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대기는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의 삶을 연대순으로 기록한 문서를 의미한다. 학자들은 연대기를 '죽은 연대기'와 '생생한 연대기'로 분류하며, 생생한 연대기는 사건 발생 시점을 기록하여 역사 연구에 더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연대기는 중세 시대에 국가의 역사, 귀족이나 성직자의 삶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공공 행사의 기록에도 적용되었다. 연대기는 분석적 역사와 달리 사건을 그대로 기록하는 경향이 있으며, 사실과 전설을 구분하려는 시도가 부족하다는 특징이 있다. 주요 연대기로는 한국의 《조선왕조실록》, 동아시아의 《춘추》, 《고지키》, 《니혼쇼키》, 서양의 《앵글로색슨 연대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대기 - 마하밤사
    5세기에 마하나마라는 상좌부 불교 승려가 편찬한 《마하밤사》는 스리랑카의 초기 역사와 불교 전파 과정을 담은 팔리어 연대기이며, 역사적 정확성에 대한 논쟁과 민족주의적 함의를 지니고 있다.
  • 연대기 - 로마 편년사
    로마 편년사는 타키투스가 집필한 역사서로, 티베리우스 황제부터 네로 황제까지의 로마 제국사를 다루며 원수정에 대한 관점과 인물 묘사가 특징적이지만 일부가 유실되었고 르네상스 시대에 발견되어 로마사 연구에 활용된다.
  • 중세 문학 - 도덕극
    도덕극은 인간 영혼의 갈등을 추상적 개념의 의인화된 등장인물로 표현하여 도덕적 교훈을 전달하는 중세 유럽의 종교극에서 발전한 연극으로, 르네상스 시대 연극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사회에 전통적 가치관과 현대 사회의 도덕적 문제에 대한 성찰 기회를 제공한다.
  • 중세 문학 - 데카메론
    조반니 보카치오가 쓴 《데카메론》은 흑사병을 피해 피렌체를 떠난 10명의 젊은이들이 10일 동안 이야기를 나누는 액자식 구조의 소설 모음집으로, 당시 이탈리아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반영하며 중세 사회상을 풍자하는 문학적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연대기
연대기
연대기역사적 사건들을 시간 순서대로 기록한 것.
어원그리스어 χρονικά (khroniká), χρόνος (khrónos) '시간'에서 유래.
역사적 의미
역할역사적 사실을 보존하고 전달하는 역할.
중요성고대 사회에서부터 현대 사회까지 역사적 기록의 중요한 형태.
특징
시간 순서사건들을 발생한 시간 순서대로 기록.
사건 중심주로 전쟁, 정치적 사건, 중요한 인물들의 활동 등 사건을 중심으로 기록.
다양한 형식다양한 형태로 존재 (예: 연대기, 일기, 역사서).
역사 속 연대기
메소포타미아 연대기기원전 3000년경부터 작성된 것으로 추정.
중세 연대기유럽 중세 시대에는 수도원에서 많이 작성됨.
고려 시대 연대기고려 시대에도 다양한 연대기가 편찬됨.
현대적 의미
현대의 연대기역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
다양한 활용특정 사건이나 인물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사용.

2. 연대기의 개념 및 하위 분류



연대기는 분석적 역사가 아닌 현대의 "연표"의 전신이다. 산문이나 운문으로 개인 편년사의 생애와 종종 그 이후 여러 계속자들의 생애를 포함하여 상당한 기간 동안의 지역적 또는 원거리 사건에 대한 기록을 나타낸다. 연대기가 매년 사건을 다룬다면 종종 연표라고 불린다. 현대 역사가와 달리 대부분의 편년사는 발견한 정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고, 사실과 전설을 구분하려는 시도를 거의 하지 않았다. 대부분 편년사의 관점은 매우 지역적이어서 익명의 편년사 중 많은 수가 개별 수도원에서 작성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연대기의 정의에 모호한 부분이 많아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몇 개의 연대기가 존재하는지 말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중세 연대기 백과사전''에는 300년부터 1500년 사이에 쓰여진 약 2,500개의 항목이 나열되어 있다.

