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니 아르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니 아르캉(Denis Arcand)은 퀘벡 출신의 캐나다 영화 감독, 작가, 배우이다. 몬트리올 대학교에서 영화 제작을 공부하고 캐나다 국립 영화 위원회에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며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사회 문제를 다룬 작품으로 주목받았으며, 장편 영화로도 활동하며 여러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대표작으로는 《미국 제국의 쇠퇴》, 《몬트리올의 예수》, 《야만적 침략》 등이 있으며, 아카데미상 후보에 여러 번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트리올 대학교 동문 - 피에르 트뤼도
캐나다의 제15대 총리인 피에르 트뤼도는 자유당 소속으로 하원의원을 거쳐 법무장관을 역임하며 진보적인 정책을 추진했고, 총리 재임 시절에는 외교 정책을 펼치고 헌법 개정을 통해 캐나다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했으며, 그의 장남 쥐스탱 트뤼도 또한 캐나다의 총리를 역임했다. - 몬트리올 대학교 동문 - 로제 기유맹
로제 기유맹은 뇌하수체 호르몬 조절 연구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프랑스 출신의 내분비학자이자 신경과학자로, 시상하부 호르몬이 뇌하수체 호르몬 생성을 조절함을 규명하고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과 성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의 구조를 밝혀냈으며, 소마토스타틴 발견 및 엔도르핀 분리 연구에도 기여하는 등 신경내분비학 분야에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다. - 세자르상 감독상 수상자 - 에토레 스콜라
에토레 스콜라는 사회 비판적 시각과 휴머니즘을 결합한 작품들로 국제적 명성을 얻은 이탈리아의 영화감독이자 각본가로, 《우리는 서로를 너무나 사랑했네》, 《특별한 날》 등의 대표작이 있으며 말년에는 오페라 연출가로도 활동했다. - 세자르상 감독상 수상자 - 알랭 레네
알랭 레네는 1922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2014년 사망한 프랑스의 영화감독으로, 기억과 시간의 복잡성을 탐구하며 마르그리트 뒤라스 등과의 협업을 통해 독창적인 영화 세계를 구축했고, 《히로시마 내 사랑》 등 다수의 작품으로 칸 영화제 등에서 수상했다. -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 수상자 - 구로사와 아키라
구로사와 아키라는 권위 있는 미술상 수상 경력과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참여 이력을 가진 일본의 영화 감독으로, 다양한 장르의 걸작들을 통해 세계 영화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독특한 시각적 연출과 휴머니즘, 유머가 돋보이는 작품들로 많은 감독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 수상자 - 봉준호
봉준호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로, 《플란다스의 개》로 데뷔하여 《살인의 추억》, 《괴물》, 《기생충》 등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연출하며 세계적인 거장으로 인정받았다.
드니 아르캉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조르주-앙리 드니 아르캉 |
출생일 | 1941년 6월 25일 |
출생지 | 데샹보, 퀘벡 주, 캐나다 |
배우자 | 드니즈 로베르 |
모교 | 몬트리올 대학교 |
직업 | 영화 감독, 영화 각본가, 영화 제작자 |
활동 기간 | 1962년–현재 |
친척 | 베르나르 아르캉 (형제) 가브리엘 아르캉 (형제) 아드리앵 아르캉 (종조부) |
수상 | |
세자르 상 - 감독상 | 2003년 《바바리안의 침략》 |
세자르 상 - 최우수 작품상 | 2003년 《바바리안의 침략》 |
세자르 상 - 각본상 | 2003년 《바바리안의 침략》 |
지니상 - 감독상 | 1986년 《미국 제국의 몰락》 1989년 《몬트리올의 예수》 2003년 《바바리안의 침략》 |
지니상 - 오리지널 각본상 | 1986년 《미국 제국의 몰락》 1989년 《몬트리올의 예수》 2003년 《바바리안의 침략》 |
서훈 | |
외부 링크 | |
캐나다 영화 백과사전 | 드니 아르캉 |
캐나다 명예의 거리 | 캐나다 명예의 거리 |
2. 초기 생애 및 교육
아르캉은 캐나다 퀘벡 주 데샹보에서 태어났다. 그는 퀘벡 시에서 남서쪽으로 40km 떨어진 마을에서 독실한 로마 가톨릭 신자 가정에서 자랐으며, 9년 동안 예수회 학교에 다녔다. 10대가 되면서 가족은 몬트리올로 이사했고, 프로 테니스 선수를 꿈꿨지만, 몬트리올 대학교에서 역사학 석사 학위를 공부하면서 영화 제작에 참여하게 되어 새로운 방향 감각을 얻게 되었다. 몬트리올 대학교 재학 중 영화 제작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졸업 후 캐나다 국립 영화 센터에서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다.
