄정당
포괄정당은 다양한 사회 계층과 이념을 아우르며 폭넓은 지지 기반을 확보하고자 유연한 정책 기조를 유지하는 정당이지만, 정책 일관성 부재, 당내 갈등, 그리고 잠재적인 일당독재 가능성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 선거 제도 - 소선거구제
소선거구제는 한 선거구에서 최다 득표자 1인을 당선시키는 방식으로, 정국 안정 등의 장점이 있으나 사표 발생, 지역주의 심화 등의 단점도 나타나며, 대한민국에서 선거제도 개혁 논의가 진행된다. - 선거 제도 - 다수대표제
다수 대표제는 선거에서 다수 또는 과반수를 얻은 후보나 정당이 모든 의석을 차지하는 선거 제도로, 승자 독식의 원칙을 따르며, 신속한 상황 대처와 행정부-입법부 간 대립 감소에 기여하지만 소수 정당 의견 반영이 어렵고 사표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 정치학 - 공공 정책
공공정책은 정부가 사회 문제 해결 및 공공의 이익을 위해 선택하는 행동 또는 비행동으로, 제도적 기반 위에서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여러 과정을 거치며 최근 새로운 접근법이 시도되고 있다. - 정치학 - 국체
국체는 국가의 정치 체제를 의미하며 군주제와 공화제로 나뉘고, 각 체제는 국가원수 선출 방식과 권력 분배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정치적 혼란으로 분류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
유효정당수 | |
---|---|
유효 정당수 | |
유형 | 정당 시스템 측정 |
개발자 | 마르쿠 라악소와 레인 타게페라 |
개발 연도 | 1979년 |
목적 | 정당 시스템의 파편화 측정 |
계산식 | N = 1 / (Σ sᵢ²), 여기서 sᵢ는 i번째 정당의 의석 점유율 |
특징 | |
특징 | 유효 정당수는 정당 시스템의 파편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정당 수"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측정 방법 중 하나이다. 유효 정당수를 계산하는 데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Laakso, Markku; Taagepera, Rein (1979). ""Effective" Number of Parties: A Measure with Application to West Europe".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12 (1): 3–27. doi:10.1177/001041407901200101. S2CID 143250203. Molinar, Juan (1991). "Counting the Number of Parties: An Alternative Index".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85 (4): 1383–1391. doi:10.2307/1963951. S2CID 154924401.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The Oxford Handbook of Political Parties Constructing the Number of Parties Concentration of political power: Can we improve its measurement? |
2. 공식
유효정당수를 계산하는 대표적인 공식으로는 락소와 타게페라가 1979년에 제시한 방법[16]과 그리고리 골로소프가 2010년에 제시한 방법[17][9]이 있다.
락소-타게스페라 공식은 다음과 같으며, 정치학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골로소프 공식은 다음과 같다.
2. 1. 락소-타게스페라 공식
라악소(Laakso)와 타게페라(Taagepera)는 1979년[16] '유효 정당 수'(Effective Number of Parties, ENP)를 측정하는 방법을 처음으로 제시했으며, 그 공식은 다음과 같다.여기서 각 기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 유효 정당 수를 나타낸다.
- : 최소 한 표 또는 한 석이라도 얻은 정당의 총 수를 의미한다.
- : 번째 정당이 전체 득표수 또는 전체 의석 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 (예: 득표율 30%는 0.3으로 계산한다.)
- : 각 정당의 득표율(또는 의석 점유율)을 제곱하여 모두 더한 값이다.
이 공식은 단순히 정당의 개수만 세는 것이 아니라, 각 정당의 실질적인 영향력(득표율 또는 의석 점유율)을 가중치로 반영하여 정당 체제 내에서 실질적으로 경쟁하는 정당이 몇 개인지 보여주는 지표이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거대 정당이 대부분의 표나 의석을 차지하고 여러 군소정당이 존재하더라도, 유효 정당 수는 2에 가깝게 계산된다. 반면, 여러 정당이 비슷한 규모로 경쟁하는 다당제에서는 유효 정당 수가 실제 정당 수에 가깝게 높아진다.
락소-타게스페라 공식은 오늘날 정치학에서 정당 시스템의 경쟁 구도를 분석하고 비교하는 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표준적인 방법이다.
