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등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등패는 중국 남부에서 유래된 방패로, 삼국 시대에 촉한 남부의 남만족 전사들이 처음 사용했다.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 명나라 시대에는 널리 사용되었으며, 정성공의 동녕 왕국 군대와 청나라 시대의 호피 등패병에게도 활용되었다. 등패는 무술과 군사적 활용 외에도 대만의 한족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등패
무기 정보
이름등패
등패
등패
종류방패
국가중국, 한국

2. 역사

등패는 중국 남부에서 유래되었으며, 삼국 시대촉한 남부의 남만족 전사들이 사용하면서 처음 등장했다.[1] 촉한이 있던 곳은 산악 지형에 습하고 숲이 우거져 등나무를 찾고 재배하기에 적합했다. 등나무는 먼저 수확한 다음 기름에 담가 갑옷과 방패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이 방패는 가볍지만 내구성이 뛰어나며, 나중에는 총기가 사용되면서 부드러운 등나무에 총알/파편이 박혀 사용자를 관통하여 맞히는 일이 드물었다.

중국과 한국의 고전 무술 교본에서는 등패(téng-pái/藤牌중국어 또는 deungpae/등패한국어)의 사용법이 창과 검을 함께 사용하는 방식으로 설명되어 있다. 종종 병사는 지배적인 손에 등패와 검을 쥐고, 다른 손에는 창을 쥐었다. 창을 상대에게 던진 후 병사는 검으로 공격했다.

명나라 시대에는 랑선을 가진 병사가 등패와 칼을 가진 병사를 지원했다. 그들은 명나라 장군 기계광이 발명하고 그의 저서 기효신서에 설명된 원앙진의 일부였다.

원앙진의 간단한 예시, 앞쪽에 등패 방패병이 있다


방패 전문가는 진격과 후퇴 방법을 훈련했지만, 전투 상황에서 후퇴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들의 후퇴는 전체 부대를 노출시켜 붕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1]

명나라 군대는 등패, 칼, 그리고 투창(biao qiang/鏢槍중국어)으로 무장한 등패병(teng pai shou/藤牌手중국어)을 전장에 배치했다.[2] 등패는 명나라 군대가 사용한 일반적인 방패 유형이었는데, 저렴하고 가볍고 유연하며 내구성이 뛰어나 동등한 나무 방패와 금속 방패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났다. 등나무는 나무결이 없어서 쉽게 갈라지지 않는다. 그러나 등나무는 중국 북부의 기후에서는 자라지 않으므로, 그 지역에서 징집된 병사들은 버드나무로 만든 원패('둥근 방패')를 사용하고 가죽이나 생가죽으로 덮었다.

대만 정성공 군대의 등패


명나라 시대 등패의 평균 크기는 작은 바이킹 방패와 거의 비슷했으며, 티베트와 동남아시아의 유사한 방패와 달리 금속 보스(예외는 존재함)가 거의 없었다.

명나라 멸망기에는 남명 장군 정성공이 그의 아버지 정지룡으로부터 해군(전직 해적)의 대규모 함대를 물려받았다. 중국 본토가 후금에 의해 점령당하자 정성공은 당시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던 포르모사 (대만)를 침공했다. 정성공은 네덜란드를 성공적으로 격파하고 대만에 동녕 왕국을 세웠다. 동녕 왕국은 청군이 점령하기 전까지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청군은 동녕 왕국 군대와의 조우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반군은 솜옷을 입고, 호랑이 가죽을 몸에 걸쳤으며, 많은 수가 생가죽, 등나무 방패를 들고 있었다." 이는 호랑이 옷을 입은 등패병의 개념이 명-정 시대에 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정성공은 그들을 "호랑이 근위대"라고 불렀다.

청나라 시대에는 호랑이 복장을 한 정예 특수 부대가 등장했는데, 이들을 호피 등패병이라고 불렀다. "전쟁의 호랑이"라는 이름은 유럽 선교사들이 그들에게 붙인 것이다.