몬트리올 대학교 재학 중 영화 제작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졸업 후 캐나다 국립 영화 센터에 참여하여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다. 이후 다큐멘터리 연출로 복귀했고, 텔레비전 작업은 하지 않았다.
3. 경력
영화 《Jesus of Montreal영어》로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 《야만적 침략》으로 아카데미 국제장편영화상, 칸 영화제 각본상과 세자르상을 수상했다.
아내 드니즈 로베르는 영화 프로듀서이다.
3. 1. 초기 경력 (1960년대 - 1970년대)
1963년, 그는 캐나다 국립 영화 위원회에 입사하여 모국어인 프랑스어로 여러 수상 경력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다. 사회 운동가였던 그는 1970년 섬유 노동자 착취를 보여주는 장편 다큐멘터리 ''면방적 공장, 쳇바퀴 (On est au coton)''을 제작했다. 이 영화는 큰 소란을 일으켰고, 그 결과 수년간 공개적으로 배포되지 못했다. 아르캉은 엄청난 홍보 효과를 얻었고, 이는 그의 신생 경력에 큰 힘을 실어주었다. 그는 또한 여러 TV 시리즈에 참여했는데, 특히 프레미어 모리스 뒤플레시에 관한 역사적 작품인 ''뒤플레시''의 각본을 썼다(감독하지는 않음).
1970년대 초, 아르캉은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은 여러 장편 영화를 제작했다.
3. 2. 중흥기 (1980년대 - 2000년대)
캐나다 국립 영화 위원회에 입사하여 모국어인 프랑스어로 여러 수상 경력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다. 1982년, 다큐멘터리 ''편안함과 무관심 (Le confort et l'indifférence)''은 퀘벡 영화 평론가 협회로부터 뤽 페로 상을 수상했다.[7] 1986년에는 당시 퀘벡(및 캐나다) 역사상 최고 흥행 영화였던 ''미국 제국의 쇠퇴 (Le Déclin de l'empire américain)''의 각본을 쓰고 연출했다.
''미국 제국의 쇠퇴''는 캐나다 지니 상에서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감독상, 최우수 각본상을 수상했다. 또한 칸 영화제에서 "국제 비평가상"을 수상했으며,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오른 최초의 캐나다 장편 영화였다. 3년 후 아르캉은 1989년작 ''몬트리올의 예수 (Jésus de Montréal)''로 지니 상 3개 부문(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감독상, 최우수 각본상)과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을 수상하며 동일한 업적을 반복했다. 이 영화로 아르캉은 두 번째 아카데미상 후보에 올랐는데, 이는 캐나다 감독 최초의 성과였다.
아르캉은 1993년 그의 첫 영어 영화인 ''사랑과 인간의 잔해''를 제작 및 연출했으며, 2000년에는 토론토 국제 영화제 개막작인 영화 ''스타덤''을 제작했다. 이후 2년간 많은 사람들이 그의 최고 시네마 각본 작품이라고 주장하는 ''야만적 침략'' (''Les invasions barbares'')의 각본을 썼다. 2003년 개봉한 이 영화는 아르캉에게 칸 영화제 각본상, 골든 글로브 상 외국어 영화상 후보 지명,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안겨주었다. 또한, 드니 아르캉은 아카데미 각본상 후보에도 올랐다. ''야만적 침략''은 프랑스에서 2004년 세자르 영화상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감독상, 최우수 각본상을 수상했다.[8]
3. 3. 후기 경력 (2000년대 후반 - 현재)
2000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 개막작인 영화 ''스타덤''을 제작했다. 이후, 많은 사람들이 그의 최고 시네마 각본 작품으로 꼽는 ''야만적 침략'' (''Les invasions barbares'')의 각본을 쓰는 데 2년을 보냈다. 2003년에 개봉된 이 영화는 아르캉에게 칸 영화제 각본상, 골든 글로브 상 외국어 영화상 후보 지명,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안겨주었다. 또한, 드니 아르캉은 아카데미 각본상 후보에도 올랐다. ''야만적 침략''은 프랑스에서 2004년 세자르 영화상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감독상, 최우수 각본상을 수상했다.[8]
아르캉의 영화 ''어둠의 시대 (L'Âge des ténèbres)''는 2007년 칸 영화제 폐막작으로 선정되었다.[9] 언론 시사회는 침울했고, 이후 평가는 엇갈렸다.[10] 이후 7년 동안 장편 영화 연출을 중단했고, 2014년 영화 ''아름다움의 통치''로 복귀했다.
