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승달가슴새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승달가슴새류는 초승달가슴새과에 속하는 조류의 총칭이다. 이 과에는 목걸이초승달가슴새, 이중목걸이초승달가슴새, 올리브관초승달가슴새, 마라논초승달가슴새, 우아한초승달가슴새 등 5종이 포함되어 있다. 초승달가슴새류는 산적딱새아목에 속하며, 화덕딱새소목에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트비히 라이헨바흐가 명명한 분류군 - 가마우지과
가마우지과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중간 크기에서 큰 크기의 바닷새로, 뛰어난 잠수 능력으로 물고기를 주식으로 하며 독특한 날개 말리기 행동을 보이고, 과거 가마우지 낚시로 인간과 관계를 맺었으나 현재는 보호와 솎아내기 사이에서 논란이 되는 문화적 상징이다. - 루트비히 라이헨바흐가 명명한 분류군 - 뿔호반새류
뿔호반새류는 전 세계 온난 지역에 서식하며 평평하고 날카로운 부리로 물고기를 포식하는 물총새과의 아과로, 3개의 속과 9종을 포함하고 아시아에서 기원하여 아메리카 대륙까지 서식지를 넓혔으나 한반도 서식 기록은 없다.
초승달가슴새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Melanopareia |
명명자 | 라이헨바흐, 1853 |
모식종 | Synallaxis maximiliani |
모식종 명명자 | 도르비니, 1835 |
몸길이 | 14 ~ 16 cm |
몸무게 | 16 ~ 23 g |
분류 | |
상위 분류군 | 새목 |
과 | 초승달가슴새과 (Melanopareiidae) |
과 명명자 | Ericson et al 2010 |
종 | 본문 참조 |
하위 종 | |
종 목록 | 목걸이초승달가슴새(Melanopareia torquata) 도르비니초승달가슴새(Melanopareia dorbignyi) 검은얼굴초승달가슴새(Melanopareia melanops) 관초승달가슴새(Melanopareia maximiliani) 붉은배초승달가슴새(Melanopareia elegans) |
2. 하위 종
초승달가슴새속에는 다음 다섯 종이 포함되어 있다.[7]
이름 | 학명 | 분포 지역 |
---|---|---|
Melanopareia torquata | 볼리비아 북동부, 브라질 중부, 파라과이 북부. | |
Melanopareia bitorquata | 볼리비아 동부와 인접한 브라질 | |
Melanopareia maximiliani |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파라과이. | |
Melanopareia maranonica | 에콰도르 남부와 페루 북부. | |
Melanopareia elegans | 에콰도르와 페루. |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산적딱새아목 계통 분류이다.[13]
3. 분포
4. 계통 분류
산적딱새아목은 크게 넓적부리새하목(구대륙 명금류사촌)과 산적딱새하목(신대륙 명금류사촌)으로 나뉜다. 넓적부리새하목은 눈매팔색조과, 넓적부리새과, 푸른넓적부리새과, 사파요아과, 팔색조과를 포함한다. 산적딱새하목은 다시 화덕딱새소목과 산적딱새소목으로 나뉜다. 화덕딱새소목에는 초승달가슴새과, 모기잡이새과, 개미새과, 땅개미새과, 꼬리세움새과, 개미지빠귀과, 화덕딱새과가 포함된다. 산적딱새소목에는 무희새과, 장식새과, 타이티라새과, 산적딱새과가 포함된다.
4. 1. 산적딱새아목의 계통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산적딱새아목 계통 분류이다.[13]
산적딱새아목은 크게 넓적부리새하목(구대륙 명금류사촌)과 산적딱새하목(신대륙 명금류사촌)으로 나뉜다. 넓적부리새하목은 눈매팔색조과, 넓적부리새과, 푸른넓적부리새과, 사파요아과, 팔색조과를 포함한다. 산적딱새하목은 다시 화덕딱새소목과 산적딱새소목으로 나뉜다. 화덕딱새소목에는 초승달가슴새과, 모기잡이새과, 개미새과, 땅개미새과, 꼬리세움새과, 개미지빠귀과, 화덕딱새과가 포함된다. 산적딱새소목에는 무희새과, 장식새과, 타이티라새과, 산적딱새과가 포함된다.
참조
[1]
웹사이트
Melanopariidae
https://www.aviansys[...]
The Trust for Avian Systematics
2023-07-16
[2]
웹사이트
Proposal #239) to South American Classification Committee: Remove Melanopareia from the Rhinocryptidae and create family Melanopareiidae
http://www.museum.ls[...]
2008-05-16
[3]
웹사이트
IOC World Bird List
https://web.archive.[...]
2009-12-29
[4]
웹사이트
Updates & Corrections – Dec 2009
http://www.birds.cor[...]
2009-12-29
[5]
논문
Circumscription of a monophyletic family for the tapaculos (Aves: Rhinocryptidae): Psiloramphus in and Melanopareia out
https://hal.archives[...]
[6]
서적
Family Rhinocryptidae (Tapaculos)
Lynx Edicions, Barcelona
[7]
웹사이트
Antthrushes, antpittas, gnateaters, tapaculos, crescentchests
http://www.worldbird[...]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18-02-04
[8]
웹사이트
Proposal #239) to South American Classification Committee: Remove Melanopareia from the Rhinocryptidae and create family Melanopareiidae
http://www.museum.ls[...]
2008-05-16
[9]
웹인용
IOC World Bird List
http://www.worldbird[...]
2009-12-29
[10]
웹인용
Updates & Corrections - Dec 2009
http://www.birds.cor[...]
2009-12-29
[11]
저널 인용
Circumscription of a monophyletic family for the tapaculos (Aves: Rhinocryptidae): Psiloramphus in and Melanopareia out
[12]
서적
Family Rhinocryptidae (Tapaculos)
Lynx Edicions, Barcelona
[13]
저널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