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등자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등자뼈는 중이에 위치한 세 개의 작은 귀뼈 중 하나로, 인체에서 가장 작은 뼈이다. 난원창 위에 위치하며, 망치뼈 또는 모루뼈와 연결되어 소리 진동을 속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발생학적으로는 두 번째 인두궁에서 발달하며, 폐쇄공은 등골 동맥이 퇴화하면서 형성된다. 이 뼈는 포유류를 포함한 다양한 동물에서 발견되며, 다른 동물에서는 이주골 또는 설악골 등으로 불린다. 이경화증과 같은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외과적 수술로 치료하기도 한다. 등자뼈는 16세기 해부학자 조반니 필리포 잉그라시아 또는 페드로 히메노에 의해 처음 묘사되었으며, 등자와 유사한 모양 때문에 등자뼈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경부 뼈 - 목동맥고랑
  • 두경부 뼈 - 미간
    미간은 눈썹 사이 이마 부분을 가리키는 용어로 탈수 증상 진단에 활용되는 피부 부위이자 미간 반사가 일어나는 곳이며, 도교에서는 상단전, 관상학에서는 인당 또는 명궁, 미용 분야에서는 미간 간격과 비율이 중요하게 다뤄진다.
등자뼈
기본 정보
사람 귀의 중이 부분의 그림. 망치뼈, 모루뼈, 등자뼈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사람 귀의 중이 부분의 그림. 망치뼈, 모루뼈, 등자뼈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라틴어stapes
어원제2 인두굽이
계통청각계
위치중이
연결모루등자관절
상세 정보
설명중이에 있는 뼈

2. 구조

등자뼈는 중이에 있는 3개의 이소골 중 세 번째 뼈이자 인체에서 가장 작은 뼈이다. 등자 모양을 하고 있으며 크기는 대략 3mm × 2.5mm이다.[16] 난원창 위에 위치하며, 등골 고리 인대에 의해 연결되고, 망치뼈 또는 침골과 침등자관절을 통해 연결된다.[3][18] 앞다리와 뒷다리(crurala)에 의해 연결된다.[2][17]

등골의 크기는 10센트 유로 동전과 비교된다.

2. 1. 발생

등자뼈는 배아 발달 6~8주차에 두 번째 인두궁에서 발달한다. 등자뼈 가운데 구멍인 폐쇄공은 배아 시기에 등골 동맥이 존재하기 때문에 생기며, 이는 정상적인 발달 과정에서 인간에게서 보통 퇴화한다.[3][4]

2. 2. 다른 동물

등자뼈는 포유류의 세 소골 중 하나이다. 포유류가 아닌 사지형 동물에서 등자뼈와 상동하는 뼈는 일반적으로 이주골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파충류에서는 두 용어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어류에서는 상동하는 뼈를 설악골이라고 하며, 종에 따라 분수공 또는 턱을 지지하는 아가미궁의 일부이다. 양서류에서 이에 해당하는 용어는 pars media plectrala이다.[3][5]

2. 3. 변이

등자뼈는 다양한 민족 집단에서 크기가 비교적 일정하게 나타난다.[6] 사람의 0.01~0.02%에서 등자 동맥이 퇴화하지 않고 중심 구멍에 남아 있는 경우가 있다.[7] 이 경우, 영향을 받은 귀에서 맥동 소리가 들리거나 아무런 증상이 없을 수 있다.[8] 드물게, 등자뼈가 완전히 없을 수도 있다.[9][12]

3. 기능

등자뼈는 망치뼈속귀 사이에 위치하며, 망치뼈로부터 속귀의 난원창(달걀창)으로 소리 진동을 전달한다. 등자뼈는 안면 신경의 지배를 받는 등골근에 의해 안정되어 있다.[2]

4. 임상적 의의

이경화증은 등골이 난원창에 부착되어 소리 전달을 방해하고, 전음성 난청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이다. 등골 절제술과 등골 절개술이 흔한 치료법이다.[10][11] 수술은 지속성 등골 동맥 등의 요인으로 인해 복잡해질 수 있다.[7][12]

