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리가 플레이오프전 201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2년 라리가 플레이오프전은 2011-12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라리가 승격팀을 결정하기 위해 열렸다. 레알 바야돌리드는 결승전에서 AD 알코르콘을 꺾고 2년 만에 라리가로 승격했다. 준결승전에서는 바야돌리드가 코르도바 CF를, 알코르콘이 에르쿨레스를 각각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군다 디비시온 플레이오프전 - 라리가 플레이오프전 2019
라리가 플레이오프전 2019는 라리가 승격을 위해 말라가 CF, 알바세테 발롬피에, RCD 마요르카, 데포르티보 라코루냐가 참가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쟁했으며, 마요르카가 최종 승리하여 라리가로 승격했다. - 세군다 디비시온 플레이오프전 - 라리가 플레이오프전
라리가 플레이오프전은 라리가와 세군다 디비시온 간 승강을 결정하는 경기로, 초기 리그 최하위 팀과 세군다 디비시온 우승 팀 간 맞대결에서 현재는 세군다 디비시온 3위부터 6위 팀이 참가하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변화했다. - 2012년 축구 - 2012년 OFC 네이션스컵
2012년 OFC 네이션스컵은 솔로몬 제도에서 개최된 오세아니아 축구 선수권 대회이며, 2014년 FIFA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을 겸하여 타히티가 우승을 차지하고 201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진출했다. - 2012년 축구 - 2011-12년 OFC 챔피언스리그
2011-12년 OFC 챔피언스리그는 오클랜드 시티 FC가 AS 테파나를 꺾고 우승하여 2012 FIFA 클럽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한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주관의 클럽 축구 대회이며, 마넬 엑스포시토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라리가 플레이오프전 2012 | |
---|---|
대회 정보 | |
대회 | 세군다 디비시온 플레이오프 |
경기 수 | 6 |
총 득점 | 8 |
승격 | 바야돌리드 |
최다 점수차 홈 승리 | 바야돌리드 3–0 코르도바 |
최다 점수차 원정 승리 | 알코르콘 0–1 바야돌리드 |
최고 관중 | 26,500 |
최저 관중 | 4,700 |
평균 관중 | 12,956 |
이전 시즌 | 2011 |
다음 시즌 | 2013 |
시즌 | 2011–12 |
참고 자료 |
2. 승격 플레이오프전까지의 행보
바야돌리드는 2012년 5월 16일에 잔여 경기를 가장 많이 남기고 플레이오프전 진출권을 확보했다. 셀타 비고와 승격 직행권인 2위 자리를 놓고 경합했으나, 결국 전 시즌과 마찬가지로 플레이오프전 진출 순위로 마무리했다. 라 리가에서 40시즌을 보낸 경험이 있는 바야돌리드는 정규 시즌을 82점으로 인상적으로 시작했지만, 알코르콘과의 41번째 경기에서 무승부를 거두면서 승격 직행이 좌절되었다. 셀타는 최종전에서 코르도바와 0-0으로 비겼고, 바야돌리드는 안방에서 과달라하라에게 최종전을 1-3으로 패하였다. 바야돌리드는 2009-10 시즌을 마지막으로 라 리가에 참가했으며, 2010-11 시즌부터 2부 리그에 속해 있었다. 역대 라 리가 순위에서 14위를 기록했지만, 2011-12 시즌에 라싱 산탄데르에게 추월당했다.
AD 알코르콘은 2012년 6월 3일 누만시아 원정에서 1-0으로 승리하며 에르쿨레스, 코르도바와 함께 극적으로 플레이오프전 진출권을 확보했다. 정규 리그 최종 순위는 4위였다. 1971년 창단된 알코르콘은 2010년까지 하위 리그를 전전하는 "평범한 구단"이었다. 2009-10 시즌 코파 델 레이에서 이웃 레알 마드리드를 꺾는 이변을 연출하며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았고, 이 경기는 "알코르코나소"로 불리게 되었다. 같은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 B 2조에서 우승하고 플레이오프를 거쳐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승격했다. 2011-12 시즌에는 대체로 중위권을 유지하다가 2012년 봄 연승을 거두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다. 특히 41라운드에서는 바야돌리드와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알코르코나소"를 재현, 바야돌리드의 승격 직행을 무산시키기도 했다. 알코르콘은 라리가 승격 경험이 없다.
