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긴의 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긴의 서》는 여러 필사본을 엮어 제작된 중세 아일랜드의 중요한 문헌이다. 주요 편집자이자 필사자는 티르-다-글라스 수도원의 수도원장이었던 아드 우어 크림틴으로 추정되며, 1151년부터 1224년 사이에 제작되었다. 이 필사본은 레인스터 왕 디어마이트 맥 머처다의 의뢰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라긴의 서》는 중세 아일랜드 문학, 족보, 신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며, 《레보르 가발라 에렌》, 《타인 보 컬린게》 등 주요 작품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라긴의 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레보르 라기네흐 (현대 아일랜드어: 레아하르 라그나하) 레보르 나 누아콩발라 |
유형 | 잡록 |
제작 시기 | 12세기, 후반 |
제작 장소 | 테리글래스 (티퍼레리 주) 오하발 또는 클로네나 (레이시 주) |
언어 | 고대 아일랜드어 |
필경사 | 아드 우어 크림하인 |
편찬자 | 미상 |
삽화가 | 미상 |
후원자 | 미상 |
헌정 대상 | 미상 |
재료 | 미상 |
크기 | 약 13″ × 9″; 187쪽 |
형식 | 미상 |
보존 상태 | 필사본 기록에 따르면 45쪽 분실됨. |
필체 | 미상 |
내용 | 미상 |
삽화 | 미상 |
추가 사항 | 미상 |
원본 | 미상 |
이전 소장자 | 오 모다 제임스 웨어 경 |
발견 | 미상 |
기타 | 미상 |
위치 정보 | |
위치 | 테리글래스 (티르 다 글라스) |
위도 | 53.054702 |
경도 | -8.204458 |
언어 정보 | |
고대 아일랜드어 명칭 | 레보르 라기네흐 |
로마자 표기 | 레보르 라기네흐 |
음성 표기 (IPA) | /ˈl͈ʲevər ˈlaɣʲnʲəx/ |
관련 정보 | |
제작 연도 (추정) | 약 1160년 |
2. 제작 연대 및 기원
라긴의 서는 여러 필사본을 엮은 것으로, 한 명 이상의 필사자가 제작에 참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 편집자이자 필사자는 아드 우어 크림틴[2][3]으로 추정되는데, 그는 현재 터리글래스 (티퍼레리 주) 섀넌 강에 위치한 티르-다-글라스 수도원의 수도원장이자 기록상 마지막 수도원장이었다.[3] 필사본 자체의 내부 증거가 아드의 관여를 증명한다. 그의 서명은 f. 32r (313페이지)에서 ''Aed mac meic Crimthaind ro scrib in leborso 7 ra thinoil a llebraib imdaib'' ("아드 우어 크림틴이 이 책을 쓰고 여러 책에서 모았다")라고 읽을 수 있다. 나중에 손으로 기록된 편지에서 (288페이지) 킬데어의 주교인 핀 맥 고르만(1160년 사망)은 그를 레흐 모가 고위 왕의 학자(''fer léiginn'')이자, 콜룸 맥 크림틴의 후계자 (''comarbu''는 '계승자'를 의미)이며, 레인스터의 수석 학자 (''prímsenchaid'')로 언급했다. 유진 오커리는 핀 맥 고르만이 아드를 위해 레인스터의 서를 필사하거나 편집했다는 대안적인 이론을 제시했다.[3]
이 필사본은 아드와 그의 제자들에 의해 1151년에서 1224년 사이의 오랜 기간에 걸쳐 제작되었다.[3] 필사본에 기록된 연대기를 통해 1151년에서 1201년 사이에 쓰였으며, 작업의 대부분은 1160년대에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터리글래스가 1164년에 불탔기 때문에, 필사본은 다른 서사원에서 완성되었음에 틀림없다.[3] 제안된 장소로는 스트래드발리 (라오이스 주)와 클로네나 (라오이스 주)가 있으며, 이는 우이 크림틴의 고향이다 (아래 참조).[3]
유진 오커리는 이 필사본이 레인스터의 왕 디어마이트 맥 머처다 (1171년 사망)에 의해 의뢰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는데, 그는 오버발 (''안 누아콩거발'') 근처의 둔 마스크에 요새 (''dún'')를 가지고 있었다. 둔 마스크는 디어마이트 맥 머처다에서 스트롱보로, 스트롱보에서 그의 딸 이사벨로, 이사벨에서 마셜 펨브로크 백작으로, 그리고 그들의 계보를 따라 여러 세대에 걸쳐 이어졌다. 마일러 피츠 헨리가 라오이스 주에 아우구스티누스 수도원을 설립했을 때, 오버발은 수도원에 부여된 토지에 포함되었다.
