딘보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딘보린은 968년부터 979년까지 정조의 초대 황제였다. 그는 924년 닌빈성에서 태어나 12사군의 난을 평정하고 968년 대구월을 건국하여 황제로 즉위했다. 딘보린은 중국과의 관계를 관리하며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나, 979년 궁정 변란으로 장남과 함께 암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딘 왕조의 황제 - 딘또안
딘또안은 딘 왕조의 제2대 황제로 딘보린의 아들이나, 레호안에게 실권이 넘어가 위왕으로 강등되었고 반란 진압 중 사망하여 딘 폐제로 불린다. - 979년 사망 - 후지와라노 고시
후지와라노 고시는 972년에 태어나 엔유 천황의 후궁이 되어 중궁에 책립되었으나 자녀를 두지 못하고 3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924년 출생 - 후지와라노 고레타다
후지와라 북가 출신인 후지와라노 고레타다는 헤이안 시대에 무라카미 천황과 레이제이 천황을 섬기며 셋쇼와 다이조다이진을 역임한 공경이자 시인으로, 딸 후지와라노 카이시를 통해 외척으로서 권세를 누렸으나 사후 가문은 쇠퇴했고 와카에도 능했다. - 924년 출생 - 고보욱
고보욱은 오대십국시대 형남의 네 번째 군주로, 방탕한 생활과 토목 공사로 민심을 잃어 '만사휴의' 고사를 남겼으며, 이는 형남 멸망의 예견으로 평가받는다.
딘보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딘보린 (丁部領) |
다른 이름 | 딘환 (丁桓) |
출생일 | 924년 3월 22일 |
출생지 | 자오저우 닌빈성 자비엔 |
사망일 | 979년 10월 |
사망 장소 | 다이꼬비엣 닌빈성 호아르 |
묻힌 곳 | 호아르 쯔엉옌 능 |
왕조 | 딘 |
종교 | 불교 |
통치 | |
칭호 | 다이꼬비엣 황제 |
재위 기간 | 968년 – 979년 10월 |
이전 | 딘보린, 국가 이름을 다이꼬비엣으로 채택 |
계승자 | 딘 폐제 |
왕조 | 딘 왕조의 황제 |
이전 왕조 | 왕조 설립 |
계승 왕조 | 딘 폐제 |
연호 | 태평 (太平): 970–980 |
묘호 | 없음 |
시호 | 대승명황제 (大勝明皇帝) |
존호 | 없음 |
가족 | |
아버지 | 딘 공 쯔 |
어머니 | 정보 없음 |
배우자 | 엠프레스 단 자 엠프레스 찐 특 엠프레스 즈엉 반 응아 첩 응우옌 티 센 엠프레스 즈엉 응우옛 느엉 |
자녀 | 딘 리엔, 남 비엣 공작 황태자 딘 항 랑 딘 토안 (황제 딘 폐제) 공주 팟 킴 공주 푸 융 공주 민쩌우 공주 리엔 호아 공주 응옥 느엉 |
2. 생애
딘보린(딘보린/Đinh Bộ Lĩnhvi)은 924년 화려(Hoa Lư)(현재 닌빈성의 홍하 삼각주 남쪽)에서 태어났다.[2] 본명은 '''정환'''(Đinh Hoàn, 딘호안/Đinh Hoànvi)이며, 오조의 공신이자 호안쩌우의 자사인 정공저의 아들로 태어났다.[3] 그의 어머니 탐씨가 수달과 관계를 맺어 낳았다는 전설이 있다.[3]
아버지 정공저는 양정예 휘하에서 장군으로 일했고, 환주 자사로 오권을 섬겼으나, 정부령이 어릴 적에 사망했다.[3] 정부령의 어머니는 그를 친정으로 데려가서 살게 했다. 그곳에서 딘보린은 학교에 다니며, 물소를 타고 친구들과 노니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성장한 딘보린은 아버지의 기반을 이어 을 지배했다.[3] 숙부 정예와의 항쟁 중 두 마리의 황룡에게 목숨을 구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정예를 토벌하여 항복시키고 세력을 강화했다.[3]
965년에 십이사군의 난이 발발하자, 정부령은 사군 중 하나인 진람의 휘하에 들어가 총애를 받아서 장군이 되었다.[3] 진람의 뒤를 이을 것을 약속했고, 진람 사후 그의 세력을 계승했다.[3]
951년, 오조에 대한 조공을 거부했기 때문에 오창급·오창문에게 근거지인 화려동을 포위당했지만 함락되지는 않았다. 또한 사군 중 한 명인 오일경을 항복시킨 후 그의 어머니 황씨를 아내로 맞이했고, 딸인 을 오일경에게 시집보냈으며, 장남 정련에게는 오일경의 여동생을 아내로 맞이했다.