2. 1. 하위 분류

학자들은 연대기 장르를 생생한 연대기와 죽은 연대기, 두 가지 하위 그룹으로 분류한다. "죽은" 연대기는 저자가 글을 쓸 당시까지의 사건 목록을 모은 것이지만, 발생하는 추가 사건은 기록하지 않는다. 반면 "생생한" 연대기는 한 명 이상의 저자가 정기적으로 연대기에 추가하여 당시 발생한 사건을 곧바로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정보의 즉각성 때문에 역사가들은 연표와 같은 생생한 연대기를 죽은 연대기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이 용어는 종종 중세 시대의 편년사가 한 국가의 역사적 사건이나 귀족, 성직자의 삶을 묘사한 책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지만, 공공 행사의 기록에도 적용된다. 회고적(죽은) 기록과 현대적(생생한) 기록을 모두 결합한 가장 초기의 중세 연대기는 431년부터 911년까지를 다루는 아일랜드 연대기이다.[3]

3. 연대기의 특징

학자들은 연대기 장르를 생생한 연대기와 죽은 연대기, 두 가지 하위 그룹으로 분류한다. "죽은" 연대기는 저자가 글을 쓸 당시까지의 사건 목록을 모았지만, 발생하는 추가 사건은 기록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생생한" 연대기는 한 명 이상의 저자가 정기적으로 연대기에 추가하여 당시 발생한 사건을 곧바로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정보의 즉각성 때문에 역사가들은 연표와 같은 생생한 연대기를 죽은 연대기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2]

이 용어는 종종 중세 시대의 편년사가 한 국가의 역사적 사건이나 귀족, 혹은 성직자의 삶을 묘사한 책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지만, 공공 행사의 기록에도 적용된다. 회고적(죽은) 기록과 현대적(생생한) 기록을 모두 결합한 가장 초기의 중세 연대기는 431년부터 911년까지를 다루는 아일랜드 연대기이다.[3]

연대기는 분석적 역사가 아닌 현대의 "연표"의 전신이다. 연대기는 산문이나 운문으로 개인 편년사의 생애와 종종 그 이후 여러 계속자들의 생애를 포함하여 상당한 기간 동안의 지역적 또는 원거리 사건에 대한 기록을 나타낸다. 연대기가 매년 사건을 다룬다면 종종 연표라고 불린다. 현대 역사가와 달리 대부분의 편년사는 발견한 정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고, 사실과 전설을 구분하려는 시도를 거의 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편년사의 관점은 매우 지역적이어서 익명의 편년사 중 많은 수가 개별 수도원에서 작성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2]

연대기의 정의에 모호한 부분이 많아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몇 개의 연대기가 존재하는지 말하기는 불가능하다.

4. 중세 유럽의 연대기

학자들은 연대기 장르를 생생한 연대기와 죽은 연대기로 분류한다. "죽은" 연대기는 저자가 글을 쓸 당시까지의 사건 목록을 모았지만, 이후 발생하는 추가 사건은 기록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반면 "생생한" 연대기는 한 명 이상의 저자가 정기적으로 연대기에 내용을 추가하여, 당시 발생한 사건을 곧바로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정보의 즉각성 때문에 역사가들은 연표와 같은 생생한 연대기를 죽은 연대기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이 용어는 종종 중세 시대의 편년사가 한 국가의 역사적 사건이나 귀족, 혹은 성직자의 삶을 묘사한 책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지만, 공공 행사의 기록에도 적용된다. 회고적(죽은) 기록과 현대적(생생한) 기록을 모두 결합한 가장 초기의 중세 연대기는 431년부터 911년까지를 다루는 아일랜드 연대기이다.[3]

연대기는 분석적 역사가 아닌 현대의 "연표"의 전신이다. 연대기는 산문이나 운문으로 개인 편년사의 생애와, 종종 그 이후 여러 계속자들의 생애를 포함하여 상당한 기간 동안의 지역적 또는 원거리 사건에 대한 기록을 나타낸다. 연대기가 매년 사건을 다룬다면 종종 연표라고 불린다. 현대 역사가와 달리 대부분의 편년사는 발견한 정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고, 사실과 전설을 구분하려는 시도를 거의 하지 않았다. 대부분 편년사의 관점은 매우 지역적이어서, 익명의 편년사 중 많은 수가 개별 수도원에서 작성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연대기의 정의에 모호한 부분이 많아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몇 개의 연대기가 존재하는지 말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중세 연대기 백과사전''에는 300년부터 1500년 사이에 쓰여진 약 2,500개의 항목이 나열되어 있다.