2. 1. 주요 필사자
라긴의 서는 여러 작품을 엮은 것으로, 제작에 한 명 이상의 필사자가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 주요 편집자이자 필사자는 아마도 아드 우어 크림틴[2][3]으로 추정되는데, 그는 현재 터리글래스 (티퍼레리 주)에 위치한 섀넌 강의 티르-다-글라스 수도원의 수도원장이자, 기록상 마지막 수도원장이었다.[3] 필사본 자체의 내부 증거가 아드의 관여를 증명한다. 그의 서명은 f. 32r (313페이지)에서 읽을 수 있다: ''Aed mac meic Crimthaind ro scrib in leborso 7 ra thinoil a llebraib imdaib'' ("아드 우어 크림틴이 이 책을 쓰고 여러 책에서 모았다"). 나중에 손으로 기록된 편지에서 (288페이지) 킬데어의 주교인 핀 맥 고르만(1160년 사망)은 그를 레흐 모가의 고위 왕의 학자(''fer léiginn'')이자, 콜룸 맥 크림틴의 후계자 (''comarbu''는 '계승자'를 의미)이며, 레인스터의 수석 학자 (''prímsenchaid'')로 언급했다. 유진 오커리는 핀 맥 고르만이 아드를 위해 레인스터의 서를 필사하거나 편집했다는 대안적인 이론을 제시했다.[3]이 필사본은 아드와 그의 제자들에 의해 1151년에서 1224년 사이의 오랜 기간에 걸쳐 제작되었다.[3] 필사본에 기록된 연대기를 통해 1151년에서 1201년 사이에 쓰였으며, 작업의 대부분은 1160년대에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터리글래스가 1164년에 불탔기 때문에, 필사본은 다른 서사원에서 완성되었음에 틀림없다.[3] 제안된 장소로는 스트래드발리 (라오이스 주)와 클로네나 (라오이스 주)가 있으며, 이는 우이 크림틴의 고향이다.[3]
유진 오커리는 이 필사본이 레인스터의 왕 디어마이트 맥 머처다 (1171년 사망)에 의해 의뢰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는데, 그는 오버발 (''안 누아콩거발'') 근처의 둔 마스크에 요새 (''dún'')를 가지고 있었다.
2. 2. 제작 시기 및 장소
필사본 《라긴의 서》는 여러 작품을 엮은 것으로, 한 명 이상의 필사자가 제작에 참여했다.[2][3] 주요 편집자이자 필사자는 아드 우어 크림틴으로 추정되는데, 그는 티퍼레리 주 터리글래스에 위치한 티르-다-글라스 수도원의 수도원장이었다.[3] 그의 서명은 필사본 f. 32r (313페이지)에서 "Aed mac meic Crimthaind ro scrib in leborso 7 ra thinoil a llebraib imdaib" ("아드 우어 크림틴이 이 책을 쓰고 여러 책에서 모았다")라고 나타난다.[3] 킬데어의 주교인 핀 맥 고르만(1160년 사망)은 아드를 레흐 모가의 고위 왕의 학자(''fer léiginn'')이자, 콜룸 맥 크림틴의 후계자 (''comarbu''는 '계승자'를 의미)이며, 레인스터의 수석 학자 (''prímsenchaid'')로 언급했다.[3]필사본은 1151년에서 1224년 사이에 제작되었으며, 연대기 기록을 통해 1151년에서 1201년 사이에 쓰였고, 작업의 대부분은 1160년대에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3] 1164년에 터리글래스 수도원이 화재로 소실되었기 때문에[3] 필사본은 다른 서사원에서 완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스트래드발리 (라오이스 주)와 클로네나 (라오이스 주)가 완성 장소로 제안된다.[3]
유진 오커리는 필사본이 레인스터의 왕 디어마이트 맥 머처다(1171년 사망)의 의뢰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3]
2. 3. 제작 배경
3. 역사