표준 호랑이 디자인의 등패 그림


등패와 검을 사용하는 해군 보병(tengpaiying/藤牌營중국어)은 청나라 군대가 알바진 공방전에서 러시아 차르국 군대에 맞서 싸울 때 사용되었다. 이 전문가들은 등패와 검만을 사용하여 나체로 싸우면서 뗏목을 타고 이동하는 러시아 군대를 격파하고 베었을 때 단 한 명의 사상자도 내지 않았다.

> 그때 [임후작]은 우리 해병들에게 옷을 벗고 물속으로 뛰어들라고 명령했다. 각자 머리에 등패를 쓰고 손에 거대한 칼을 들고 있었다. 그리하여 그들은 앞으로 헤엄쳐 나갔다. 러시아인들은 너무나 두려워 모두 외쳤다. '보아라, 큰 모자를 쓴 타타르인들이다!' 우리 해병들은 물속에 있었기에 총기를 사용할 수 없었다. 우리 해병들은 적의 총알과 화살이 관통하지 못하도록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등패를 사용했다. 우리 해병들은 긴 칼로 적의 발목을 베었다. 러시아인들은 강에 떨어졌고, 대부분 죽거나 부상을 입었다. 나머지는 도망쳐 달아났다. [임] 흥추는 도시에 포위전에 참여하기 위해 돌아올 때 단 한 명의 해병도 잃지 않았다.

위의 글은 전쟁에 참여한 임후작과 관련된 양해재가 썼다.[3]

등패는 남권을 포함한 많은 유형의 홍가와 같은 남파 무술에서 여전히 인기가 있다. 등패는 또한 대만의 한족의 전통과 문화로 볼 수 있으며, 문화적, 종교적 무술, 춤, 의식에서 볼 수 있다.

2. 1. 기원과 초기 사용

등패는 중국 남부에서 유래되었으며, 삼국 시대촉한 남부의 남만족 전사들이 사용하면서 처음 등장했다.[1] 촉한이 있던 곳은 산악 지형에 습하고 숲이 우거져 등나무를 찾고 재배하기에 적합했다. 등나무는 먼저 수확한 다음 기름에 담가 갑옷과 방패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이 방패는 가볍지만 내구성이 뛰어나며, 나중에는 총기가 사용되면서 부드러운 등나무에 총알/파편이 박혀 사용자를 관통하여 맞히는 일이 드물었다.

중국과 한국의 고전 무술 교본에서는 등패(''téng-pái'' 또는 ''deungpae'')의 사용법이 창과 검을 함께 사용하는 방식으로 설명되어 있다. 종종 병사는 지배적인 손에 등패와 검을 쥐고, 다른 손에는 창을 쥐었다. 창을 상대에게 던진 후 병사는 검으로 공격했다.

명나라 시대에는 랑선을 가진 병사가 등패와 칼을 가진 병사를 지원했다. 그들은 명나라 장군 기계광이 발명하고 그의 저서 기효신서에 설명된 원앙진의 일부였다.

방패 전문가는 진격과 후퇴 방법을 훈련했지만, 전투 상황에서 후퇴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들의 후퇴는 전체 부대를 노출시켜 붕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1]

명나라 군대는 등패, 칼, 그리고 투창(''biao qiang'')으로 무장한 등패병(''teng pai shou'')을 전장에 배치했다.[2] 등패는 명나라 군대가 사용한 일반적인 방패 유형이었는데, 저렴하고 가볍고 유연하며 내구성이 뛰어나 동등한 나무 방패와 금속 방패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났다. 등나무는 나무결이 없어서 쉽게 갈라지지 않는다. 그러나 등나무는 중국 북부의 기후에서는 자라지 않으므로, 그 지역에서 징집된 병사들은 버드나무로 만든 원패('둥근 방패')를 사용하고 가죽이나 생가죽으로 덮었다.

명나라 시대 등패의 평균 크기는 작은 바이킹 방패와 거의 비슷했으며, 티베트와 동남아시아의 유사한 방패와 달리 금속 보스(예외는 존재함)가 거의 없었다.