4. 수상 및 서훈
- 1988년: 캐나다 훈장 장교(Officer)
- 1990년: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 1990년: 퀘벡 국가 훈장 기사
- 1995년: 총독 공연 예술상 (평생 예술 업적 부문)
- 2004년: 프랑스 예술 문학 훈장 사령관(Commander)
- 2004년: 캐나다 명예의 전당 헌액
- 2005년: 캐나다 훈장 동반자(Companion)
- 캐나다 왕립 예술원 회원
- 2023년: 캐나다 감독 조합 평생 공로상
5. 개인사
아르캉은 냉담한 가톨릭 신자이다.[17] 그는 두 번째 결혼을 했으며, 아르캉과 그의 제작자이자 아내인 데니스 로베르 모두 자녀가 없다. 그는 55세에 중국에서 카터라는 이름의 고아 남자아이를 입양했다.[18] 그의 형제 베르나르 아르캉 (1945–2009)은 인류학 교수였으며, 그의 막내 동생 가브리엘 아르캉 (1949년생)은 유명한 캐나다 배우이다. 그의 증조부 아드리앙 아르캉 (1899-1967)은 악명 높은 극우 정치인이었다.
6. 작품 목록
제목 | 연도 | 비고 |
---|---|---|
미제국의 추락 | 2018 | |
아름다운 유혹 | 2014 | |
무지의 시대 | 2007 | |
데어 이즈 노 디렉션 | 2005 | |
해안선 | 2004 | |
야만적 침략 | 2003 | |
가면 속의 정사 | 1993 | |
레올로 | 1992 | |
몬트리올 예수 | 1989 | |
미제국의 몰락 | 1986 | |
Gina | 1975 | |
더러운 돈 | 1972 | |
아메리카 제국의 쇠퇴 'Le Déclin de lempire américain'' | 1986 | 몬트리올의 예수영어와 중복 |
몬트리올의 예수영어 Jésus de Montréal | 1989 | |
행복의 선택 Stardom | 2000 | 스타덤과 중복 |
침략자들 Les Invasions barbares | 2003 | 야만적 침략과 중복 |
6. 1. 감독
1963년, 캐나다 국립 영화 위원회에 입사하여 모국어인 프랑스어로 여러 수상 경력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다.[7] 사회 운동가였던 그는 1970년 섬유 노동자 착취를 보여주는 장편 다큐멘터리 ''면방적 공장, 쳇바퀴(On est au coton)''을 제작했다. 이 영화는 큰 소란을 일으켰고, 그 결과 수년간 공개적으로 배포되지 못했다. 아르캉은 엄청난 홍보 효과를 얻었고, 이는 그의 신생 경력에 큰 힘을 실어주었다.[7] 1970년대 초, 아르캉은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은 여러 장편 영화를 제작했다.1982년, 그의 다큐멘터리 ''편안함과 무관심 (Le confort et l'indifférence)''은 퀘벡 영화 평론가 협회로부터 뤽 페로 상을 수상했다.[7] 1986년 그는 당시 퀘벡(및 캐나다) 역사상 최고 흥행 영화였던 ''미국 제국의 쇠퇴 (Le Déclin de l'empire américain)''의 각본을 쓰고 연출했다. 이 영화는 캐나다 지니 상에서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감독상, 최우수 각본상을 수상했고, 칸 영화제에서 "국제 비평가상"을 수상했으며,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오른 최초의 캐나다 장편 영화가 되었다. 3년 후 아르캉은 1989년작인 ''몬트리올의 예수 (Jésus de Montréal)''로 이와 동일한 세 개의 지니 상과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을 수상하며 이 업적을 반복했다. 이 영화는 그에게 두 번째 아카데미상 후보 지명을 안겨주었고, 이는 캐나다 감독 최초의 성과였다.