《라긴의 서》가 완성된 후 약 100년 동안 이 필사본의 행방에 대해서는 확실히 알려진 바가 없지만, 14세기에 오호벌(Oughaval)에서 발견되었다.[3] 그동안 이 지역의 사제관에 보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라긴의 서》는 내용상 레스터(Leinster) 지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이유로, 이 이름을 처음 사용한 존 오도노반(1861년 사망)과, 그가 석판 팩시밀리 에디션을 출판했을 때 이를 채택한 로버트 앳킨슨에 의해 현재의 이름을 얻게 되었다.[3]
그러나 이 필사본은 원래 《레보르 나 누아콩바라(Lebor na Nuachongbála)》, 즉 스트래드발리 근처의 누아호벌(Noghoval, 현 오호벌, 라오이스주)의 "누아호벌의 서"로 알려졌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는 R.I. 베스트에 의해 밝혀졌는데, 베스트는 《라긴의 서》의 여러 짧은 구절이 제임스 웨어 경(1666년 사망)이 쓴 17세기 초 필사본에 인용되어 있다는 것을 관찰했다. 이 필사본은 현재 런던 영국 도서관, Add. MS 4821로 보관되어 있다. 이 발췌문은 "누아호벌의 서"에 기인하며, 웨어 경이 발리나(Ballyna, 킬데어주)에 머물면서 로리 오무어의 환대를 받던 시기에 작성되었다. 오무어(Ó Mhorda) 가문은 15세기 초부터 누아호벌의 영주였으며, 아마 그들의 도움으로 필사본에 접근할 수 있었을 것이다. 《라긴의 서》로 알려진 이 필사본과의 동일성을 입증하는 근거는 로리의 가문이 테리글래스의 후계자인 위 크림타인(Uí Chrimthainn)과 관련이 있다는 점이다. 그의 할아버지는 위 크림타인의 본거지인 클로네나(Clonenagh)에 대한 저당권을 가지고 있었다.[4]
베스트의 주장은 17세기 초 더블린 왕립 아일랜드 학회 MS B. iv. 2의 증거에 의해 뒷받침된다. 루돌프 투르네이젠이 언급했듯이, 필사자는 《라긴의 서》에서 여러 텍스트를 베껴 썼으며, 그 출처를 "레아바르 나 후아총바라(Leabhar na h-Uachongbála)", 즉 《레아바르 나 누아콩바라(Leabhar na Nuachongbála)》("누아호벌의 서")로 확인했다.[5] 셋째, 14세기에 《라긴의 서》는 원래 "새 정착지" (누아호벌)의 수도원으로 알려졌고, 나중에 오호벌로 알려진 스트래드발리(라오이스주)에 있었다.[6]
3. 1. 초기 소유 및 명칭
《라긴의 서》는 완성 후 약 100년 동안의 행방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14세기에 오호벌(Oughaval)에서 발견되었다.[3] 그동안 이 지역 사제관에 보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라긴의 서》는 레스터(Leinster) 지방과 내용상 밀접한 관련이 있어, 존 오도노반과 로버트 앳킨슨이 '라긴의 서'라는 명칭을 사용했다.[3] 그러나 원래는 《레보르 나 누아콩바라(Lebor na Nuachongbála)》, 즉 "누아호벌의 서"로 알려졌다.[4] 이는 R.I. 베스트가 제임스 웨어 경이 쓴 17세기 초 필사본(영국 도서관, Add. MS 4821)에 인용된 《라긴의 서》의 여러 구절을 발견하면서 밝혀졌다.[4] 이 발췌문은 "누아호벌의 서"에 기인하며, 웨어 경이 로리 오무어의 환대를 받던 시기에 작성되었다.[4] 오무어 가문은 15세기 초부터 누아호벌의 영주였으며, 필사본에 접근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4]
베스트의 주장은 17세기 초 더블린 왕립 아일랜드 학회 MS B. iv. 2의 증거로 뒷받침된다.[5] 루돌프 투르네이젠이 언급했듯이, 필사자는 《라긴의 서》에서 여러 텍스트를 베껴 썼으며, 그 출처를 "레아바르 나 후아총바라(Leabhar na h-Uachongbála)", 즉 《레아바르 나 누아콩바라(Leabhar na Nuachongbála)》("누아호벌의 서")로 확인했다.[5] 14세기에 《라긴의 서》는 원래 "새 정착지"(누아호벌)의 수도원으로 알려졌고, 나중에 오호벌로 알려진 스트래드발리(라오이스주)에 있었다.[6]