명나라 멸망기에는 남명 장군 정성공이 그의 아버지 정지룡으로부터 해군(전직 해적)의 대규모 함대를 물려받았다. 중국 본토가 후금에 의해 점령당하자 정성공은 당시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던 포르모사 (대만)를 침공했다. 정성공은 네덜란드를 성공적으로 격파하고 대만에 동녕 왕국을 세웠다. 동녕 왕국은 청군이 점령하기 전까지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청군은 동녕 왕국 군대와의 조우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반군은 솜옷을 입고, 호랑이 가죽을 몸에 걸쳤으며, 많은 수가 생가죽, 등나무 방패를 들고 있었다." 이는 호랑이 옷을 입은 등패병의 개념이 명-정 시대에 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정성공은 그들을 "호랑이 근위대"라고 불렀다.

청나라 시대에는 호랑이 복장을 한 정예 특수 부대가 등장했는데, 이들을 호피 등패병이라고 불렀다. "전쟁의 호랑이"라는 이름은 유럽 선교사들이 그들에게 붙인 것이다.

등패와 검을 사용하는 해군 보병(''tengpaiying'')은 청나라 군대가 알바진 공방전에서 러시아 차르국 군대에 맞서 싸울 때 사용되었다. 이 전문가들은 등패와 검만을 사용하여 나체로 싸우면서 뗏목을 타고 이동하는 러시아 군대를 격파하고 베었을 때 단 한 명의 사상자도 내지 않았다.

> 그때 [임후작]은 우리 해병들에게 옷을 벗고 물속으로 뛰어들라고 명령했다. 각자 머리에 등패를 쓰고 손에 거대한 칼을 들고 있었다. 그리하여 그들은 앞으로 헤엄쳐 나갔다. 러시아인들은 너무나 두려워 모두 외쳤다. '보아라, 큰 모자를 쓴 타타르인들이다!' 우리 해병들은 물속에 있었기에 총기를 사용할 수 없었다. 우리 해병들은 적의 총알과 화살이 관통하지 못하도록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등패를 사용했다. 우리 해병들은 긴 칼로 적의 발목을 베었다. 러시아인들은 강에 떨어졌고, 대부분 죽거나 부상을 입었다. 나머지는 도망쳐 달아났다. [임] 흥추는 도시에 포위전에 참여하기 위해 돌아올 때 단 한 명의 해병도 잃지 않았다.

위의 글은 전쟁에 참여한 임후작과 관련된 양해재가 썼다.[3]

등패는 남권을 포함한 많은 유형의 홍가와 같은 남파 무술에서 여전히 인기가 있다. 등패는 또한 대만의 한족의 전통과 문화로 볼 수 있으며, 문화적, 종교적 무술, 춤, 의식에서 볼 수 있다.

2. 2. 명나라 시대

등패는 중국 남부에서 유래되었으며, 삼국 시대촉한 남부의 남만족 전사들이 사용한 것으로 처음 등장한다.[1] 산악 지형에 습하고 숲이 우거진 그곳은 등나무를 찾고 재배하기에 적합했다. 등나무는 기름에 담가 갑옷과 방패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는데, 가볍지만 내구성이 뛰어나고 총알이나 파편이 박혀 사용자를 관통하는 일이 드물었다.

중국과 한국의 고전 무술 교본에서는 등패(''téng-pái'' 또는 ''deungpae'')와 창, 검을 함께 사용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병사는 지배적인 손에 등패와 검을 쥐고, 다른 손에는 창을 쥐었다. 창을 던진 후 검으로 공격하는 방식이었다.

명나라 시대에는 랑선을 가진 병사가 등패와 칼을 가진 병사를 지원했다.[1] 이들은 기계광이 발명하고 기효신서에 설명된 원앙진의 일부였다.[1]

방패 전문가는 진격과 후퇴 방법을 훈련했지만, 전투 상황에서 후퇴는 부대 전체를 노출시켜 붕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허용되지 않았다.[1]

명나라 군대는 등패, 칼, 투창(''biao qiang'')으로 무장한 등패병(''teng pai shou'')을 전장에 배치했다.[2] 등패는 명나라 군대가 사용한 일반적인 방패 유형으로, 저렴하고 가볍고 유연하며 내구성이 뛰어나 동등한 나무 방패와 금속 방패보다 성능이 뛰어났다. 등나무는 나무결이 없어 쉽게 갈라지지 않는 장점이 있었다.