에르쿨레스는 2011-12 시즌 정규 리그를 5위로 마감하며 플레이오프전에 진출했다. 2012년 6월 3일, 우에스카와의 원정 최종전에서 2-1 승리를 거두며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었다. 만약 에르쿨레스가 이 경기에서 이기지 못했다면 알메리아에게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내줄 수도 있었다. 에르쿨레스는 시즌 초반 11경기에서 승점 28점을 획득하며 10라운드 동안 선두를 달리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그러나 11월부터 승리와 패배를 반복하며 주춤했지만, 시즌 종료 시점까지 플레이오프 진출 순위를 유지했다. 에르쿨레스는 2010-11 시즌을 포함하여 총 20시즌 동안 라 리가에서 활동했다. 에르쿨레스는 역대 라 리가 순위에서 22위를 기록했으며, 2011-12 시즌에는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코르도바는 에르쿨레스, 알코르콘과 마찬가지로 2012년 6월 3일 셀타 비고와의 원정 최종전에서 득점 없이 비기면서 플레이오프전 진출권을 획득했고, 이를 바야돌리드가 꼬집었다.[6][3] 안달루시아 연고 구단인 코르도바는 1971-72 시즌 이후 라리가 승격 경험이 없으며, 1964-65 시즌에는 5위를 기록한 적도 있다. 2000년대에는 3부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지만, 2007년에 폰테베드라와 우에스카를 이기고 2007-08 시즌부터 2부 리그 무대에 복귀했다. 코르도바는 2011-12 시즌 동안 간혹 플레이오프 진출권에 오르기도 했고, 알메리아와 마지막 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권 자리인 6위를 놓고 경쟁해 결국 진출권을 확보했다.
순위 | 구단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비고 |
---|---|---|---|---|---|---|---|---|---|---|
3 | 바야돌리드 | 42 | 23 | 13 | 6 | 69 | 37 | +32 | 82 | 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 |
4 | 알코르콘 | 42 | 21 | 10 | 11 | 58 | 42 | +16 | 73 | 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 |
5 | 에르쿨레스 | 42 | 22 | 6 | 14 | 62 | 43 | +19 | 72 | 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 |
6 | 코르도바 | 42 | 20 | 11 | 11 | 52 | 43 | +9 | 71 | 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 |
2. 1. 리그 순위
순위 | 구단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비고 |
---|---|---|---|---|---|---|---|---|---|---|
3 | 바야돌리드 | 42 | 23 | 13 | 6 | 69 | 37 | +32 | 82 | 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 |
4 | 알코르콘 | 42 | 21 | 10 | 11 | 58 | 42 | +16 | 73 | 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 |
5 | 에르쿨레스 | 42 | 22 | 6 | 14 | 62 | 43 | +19 | 72 | 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 |
6 | 코르도바 | 42 | 20 | 11 | 11 | 52 | 43 | +9 | 71 | 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 |
순위 결정 방식: 1위 승점; 2위 상대 전적 승점; 3위 상대 전적 골득실; 4위 상대 전적 득점; 5위 골득실; 6위 득점; 7위 페어 플레이 점수
2. 2. 레알 바야돌리드
바야돌리드는 2012년 5월 16일에 잔여 경기를 가장 많이 남기고 플레이오프전 진출권을 확보했다. 셀타 비고와 승격 직행권인 2위 자리를 놓고 경합했으나, 결국 전 시즌과 마찬가지로 플레이오프전 진출 순위로 마무리했다.라 리가에서 40시즌을 보낸 경험이 있는 바야돌리드는 정규 시즌을 82점으로 인상적으로 시작했지만, 알코르콘과의 41번째 경기에서 무승부를 거두면서 승격 직행이 좌절되었다. 셀타는 최종전에서 코르도바와 0-0으로 비겼고, 바야돌리드는 안방에서 과달라하라에게 최종전을 1-3으로 패하였다.