5. 주요 연대기 목록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연대기들이 편찬되었다. 연대기는 특정 시대나 사건을 기록하고 보존하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이다.

주요 연대기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동아시아''': 하위 섹션 "=== 동아시아 ===" 참조.

  • '''서양''': 하위 섹션 "=== 서양 ===" 참조.

  • '''기타 지역''':


제목내용
미얀마 연대기
캄보디아 왕실 연대기폭넓게 정의된 자료 모음
인도 역사에 관한 이슬람 연대기
네팔 연대기
보디 팜사스리랑카
부란지아홈, 아삼, 인도
차마데비팜사태국 북부
쿨라팜사스리랑카
체이타롤 쿰바바마니푸르, 인도
잉카의 왕실 논평
새벽의 빛 (나빌의 이야기)바하이교 및 중동
디파팜사스리랑카
압카지아 왕들의 디반조지아
순디아타 서사시서아프리카
훌라사트-우트-타와리크인도 역사
크와다이-나마그페르시아 역사
지나칼라말리태국 북부
마달라 판지푸리에 있는 자간나트 사원의 연대기, 오디샤 역사와 관련됨
마하팜사스리랑카
푸라나인도
라자타랑기니카슈미르
팀북투 연대기말리


5. 1. 한국

조선의 역사를 기록한 조선왕조실록이 있다.[7]

5. 2. 동아시아


  • 춘추[4]
  • 조선왕조실록[5]
  • 고지키
  • 니혼쇼키
  • 자지 통젠
  • 가마쿠라 연대기(14세기): 1183년부터 1331년까지의 가마쿠라 막부 역사를 기록한다. 원본은 접이책 형식의 휴대용 연표이다.
  • 황대력(14-15세기): 신대(神代)부터 1477년까지의 역사를 기록한다. 저자는 남북조 시대의 공가 도인 공현(1291년-1360년)이다. 현존본은 감로사 친장에 의해 보필된 것이다.
  • 무가 연대기(14-15세기): 1180년부터 1499년까지의 역사를 기록한다. 천황, 섭정과 함께 쇼군과 집권을 비롯한 무가 정권의 요직에 관한 재임표가 첨부되어 있다.
  • 알탄 토브치[1]

5. 3. 서양

가장 중요한 영국 연대기는 9세기에 알프레드 대왕의 후원 하에 시작되어 12세기까지 계속된 ''앵글로색슨 연대기''와 라파엘 홀린셰드(Raphael Holinshed) 및 다른 필자들이 집필한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및 아일랜드 연대기''(1577~1587)이다. 후자의 문서는 엘리자베스 시대 연극의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4] 16세기 후반 스코틀랜드 연대기는 종교 개혁 이후에 쓰여졌으며, 가톨릭 또는 프로테스탄트의 관점에 따라 역사를 서술한다.

다음은 서양의 주요 연대기 목록이다.

