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구나 동판 비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구나 동판 비문은 1987년 필리핀 라구나 호 부근에서 발견된 동판 유물이다. 이 비문은 샤카력 822년(서기 900년)에 작성되었으며, 고대 자바어와 유사한 카위 문자로 기록되어 있다. 비문에는 톤도, 파일라, 비누안간, 풀리안, 므당 등 지명이 언급되어 있으며, 당시 사회의 정치, 경제, 문화적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라구나 동판 비문은 필리핀 국보로 지정되어 국립인류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필리핀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라구나 동판 비문
개요
라구나 동판 비문
국립 인류학 박물관에 전시된 비문
재료구리
높이20cm 미만
너비30cm 미만
제작 시기기원후 900년 4월 21일
발견 시기1989년
발견 장소필리핀, 라구나, 룸반
소장 위치필리핀 국립 박물관
언어주로 고대 말레이어, 일부 산스크리트어, 안톤 포스트마에 따르면 고대 자바어 또는 고대 타갈로그어 가능성 있음

2. 명칭

3. 발견

남와란의 석방을 강조한 텍스트


라구나 동판 비문은 1987년 필리핀 라구나 호 근처 룸방 강 어귀에서 발견되었다.[24]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모래를 준설하던 에르네스토 레기스마라는 사람이 발견한 이 유물은 골동품상을 거쳐 필리핀 국립박물관에 소장되었다.[6][25] 국립박물관은 이 유물을 '라구나 동판'으로 부른다.[26]

1년 후, 안톤 포스트마는 이 비문이 자바어와 유사하다는 것을 알아채고 번역하여 문서 자체의 연대가 샤카력 822년(서기 900년)이라는 것을 밝혀냈다.[3] 이는 972년 중국 송나라 공식 기록인 『송사』에 필리핀이 언급된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27]

3. 1. 발견 경위

라구나 동판 비문은 1987년 필리핀 라구나 호 근처 룸방 강 어귀에서 발견되었다.[24]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해 모래를 준설하던 에르네스토 레기스마라는 사람이 발견한 이 유물은 골동품상을 거쳐 필리핀 국립박물관에 소장되었다.[6][25] 국립박물관은 이 유물을 '라구나 동판'으로 부른다.[26]

1년 후, 안톤 포스트마는 이 비문이 자바어와 유사하다는 것을 알아채고 번역하여 문서 자체의 연대가 샤카력 822년(서기 900년)이라는 것을 밝혀냈다.[3] 이는 972년 중국 송나라 공식 기록인 『송사』에 필리핀이 언급된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27]

3. 2. 번역 및 연대 측정

이 비문은 20 × 30 cm 크기의 얇은 동판 위에 음각으로 새겨져 있으며, 금속을 달궈서 부드럽게 만든 판 위에 글자들이 새겨져 있다는 점에서 그 시기의 자바 스크롤과는 다르다.[31]

새겨진 내용은 사카 시대 822년, 와이사카 달, 하현달 넷째 날로, 그레고리력으로는 서기 900년 4월 21일 월요일에 해당한다.[32] 사용된 표기 체계는 카위 문자이며, 옛 말레이 문자의 다양한 변종이다. 여기에는 산스크리트어에서 빌려온 차용어가 많고, 어원이 고대 자바로 추정되는 비 말레이계 어휘들도 있다. 어떤 이들은 이것이 고대 타갈로그어와 고대 자바어의 중간에 있는 것이라고 주장한다.[30] 그 문서는 1 카티와 8 수와르나스(865g)에 이르는 금을 빚진 남와란 어린이를 소유자로 말하고 있다.[31][32]

네덜란드 인류학자이자 하누노오 문자 전문가인 안툰 파스트마는 그 문서가 톤도의 위치들 또한 언급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파일라는 현재의 바랑가이 산 로렌소의 외딴 지역이며, 비누안간은 현재 오반도의 일부이며, 풀리안, 므당(자바의 메당 왕국)은 오늘 날의 인도네시아에 존재한다.[32] 필라와 풀리판의 정확한 위치는 오늘 날의 필리 타운과 예전에는 ‘풀리란’으로 알려진 베이호(메트로 마닐라 남동부의 대형 담수호)의 남동부 지역을 언급할 수도 있기 때문에 논쟁 중이다.[33][34] ''남와란''(''Namwaran'')을 참조하는 것 또한 죽은 이를 나타내는 비사야 어 용어인 ''나와라''(''nawara'')의 축약일 수도 있다. 고대 비사야 관습에서 죽은 이의 이름은 공경의 의미로 대화에 사용하지 않았다. 현대 와라이 어의 ''빈완간''(''Binwangan'')이라는 말은 ‘강 어귀’를 뜻하고, 반면 ''풀리란''(''Puliran'')이라는 말은 언덕에서 평지로 구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오늘날의 룸반 타운의 지형학적 특징이다.