바야돌리드는 2009-10 시즌을 마지막으로 라 리가에 참가했으며, 2010-11 시즌부터 2부 리그에 속해 있었다. 역대 라 리가 순위에서 14위를 기록했지만, 2011-12 시즌에 라싱 산탄데르에게 추월당했다.
바야돌리드의 순위 변동표는 다음과 같다:
라운드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30 | 41 | 42 |
---|---|---|---|---|---|---|---|---|---|---|---|---|---|---|---|---|---|---|---|---|---|---|---|---|---|---|---|---|---|---|---|---|---|---|---|---|---|---|---|---|---|---|
안방/원정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원 | 안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안 | 원 | 안 |
결과 | 승 | 승 | 무 | 패 | 무 | 승 | 무 | 무 | 승 | 승 | 패 | 승 | 무 | 승 | 무 | 무 | 무 | 승 | 승 | 무 | 승 | 승 | 승 | 패 | 승 | 패 | 패 | 승 | 무 | 승 | 승 | 승 | 승 | 승 | 승 | 무 | 무 | 승 | 승 | 승 | 무 | 패 |
순위 |
2. 3. AD 알코르콘
AD 알코르콘은 2012년 6월 3일 누만시아 원정에서 1-0으로 승리하며 에르쿨레스, 코르도바와 함께 극적으로 플레이오프전 진출권을 확보했다. 정규 리그 최종 순위는 4위였다.1971년 창단된 알코르콘은 2010년까지 하위 리그를 전전하는 "평범한 구단"이었다. 2009-10 시즌 코파 델 레이에서 이웃 레알 마드리드를 꺾는 이변을 연출하며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았고, 이 경기는 "알코르코나소"로 불리게 되었다. 같은 시즌 세군다 디비시온 B 2조에서 우승하고 플레이오프를 거쳐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승격했다.
2011-12 시즌에는 대체로 중위권을 유지하다가 2012년 봄 연승을 거두며 플레이오프 진출에 성공했다. 특히 41라운드에서는 레알 바야돌리드와 1-1 무승부를 기록하며 "알코르코나소"를 재현, 바야돌리드의 승격 직행을 무산시키기도 했다.
알코르콘은 라리가 승격 경험이 없으며, 2010-11 시즌부터 2부 리그에 참가했다.
알코르콘의 2011-12 시즌 순위 변동표는 다음과 같다.
라운드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30 | 41 | 42 |
---|---|---|---|---|---|---|---|---|---|---|---|---|---|---|---|---|---|---|---|---|---|---|---|---|---|---|---|---|---|---|---|---|---|---|---|---|---|---|---|---|---|---|
안방/원정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원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안 | 원 |
결과 | 패 | 승 | 무 | 승 | 승 | 패 | 무 | 패 | 승 | 패 | 승 | 무 | 패 | 패 | 승 | 승 | 무 | 패 | 무 | 무 | 무 | 승 | 무 | 승 | 승 | 승 | 패 | 승 | 패 | 승 | 승 | 승 | 승 | 승 | 무 | 승 | 패 | 승 | 패 | 승 | 무 | 승 |
순위 |
2. 4. 에르쿨레스 CF
에르쿨레스는 2011-12 시즌 정규 리그를 5위로 마감하며 플레이오프전에 진출했다. 2012년 6월 3일, 우에스카와의 원정 최종전에서 2-1 승리를 거두며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었다. 만약 에르쿨레스가 이 경기에서 이기지 못했다면 알메리아에게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내줄 수도 있었다.에르쿨레스는 시즌 초반 11경기에서 승점 28점을 획득하며 10라운드 동안 선두를 달리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그러나 11월부터 승리와 패배를 반복하며 주춤했지만, 시즌 종료 시점까지 플레이오프 진출 순위를 유지했다.