제목내용
바빌로니아 연대기대략 25개의 점토판으로 구성된, 폭넓게 정의된 집합
십자군 시대 자료 모음 목록대부분 연대기
덴마크 연대기 목록
영국 연대기 목록
루스 연대기 목록
세르비아 연대기
알람 아라이 아바시 역사사파비 왕조
알람기르나마무굴 제국
알렉산드리아 세계 연대기서기 392년까지의 그리스 세계사
알탄 토브치몽골 제국
앵글로색슨 연대기잉글랜드
베르탱 연대기서프랑크 왕국
캄브리아 연대기웨일스
포조니 연대기헝가리 왕국
폴란드 왕국 연대기 또는 편년사폴란드
이니스폴렌 연대기아일랜드
록 세 연대기아일랜드
포 마스터 연대기아일랜드
춘추중국
투트모세 3세 연대기고대 이집트
바빌로니아 연대기메소포타미아
익명 불가리아 연대기불가리아
번웰 연대기잉글랜드
역대기 (에스라에게 귀속됨)이스라엘
비초비에츠 연대기리투아니아
폴로니아 편년사게스타 프린키품 폴로노룸la 참조
스코토룸 편년사
헝가리 편년사헝가리 역사
폴란드 국왕과 군주의 편년사 또는 기원폴란드
754년 연대기스페인
연대기 (Crònica) (라몬 몬타네르 저)13/14세기 아라곤 왕관. 그랜드 카탈루냐 연대기 중 세 번째이자 가장 긴 연대기.
핀란드 연대기 (Chronicon Finlandiae) (요하네스 메세니우스 저)핀란드
프레데가르 연대기프랑스
슬라브족의 연대기유럽
대폴란드 연대기폴란드
장 드 베네트의 연대기프랑스
잉글랜드 주교 연대기 (De Gestis Pontificum Anglorum) (윌리엄 오브 말메즈베리 저)
알바 국왕 연대기스코틀랜드
잉글랜드 국왕 연대기 (De Gestis Regum Anglorum) (윌리엄 오브 말메즈베리 저)
맨 연대기맨 섬
유세비우스의 편년사
스코토룸 편년사아일랜드
티트마르 메르제부르크의 편년사
파스칼레 연대기7세기 그리스 세계 연대기
픽토 연대기헝가리 역사
크로노그라피아11세기 동로마 제국 역사(비잔티움) (미카엘 프셀로스 저)
카르틀리 개종조지아
크로나카[8]4세기부터 15세기까지의 키프로스 연대기, 키프로스 편년사 (레온티오스 마카이라스 저)
피렌체 연대기14세기 말까지의 피렌체 연대기, (발다사레 보나이우티 저)
폴란드 공작 또는 군주의 연대기와 업적폴란드
크로일랜드 연대기잉글랜드
디오클레아 사제의 연대기유럽
에피토메 레룸 헝가로룸헝가리 역사
에릭 연대기스웨덴
유세비우스 연대기지중해 및 중동
아일랜드 단편 연대기아일랜드
프루아사르 연대기프랑스 및 서유럽
갈리치아-볼히니아 연대기우크라이나
조지아 연대기조지아
게스타 헝가로룸헝가리 역사
게스타 후노룸 에트 헝가로룸헝가리 역사
노르망디 공작의 업적노르망디
게스타 프린키품 폴로노룸la
프랑스 대연대기프랑스
알폰소 10세의 제너럴 에스토리아약 1275-1284년 카스티야, 스페인.
리보니아의 헨리 연대기동유럽
교회 역사노르망디 잉글랜드
'페트루스 코메스토르의 스콜라스티카 역사'''12세기 프랑스
스코틀랜드의 역사와 연대기 (로버트 린제이 오브 핏스코티)
산타 크루스 주의 역사, 일반적으로 브라질이라고 부름브라질
예언자와 왕들의 역사중동 및 지중해
후스틴 연대기동유럽
자미 알 타와리크 (라시드 알딘 하마다니 저)세계사
얀스 데르 에니켈유럽 및 지중해
제롬의 연대기지중해 및 중동
요하니스 드 차르크노프 폴로노룸 편년사폴란드
카이저크로니크중부 및 남부 유럽, 독일
카노 연대기나이지리아
킬와 연대기동아프리카
리브레 데스 펫츠아라곤의 하임 1세 저의 업적의 책, 그랜드 카탈루냐 연대기 중 첫 번째
마로나이트 연대기레반트, 664년 이후 곧 완성된 수리아어로 쓰인 익명의 연대기식 연대기.
맨 연대기맨 섬
나보니두스 연대기메소포타미아
노브고로드 제1연대기러시아
뉘른베르크 연대기
파리안 연대기고대 그리스
파스칼레 연대기지중해
픽트 연대기스코틀랜드
원초 연대기동유럽
왕립 프랑크 연대기프랑크 왕국
스코티크로니콘스코틀랜드 역사가 월터 바워 저
샤나마-이-알-이 오스만 (페툴라 아리피 첼레비 저)오스만 제국 (서기 1300년 – 술탄 술레이만 1세 통치 종료)는 이것의 다섯 번째 권인 술레이만나메임
스키비 연대기1530년대 덴마크 라틴어 연대기
스위스 삽화 연대기스위스