라구나 동판 비문은 1987년 라구나 호 근처 룸방 강 어귀에서 발견되었다.[24] 유물에 가치가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한 발견자는 골동품상에게 팔았고, 골동품상은 구매자를 찾지 못하자 결국 필리핀 국립박물관에 팔았다. 박물관에서는 인류학 부서장인 알프레도 에반헬리스타에게 이를 맡겼다.[6][25] 국립박물관은 이 유물을 '라구나 동판'으로 부른다.[26]

1년 후, 안톤 포스트마는 이 비문이 자바어와 유사하다는 것을 알아챘다. 포스트마는 비문을 번역하여 문서 자체의 연대가 샤카력 822년(서기 900년에 해당하는 고대 힌두력 연대)이라는 것을 밝혀냈다.[3] 이는 972년 중국 송나라 공식 기록인 『송사』에 필리핀이 언급된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27]

4. 내용

이 비문은 20 × 30 cm 크기의 얇은 동판 위에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이것은 그 시기의 자바 스크롤과는 다르며, 금속을 달궈서 부드럽게 만든 판 위에 새겨진 글자들을 가지고 있다.[31]

그 위에 새겨진 것은 사카 시대 822년, 와이사카 달, 하현달 네째 일이었으며, 현대적인 그레고리력으로는 서기 900년 4월 21일 월요일에 해당한다.[32] 사용된 표기 체계는 카위 문자로, 옛 말레이 문자의 다양한 변종이며, 많은 산스크리트어에서 빌려온 차용어들을 포함하고 있고, 어원이 고대 자바로 추정되는 몇 개의 비(非)말레이계 어휘들이 있다. 어떤 이들은 이것이 고대 타갈로그어와 고대 자바어의 중간에 있는 것이라고 주장한다.[30] 그 문서는 1 카티와 8 수와르나스(865g)에 이르는 금을 빚진 남와란 어린이를 소유자로 말하고 있다.[31][32]

네덜란드 인류학자이자 하누노오 문자 전문가인 안툰 파스트마는 그 문서가 톤도의 위치들 또한 언급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파일라는 현재의 바랑가이 산 로렌소의 외딴 지역이며, 비누안간은 현재 오반도의 일부이며, 풀리안, 므당(자바의 메당 왕국)은 오늘 날의 인도네시아에 존재한다.[32] 필라와 풀리판의 정확한 위치는 논쟁 중이지만, 베이호(메트로 마닐라 남동부의 대형 담수호)의 남동부 지역을 언급할 수도 있기 때문에 동판이 발견된 지역과 가깝다.[33][34]

''남와란''(''Namwaran'')을 참조하는 것 또한 죽은 이를 나타내는 비사야 어 용어인 ''나와라''(''nawara'')의 축약일 수도 있다. 고대 비사야 관습에서 죽은 이의 이름은 공경의 의미로 대화에 사용하지 않았다. 현대 와라이 어의 ''빈완간''(''Binwangan'')이라는 말은 ‘강 어귀’를 뜻하고, 반면 ''풀리란''(''Puliran'')이라는 말은 언덕에서 평지로 구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오늘날의 룸반 타운의 지형학적 특징이다.

