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적딱새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적딱새류는 크기, 색상, 부리 모양 등 형태적 특징이 매우 다양한 조류 과로, 대부분 곤충을 주식으로 한다. 일부 종은 과일이나 작은 척추동물을 먹기도 하며, 북아메리카에서는 횃대에서 곤충을 잡아먹는 방식으로 먹이를 구한다.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인해 일부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447종과 104개의 속으로 분류된다. 산적딱새과는 산적딱새아목에서 가장 큰 과이며, 계통 분류는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적딱새과 - 제비꼬리타이런트새
    제비꼬리타이런트새는 1789년에 분류된 조류로, 수컷은 길고 갈라진 꼬리가 특징이며 곤충을 먹고 멕시코 북동부와 미국 남부 지역에서 번식한다.
산적딱새류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노란배솔딱새
노란배솔딱새, Empidonax flavescens
학명Tyrannidae
명명자Vigors, 1825
분포[[File:Tyrannen.png|200px|분포도]]
분포 지역 설명산적딱새류의 분포
분류
하위 분류군약 100여개 속, 본문 참조
생태
서식지아메리카 대륙

2. 형태

산적딱새류는 대부분 꽤 수수하며, 갈색, 회색, 흰색 등 다양한 색상을 띤다. 종종 어느 정도의 위장을 하기도 한다. 밝은 붉은색의 진홍딱새, 파란색, 검은색, 흰색, 노란색의 얼룩긴꼬리딱새, 그리고 종종 노란색, 검은색, 흰색, 또는 적갈색을 띠는 일부 부채머리딱새나 참새류는 예외적인 경우이다. 여러 종은 화려한날개딱새에서 왕부리새에 이르기까지 밝은 노란색의 아랫부분을 가지고 있다. 일부 종은 깃털이 서는 관우를 가지고 있다.[4] 여러 대형 속(예: ''Elaenia'', ''Myiarchus'' 또는 ''Empidonax'')은 깃털이 비슷하여 현장에서 구별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일부 종은 소리로 구별하는 것이 가장 좋다.

가장 작은 산적딱새류는 ''Myiornis'' 속에 속하는 꼬리짧은난쟁이참새와 검은두건난쟁이참새로, 이들은 총 길이가 6.5cm에서 7cm이고 무게는 4g에서 5g이다. 가장 큰 산적딱새류는 큰제비참새로, 29cm이며 99.2g이다. 깃털꼬리참새, 가위꼬리새 및 꼬리갈개참새와 같은 몇몇 종은 꼬리가 매우 길어 최대 41cm에 달하기도 한다.[1]

3. 생태

대부분의 산적딱새류는 곤충을 먹으며, 기회주의적으로 마주치는 모든 비행 또는 나무 위 곤충을 잡는다. 그러나 먹이는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일부 종은 과일이나 작은 척추동물(예: 작은 개구리)을 먹기도 한다.[4]

많은 종은 구대륙의 딱새과(Old World flycatchers)와 생태가 유사하여, 나뭇가지에서 날아올라 공중의 곤충을 포식하는 "딱새형 먹이 섭취"를 한다. 북아메리카에서는 대부분 횃대에서 직접 곤충을 잡아 즉시 같은 횃대로 돌아가는 "채기" 방식으로 먹이를 먹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열대 종은 이런 방식으로 먹이를 먹지 않으며, 일부는 잎과 나무 껍질에서 곤충을 줍는 것을 선호한다. 열대 종은 때때로 다양한 종류의 산적딱새류와 다른 작은 새들이 근처에서 먹이를 찾는 혼합 종 무리에서 발견된다.[4]

4. 보전 상태

북부 수염 없는 폭군새(''Camptostoma imberbe'')는 1918년 이동 조류 조약에 따라 보호받는다.[5] 이 종은 미국 국경 이남에서 흔하게 발견된다. 남미와 중앙 아메리카의 다른 여러 종들의 상황은 훨씬 더 심각하다. 2007년,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및 이에 따라 IUCN)은 미나스제라이스 폭군새와 캠퍼의 난쟁이새 두 종을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했다. 둘 다 브라질 고유종이다. 또한, 7종은 위기종으로, 18종은 취약종으로 분류되었다.[6]

5. 분류

산적딱새류는 타이런트아목에서 가장 큰 과이며, 산적딱새소목의 한 과이다. 소목 내의 계통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며, 타이런트과의 자매군은 히카키새과[13] 또는 히카키새과와 과일새과[11]로 여겨진다.

타이런트과 내에서 가장 먼저 분기된 것은 검은머리마이코드리속[13] 또는 부채타이런트아과[11]이다. 검은머리마이코드리속은 전통적으로 마이코드리과에 속했다.