딘보린은 오조의 공신이자 호안쩌우의 자사인 정공저의 아들로, 965년에 십이사군의 난이 발발하자 사군 중 하나인 진람의 휘하에 들어가 장군이 되었다.[2] 여러 사군을 격퇴하여 만승왕(萬勝王, Vạn Thắng Vương)이라는 칭호를 얻었다.[3]
오나라의 오창치(呉昌熾)를 연회에 초대하여 위협하여 항복시켰다. 두경석(杜景碩)과 완초(阮超)와는 오랫동안 다투었는데, 두경석은 싸움에서 유탄에 맞아 전사하였고, 그의 군사들은 정부령(丁部領)에게 항복하였다. 완초는 가장 완강한 존재였으나, 완초군이 강을 건너는 도중 돌풍이 일어나 군선과 군수물자 모두 물에 잠긴 것을 안 정부령은 열 명의 용사를 잠입시켜 완초의 진영을 불태워 완초군을 크게 격파하였다. 이후, 교순(矯順), 완수첩(阮守捷), 완관(阮寬), 여당(呂唐) 등의 사군(使君)을 각개격파하여 안남(安南)을 통일하였다.[3]
968년에 오조마저 멸망시키고 난을 진압하였고, 이후 같은 해에 국호를 대구월로 정하고 황제로 즉위하여 정조를 창건하였다.[2]
딘보린(丁部領)은 오조의 공신 정공저의 아들 정환(丁桓, Đinh Hoàn)으로 태어났다. 어릴 적 아버지가 사망한 후, 어머니와 함께 친정에서 자랐으며, 그곳에서 학교에 다니고 친구들과 놀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965년, 십이사군의 난이 발발하자 딘보린은 사군 중 하나인 진람의 휘하에 들어가 장군이 되었다. 여러 사군을 격퇴하여 만승왕(萬勝王, Vạn Thắng Vương)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968년에는 난을 진압하고 국호를 대구월(大瞿越)로 정한 뒤 황제로 즉위하여 정조를 창건, 연호를 타이빈(太平)으로 정하고 호아르(華閭)를 수도로 삼았다.
딘보린은 924년 화려(Hoa Lư)(현재 닌빈성의 홍하 삼각주 남쪽)에서 태어나, 당나라(Tang dynasty) 붕괴기의 혼란스러운 시대에 성장하여 어린 나이에 지역 군 지도자가 되었다.[2] 938년 응오꾸옌(Ngô Quyền)이 박랑강 제1차 전투에서 남한(Southern Han)의 군대를 격파하며 최초의 독립적인 베트남 정체가 등장했지만, 응오 왕조(Ngô dynasty)는 약했고 베트남을 효과적으로 통일할 수 없었다.[2] 딘보린은 12명의 봉건 군벌의 경쟁과 남한의 위협에 직면하여 베트남을 정치적으로 통일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했다.[2] 965년 마지막 응오 왕이 죽자 권력을 장악하고 수도를 고향인 화려(Hoa Lư)에 둔 새로운 왕국을 건설, 응오 왕조와의 정통성을 확립하기 위해 응오 가문의 여성과 결혼했다.[2]
즉위 초기 딘보린은 남한(Southern Han)과의 불화를 피하려 했으나, 968년 황제(Hoàng Đế) 칭호를 채택하고 중국 지배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했다.[2] 딘 왕조를 건설하고 왕국을 대구월(Đại Cồ Việt)이라 칭했으나, 971년 송나라(Song dynasty)가 남한을 병합하면서 관점이 바뀌었다.[2] 972년 딘보린은 중국 황제에 대한 충성을 보여주기 위해 조공 사절단을 파견하여 송나라와 친분을 쌓았고, 송 태조(Emperor Taizu of Song)는 베트남 통치자를 교지(Giao Chỉ) 군왕(King of Giao Chi)으로 인정했다.[2] 딘보린은 송나라의 군사력을 알고 자신의 나라의 독립을 지키고자 3년마다 중국 조정에 바치는 조공을 대가로 불가침 조약을 체결했다.[2]