4. 1. 원문 및 번역

라구나 동판 비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8][1]

헥터 산토스(1995)의 음역안톤 포스트마(1992)의 예비 번역참고
1swasti shaka warshatita 822 waisakha masa ding jyotisha. 촐투르티 krishnapaksha so-길상! 사카 연대 822년; 역술가에 따르면 3~4월 [= 바이삭하] 달; 그믐의 넷째 날;
2-mawara sana tatkala dayang angkatan lawan dengannya sanak barngaran si bukah월요일에. 그 당시, 안가탄 부인은 친척인 부카와 함께
3anakda dang hwan namwaran di bari waradana wi shuddhapat(t)ra ulih sang pamegat senapati di tundu-남와란 각하의 자녀에게, 툰둔의 수장이자 사령관인 그에 의해 특별한 호의로 완전 면제 문서가 주어졌다.
4n barja(di) dang hwan nayaka tuhan pailah jayadewa. di krama dang hwan namwaran dengan dang kaya-파이라흐의 지도자인 자야데와를 대표하는. 이것은 존경하는 서기관을 통해 남와란 각하가
5stha shuddha nu di parlappas hutangda wale(da)nda kati 1 suwarna 8 di hadapan dang hwan nayaka tuhan pu-1 카티와 8 수와르나(금의 무게)의 봉급 관련 채무가 풀리란의 지도자 각하 앞에서 완전히 청산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6liran ka sumuran. dang hwan nayaka tuhan pailah barjadi ganashakti. dang hwan nayaka tu-카수무란; 가나삭티를 대표하는 파이라흐의 지도자 각하; (그리고) 지도자 각하
7han binuangan barjadi bishruta tathapi sadanda sanak kaparawis ulih sang pamegat de-비슈루타를 대표하는 비누앙안의; 그리고 그의 온 가족은 데와타의 수장의 명령으로
8wata [ba]rjadi sang pamegat medang dari bhaktinda di parhulun sang pamegat. ya makanya sadanya anak메당의 수장을 대표하는, 수장의 신하(노예?)로서의 충성심 때문에, 따라서 모든 자손
9chuchu dang hwan namwaran shuddha ya kaparawis di hutangda dang hwan namwaran di sang pamegat dewata. ini gerang남와란 각하의 것은 데와타의 수장에게 남와란 각하가 빚진 모든 빚이 청산되었다는 것이다. 이 (문서는) 만약의 경우에 (발행된)
10syat syapanta ha pashchat ding ari kamudyan ada gerang urang barujara welung lappas hutangda dang hwa ...미래의 어느 날에, 각하의 채무가 아직 청산되지 않았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면...비문 10행은 문장 중간에서 잘려 있다.[1]


4. 2. 언어 및 문자

이 비문은 20 × 30 cm 크기의 얇은 동판 위에 음각으로 새겨져 있으며, 당시의 자바 스크롤과는 다르게 금속을 달궈 부드럽게 만든 판 위에 글자들이 새겨져 있다.[31]

새겨진 문자는 카위 문자의 변종으로, 산스크리트어에서 차용한 단어들과 고대 자바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비(非)말레이계 어휘들을 포함하고 있다. 어떤 이들은 이것이 고대 타갈로그어와 고대 자바어의 중간 형태라고 주장한다.[30] 이 문서는 1 카티와 8 수와르나스(865g)에 이르는 금을 빚진 남와란 어린이를 소유자로 명시하고 있다.[31][32]

비문에는 천문학적 용어로 시작하는 행으로 비문의 날짜를 상세히 나타내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많은 단어들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의례적인 호칭을 표현하는 고대 자바어와 고대 타갈로그어 단어들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비문의 주요 언어는 고대 말레이어이며, 당시 전 아르키펠라고의 공용어이자 무역어 역할을 했다. 고대 말레이어의 특징은 동사 접사 ''bar-'', ''di-'', ''dipar-'' 등에서 찾을 수 있으며, 현대 말레이어와 인도네시아어의 ''ber-'', ''di-'', ''diper-''에 해당한다.

산스크리트어와 고대 말레이어 외에도, 고대 말레이어에는 관련어가 없거나 다른 고대 말레이어 비문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순수한 고대 자바어 단어들도 있다. 예를 들어 ''ngaran''(이름)과 ''pamegat''(지도자, 우두머리)이 있다. ''Pamegat''은 고대 자바어 비문에는 자주 등장하지만 고대 말레이어 비문에는 등장하지 않는 고대 자바어 단어이다. 비문에서처럼 종종 경칭인 ''sang''이 앞에 온다. 이러한 단어들은 고대 자바어 단어로 받아들여지지만, 고대 타갈로그어일 수도 있다.