3. 2. 17세기 이후의 역사
제임스 웨어 경(1666년 사망)이 쓴 17세기 초 필사본(현재 런던 영국 도서관, Add. MS 4821)에 《라긴의 서》의 일부 구절이 "누아호벌의 서"에서 인용되었다.[4] R.I. 베스트는 제임스 웨어 경이 발리나(킬데어주)에서 로리 오무어의 환대를 받으면서 필사본에 접근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오무어 가문은 15세기 초부터 누아호벌의 영주였기 때문이다.[4] 로리 오무어 가문은 테리글래스의 후계자인 위 크림타인(Uí Chrimthainn)과 관련이 있었고, 그의 할아버지는 위 크림타인의 본거지인 클로네나에 대한 저당권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한다.[4]17세기 초 더블린 왕립 아일랜드 학회 MS B. iv. 2에는 필사자가 《라긴의 서》에서 베껴 쓴 여러 텍스트가 발견되었는데, 그 출처는 "레아바르 나 후아총바라(Leabhar na h-Uachongbála)", 즉 《레아바르 나 누아콩바라(Leabhar na Nuachongbála)》("누아호벌의 서")로 확인되었다.[5] 14세기에 《라긴의 서》는 원래 "새 정착지"(누아호벌)의 수도원으로 알려졌고, 나중에 오호벌로 알려진 스트래드발리(라오이스주)에 위치해 있었다.[6]
4. 내용
이 필사본은 187개의 잎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잎의 크기는 대략 33cm x 23cm이다. 필사본의 한 메모에 따르면 최대 45개의 잎이 유실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광범위한 내용을 담고 있는 편집본으로, 중세 아일랜드 문학, 족보, 그리고 신화의 가장 중요한 자료 중 하나이며, 특히 ''레보르 가발라 에렌''(침략의 서), ''타인 보 컬린게''(쿨리의 소 도둑질)의 가장 완벽한 버전, ''운문식 딘센카스'', 그리고 ''데 엑시디오 트로이아 히스토리아''의 아일랜드어 번역/각색본을 포함하고 있으며, 원래는 주요 권에서 분리되기 전에는 ''탈라트의 순교록''도 포함하고 있었다.
더블린 고등연구소에서 29년 동안 6권으로 외교 편집본이 출판되었다.
4. 1. 주요 내용
''레보르 가발라 에렌''(침략의 서), ''타인 보 컬린게''(쿨리의 소 도둑질)의 가장 완벽한 버전, ''운문식 딘센카스'', 그리고 ''데 엑시디오 트로이아 히스토리아''의 아일랜드어 번역 및 각색본을 포함하고 있으며, 원래는 주요 권에서 분리되기 전에는 ''탈라트의 순교록''도 포함하고 있었다. 이 책은 중세 아일랜드 문학, 족보, 그리고 신화의 가장 중요한 자료 중 하나이다.더블린 고등연구소에서 29년 동안 6권으로 외교 편집본이 출판되었다.
4. 2. 학술적 가치
라긴의 서는 중세 아일랜드 문학, 족보, 신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레보르 가발라 에렌''(침략의 서), ''타인 보 컬린게''(쿨리의 소 도둑질)의 가장 완벽한 버전, ''운문식 딘센카스'', ''데 엑시디오 트로이아 히스토리아''의 아일랜드어 번역본 등을 포함한다. DIAS에서 29년 동안 6권의 외교 편집본으로 출판되었다.5. 한국과의 관련성 (별도 연구 필요)
5. 1. 한국 역사 및 문화와의 비교 연구
5. 2. 한국 학계의 연구 동향
참조
[1]
웹사이트
Ms A3
http://www.ucd.ie/ar[...]
[2]
서적
The Book of Leinster
[3]
논문
Lebor Laignech
[4]
서적
The Book of Leinster
[5]
서적
Die irische Helden- und Königsage bis zum 17. Jahrhundert
[6]
서적
Book of Leins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