대보 11년(968년)에 즉위하여 국호를 “대구월(大瞿越)”로 하고 화려에 도읍을 정했다.[3] 화려는 그 후 순천 원년(1010년)의 승룡 천도까지 도읍으로 남아 있었다.[3] 송의 황제가 존재함에도 스스로 황제를 자칭하고, 정련(丁璉)을 남월왕(南越王)에 봉했다.[3] 태평(太平) 2년(971년)에는 행정관료, 군사령관, 승려, 도사 등에게 위계 제도를 설치하고, 군제도 정비했다.[3] 태평 4년(973년)에는 송에 조공을 바쳤다.[9] 또한, 베트남에서 최초로 연호를 제정하여 989년을 태평 원년으로 삼았다.[3]
만년에 정권 안정을 위해 많은 유력씨족에서 황후를 맞이했으나, 이것이 오히려 궁정 내란의 원인이 되어 태평 10년(979년)에 정련과 함께 지후내인(祗候內人)인 두석/杜釋중국어에 의해 살해당했다.[3]
딘보린은 중국과의 관계를 관리하는 한편, 베트남의 행정부와 군대를 개혁하여 새로운 국가의 기반을 강화했다. 그는 왕실과 문무 관료의 계층을 설립했다. 또한 반역죄에 대해 끓는 기름이 가득 찬 가마솥에 삶아 죽이거나 우리에 갇힌 호랑이에게 던져주는 등 가혹한 사법 제도를 시행하여 왕국에 대한 새로운 질서를 위협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경고를 주었다.
979년에 궁정 변란이 일어나 딘보린은 장자인 정련(丁璉)과 함께 환관인 두석/杜釋중국어(Đỗ Thích)에게 암살되었다.[3] 꿈을 꾸고 영감을 받은 궁중 관리가 궁궐 안마당에서 자고 있던 딘보린과 Đinh Liễn(딘 리엔)을 살해했고, 범인은 곧 체포되어 Nguyễn Bặc(응우옌 박) 장군에 의해 처형되었다.[3]
2. 1. 초기 생애와 성장
딘보린(딘보린/Đinh Bộ Lĩnhvi)은 924년 화려(Hoa Lư)(현재 닌빈성의 홍하 삼각주 남쪽)에서 태어났다.[2] 본명은 '''정환'''(Đinh Hoàn, 딘호안/Đinh Hoànvi)이며, 오조의 공신이자 호안쩌우의 자사인 정공저의 아들로 태어났다.[3] 그의 어머니 탐씨가 수달과 관계를 맺어 낳았다는 전설이 있다.[3]아버지 정공저는 양정예 휘하에서 장군으로 일했고, 환주 자사로 오권을 섬겼으나, 정부령이 어릴 적에 사망했다.[3] 정부령의 어머니는 그를 친정으로 데려가서 살게 했다. 그곳에서 딘보린은 학교에 다니며, 물소를 타고 친구들과 노니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성장한 딘보린은 아버지의 기반을 이어 을 지배했다.[3] 숙부 정예와의 항쟁 중 두 마리의 황룡에게 목숨을 구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정예를 토벌하여 항복시키고 세력을 강화했다.[3]
965년에 십이사군의 난이 발발하자, 정부령은 사군 중 하나인 진람의 휘하에 들어가 총애를 받아서 장군이 되었다.[3] 진람의 뒤를 이을 것을 약속했고, 진람 사후 그의 세력을 계승했다.[3]
951년, 오조에 대한 조공을 거부했기 때문에 오창급·오창문에게 근거지인 화려동을 포위당했지만 함락되지는 않았다. 또한 사군 중 한 명인 오일경을 항복시킨 후 그의 어머니 황씨를 아내로 맞이했고, 딸인 을 오일경에게 시집보냈으며, 장남 정련에게는 오일경의 여동생을 아내로 맞이했다.