Tello ''et al.''은 부채타이런트아과가 가장 먼저 분기되었다고 보고, 이를 독립적인 부채타이런트과로 분리하여 타이런트과와 합쳐 전체를 타이런트상과로 간주했다. 그러나 검은머리마이코드리속이 먼저 분기되었다면, 부채타이런트과는 타이런트과에 포함되어 아과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12] 이 아과는 이전에는 로 불렸지만, 몇몇 속이 추가되어 명명 규약상의 선취권 원칙에 따라 [14] 또는 [12]로 변경되었다. 단, 넓적부리타이런트속 + 시나몬마이코드리가 이 아과에 속하지 않는다는 설도 있으며,[15] 그 경우 라는 이름을 사용할 수 없다.

타이런트과는 부채타이런트아과를 포함하여 5개의 아과로 나뉘며, 이들은 다시 족으로 나뉜다. 다만 그 중 타이런트아과의 단 계통성에는 의문이 있다.[12]

전통적으로 타이런트과에 포함되었던 검은머리타이런트속, 노랑허리부채타이런트속, 작은타이런트, 부채타이런트속은 신설·확대된 히카키새과로 옮겨졌다.

Sibley & Ahlquist (1990)에서는 타이런트소목 전체를 타이런트과 (및 단형의 타이런트상과·타이런트소목)로 보고, 5개의 아과로 나누었다. 이 아과들은 대략적인 과에 해당하지만, 타이런트아과에서 부채타이런트아과 (현재 부채타이런트아과보다 약간 좁음)가 분리되었다. 국제 조류 학회(IOC)에 따르면 103속 420종이 있다.[16]

이 과의 이름은 1730년대에 박물학자 마크 케이츠비가 동부 왕새를 "폭군"으로 처음 묘사한 데서 유래되었다. 칼 린네는 케이츠비의 작품에 감탄하여 폭군새과 전체에 그 이름을 채택했다.[7]

이 과에는 447종의 조류가 있으며, 104개의 으로 나뉜다.[8] ''Tityra'', ''Pachyramphus'', ''Laniocera'' 및 ''Xenopsaris'' 속의 종은 이전에 이 과에 속했지만, 증거에 따르면 자체 과인 타이티라새과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9] 현재 남아메리카 분류 위원회(SACC)에서 배치하고 있다.

5. 1. 하위 속


5. 2. 계통 분류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산적딱새아목 계통 분류이다.[21]

{| class="wikitable"

|-

! 산적딱새아목

|-

|

{| class="wikitable"

|-

! 넓적부리새하목
(구대륙 명금류사촌)

! 산적딱새하목
(신대륙 명금류사촌)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푸른넓적부리새과

|-

|



|}

|}

|

{| class="wikitable"

|-

! 화덕딱새소목

! 산적딱새소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초승달가슴새과

|-

|



|}

|-

|

{| class="wikitable"

|-

| 땅개미새과

|-

|

{| class="wikitable"

|-

| 꼬리세움새과

|-

|



|}

|}

|}

|

{| class="wikitable"

|-

| 무희새과

|-

|

{| class="wikitable"

|-

| 장식새과

|-

|



|}

|}

|}

|}

|}

|}

참조

[1] 웹사이트 Tyrant flycatchers « IOC World Bird List http://www.worldbird[...] 2020-10-02
[2]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9: Cotingas to Pipits and Wagtails Lynx Edicions
[3]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yrant-flycatchers (Aves: Tyrannidae), with an emphasis on the elaeniine assemblage http://www.bio-nica.[...] 2012-08-05
[4] 서적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2nd Edition CRC Press
[5] 웹사이트 List of Migratory Bird Species Protected by the Migratory Bird Treaty Act as of December 2, 2013 http://www.fws.gov/m[...]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19-06-07
[6] 웹사이트 Species factsheets http://www.birdlife.[...] 2007-12-12
[7] 웹사이트 Naturally curious: Tyrant flycatchers have enjoyed their name since 1700s https://tucson.com/l[...] 2024-07-11
[8] 웹사이트 Tyrant flycatcher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3-12
[9] 웹사이트 Adopt the Family Tityridae http://www.museum.ls[...] 2008-05-08
[10] 문서 日本大百科全書 http://100.yahoo.co.[...] 小学館
[11] 논문 Phylogeny and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tyrant flycatchers, cotingas, manakins, and their allies (Aves: Tyrannides)
[12] 문서 Tree of Life Web Project http://tolweb.org/Ty[...]
[13] 논문 Higher-level phylogeny and morphological evolution of tyrant flycatchers, cotingas, manakins, and their allies (Aves: Tyrannida)
[14] 웹사이트 Check-list of North American Birds http://www.aou.org/c[...]
[15]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yrant-flycatchers (Aves: Tyrannidae), with an emphasis on the elaeniine assemblage
[16] 웹사이트 IOC World Bird Names http://www.worldbird[...]
[17] 웹사이트 IOC World Bird Names http://www.worldbird[...]
[18] 웹사이트 IOC World Bird Names http://www.worldbird[...]
[19] 문서 Tree of Life Web Project http://tolweb.org/%5[...]
[20] 문서 Tree of Life Web Project http://tolweb.org/Ty[...]
[21]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