에르쿨레스는 2010-11 시즌을 포함하여 총 20시즌 동안 라 리가에서 활동했다. 1935년부터 1942년까지(1936년부터 1939년까지는 스페인 내전으로 리그 중단), 1945-46 시즌, 1954년부터 1956년까지, 1966-67 시즌, 1974년부터 1982년까지, 1984-85 시즌, 1996-97 시즌, 그리고 2010-11 시즌에 라리가에 참가했다. 에르쿨레스는 역대 라 리가 순위에서 22위를 기록했으며, 오랜 숙적 엘체보다 승점 13점을 더 획득했다. 2011-12 시즌에는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에르쿨레스의 2011-12 시즌 순위 변동표는 다음과 같다.
라운드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30 | 41 | 42 |
---|---|---|---|---|---|---|---|---|---|---|---|---|---|---|---|---|---|---|---|---|---|---|---|---|---|---|---|---|---|---|---|---|---|---|---|---|---|---|---|---|---|---|
안방/원정 | 안 | 원 | 안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안 | 원 | 안 | 원 | 원 | 안 | 원 | 안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원 | 안 | 원 |
결과 | 승 | 승 | 패 | 승 | 무 | 승 | 승 | 승 | 승 | 승 | 승 | 패 | 패 | 승 | 패 | 무 | 무 | 패 | 승 | 패 | 승 | 패 | 승 | 패 | 패 | 승 | 승 | 패 | 승 | 패 | 패 | 승 | 승 | 승 | 승 | 무 | 무 | 패 | 패 | 승 | 무 | 승 |
순위 |
2. 5. 코르도바 CF
코르도바 CF는 에르쿨레스, 알코르콘과 마찬가지로 2012년 6월 3일 셀타 비고와의 원정 최종전에서 득점 없이 비기면서 플레이오프전 진출권을 획득했고, 이를 바야돌리드가 꼬집었다.[6][3] 안달루시아 연고 구단인 코르도바 CF는 1971-72 시즌 이후 라리가 승격 경험이 없으며, 1964-65 시즌에는 5위를 기록한 적도 있다. 2000년대에는 3부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지만, 2007년에 폰테베드라와 우에스카를 이기고 2007-08 시즌부터 2부 리그 무대에 복귀했다.코르도바는 2011-12 시즌 동안 간혹 플레이오프 진출권에 오르기도 했고, 알메리아와 마지막 승격 플레이오프전 진출권 자리인 6위를 놓고 경쟁해 결국 진출권을 확보했다.
코르도바의 순위 변동표는 다음과 같다.
라운드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30 | 41 | 42 |
---|---|---|---|---|---|---|---|---|---|---|---|---|---|---|---|---|---|---|---|---|---|---|---|---|---|---|---|---|---|---|---|---|---|---|---|---|---|---|---|---|---|---|
안방/원정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안 | 원 | 안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안 | 원 | 원 | 안 | 안 | 원 |
결과 | 무 | 패 | 승 | 승 | 승 | 승 | 무 | 무 | 패 | 승 | 패 | 무 | 승 | 승 | 패 | 승 | 무 | 무 | 승 | 패 | 무 | 승 | 패 | 승 | 패 | 승 | 승 | 승 | 무 | 패 | 승 | 패 | 무 | 패 | 승 | 무 | 승 | 승 | 패 | 승 | 승 | 무 |
순위 |
라리가 승격 플레이오프전은 4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가 치러진다.
3. 경기
1차전에서 에르쿨레스는 알코르콘과 1-1 무승부를 기록했고, 코르도바는 바야돌리드와 0-0으로 비겼다. 2차전에서는 바야돌리드가 코르도바를 3-0으로 꺾었고, 알코르콘과 에르쿨레스는 0-0 무승부를 기록, 알코르콘이 원정 다득점 원칙에 의해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다.