네덜란드 인류학자 안툰 파스트마는 이 문서가 톤도, 파일라, 비누안간, 풀리안, 므당(자바의 메당 왕국) 등의 위치를 언급하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32] 필라와 풀리판의 정확한 위치는 논쟁 중이지만, 동판이 발견된 지역과 가깝다.[33][34] ''남와란''(''Namwaran'')은 죽은 이를 나타내는 비사야 어 용어인 ''나와라''(''nawara'')의 축약일 수도 있다. 고대 비사야 관습에서는 죽은 이의 이름을 공경의 의미로 사용하지 않았다. 현대 와라이 어의 ''빈완간''(''Binwangan'')은 ‘강 어귀’를 뜻하고, ''풀리란''(''Puliran'')은 언덕에서 평지로 구르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오늘날 룸반 타운의 지형학적 특징이다.

4. 3. 지명 및 정치 체제

이 비문은 20 × 30 cm 크기의 얇은 동판 위에 음각으로 새겨져 있으며, 사카 시대 822년, 와이사카 달, 하현달 넷째 일(서기 900년 4월 21일 월요일)에 해당한다.[32] 사용된 표기 체계는 카위 문자이며, 옛 말레이 문자의 다양한 변종이다. 여기에는 산스크리트어 차용어와 고대 자바어로 추정되는 비(非)말레이계 어휘들이 포함되어 있다.[30]

네덜란드 인류학자 안툰 파스트마는 비문이 톤도의 위치와 인도네시아의 므당(자바의 메당 왕국)을 언급한다고 결론 내렸다.[32] 비누안간은 현재 오반도의 일부이며, 풀리란은 베이호(메트로 마닐라 남동부의 대형 담수호)의 남동부 지역을 언급할 수도 있다.[33][34]

최초로 라구나 동판 비문을 번역한 포스트마는 비문에 나오는 지명들이 10세기에 이미 존재했던 장소를 가리킨다고 보았다.[1] 그는 '비누앙안(Binuangan)', '파이라(Pailah)', '풀리란(Puliran)'이 불라칸(Bulacan) 주에 있다고 확신했다.[1] 포스트마는 중부 루손의 강 시스템이 "다른 정착지 간의 효과적인 교통 및 통신 수단"을 제공했으며, 중국과 동남아시아 해상 무역상들이 내륙 무역 센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주었다고 강조했다.[1]

포스트마는 툰둔(Tundun)을 파시강 삼각주 북쪽 해안의 톤도로 보았다.[11][12] 그는 므당(Mdang)과 톤도가 "원래 자바 섬에 존재했던 지명일 가능성"을 열어두었다.[1] 포스트마는 파일라(Pailah)를 불라칸(Bulacan)의 노르자가라이 동쪽에 있는 산 로렌조 바랑가이의 파일라 마을로 추정했다.[1] 그는 풀리란이 현재 마닐라 북쪽 Angat 강을 따라 위치한 풀리란의 현대 불라칸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1] 포스트마는 비누안간(Binuangan)을 부라칸 강 어귀에 위치한 오반도 시의 비누안간 마을로 추정했다.[1]

포스트마는 데와타(Dewata)와 망갈(Mdang)이 인명 또는 지명일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망갈(Mdang)을 언급하는 것 외에는 그 위치에 대해 논의하지 않았다.[1] 이후 학자들은 디와타 산(Mount Diwata), 부투안(Butuan) 근처 몽카요(Monkayo)에 있는 정착지로 데와타(Dewata)를 확인했다.[12] 비문에서 톤도의 자야데와(Jayadewa)가 데와타(Dewata) 수장의 권위를 언급하지만, 데와타와 망단(Mdang)의 관계는 불분명하다.[11]

포스트마가 주장한 '파이라흐(Pailah)', '풀리란(Puliran)', '비누앙간(Binuangan)'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 필라역사학회와 지역 역사학자 하이메 F. 티옹손이 이의를 제기했다. 그들은 '파이라흐'와 '풀리란'은 룸반 근처를 가리킬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한다.[9][10] 티옹손은 '파이라흐(Pailah)'는 필라를, '풀리란(Puliran)'은 라구나 호 남동부 지역, '비누앙간(Binuangan)'은 카마리네스 노르테주 카팔롱가의 비나왕간(Binawangan)을 가리킨다고 해석했다.[13][9][10]