운문 연대기는 산문 연대기와 달리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1682년 운문 연대기''' (Римована хроніка (1682))
  • '''소아르메니아 운문 연대기'''
  • '''아퀼라 연대기''' (Cronache aquilane) - 산문과 운문 형식 모두 포함
  • '''브라반트의 시가''' (Brabantsche Yeesten) (약 1315~1351년), 얀 반 보엔달레 저(익명의 저자에 의해 계속됨)
  • '''브라반트 연대기''' (Cornicke van Brabant) (1415년), 헤넨 반 메르히테넨(Hennen van Merchtenen) 저
  • '''브라반트 연대기''' (Cronijck van Brabant) (약 1435~1460년), 익명, 1430년까지
  • '''브라운슈바이크 운문 연대기''' (Braunschweigische Reimchronik)
  • '''쾰른 운문 연대기''' (Reimchronik der Stadt Köln), 고트프리트 하겐 저
  • '''달리밀 연대기'''
  • '''덴마크 운문 연대기''' (Den danske Rimkrønike)
  • '''엥겔브레크트 연대기''' (Engelbrektskrönikan)
  • '''에리크 연대기'''
  • '''플랑드르 운문 연대기''' - 콤부르크 사본(Comburgse handschrift)의 일부. 다른 모든 기존 플랑드르어 연대기가 산문으로 쓰여진 것과는 달리 독특하다.
  • '''프리스란트 고대 연대기''' (Die olde Freesche cronike) (1474년), 익명, 1248년까지의 프리스란트 역사[9]
  • '''간더스하임 운문 연대기''' (Gandersheimer Reimchronik)
  • '''홀란드 운문 연대기''' (멜리스 스토크 저)
  • '''칼의 연대기''' (Karlskrönikan)
  • '''카스트 운문 연대기''' (Kastler Reimchronik)
  • '''클라스 콜리인 운문 연대기''' (Rijmkroniek van Klaas Kolijn), 12세기에 쓰여진 것처럼 가장한 악명 높은 17세기 위조품
  • '''리보니아 운문 연대기'''
  • '''메클렌부르크 운문 연대기''' (키르히베르크의 에르네스트(Ernest of Kirchberg) 저)
  • '''필리프 4세 운문 연대기''' 또는 '''운문 연대기''' (Chronique métrique de Philippe le Bel 또는 Chronique rimée) (1316년), 파리의 제프리 저
  • '''운문 연대기''' (약 1250년), 필리프 무스크 저
  • '''신 프로이센 연대기''' (마르부르크의 위간트(Wigand of Marburg) 저)
  • '''브륀의 로망'''
  • '''역사의 거울''' (Spieghel Historiael), 야코프 반 마를란트 저
  • '''스투레 연대기''' (Sturekrönikan)
  • '''슈티리아 운문 연대기''' (Steirische Reimchronik)
  • '''위트레흐트 운문 연대기''' (약 1378년)
  • '''보링겐 운문 연대기'''
  • 『타키투스의 연대기』(타키투스)

: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죽음(서기 14년)부터 네로의 죽음(서기 68년)까지를 다룬다.
: 춘추 시대의 노(BC 8세기~BC 5세기) 역사를 연대순으로 기록한 것(맹자에 의해 공자가 저자로 여겨짐).

  • 『니키우의 요하네스 연대기』(7세기)

: 이집트의 승려가 쓴 것으로, 천지창조부터 7세기까지를 다룬다.

  • 『앵글로색슨 연대기』(9세기)

: 웨섹스(영국)의 알프레드 대왕이 편찬한 것.

  • 『테오파네스 연대기』(9세기)

: 동로마 제국의 수도승 테오파네스가 쓴 연대기. 3세기의 디오클레티아누스부터 9세기까지의 로마 제국사. 7세기 후반 혼란기 동로마의 기록으로는 유일하게 현존하는 것.