1차전
2차전
2012년 6월 13일과 6월 16일에 알코르콘과 바야돌리드 간의 결선 플레이오프전 경기가 진행되었다.
1차전은 2012년 6월 13일 21시(CEST)에 알코르콘의 산토 도밍고에서 열렸으며, 4,700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후안 마르티네스 무누에라 주심이 경기를 진행했고, 바야돌리드의 하비 게라가 29분에 득점하여 바야돌리드가 1-0으로 승리했다.
2차전은 2012년 6월 16일 21시(CEST)에 바야돌리드의 호세 소리야에서 열렸으며, 26,500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알레한드로 호세 에르난데스 에르난데스 주심이 경기를 진행했고, 알코르콘의 페르난도 살레스/Fernando Saleses가 44분에, 바야돌리드의 게라가 52분에 득점하여 1-1 무승부로 끝났다.
두 경기 합계 2-1로 레알 바야돌리드가 라 리가로 승격되었다.
라 리가로 승격 | |
---|---|
바야돌리드 (2년 만에) |
3. 1. 준플레이오프전
라리가 승격 플레이오프전은 4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가 치러진다.1차전에서 에르쿨레스는 알코르콘과 1-1 무승부를 기록했고, 코르도바는 바야돌리드와 0-0으로 비겼다. 2차전에서는 바야돌리드가 코르도바를 3-0으로 꺾었고, 알코르콘과 에르쿨레스는 0-0 무승부를 기록, 알코르콘이 원정 다득점 원칙에 의해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다.
1차전
- 2012년 6월 6일, 호세 리코 페레스(알리칸테)에서 열린 에르쿨레스와 알코르콘의 경기에서, 알코르콘의 앙헬이 경기 시작 1분만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에르쿨레스의 A. 사르디네로가 후반 57분에 동점골을 기록하며 1-1 무승부로 끝났다. 이날 경기는 12,000명의 관중이 찾았으며, 다니엘 오콘 아라이스 주심이 경기를 진행했다.
- 같은 날 누에보 아르캉헬(코르도바)에서 열린 코르도바와 바야돌리드의 경기는 양 팀 모두 득점 없이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11,773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으며, 에두아르도 프리에토 이글레시아스 주심이 경기를 맡았다.
2차전
- 2012년 6월 10일, 누에보 호세 소리야(바야돌리드)에서 열린 바야돌리드와 코르도바의 경기에서 바야돌리드가 오스카르, 하비 게라, Jofre의 연속골로 3-0 승리를 거두었다. 총 18,064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고, 산티아고 하이메 라트레 주심이 경기를 진행했다.
- 같은 날 산토 도밍고(알코르콘)에서 열린 알코르콘과 에르쿨레스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지만,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알코르콘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다. 4,700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봤으며, 헤수스 힐 만사노 주심이 경기를 이끌었다.
3. 2. 결선 플레이오프전
2012년 6월 13일과 6월 16일에 AD 알코르콘과 레알 바야돌리드 간의 결선 플레이오프전 경기가 진행되었다.1차전은 2012년 6월 13일 21시(CEST)에 알코르콘의 산토 도밍고에서 열렸으며, 4,700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후안 마르티네스 무누에라 주심이 경기를 진행했고, 바야돌리드의 하비 게라가 29분에 득점하여 바야돌리드가 1-0으로 승리했다.
2차전은 2012년 6월 16일 21시(CEST)에 바야돌리드의 호세 소리야에서 열렸으며, 26,500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알레한드로 호세 에르난데스 에르난데스 주심이 경기를 진행했고, 알코르콘의 페르난도 살레스가 44분에, 바야돌리드의 게라가 52분에 득점하여 1-1 무승부로 끝났다.
두 경기 합계 2-1로 레알 바야돌리드가 라 리가로 승격되었다.
라 리가로 승격 | |
---|---|
바야돌리드 (2년 만에) |
4. 승격
2년 만에 승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