2. 2. 십이사군의 난 평정
딘보린은 오조의 공신이자 호안쩌우의 자사인 정공저의 아들로, 965년에 십이사군의 난이 발발하자 사군 중 하나인 진람의 휘하에 들어가 장군이 되었다.[2] 여러 사군을 격퇴하여 만승왕(萬勝王, Vạn Thắng Vương)이라는 칭호를 얻었다.[3]오나라의 오창치(呉昌熾)를 연회에 초대하여 위협하여 항복시켰다. 두경석(杜景碩)과 완초(阮超)와는 오랫동안 다투었는데, 두경석은 싸움에서 유탄에 맞아 전사하였고, 그의 군사들은 정부령(丁部領)에게 항복하였다. 완초는 가장 완강한 존재였으나, 완초군이 강을 건너는 도중 돌풍이 일어나 군선과 군수물자 모두 물에 잠긴 것을 안 정부령은 열 명의 용사를 잠입시켜 완초의 진영을 불태워 완초군을 크게 격파하였다. 이후, 교순(矯順), 완수첩(阮守捷), 완관(阮寬), 여당(呂唐) 등의 사군(使君)을 각개격파하여 안남(安南)을 통일하였다.[3]
968년에 오조마저 멸망시키고 난을 진압하였고, 이후 같은 해에 국호를 대구월로 정하고 황제로 즉위하여 정조를 창건하였다.[2]
2. 3. 대구월 건국과 통치
딘보린(丁部領)은 오조의 공신 정공저의 아들 정환(丁桓, Đinh Hoàn)으로 태어났다. 어릴 적 아버지가 사망한 후, 어머니와 함께 친정에서 자랐으며, 그곳에서 학교에 다니고 친구들과 놀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965년, 십이사군의 난이 발발하자 딘보린은 사군 중 하나인 진람의 휘하에 들어가 장군이 되었다. 여러 사군을 격퇴하여 만승왕(萬勝王, Vạn Thắng Vương)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968년에는 난을 진압하고 국호를 대구월(大瞿越)로 정한 뒤 황제로 즉위하여 정조를 창건, 연호를 타이빈(太平)으로 정하고 호아르(華閭)를 수도로 삼았다.
딘보린은 924년 화려(Hoa Lư)(현재 닌빈성의 홍하 삼각주 남쪽)에서 태어나, 당나라(Tang dynasty) 붕괴기의 혼란스러운 시대에 성장하여 어린 나이에 지역 군 지도자가 되었다.[2] 938년 응오꾸옌(Ngô Quyền)이 박랑강 제1차 전투에서 남한(Southern Han)의 군대를 격파하며 최초의 독립적인 베트남 정체가 등장했지만, 응오 왕조(Ngô dynasty)는 약했고 베트남을 효과적으로 통일할 수 없었다.[2] 딘보린은 12명의 봉건 군벌의 경쟁과 남한의 위협에 직면하여 베트남을 정치적으로 통일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했다.[2] 965년 마지막 응오 왕이 죽자 권력을 장악하고 수도를 고향인 화려(Hoa Lư)에 둔 새로운 왕국을 건설, 응오 왕조와의 정통성을 확립하기 위해 응오 가문의 여성과 결혼했다.[2]
즉위 초기 딘보린은 남한(Southern Han)과의 불화를 피하려 했으나, 968년 황제(Hoàng Đế) 칭호를 채택하고 중국 지배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했다.[2] 딘 왕조를 건설하고 왕국을 대구월(Đại Cồ Việt)이라 칭했으나, 971년 송나라(Song dynasty)가 남한을 병합하면서 관점이 바뀌었다.[2] 972년 딘보린은 중국 황제에 대한 충성을 보여주기 위해 조공 사절단을 파견하여 송나라와 친분을 쌓았고, 송 태조(Emperor Taizu of Song)는 베트남 통치자를 교지(Giao Chỉ) 군왕(King of Giao Chi)으로 인정했다.[2] 딘보린은 송나라의 군사력을 알고 자신의 나라의 독립을 지키고자 3년마다 중국 조정에 바치는 조공을 대가로 불가침 조약을 체결했다.[2]