  • 『속 테오파네스 연대기』(『테오파네스 콘티누아투스』, Theophanes Continuatusla(영어판),(프랑스어판), 10세기)

: 동로마 제국(비잔티움 제국)의 연대기. 813년부터 963년까지를 다룬다. 황제 콘스탄티노스 7세가 편찬을 의뢰하여 10세기경에 완성되었다. 전 6권.[12]

  • 『사도와 군주들의 책』(10세기)

: 쿠란 학자 타바리(839-923년)의 연대기. 천지창조부터 시작하여 고대 이스라엘, 유대와 그 예언자들의 역사, 사산 왕조, 예멘의 여러 왕들의 역사, 자히리야 시대의 아랍 역사를 거쳐 예언자 무함마드, 정통 칼리파 시대, 우마이야 왕조, 압바스 왕조, 10세기 초까지의 이슬람 역사를 기록한다.

  • 『미카엘 프셀로스의 연대기』(11세기)

: 동로마 제국 궁정에서 실권을 쥐었던 관리가 남긴 연대기. 바실리우스 2세 시대의 번영부터 몰락으로 향하는 시기의 제국사.

  • 『네스토르 연대기』(11-12세기)

: 네스토르가 편찬. 『지나간 시절들의 이야기』, 『네스토르의 연대기』라고도 한다. 슬라브 민족의 기원, 키예프 루스 건국, 전설 등을 포함한다.

  • 『완전한 역사』(13세기, 시리아)

: 이븐 알아시르(1160-1233년)의 연대기. 천지창조부터 1231년까지의 이슬람 세계사를 다룬다. "연대기의 완성형"이라고 불린다. 시리아에서의 십자군과의 전쟁에 대해 자세히 서술한다.

  • 『피렌체 연대기』(14세기, 빌라니)

: 인구 추계 등 통계적 방법도 사용하여 피렌체의 역사를 기록한 것.

  • 『연대기』(14세기, 프로와사르)

: 저자는 프랑스 에노 백작령 출신으로, 백년 전쟁(1337년 - 1453년)과 겹치는 1325년부터 1400년까지의 역사를 기록한다.

5. 4. 기타 지역


  • 바빌로니아 연대기는 대략 25개의 점토판으로 구성된, 폭넓게 정의된 집합이다.
  • 미얀마 연대기
  • 캄보디아 왕실 연대기는 폭넓게 정의된 자료 모음이다.
  • 십자군 시대 자료 모음 목록은 대부분 연대기이다.
  • 덴마크 연대기 목록
  • 영국 연대기 목록
  • 인도 역사에 관한 이슬람 연대기
  • 네팔 연대기
  • 루스 연대기 목록
  • 세르비아 연대기