명나라 시대 등패의 평균 크기는 작은 바이킹 방패와 거의 비슷했으며, 티베트와 동남아시아의 유사한 방패와 달리 금속 보스(예외는 존재함)가 거의 없었다.

명나라 멸망기에 정성공은 포르모사 (대만)를 침공하여 네덜란드를 격파하고 동녕 왕국을 세웠다. 동녕 왕국 군대는 "호랑이 근위대"라고 불렸으며, 이들은 호랑이 옷을 입고 등패를 사용했다.

청나라 시대에는 호랑이 복장을 한 정예 특수 부대인 호피 등패병이 등장했는데, "전쟁의 호랑이"라는 이름은 유럽 선교사들이 붙인 것이다.

등패와 검을 사용하는 해군 보병(''tengpaiying'')은 청나라 군대가 알바진 공방전에서 러시아 차르국 군대에 맞서 싸울 때 사용되었다.[3] 이들은 등패와 검만을 사용하여 나체로 싸우면서 뗏목을 타고 이동하는 러시아 군대를 격파하고 베었을 때 단 한 명의 사상자도 내지 않았다.[3]

등패는 남권을 포함한 많은 유형의 홍가와 같은 남파 무술에서 여전히 인기가 있다. 또한 대만 한족의 전통과 문화로, 문화적, 종교적 무술, 춤, 의식에서 볼 수 있다.

2. 3. 청나라 시대와 동녕 왕국

명나라 시대에는 랑선을 가진 병사가 등패와 칼을 가진 병사를 지원했다. 이들은 명나라 장군 기계광이 발명하고 그의 저서 기효신서에 설명된 원앙진의 일부였다.[1] 명나라 군대는 등패, 칼, 그리고 투창(''biao qiang'')으로 무장한 등패병(''teng pai shou'')을 전장에 배치했다.[2] 등패는 명나라 군대가 사용한 일반적인 방패 유형이었는데, 저렴하고 가볍고 유연하며 내구성이 뛰어나 동등한 나무 방패와 금속 방패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났다. 등나무는 나무결이 없어서 쉽게 갈라지지 않는다.

명나라 멸망기에 정성공은 포르모사 (대만)를 침공하여 네덜란드를 격파하고 동녕 왕국을 세웠다. 청군은 동녕 왕국 군대와의 조우에 대해 "반군은 솜옷을 입고, 호랑이 가죽을 몸에 걸쳤으며, 많은 수가 생가죽, 등나무 방패를 들고 있었다."라고 기록했다. 정성공은 그들을 "호랑이 근위대"라고 불렀다.

청나라 시대에는 호랑이 복장을 한 정예 특수 부대가 등장했는데, 이들을 호피 등패병이라고 불렀다. "전쟁의 호랑이"라는 이름은 유럽 선교사들이 그들에게 붙인 것이다.

등패와 검을 사용하는 해군 보병(''tengpaiying'')은 청나라 군대가 알바진 공방전에서 러시아 차르국 군대에 맞서 싸울 때 사용되었다. 이들은 등패와 검만을 사용하여 나체로 싸우면서 뗏목을 타고 이동하는 러시아 군대를 격파하고 베었을 때 단 한 명의 사상자도 내지 않았다.[3]

3. 사용과 전술

등패는 중국 남부에서 유래되었으며, 삼국 시대촉한 남부의 남만족 전사들이 사용한 것으로 처음 등장한다.[1] 습하고 숲이 우거진 산악 지형은 등나무 재배에 적합했으며, 등나무를 기름에 담가 만든 방패는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났다.[1] 총기가 사용된 후에는 부드러운 등나무에 총알이나 파편이 박혀 관통하는 일이 드물었다.[1]

중국과 한국의 고전 무술 교본에서는 등패와 창, 검을 함께 사용하는 방식이 설명되어 있다.[1] 병사는 한 손에는 등패와 검을, 다른 손에는 창을 들고 싸웠다.[1] 창을 던진 후에는 검으로 공격했다.[1]