5. 역사적 의의

이 비문은 20 × 30 cm 크기의 얇은 동판 위에 음각으로 판 글이 새겨져 있다. 이것은 그 시기의 자바 스크롤과는 다르며, 이것은 금속을 달궈서 부드럽게 만든 판 위에 새겨진 글자들을 가지고 있다.[31]

그 위에 새겨진 것은 사카 시대 822년, 와이사카 달, 하현달 네째 일이었으며, 현대적인 그레고리력으로는 서기 900년 4월 21일 월요일에 해당한다.[32] 사용된 표기 체계는 카위 문자로, 그 문제는 옛 말레이 문자의 다양한 변종이며, 많은 산스크리트어에서 빌려온 차용어들을 포함하고 있고, 어원이 고대 자바로 추정되는 몇 개의 비 말레이계 어휘들이 있다. 어떤 이들은 이것이 고대 타갈로그어와 고대 자바어의 중간에 있는 것이라고 주장한다.[30] 그 문서는 1 카티와 8 수와르나스(865g)에 이르는 금을 빚진 남와란 어린이를 소유자로 말하고 있다.[31][32]

네덜란드 인류학자이자 하누노오 문자 전문가인 안툰 파스트마는 그 문서가 톤도의 위치들 또한 언급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파일라는 현재의 바랑가이 산 로렌소의 외딴 지역이며, 비누안간은 현재 오반도의 일부이며, 풀리안, 므당(자바의 메당 왕국)은 오늘 날의 인도네시아에 존재한다.[32] 필라와 풀리판의 정확한 위치 오늘 날의 필리 타운과 예전에는 ‘풀리란’으로 알려진 베이호(메트로 마닐라 남동부의 대형 담수호)의 남동부 지역을 언급할 수도 있기 때문에 논쟁 중이다.[33][34]

''남와란''(''Namwaran'')을 참조하는 것 또한 죽은 이를 나타내는 비사야 어 용어인 ''나와라''(''nawara'')의 축약일 수도 있다. 고대 비사야 관습에서 죽은 이의 이름은 공경의 의미로 대화에 사용하지 않았다. 현대 와라이 어의 ''빈완간''(''Binwangan'')이라는 말은 ‘강 어귀’를 뜻하고, 반면 ''풀리란''(''Puliran'')이라는 말은 언덕에서 평지로 구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오늘날의 룸반 타운의 지형학적 특징이다.

라구나 동판 비문은 부투안의 금 타라(Golden Tara)와 세부에서 발견된 14세기 도자기 및 금 장신구 등 최근 발견된 다른 유물들과 함께 일부 서구 역사가들이 이전에 아시아 다른 지역과 문화적으로 고립된 것으로 간주했던 고대 필리핀 역사를 수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당시 이전까지는 히스패닉 이전 시대의 기록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필리핀 역사가 윌리엄 헨리 스콧(William Henry Scott)은 1968년 그의 저서 ''Prehispanic Source Materials for the Study of Philippine History''(필리핀 역사 연구를 위한 히스패닉 이전 자료)를 통해 이러한 이론들을 반박했으며, 이 책은 1984년에 출판되었다.[14] 언급된 장소들은 모두 강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이는 구 말레이어가 무역 네트워크를 따라 이 지역에 들어왔을 가능성을 시사한다.[5]

이 비문은 히스패닉 이전 시대의 문자 사용과 문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국보로 간주된다. 현재는 마닐라에 있는 국립인류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15]

이는 식민지 이전 필리핀 사회에서 수학이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문서이다. 금에 대한 정확한 측정의 사용은 표준 무게와 측정 시스템이 있었음을 보여주며, 달의 위상과 관련하여 한 달 내의 정확한 날짜를 고정한 것은 기본적인 천문학에 대한 친숙함을 보여준다.[16]

5. 1. 필리핀 고대사 재조명

라구나 동판 비문은 부투안의 금 타라(Golden Tara)와 세부에서 발견된 14세기 도자기 및 금 장신구 등 최근 발견된 다른 유물들과 함께 고대 필리핀 역사를 수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14] 언급된 장소들은 모두 강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이는 구 말레이어가 무역 네트워크를 따라 이 지역에 들어왔을 가능성을 시사한다.[5]

이 비문은 히스패닉 이전 시대의 문자 사용과 문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국보로 간주된다. 현재는 마닐라에 있는 국립인류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15]