이 척도는 다른 학문 분야에서 사용되는 지수들과 수학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경제학에서 시장 집중도를 측정하는 허핀달-허쉬만 지수, 생태학에서 종 다양성을 측정하는 심슨 다양성 지수(정확히는 그 역수인 역 심슨 지수), 물리학의 역 참여 비율(IPR), 정보 이론에서의 차 레니 엔트로피 등이 대표적이다. 이는 서로 다른 분야에서 시스템 내 구성 요소들의 분포나 집중도를 측정하려는 유사한 필요성에 따라 동일한 수학적 해법이 도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2. 2. 골로소프 공식
2010년 그리고리 골로소프는 기존 방식에 대한 대안으로 새로운 유효정당수 계산법을 제시했다.[17][9]골로소프가 제시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위 공식은 최소 한 표 또는 한 석이라도 얻은 정당만을 고려할 경우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정당의 수, 는 각 정당의 득표율 또는 의석 점유율, 은 제1당(가장 큰 정당)의 득표율 또는 의석 점유율이다. 공식 내의 는 각 정당의 해당 비율의 제곱을, 은 제1당의 해당 비율의 제곱을 나타낸다.
3. 공식별 결과 비교
두 가지 주요 계산 방식인 락소-타게스페라 방식과 골로소프 방식에 따라, 8개의 가상적인 정당 득표율 또는 의석 점유율 상황에서 유효정당수를 계산한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상황 | 제1당 득표율/점유율 | 기타 정당 득표율/점유율 | 유효정당수 (락소-타게스페라) | 유효정당수 (골로소프) |
---|---|---|---|---|
A | 0.75 | 0.25 | 1.60 | 1.33 |
B | 0.75 | 0.1, 15개 정당 각 0.01 | 1.74 | 1.42 |
C | 0.55 | 0.45 | 1.98 | 1.82 |
D | 0.55 | 3개 정당 각 0.1, 15개 정당 각 0.01 | 2.99 | 2.24 |
E | 0.35 | 0.35, 0.3 | 2.99 | 2.90 |
F | 0.35 | 5개 정당 각 0.1, 15개 정당 각 0.01 | 5.75 | 4.49 |
G | 0.15 | 5개 정당 각 0.15, 0.1 | 6.90 | 6.89 |
H | 0.15 | 7개 정당 각 0.1, 15개 정당 각 0.01 | 10.64 | 11.85 |
4. 좌석 곱 모델
5. 국가별 유효 정당 수
개별 국가의 마지막 선거에서 계산된 유효 의회 정당 수(ENPP)는 다음과 같다.[12] 유효 정당 수가 가장 높은 국가로는 브라질, 벨기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등이 있다.
국가 | 연도 | 유효 정당 수 |
---|---|---|
알바니아 | 2021 | 2.18 |
안도라 | 2023 | 2.36 |
앙골라 | 2022 | 2.06 |
앤티가 바부다 | 2023 | 2.43 |
아르헨티나 | 2023 | 3.04 |
아르메니아 | 2021 | 1.93 |
호주 | 2022 | 3.15 |
오스트리아 | 2019 | 3.94 |
바하마 | 2021 | 1.42 |
바베이도스 | 2022 | 1.00 |
벨기에 | 2019 | 9.70 |
벨리즈 | 2020 | 1.37 |
버뮤다 | 2020 | 1.38 |
부탄 | 2023-24 | 1.86 |
볼리비아 | 2020 | 2.28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2022 | 9.00 |
보츠와나 | 2019 | 1.94 |
브라질 | 2022 | 9.91 |
불가리아 | 2023 | 4.73 |
부르키나파소 | 2020 | 4.11 |
카보베르데 | 2021 | 2.20 |
캐나다 | 2021 | 2.76 |
칠레 | 2021 | 4.13 |
콜롬비아 | 2022 | 8.74 |
코스타리카 | 2022 | 4.90 |
크로아티아 | 2020 | 3.19 |
키프로스 | 2021 | 4.81 |
체코 | 2021 | 3.34 |
덴마크 | 2022 | 7.24 |
도미니카 연방 | 2022 | 1.21 |
도미니카 공화국 | 2020 | 2.75 |
엘살바도르 | 2021 | 2.99 |
에스토니아 | 2023 | 4.52 |
에티오피아 | 2021 | 1.07 |
페로 제도 | 2019 | 5.26 |
피지 | 2022 | 2.63 |
핀란드 | 2023 | 5.56 |
프랑스 | 2022 | 3.72 |
감비아 | 2022 | 4.80 |
조지아 | 2020 | 2.37 |
독일 | 2021 | 5.51 |
가나 | 2020 | 2.01 |
지브롤터 | 2019 | 3.04 |
그리스 | 2023 | 3.09 |
그린란드 | 2021 | 3.52 |
그레나다 | 2022 | 1.92 |
과테말라 | 2023 | 7.26 |
기니 | 2020 | 2.06 |
기니비사우 | 2023 | 2.64 |
가이아나 | 2020 | 2.06 |
온두라스 | 2021 | 3.26 |
헝가리 | 2022 | 1.84 |
아이슬란드 | 2021 | 6.29 |
인도 | 2019 | 2.17 |
인도네시아 | 2024 | 7.26 |
아일랜드 | 2020 | 5.98 |
이스라엘 | 2022 | 6.51 |
이탈리아 | 2022 | 2.40 |
자메이카 | 2020 | 1.53 |
일본 | 2021 | 2.69 |
코소보 | 2021 | 3.49 |