명나라 시대에는 랑선을 가진 병사가 등패와 칼을 가진 병사를 지원했다.[1] 이들은 기계광이 원앙진의 일부였다.[1] 방패 전문가는 진격과 후퇴 훈련을 받았지만, 전투 중 후퇴는 부대 전체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으므로 허용되지 않았다.[1] 명나라 군대는 등패, 칼, 투창(''biao qiang'')으로 무장한 등패병(''teng pai shou'')을 배치했다.[2]

등패는 저렴하고 가벼우며 유연하고 내구성이 뛰어나 명나라 군대에서 널리 사용되었다.[1] 등나무는 나무결이 없어 쉽게 갈라지지 않는 장점이 있었다.[1] 중국 북부에서는 등나무 대신 버드나무로 만든 원패를 사용하고 가죽으로 덮었다.[1]

명나라 멸망 후 정성공은 포르모사 (대만)를 침공하여 동녕 왕국을 세웠다.[1] 정성공의 군대는 "호랑이 근위대"라고 불리는 등패병을 운용했다.[1] 청나라 시대에는 호랑이 복장을 한 정예 특수 부대인 호피 등패병이 등장했는데,[1] 이들은 유럽 선교사들에게 "전쟁의 호랑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청나라 군대는 알바진 공방전에서 러시아 차르국 군대에 맞서 등패와 검을 사용하는 해군 보병(''tengpaiying'')을 활용했다.[3] 이들은 등패와 검만을 사용하여 나체로 싸우며 뗏목을 타고 이동하는 러시아 군대를 격파했다.[3]

그때 [임후작]은 우리 해병들에게 옷을 벗고 물속으로 뛰어들라고 명령했다. 각자 머리에 등패를 쓰고 손에 거대한 칼을 들고 있었다. 그리하여 그들은 앞으로 헤엄쳐 나갔다. 러시아인들은 너무나 두려워 모두 외쳤다. '보아라, 큰 모자를 쓴 타타르인들이다!' 우리 해병들은 물속에 있었기에 총기를 사용할 수 없었다. 우리 해병들은 적의 총알과 화살이 관통하지 못하도록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등패를 사용했다. 우리 해병들은 긴 칼로 적의 발목을 베었다. 러시아인들은 강에 떨어졌고, 대부분 죽거나 부상을 입었다. 나머지는 도망쳐 달아났다. [임] 흥추는 도시에 포위전에 참여하기 위해 돌아올 때 단 한 명의 해병도 잃지 않았다.
위의 글은 전쟁에 참여한 양해재가 썼다.[3]

등패는 남권을 포함한 많은 유형의 홍가와 같은 남파 무술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1] 또한 대만 한족의 전통과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문화적, 종교적 무술, 춤, 의식에서 사용된다.[1]

3. 1. 무술에서의 활용

3. 2. 군사적 활용



등패는 중국 남부에서 유래되었으며, 삼국 시대촉한 남부의 남만족 전사들이 사용했다.[1] 산악 지형에 습하고 숲이 우거진 그곳은 등나무를 찾고 재배하기에 적합했다. 등나무는 먼저 수확한 다음 기름에 담가 갑옷과 방패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이 방패는 가볍지만 내구성이 뛰어나며, 나중에는 총기가 사용되면서 부드러운 등나무에 총알/파편이 박혀 사용자를 관통하여 맞히는 일이 드물었다.

중국과 한국의 고전 무술 교본에서는 등패(''téng-pái'' 또는 ''deungpae'')의 사용법이 창과 검을 함께 사용하는 방식으로 설명되어 있다. 종종 병사는 지배적인 손에 등패와 검을 쥐고, 다른 손에는 창을 쥐었다. 창을 상대에게 던진 후 병사는 검으로 공격했다.