아르캉은 1993년 그의 첫 영어 영화인 ''사랑과 인간의 잔해''를 제작하고 연출했으며, 2000년에는 토론토 국제 영화제의 개막작인 영화 ''스타덤''을 제작했다. 그 후 그는 ''야만적 침략'' (''Les invasions barbares'')의 각본을 쓰는 데 2년을 보냈다. 2003년에 개봉된 이 영화는 아르캉에게 칸 영화제 각본상, 골든 글로브 상 외국어 영화상 후보 지명, 그리고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안겨주었다. 또한, 드니 아르캉은 아카데미 각본상 후보에 올랐다. ''야만적 침략''은 프랑스에서 2004년 세자르 영화상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감독상, 그리고 최우수 각본상을 수상했다.[8]
아르캉의 영화 ''어둠의 시대 (L'Âge des ténèbres)''는 2007년 칸 영화제 폐막작으로 선정되었다.[9] 언론 시사회는 침울했고, 이후의 평가는 엇갈렸다.[10] 이 후 그는 7년 동안 장편 영화 연출을 중단했고, 2014년 영화 ''아름다움의 통치''으로 복귀했다.
그는 여러 TV 시리즈에 참여했는데, 특히 모리스 뒤플레시에 관한 역사적 작품인 ''뒤플레시''의 각본을 썼다(감독하지는 않음).[7]
6. 1. 1. 장편 영화
제목 | 연도 | 비고 |
---|---|---|
미제국의 추락 | 2018 | |
아름다운 유혹 | 2014 | |
무지의 시대 | 2007 | |
데어 이즈 노 디렉션 | 2005 | |
해안선 | 2004 | |
야만적 침략 | 2003 | |
가면 속의 정사 | 1993 | |
레올로 | 1992 | |
몬트리올 예수 | 1989 | |
미제국의 몰락 | 1986 | |
Gina | 1975 | |
더러운 돈 | 1972 | |
레잔 파도바니 | 1973 | |
오비드 플루프의 범죄 | 1984 | |
사랑과 인간의 잔해 | 1993 | |
빈곤과 기타 즐거움 | 1996 | |
스타덤 | 2000 | |
어둠의 시대 | 2007 | |
미를 위한 눈 | 2014 | |
미국 제국의 몰락 | 2018 | |
유언 | 2023 | |
아메리카 제국의 쇠퇴 | 1986 | 몬트리올의 예수영어와 중복 |
몬트리올의 예수영어 | 1989 | |
행복의 선택 | 2000 | 스타덤과 중복 |
침략자들 | 2003 | 야만적 침략과 중복 |
6. 1. 2. 단편 영화
제공된 자료에 따르면, 드니 아르캉 감독이 연출한 단편 영화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제시된 작품들은 모두 장편 영화이다.6. 1. 3. TV
원문에 제시된 작품들은 모두 영화이며, TV 작품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드니 아르캉이 감독한 TV 작품은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는다."라고 기술하는 것이 적절하다.6. 1. 4. 다큐멘터리
1963년, 캐나다 국립 영화 위원회에 입사하여 모국어인 프랑스어로 여러 수상 경력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다.[7] 사회 운동가였던 그는 1970년 섬유 노동자 착취를 보여주는 장편 다큐멘터리 ''면방적 공장, 쳇바퀴 (On est au coton)''을 제작했다. 이 영화는 큰 소란을 일으켰고, 그 결과 수년간 공개적으로 배포되지 못했다.[7] 아르캉은 엄청난 홍보 효과를 얻었고, 이는 그의 신생 경력에 큰 힘을 실어주었다.[7]1982년, 그의 다큐멘터리 ''편안함과 무관심 (Le confort et l'indifférence)''은 퀘벡 영화 평론가 협회로부터 뤽 페로 상을 수상했다.[7]
그는 또한 여러 TV 시리즈에 참여했는데, 특히 프레미어 모리스 뒤플레시에 관한 역사적 작품인 ''뒤플레시''의 각본을 썼다(감독하지는 않음).[7]
아르캉은 다큐멘터리 연출로 돌아갔고, 텔레비전 작업은 하지 않았다.[7]
제작한 다큐멘터리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제목 | 연도 | 비고 |
---|---|---|
샹플랭(Champlain) | 1964 | 단편 영화 |
퀘벡 1603 - 사무엘 드 샹플랭(Québec 1603 - Samuel de Champlain) | 1964 | 단편 영화 |
레 몽레알리스트(Les Montréalistes) | 1965 | 단편 영화 |
몬트리올, 어느 여름날(Montréal, un jour d'été) | 1965 | 단편 영화 |
라 루트 드 루에스트(La route de l'Ouest) | 1965 | 단편 영화 |
발리볼(Volleyball) | 1966 | 단편 영화 |