  • '''알람 아라이 아바시 역사''' - 사파비 왕조
  • '''알람기르나마''' - 무굴 제국
  • '''알렉산드리아 세계 연대기''' - 서기 392년까지의 그리스 세계사
  • '''알탄 토브치''' - 몽골 제국
  • '''앵글로색슨 연대기''' - 잉글랜드
  • '''베르탱 연대기''' - 서프랑크 왕국
  • '''캄브리아 연대기''' - 웨일스
  • '''포조니 연대기''' - 헝가리 왕국
  • '''폴란드 왕국 연대기 또는 편년사''' - 폴란드
  • '''이니스폴렌 연대기''' - 아일랜드
  • '''록 세 연대기''' - 아일랜드
  • '''포 마스터 연대기''' - 아일랜드
  • '''춘추''' - 중국
  • '''투트모세 3세 연대기''' - 고대 이집트
  • '''조선왕조실록''' - 한국
  • '''바빌로니아 연대기''' - 메소포타미아
  • '''익명 불가리아 연대기''' - 불가리아
  • '''번웰 연대기''' - 잉글랜드
  • '''보디 팜사''' - 스리랑카
  • '''역대기''' 에스라에게 귀속됨 - 이스라엘
  • '''부란지''' - 아홈, 아삼, 인도
  • '''비초비에츠 연대기''' 리투아니아
  • '''차마데비팜사''' - 태국 북부
  • '''쿨라팜사''' - 스리랑카
  • (''폴로니아 편년사'') 게스타 프린키품 폴로노룸la 참조
  • '''체이타롤 쿰바바''' - 마니푸르, 인도
  • '''스코토룸 편년사'''
  • '''헝가리 편년사''' - 헝가리 역사
  • '''폴란드 국왕과 군주의 편년사 또는 기원''' - 폴란드
  • '''754년 연대기''' - 스페인
  • '''연대기 (Crònica) 라몬 몬타네르 저''' - 13/14세기 아라곤 왕관. 그랜드 카탈루냐 연대기 중 세 번째이자 가장 긴 연대기.
  • '''핀란드 연대기''' (''Chronicon Finlandiae'') 요하네스 메세니우스 저 - 핀란드
  • '''프레데가르 연대기''' - 프랑스
  • '''슬라브족의 연대기''' - 유럽
  • '''대폴란드 연대기''' - 폴란드
  • '''장 드 베네트의 연대기''' - 프랑스
  • '''잉글랜드 주교 연대기''' (''De Gestis Pontificum Anglorum'') 윌리엄 오브 말메즈베리 저
  • '''알바 국왕 연대기''' - 스코틀랜드
  • '''잉글랜드 국왕 연대기''' (''De Gestis Regum Anglorum'') 윌리엄 오브 말메즈베리 저
  • '''맨 연대기''' - 맨 섬
  • 유세비우스의 ''편년사''
  • '''스코토룸 편년사''' - 아일랜드
  • 티트마르 메르제부르크의 ''편년사''
  • '''파스칼레 연대기''' - 7세기 그리스 세계 연대기
  • '''픽토 연대기''' - 헝가리 역사
  • '''크로노그라피아''' - 11세기 동로마 제국 역사(비잔티움) 미카엘 프셀로스 저
  • '''잉카의 왕실 논평'''
  • '''카르틀리 개종''' - 조지아
  • 크로나카[8] - 4세기부터 15세기까지의 키프로스 연대기, 키프로스 편년사 레온티오스 마카이라스 저
  • '''피렌체 연대기''' - 14세기 말까지의 피렌체 연대기, 발다사레 보나이우티 저
  • '''폴란드 공작 또는 군주의 연대기와 업적''' - 폴란드
  • '''크로일랜드 연대기''' - 잉글랜드
  • '''새벽의 빛 (나빌의 이야기)''' - 바하이교 및 중동
  • '''디오클레아 사제의 연대기''' - 유럽
  • '''디파팜사''' - 스리랑카
  • '''압카지아 왕들의 디반''' - 조지아
  • '''순디아타 서사시''' - 서아프리카
  • '''에피토메 레룸 헝가로룸''' - 헝가리 역사
  • '''에릭 연대기''' - 스웨덴
  • '''유세비우스 연대기''' - 지중해 및 중동
  • '''아일랜드 단편 연대기''' - 아일랜드
  • '''프루아사르 연대기''' - 프랑스 및 서유럽
  • '''갈리치아-볼히니아 연대기''' - 우크라이나
  • '''조지아 연대기''' - 조지아
  • '''게스타 헝가로룸''' - 헝가리 역사
  • '''게스타 후노룸 에트 헝가로룸''' - 헝가리 역사
  • '''노르망디 공작의 업적''' - 노르망디
  • 게스타 프린키품 폴로노룸la
  • '''프랑스 대연대기''' - 프랑스
  • '''알폰소 10세의 제너럴 에스토리아''' - 약 1275-1284년 카스티야, 스페인.
  • '''리보니아의 헨리 연대기''' - 동유럽
  • '''교회 역사''' - 노르망디 잉글랜드
  • '''페트루스 코메스토르의 ''스콜라스티카 역사''''' - 12세기 프랑스
  • ''스코틀랜드의 역사와 연대기'', 로버트 린제이 오브 핏스코티
  • '''산타 크루스 주의 역사, 일반적으로 브라질이라고 부름''' - 브라질
  • '''예언자와 왕들의 역사''' - 중동 및 지중해
  • '''후스틴 연대기''' - 동유럽
  • '''자미 알 타와리크''' 라시드 알딘 하마다니 저 - 세계사
  • '''얀스 데르 에니켈''' - 유럽 및 지중해
  • '''제롬의 연대기''' - 지중해 및 중동
  • '''지나칼라말리''' - 태국 북부
  • '''요하니스 드 차르크노프 폴로노룸 편년사''' - 폴란드
  • '''카이저크로니크''' - 중부 및 남부 유럽, 독일
  • '''카노 연대기''' - 나이지리아
  • '''훌라사트-우트-타와리크''' 수잔 라이 저 - 인도 역사
  • '''크와다이-나마그''' - 페르시아 역사
  • '''킬와 연대기''' - 동아프리카
  • '''고지키''' - 일본
  • '''레트렌세 연대기''' - 덴마크
  • '''헨리의 리보니아 연대기''' - 리보니아
  • '''리보니아 운율 연대기''' - 리보니아
  • '''리브레 데스 펫츠''' - 아라곤의 하임 1세 저의 업적의 책, 그랜드 카탈루냐 연대기 중 첫 번째
  • '''마달라 판지''' - 푸리에 있는 자간나트 사원의 연대기, 오디샤 역사와 관련됨
  • '''마하팜사''' - 스리랑카
  • '''마로나이트 연대기''' - 레반트, 664년 이후 곧 완성된 수리아어로 쓰인 익명의 연대기식 연대기.
  • '''맨 연대기''' - 맨 섬
  • '''나보니두스 연대기''' - 메소포타미아
  • '''니혼쇼키''' - 일본
  • '''노브고로드 제1연대기''' - 러시아
  • '''누오바 크로니카''' - 피렌체
  • '''뉘른베르크 연대기'''
  • '''구 티베트 연대기''' - 티베트 역사
  • '''파리안 연대기''' - 고대 그리스
  • '''파스칼레 연대기''' - 지중해
  • '''픽트 연대기''' - 스코틀랜드
  • '''원초 연대기''' - 동유럽
  • '''푸라나''' - 인도
  • '''라자타랑기니''' - 카슈미르
  • '''로이트 앤드 퀘일 오브 타임''' - 스코틀랜드, 아담 아벨
  • '''로스킬덴세 연대기''' - 덴마크
  • '''왕립 프랑크 연대기''' - 프랑크 왕국
  • '''스코티크로니콘''' - 스코틀랜드 역사가 월터 바워 저
  • '''샤나마-이-알-이 오스만''' 페툴라 아리피 첼레비 저 - 오스만 제국 (서기 1300년 – 술탄 술레이만 1세 통치 종료)는 이것의 다섯 번째 권인 술레이만나메임
  • '''스키비 연대기''' - 1530년대 덴마크 라틴어 연대기
  • '''스위스 삽화 연대기''' - 스위스
  • '''팀북투 연대기''' - 말리
  • '''자지 통젠''' - 중국