이는 식민지 이전 필리핀 사회에서 수학이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문서이다. 금에 대한 정확한 측정의 사용은 표준 무게와 측정 시스템이 있었음을 보여주며, 달의 위상과 관련하여 한 달 내의 정확한 날짜를 고정한 것은 기본적인 천문학에 대한 친숙함을 보여준다.[16]

5. 2. 사회상

라구나 동판 비문은 국보로, 마닐라에 있는 국립인류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15] 이는 히스패닉 이전 시대 필리핀 사회에서 수학, 표준 무게 및 측정 시스템, 천문학이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문서이다.[16] 금에 대한 정확한 측정 사용과 달의 위상을 기준으로 한 달 내 날짜를 고정하는 방식은 이를 뒷받침한다.[16]

이 비문은 산스크리트어와 고대 자바어의 언어적 영향을 보여준다.[6] 16세기 복서 코덱스에서 안토니오 피가페타는 고대 말레이어가 고전 시대 필리핀인들 사이에서 ''통용어''로 사용되었다고 기록했다. 부투안(Butuan), 아구산델노르테(Agusan del Norte)에서 발견된 황금 타라 상은 같은 시대의 것으로, 힌두교–불교 신앙이 가입 및 로마 가톨릭과 이슬람 도입 이전에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라구나 동판 비문은 부투안의 금 타라(Golden Tara)와 세부에서 발견된 14세기 도자기 및 금 장신구 등과 함께, 일부 서구 역사가들이 아시아 다른 지역과 문화적으로 고립된 것으로 간주했던 고대 필리핀 역사를 수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14] 필리핀 역사가 윌리엄 헨리 스콧(William Henry Scott)은 1968년 저서 ''Prehispanic Source Materials for the Study of Philippine History''(필리핀 역사 연구를 위한 히스패닉 이전 자료)를 통해 이러한 이론들을 반박했으며, 이 책은 1984년에 출판되었다.[14] 비문에 언급된 장소들은 모두 강 근처에 위치해 있어, 구 말레이어가 무역 네트워크를 따라 이 지역에 들어왔을 가능성을 보여준다.[5]

5. 3. 한국과의 관계 (추가)

5. 4. 지명 비정 논쟁

포스트마는 비문에 나오는 지명이 불라칸에 있다는 자신의 해석이 이러한 지명된 정착지를 중부 루손의 강 시스템(그는 이를 "수상 고속도로"라고 불렀다)의 주요 위치에 두고, 이는 "다른 정착지 간의 효과적인(그리고 종종 유일한) 교통 및 통신 수단"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중국과 동남아시아 해상 무역상들이 강을 통해 내륙 무역 센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주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중부 루손의 강이 "오늘날보다 훨씬 깊고 확실히 더 항해하기 쉬웠다"고 지적했다.[1]

포스트마의 주장은 특히 필라 역사 학회 재단과 지역 역사가 Jaime F. Tiongson에 의해 문제 제기되었지만, 동료 평가를 통해 완전히 해결되지는 않았다.[9][10] 포스트마는 비문 6행에 언급된 "자체 지도자를 가진 지역"으로 Puliran을 확인했는데, 그는 Puliran이라는 이름이 오스트로네시아어 기원이라고 믿었다. Postma는 Puliran이 현재 마닐라 북쪽 Angat 강(발음: Anggat)을 따라 위치한 "풀리란"(좌표: 14°54.2′N 120°50.8′E)의 현대 불라칸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1]

포스트마가 주장한 '파이라흐(Pailah)', '풀리란(Puliran)', '비누앙간(Binuangan)'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필라역사학회(Pila Historical Society Foundation)와 지역 역사학자 하이메 F. 티옹손(Jaime F. Tiongson)이 이의를 제기했다.[9][10] 티옹손의 해석에 따르면, '파이라흐(Pailah)'는 필라(Pila)를, '풀리란(Puliran)'은 당시 라구나 호 남동부 지역을 차지했던 옛 지명 풀리란(Puliran)을 가리킨다.[13][9][10]

5. 5. 티옹손의 주장 (추가)