아틀란틱 공원(Parcs atlantiques) | 1967 | 단편 영화 |
퀘벡: 뒤플레시스와 그 후(Quebec: Duplessis and After (Québec : Duplessis et après...)) | 1972 | |
라 뤼트 데 트라바이에르 도피토(La lutte des travailleurs d'hôpitaux) | 1976 | 단편 영화 |
코튼 밀, 트레드밀(On est au coton) | 1976 | (1970년에 제작되었지만 개봉 보류) |
'편안함과 무관심(Le confort et lindifférence)'' | 1982 |
6. 2. 배우
연도 | 제목 | 비고 |
---|---|---|
2018 | 미제국의 추락 | |
2014 | 아름다운 유혹 | |
2007 | 무지의 시대 | |
2005 | 데어 이즈 노 디렉션 | |
2004 | 해안선 | |
2003 | 야만적 침략 | |
1993 | 가면 속의 정사 | |
1992 | 레올로 | |
1989 | 몬트리올 예수 | |
1986 | 미제국의 몰락 | |
1975 | Gina | |
1972 | 더러운 돈 | |
1968 | 자크 카르티에의 잘못이 아니야(C'est pas la faute à Jacques Cartier) |
참조
[1]
웹사이트
Denys Arcand
https://www.thecanad[...]
2024-06-27
[2]
웹사이트
Canada's Walk of Fame
https://www.canadasw[...]
2024-06-27
[3]
Youtube
"The Barbarian Invasions" Wins Foreign Language Film: 2004 Oscars
https://www.youtube.[...]
[4]
Youtube
"The Assault" Wins Best Foreign Language Film: 1987 Oscars
https://www.youtube.[...]
[5]
Youtube
Cinema Paradiso" Wins Foreign Language Film: 1990 Oscars
https://www.youtube.[...]
[6]
Youtube
Sofia Coppola winning Best Original Screenplay-Oscars on YouTube
https://www.youtube.[...]
[7]
뉴스
NFB documentary awarded prize
The Globe and Mail
1983-03-31
[8]
뉴스
Barbarian Invasions overwhelms César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8-01-04
[9]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L'Âge des ténèbres
http://www.festival-[...]
2009-12-20
[10]
웹사이트
Comedy awards gala yields gales of groans instead of guffaws
http://www.canada.co[...]
2009-05-17
[11]
간행물
2010-05-24
[12]
웹사이트
Ordre national du Quebec
http://www.ordre-nat[...]
[13]
웹사이트
Denys Arcand - biography
http://ggpaa.ca/awar[...]
Governor General's Performing Arts Awards Foundation
2014-01-24
[14]
웹사이트
"Canada's Walk of Fame: Denys Arcand, film director, Academy Award winner"
http://www.canadaswa[...]
2007-01-07
[15]
웹사이트
Members since 1880
http://www.rca-arc.c[...]
[16]
뉴스
In Brief: Denys Arcand to receive DGC Lifetime Achievement Award
https://playbackonli[...]
Playback
2023-10-12
[17]
뉴스
THE PASSION OF DENYS ARCAND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1990-07-22
[18]
뉴스
The Road to Stardom
2000-09-02
[19]
뉴스
TIFF 2018: Denys Arcand a fan of festival's good old days
https://montrealgaze[...]
Montreal Gazette
[20]
뉴스
Testament en salle le 5 octobre
https://www.filmsque[...]
Films du Québec
2023-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