6. 각주 표기

연대기의 항목들은 종종 약어 ''s.a.''를 사용하여 인용되는데, 이는 ''sub anno''(''해당 연도에'')를 의미하며, 목록에 나열된 연도에 따라 사용된다.[1] 예를 들어, "''ASC'' MS A, s.a. 855"는 《앵글로색슨 연대기》 A 사본의 855년 항목을 의미한다.[1] 같은 사건이 연대기의 다른 사본에서는 다른 연도에 기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ASC'' MS D, s.a. 857"과 같이 인용될 수 있다.[1]

참조

[1] 서적 Memory and Gender in Medieval Europe: 900–1200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 웹사이트 Chronicle of the Grey Friars of London : Camden Society (Great Britain) : Free Download, Borrow, and Streaming : Internet Archive https://archive.org/[...] 2023-06-18
[3] 논문 The Chronicle of Ireland: Then and Now http://onlinelibrary[...]
[4] 서적 A Glossary of Literary Terms
[5] 서적 The Genoese in Spain: Gabriel Bocángel Y Unzueta, 1603-1658 :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Tamesis
[6] 서적 Studies in Eusebian and post-Eusebian Chronography Stuttgart
[7] 웹사이트 Kroniek van Vlaanderen, van de aanvang tot 1467 https://lib.ugent.be[...] 2020-08-24
[8] 논문
[9] 서적 Repertorium van verhalende historische bronnen uit de middeleeuwen: heiligenlevens, annalen, kronieken en andere in Nederland geschreven verhalende bronnen https://books.google[...] Nijhoff 2024-10-08
[10] 서적 年代記 吉川弘文館
[11] 웹사이트 コンスタンティノス(7世) https://kotobank.jp/[...] 小学館 2021-05-17
[12] 웹사이트 テオファネス・コンチヌアツス https://kotobank.jp/[...] 2021-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