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땅개미새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땅개미새류는 산적딱새아목 화덕딱새소목에 속하는 조류 과이다. 개미새과, 꼬리세움새과, 개미지빠귀과, 화덕딱새과 등과 계통군을 형성한다. 땅개미새과는 땅개미새속, Cryptopezus, Grallaricula, Hylopezus, Myrmothera 속으로 구성된다. 분자 계통학 연구에 따르면 Myrmothera 속의 일부 종이 Hylopezus 속에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땅개미새류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밤색목개미새 (Grallaria nuchalis ruficeps)
밤색목개미새 (Grallaria nuchalis ruficeps)
학명Grallariidae
명명자P.L. Sclater 및 Salvin, 1873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하강신악하강
상목신조상목
참새목
아목산적딱새아목
하위 분류
Grallaria
Cryptopezus
Hylopezus
Myrmothera
Grallaricula

2. 계통 분류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산적딱새아목 계통 분류이다.[10]

{| class="wikitable"

|-

! 산적딱새아목

|-

|

{| class="wikitable"

|-

! 넓적부리새하목
(구대륙 명금류사촌)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푸른넓적부리새과

|-

|



|}

|}

|-

! 산적딱새하목
(신대륙 명금류사촌)

|-

|

{| class="wikitable"

|-

! 화덕딱새소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초승달가슴새과

|-

|



|}

|-

|

{| class="wikitable"

|-

| 땅개미새과

|-

|

{| class="wikitable"

|-

| 꼬리세움새과

|-

|



|}

|}

|}

|-

! 산적딱새소목

|-

|

{| class="wikitable"

|-

| 무희새과

|-

|

{| class="wikitable"

|-

| 장식새과

|-

|



|}

|}

|}

|}

|}

2. 1. 하위 속


  • '''전형적인 땅개미새류''' – 족 '''Grallariini'''/아과 '''Grallariinae'''
  • '''Grallaria''' 속 (47종)

  • '''작은 땅개미새류''' – 족 '''Myrmotherini'''/아과 '''Myrmotherinae'''로 추정
  • '''Cryptopezus''' 속 (1종)
  • '''Hylopezus''' 속 (6종)
  • '''Myrmothera''' 속 (6종)
  • '''Grallaricula''' 속 (10종)

2. 2. 분자 계통학 연구

다음은 땅개미새류과의 계통도를 보여준다. 이 계통도는 2020년에 Michael Harvey와 그의 동료들이 발표한 분자 계통학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아랫새아목에 대한 연구에서 ''Myrmothera'' 속의 세 종이 ''Hylopezus'' 속 안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7] 이 종들은 국제 조류 학회 (IOC)에서 인정하는 종들이다.[8]

{| class="wikitable"

|-

! '''개미새과'''

|-

|

{| class="wikitable"

|-

| ''Grallaria'' – 45종

|-

|

{| class="wikitable"

|-

| ''Cryptopezus'' – 점가슴개미새

|-

|

Grallaricula – 10종
Hylopezus – 6종 및 Myrmothera – 6종



|}

|}

|}

참조

[1] 논문 Systematic relationships and biogeography of the tracheophone suboscines (Aves: Passeriformes) 2002
[2] 논문 Molecular systematics of New World suboscine birds 2004
[3]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ntpitta genera (Passeriformes: Formicariidae) 2005
[4] 논문 Further evidence for paraphyly of the Formicariidae (Passeriformes) 2005
[5] 논문 Forty-Ninth Supplement to the American Ornithologists' Union Check-List of North American Birds 2006
[6] 논문 Grallaria Antpittas https://birdsofthewo[...] 2020-07-31
[7] 논문 The evolution of a tropical biodiversity hotspot http://www.harveybir[...] 2020
[8] 웹사이트 Antthrushes, antpittas, gnateaters, tapaculos, crescentchests http://www.worldbird[...]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3-03-05
[9] 웹사이트 http://www.zoonomen.[...]
[10] 저널 Earth history and the passerine superradi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