하이메 F. 티옹손은 포스트마가 주장한 '파이라흐(Pailah)', '풀리란(Puliran)', '비누앙간(Binuangan)'의 위치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9][10] 그는 고고학적 발견에 근거하여 '파이라흐'와 '풀리란'은 동판이 발견된 곳과 가까운 룸반 근처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필라 지역의 고고학적 발견은 식민지 시대 이전에 광범위한 정착지가 존재했음을 보여준다.[9][10]

티옹손은 '파이라흐(Pailah)'는 필라를, '풀리란(Puliran)'은 라구나 호 남동부의 옛 지명 풀리란을, '비누앙간(Binuangan)'은 카마리네스 노르테주 카팔롱가의 현대 바랑가이인 비나왕간(Binawangan)을 가리킨다고 해석했다.[13][9][10]

참조

[1] 논문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Text and Commentary http://www.philippin[...] Ateneo de Manila University 1992-04-01
[2] 논문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A Valuable Philippine Document https://journals.lib[...] 1991
[3] 뉴스 New Philippine date challenges historians https://news.google.[...] Kagitingan Publications, Inc. 2021-04-25
[4] 논문 The Date of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https://www.jstor.or[...]
[5] 논문 The Search for the 'Origins' of Melayu 2001-10-01
[6] 웹사이트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http://www.mts.net/~[...] 2008-02-05
[7] 웹사이트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https://web.archive.[...] 2008-09-04
[8] 웹사이트 Sulat sa Tanso: Transcription of the LCI https://web.archive.[...] 2017-10-10
[9] 웹사이트 Puliran in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Laguna de Bay or Pulilan, Bulacan? https://archive.toda[...] 2011-11-18
[10] 웹사이트 Pailah is Pila, Laguna https://archive.toda[...] 2011-11-18
[11] 서적 Philippines in the Sixth to Sixteenth Centuries
[12] 서적 State and Society in the Philippines Rowman and Littlefield
[13] 박사논문 TIMAWA: Kahulugan, Kasaysayan at Kabuluhan sa Lipunang Pilipino. Tesis Masteral https://web.archive.[...] Departamento ng Kasaysayan, Unibersidad ng Pilipinas, Diliman 2001
[14] 서적 Prehispanic Source materials for the Study of Philippine History New Day Publishers
[15] 웹사이트 A receipt in copper https://opinion.inqu[...] Philippine Daily Inquirer 2020-10-20
[16] 논문 Mathematical Ideas in Early Philippine Society http://www.philippin[...]
[17] 웹사이트 The 'Indianization of Southeast Asia' Revisited: Initiative, Adaptation and Transformation in Classical Civilizations https://web.archive.[...] 2018-04-03
[18]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1967
[19] 논문 1. Theories of Indianization Exemplified by Selected Case Studies from Indonesia (Insular Southeast Asia) https://www.academia[...] 2001-05-21
[20] 서적 Barabudur, Archeological Description The Hague 1927
[21] 논문 'Indianization' from the Indian Point of View: Trade and Cultural Contacts with Southeast Asia in the Early First Millennium C.E. 1999
[22] 서적 An Era of Peace
[23] 웹사이트 Baybayin, the Ancient Philippine script https://web.archive.[...] MTS 2008-09-04
[24] 웹사이트 KAHALAGAHAN NG LAGUNA COPPERPLATE AT IKA-400 TAON NG VOCABULARIO NI SAN BUENAVENTURA https://xiaochua.net[...] 2017-10-10
[25] 뉴스 Expert on past dies; 82 https://web.archive.[...] 2008-11-17
[26] 웹사이트 National Cultural Treasures of Philippine Archaeology https://web.archive.[...] 2019-06-13
[27] 서적 Prehispanic Source Materials for the Study of Philippine History
[28] 웹사이트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http://www.allphilip[...] 2011-11-17
[29] 웹사이트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A New Interpretation Using Early Tagalog Dictionaries http://www.bayangpin[...] 2011-11-18
[30] 논문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Text and Commentary 1992
[31] 웹사이트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http://www.mts.net/~[...] 2006-07-14
[32] 웹사이트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http://www.bibingka.[...] 2008-09-04
[33] 웹사이트 Puliran on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Laguna de Bay or Pulilan, Bulacan? http://blog.bayangpi[...] 2011-11-18
[34] 웹사이트 Pailah is Pila, Laguna http://blog.bayangpi[...] 2011-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