라트비아 | 2022 | 6.14 |
레소토 | 2022 | 3.42 |
라이베리아 | 2023 | 6.44 |
리히텐슈타인 | 2021 | 2.93 |
리투아니아 | 2020 | 4.84 |
룩셈부르크 | 2023 | 4.43 |
말라위 | 2019 | 5.19 |
말레이시아 | 2022 | 7.72 |
몰타 | 2022 | 1.97 |
모리셔스 | 2019 | 2.29 |
멕시코 | 2021 | 2.13 |
몰도바 | 2021 | 2.03 |
모나코 | 2023 | 1.00 |
몽골 | 2024 | 2.45 |
몬테네그로 | 2023 | 4.85 |
모로코 | 2021 | 5.68 |
모잠비크 | 2019 | 1.67 |
나미비아 | 2019 | 2.16 |
네팔 | 2022 | 4.75 |
네덜란드 | 2023 | 7.03 |
뉴질랜드 | 2023 | 3.81 |
니제르 | 2020-21 | 3.85 |
북키프로스 | 2022 | 2.71 |
북마케도니아 | 2020 | 3.25 |
북아일랜드 | 2022 | 4.52 |
노르웨이 | 2021 | 5.56 |
파키스탄 | 2024 | 4.13 |
파나마 | 2019 | 3.07 |
파라과이 | 2023 | 2.68 |
페루 | 2021 | 6.20 |
폴란드 | 2023 | 3.13 |
포르투갈 | 2022 | 2.66 |
루마니아 | 2020 | 4.30 |
러시아 | 2021 | 1.85 |
세인트키츠 네비스 | 2022 | 2.57 |
세인트루시아 | 2021 | 1.65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2020 | 1.92 |
산마리노 | 2019 | 4.63 |
상투메 프린시페 | 2022 | 2.41 |
스코틀랜드 | 2021 | 2.96 |
세네갈 | 2022 | 2.61 |
세르비아 | 2023 | 2.90 |
세이셸 | 2020 | 1.69 |
시에라리온 | 2023 | 1.92 |
싱가포르 | 2020 | 1.24 |
슬로바키아 | 2023 | 5.44 |
슬로베니아 | 2022 | 3.04 |
남아프리카 공화국 | 2019 | 2.57 |
대한민국 | 2020 | 2.09 |
스페인 | 2023 | 3.44 |
스리랑카 | 2020 | 2.10 |
수리남 | 2020 | 3.53 |
스웨덴 | 2022 | 5.18 |
스위스 | 2023 | 5.13 |
대만 | 2024 | 2.38 |
태국 | 2023 | 4.86 |
동티모르 | 2023 | 3.02 |
트리니다드 토바고 | 2020 | 1.99 |
튀르키예 | 2023 | 2.35 |
우간다 | 2021 | 2.34 |
우크라이나 | 2019 | 2.64 |
영국 | 2024 | 2.23 |
미국 | 2022 | 2.00 |
우루과이 | 2019 | 3.31 |
우즈베키스탄 | 2024 | 3.73 |
웨일스 | 2021 | 2.71 |
잠비아 | 2021 | 2.35 |
참조
[1]
논문
"Effective" Number of Parties: A Measure with Application to West Europe
https://escholarship[...]
1979
[2]
서적
Patterns of Democracy
Yale UP
1999
[3]
논문
Concentration of political power: Can we improve its measurement?
2024
[4]
서적
Electoral Systems and Party Systems: A Study of Twenty-seven Democracies, 1945–1990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4-01-01
[5]
웹사이트
The Measurement of Hyperfractionalization
http://cps.sagepub.c[...]
Cps.sagepub.com
1971-07-01
[6]
논문
Counting the Number of Parties: An Alternative Index
1991-01-01
[7]
논문
Constructing the Number of Parties
http://eprints.lse.a[...]
2003
[8]
간행물
"A Solution to the Seat-Product Problem
https://preprints.ap[...]
2024
[9]
논문
The Effective Number of Parties: A New Approach
2010
[10]
서적
Predicting Party Siz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1]
논문
The Seat Product Model of the effective number of parties: A case for applied political science
https://doi.org/10.1[...]
2016
[12]
웹사이트
Election Indices
https://www.tcd.ie/P[...]
[13]
웹사이트
http://books.google.[...]
[14]
웹사이트
http://cps.sagepub.c[...]
[15]
웹사이트
http://www.jstor.org[...]
[16]
논문
Effective Number of Parties: A Measure with Application to West Europe
1979
[17]
논문
The Effective Number of Parties: A New Approach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