4. 1. 이경화증

이경화증은 내이에서 비정상적인 뼈 재형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선천적이거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종종 이것은 등골이 난원창에 부착되게 하여 소리 전달 능력을 방해하며, 전음성 난청의 원인이 된다. 임상적 이경화증은 약 1%의 사람들에게서 발견되지만, 눈에 띄는 청력 손실을 일으키지 않는 형태에서는 더 흔하다. 이경화증은 젊은 연령대와 여성에게서 더 흔하다.[10] 두 가지 흔한 치료법은 등골을 외과적으로 제거하고 인공 보형물로 교체하는 등골 절제술과 등골 기저부에 작은 구멍을 만들어 그 구멍에 인공 보형물을 삽입하는 등골 절개술이다.[11] 수술은 지속성 등골 동맥, 뼈 기저부의 섬유증 관련 손상 또는 폐쇄성 이경화증으로 인해 기저부가 폐쇄되어 복잡해질 수 있다.[7][12]

4. 2. 지속성 등골 동맥

지속성 등골 동맥은 등골 절제술이나 stapedotomy 수술 시에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이다.[23][28]

5. 역사

조반니 필리포 잉그라시아가 처음 묘사한 등자뼈


등자뼈는 1546년 나폴리 대학교의 교수 조반니 필리포 잉그라시아에 의해 발견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만,[13] 잉그라시아의 묘사가 그의 1603년 해부학적 논평인 In Galeni librum de ossibus doctissima et expectatissima commentariala에서 사후에 출판되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란이 있다. 스페인 해부학자 페드로 히메노가 Dialogus de re medicala (1549)에서 출판된 설명을 통해 처음으로 인정받았다.[14] 이 뼈는 등자(stapesla)와 닮아서 그렇게 명명되었는데, 이는 "서다"라는 뜻의 단어(stapiala)에서 유래된 후기 라틴어 단어의 예시이며, 등자는 초기 라틴어를 사용하는 세계에는 존재하지 않았다.[15]

참조

[1] 논문 Measurements of the stapes superstructure 1995-04
[2]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3] 논문 Can you hear me now? Understanding vertebrate middle ear development 2011-01-01
[4] 논문 Development of the stapes and associated structures in human embryos 2005-08
[5] 서적 The Vertebrate Body Holt-Saunders International
[6] 논문 The human middle ear ossicles: Morphometry, and taxonomic implications 1981-02
[7] 논문 Clinical-histopathological correlations of pitfalls in middle ear surgery.
[8] 논문 The persistent stapedial artery 2000-03
[9] 논문 Congenital absence of stapes and facial nerve dehiscence 1997-02
[10] 논문 The aetiology of otosclerosis: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03-04
[11] 서적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W. B. Saunders
[12] 서적 Tympanoplasty, Mastoidectomy, and Stapes Surgery Georg Thieme Verlag
[13] 논문 The discovery of stapes 2013-10
[14] 논문 Disputes Surrounding the Discovery of the Stapes in the Mid 16th Century 2013-04
[15] 웹사이트 Stapes (n.) http://www.etymonlin[...] 2013-12-27
[16] 논문 Measurements of the stapes superstructure 1995-04
[17] 서적 Gray's Anatomy for Students Elsevier/Churchill Livingstone
[18] 논문 Can you hear me now? Understanding vertebrate middle ear development 2011-01-01
[19] 논문 Development of the stapes and associated structures in human embryos 2005-08
[20] 서적 The Vertebrate Body Holt-Saunders International
[21] 문서 ''pars media plectra'' とは”plectrumの中央部分”の意味であり、Romer, Parsons, (1977)の和訳である"A.S.ローマー, T.S.パーソンズ 『脊椎動物のからだ その比較解剖学』 法政大学出版局 1983年 ISBN 4588768018" ではplectrumに撥骨(ばちこつ)との仮訳をあてている
[22] 논문 The human middle ear ossicles: Morphometry, and taxonomic implications 1981-02
[23] 논문 Clinical-histopathological correlations of pitfalls in middle ear surgery.
[24] 논문 The persistent stapedial artery 2000-03
[25] 논문 Congenital absence of stapes and facial nerve dehiscence 1997-02
[26] 논문 The aetiology of otosclerosis: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03-04
[27] 서적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W. B. Saunders
[28] 서적 Tympanoplasty, Mastoidectomy, and Stapes Surgery Georg Thieme Verlag
[29] 논문 The discovery of stapes 2013-10
[30] 논문 Disputes Surrounding the Discovery of the Stapes in the Mid 16th Century 201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