명나라 시대에는 랑선을 가진 병사가 등패와 칼을 가진 병사를 지원했다.[1] 그들은 명나라 장군 기계광이 발명하고 그의 저서 기효신서에 설명된 원앙진의 일부였다. 방패 전문가는 진격과 후퇴 방법을 훈련했지만, 전투 상황에서 후퇴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들의 후퇴는 전체 부대를 노출시켜 붕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1]

명나라 군대는 등패, 칼, 그리고 투창(''biao qiang'')으로 무장한 등패병(''teng pai shou'')을 전장에 배치했다.[2] 등패는 명나라 군대가 사용한 일반적인 방패 유형이었는데, 저렴하고 가볍고 유연하며 내구성이 뛰어나 동등한 나무 방패와 금속 방패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났다. 등나무는 나무결이 없어서 쉽게 갈라지지 않는다.

그러나 등나무는 중국 북부의 기후에서는 자라지 않으므로, 그 지역에서 징집된 병사들은 버드나무로 만든 원패('둥근 방패')를 사용하고 가죽이나 생가죽으로 덮었다. 명나라 시대 등패의 평균 크기는 작은 바이킹 방패와 거의 비슷했으며, 티베트와 동남아시아의 유사한 방패와 달리 금속 보스(예외는 존재함)가 거의 없었다.

명나라 멸망기에, 정성공은 그의 아버지 정지룡으로부터 해군(전직 해적)의 대규모 함대를 물려받았다. 중국 본토가 후금에 의해 점령당하자 정성공은 당시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던 포르모사 (대만)를 침공했다. 정성공은 네덜란드를 성공적으로 격파하고 대만에 동녕 왕국을 세웠다. 동녕 왕국은 청군이 점령하기 전까지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청군은 동녕 왕국 군대와의 조우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반군은 솜옷을 입고, 호랑이 가죽을 몸에 걸쳤으며, 많은 수가 생가죽, 등나무 방패를 들고 있었다." 이는 호랑이 옷을 입은 등패병의 개념이 명-정 시대에 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정성공은 그들을 "호랑이 근위대"라고 불렀다.

청나라 시대에는 호랑이 복장을 한 정예 특수 부대가 등장했는데, 이들을 호피 등패병이라고 불렀다. "전쟁의 호랑이"라는 이름은 유럽 선교사들이 그들에게 붙인 것이다.

등패와 검을 사용하는 해군 보병(''tengpaiying'')은 청나라 군대가 알바진 공방전에서 러시아 차르국 군대에 맞서 싸울 때 사용되었다. 이 전문가들은 등패와 검만을 사용하여 나체로 싸우면서 뗏목을 타고 이동하는 러시아 군대를 격파하고 베었을 때 단 한 명의 사상자도 내지 않았다.

그때 [임후작]은 우리 해병들에게 옷을 벗고 물속으로 뛰어들라고 명령했다. 각자 머리에 등패를 쓰고 손에 거대한 칼을 들고 있었다. 그리하여 그들은 앞으로 헤엄쳐 나갔다. 러시아인들은 너무나 두려워 모두 외쳤다. '보아라, 큰 모자를 쓴 타타르인들이다!' 우리 해병들은 물속에 있었기에 총기를 사용할 수 없었다. 우리 해병들은 적의 총알과 화살이 관통하지 못하도록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등패를 사용했다. 우리 해병들은 긴 칼로 적의 발목을 베었다. 러시아인들은 강에 떨어졌고, 대부분 죽거나 부상을 입었다. 나머지는 도망쳐 달아났다. [임] 흥추는 도시에 포위전에 참여하기 위해 돌아올 때 단 한 명의 해병도 잃지 않았다.
위의 글은 전쟁에 참여한 임후작과 관련된 양해재가 썼다.[3]

등패는 남권을 포함한 많은 유형의 홍가와 같은 남파 무술에서 여전히 인기가 있다. 등패는 또한 대만의 한족의 전통과 문화로 볼 수 있으며, 문화적, 종교적 무술, 춤, 의식에서 볼 수 있다.

4. 문화적 의의

4. 1. 남권(무술)과의 연관성

4. 2. 대만 문화

참조

[1] 서적 Sippalgi: Traditional Korean Martial Arts Ehwa University Press 2008
[2] 서적 Jixiao Xinshu
[3] 서적 A Documentary Chronicle of Sino-Western Relations, 1644-1820: Translated texts https://books.google[...] Published for the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by the University of Arizona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