대보 11년(968년)에 즉위하여 국호를 “대구월(大瞿越)([8], 다이코베토([9]))”로 하고 화려에 도읍을 정했다.[3] 화려는 그 후 순천 원년(1010년)의 승룡 천도까지 도읍으로 남아 있었다.[3] 송의 황제가 존재함에도 스스로 황제를 자칭하고, 정련(丁璉)을 남월왕(南越王)에 봉했다.[3] 태평(太平) 2년(971년)에는 행정관료, 군사령관, 승려, 도사 등에게 위계 제도를 설치하고, 군제도 정비했다.[3] 태평 4년(973년)에는 송에 조공을 바쳤다.[9] 또한, 베트남에서 최초로 연호를 제정하여 989년을 태평 원년으로 삼았다.[3]
만년에 정권 안정을 위해 많은 유력씨족에서 황후를 맞이했으나, 이것이 오히려 궁정 내란의 원인이 되어 태평 10년(979년)에 정련과 함께 지후내인(祗候內人)인 두석/杜釋중국어에 의해 살해당했다.[3]
2. 4. 외교 관계
딘보린은 중국과의 관계를 관리하는 한편, 베트남의 행정부와 군대를 개혁하여 새로운 국가의 기반을 강화했다. 그는 왕실과 문무 관료의 계층을 설립했다. 또한 반역죄에 대해 끓는 기름이 가득 찬 가마솥에 삶아 죽이거나 우리에 갇힌 호랑이에게 던져주는 등 가혹한 사법 제도를 시행하여 왕국에 대한 새로운 질서를 위협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경고를 주었다.2. 5. 암살
979년에 궁정 변란이 일어나 딘보린은 장자인 정련(丁璉)과 함께 환관인 두석/杜釋중국어(Đỗ Thích)에게 암살되었다.[3] 꿈을 꾸고 영감을 받은 궁중 관리가 궁궐 안마당에서 자고 있던 딘보린과 Đinh Liễn(딘 리엔)을 살해했고, 범인은 곧 체포되어 Nguyễn Bặc(응우옌 박) 장군에 의해 처형되었다.[3]3. 가족 관계
아버지 환주 자사 정공저(丁公著)와 어머니 정조국모 담씨(丁朝国母 譚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딘보린에게는 여러 명의 황후가 있었다. 단가황후 황씨시(舟嘉皇后 黃氏詩)는 황태자 정항낭(丁項郎)을 낳았다. 정명황후 정씨(貞明皇后 丁氏)는 부용공주(芙蓉公主)를 낳았다. 교국황후 양씨월(矯國皇后 楊氏月)은 옥냥공주(玉娘公主)를 낳았고, 구국황후 원씨(瞿國皇后 阮氏)는 련화공주(蓮花公主)를 낳았다. 대승명황후 양씨(大勝明皇后 楊氏)는 3남이자 제2대 군주인 정폐황제를 낳았다.
그 외에, 알 수 없는 후비에게서 1남 남월왕 정련(南越王 丁璉)을 얻었으며, 딸 명주공주(明珠公主)와 불금공주(佛金公主)가 있었다.
4. 평가
딘보린은 968년부터 979년까지 정조(丁朝)의 초대 황제였다.
5. 기년
선제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
서력 (西曆) | 968년 | 969년 | 970년 | 971년 | 972년 | 973년 | 974년 | 975년 | 976년 | 977년 |
간지 (干支) | 무진(戊辰) | 기사(己巳) | 경오(庚午) | 신미(辛未) | 임신(壬申) | 계유(癸酉) | 갑술(甲戌) | 을해(乙亥) | 병자(丙子) | 정축(丁丑) |
연호 (年號) | - | - | 타이빈(太平)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선제 | 11년 | 12년 | ||||||||
서력 (西曆) | 978년 | 979년 | ||||||||
간지 (干支) | 무인(戊寅) | 기묘(己卯) | ||||||||
연호 (年號) | 9년 | 10년 |
참조
[1]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2]
서적
Wandering through Vietnamese culture
2004
[3]
서적
物語 ヴェトナムの歴史 一億人のダイナミズム
[4]
서적
東洋歴史大辞典
臨川書店
1986-10-01
[5]
서적
アジア歴史事典
平凡社
1984-04
[6]
서적
東洋人物レファレンス事典 政治・外交・軍事篇
日外アソシエーツ
2014-08
[7]
서적
東南アジアの歴史―人・物・文化の交流史
[8]
서적
東南アジアの歴史―人・物・文化の交流史
[9]
서적
ビジュアル版世界の歴史12 東南アジア世界の形成
講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