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야돌리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야돌리드는 스페인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켈트족, 로마 제국, 서고트 왕국, 이슬람 세력의 지배를 거쳐 11세기에 레온 왕국의 도시로 건설되었다. 1469년 이사벨 1세와 페르난도 2세의 혼례가 열렸고, 1346년 바야돌리드 대학교가 설립되어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한때 스페인 왕국의 수도였으며, 1833년 지방 행정 구역 개편으로 바야돌리드 현의 현도가 되었다. 1983년 카스티야 이 레온 자치 지방이 설치되면서 사실상 주도가 되었고, 2007년 고속철도(AVE)가 개통되어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한다. 주요 산업은 자동차, 식품 가공, 금속, 서비스업이며, 바야돌리드 국제 영화제와 같은 문화 행사도 활발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야돌리드도의 자치체 - 토르데시야스
    토르데시야스는 스페인 바야돌리드 주, 두에로 강 연안의 도시로 로마 시대 거주지에서 유래하여 레콘키스타 시기 방어 보루였으며, 스페인과 포르투갈 간 식민지 분쟁을 종결지은 토르데시야스 조약 체결지이자 후아나 여왕이 감금되어 생을 마감한 산타 클라라 수도원이 있는 곳으로, 현재는 역사적 건축물과 "라 베가 투우" 축제로 유명하다.
  • 바야돌리드 - 바야돌리드 회의
    바야돌리드 회의는 1550년에서 1551년 스페인에서 카를 5세가 식민지 정책 재검토와 신법의 정당성 확보를 위해 소집하여 아메리카 원주민 인권 문제를 다루었으며, 라스 카사스와 세풀베다의 논쟁으로 스페인 식민지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국제법과 정당한 전쟁 이론에 시사점을 남겼다.
  • 스페인의 옛 수도 - 카디스
    카디스는 기원전 1100년경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오랜 역사를 지닌 항구 도시로, 대항해시대 주요 기항지, 자유주의 운동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해상 무역과 관광, 역사적 건축물, 해변, 카니발 축제, 해산물 요리로 유명하다.
  • 스페인의 옛 수도 - 발렌시아
    발렌시아는 스페인에서 세 번째로 큰 지중해 연안 도시로, 로마 시대에 건설되어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거치며 중세 이슬람 시대 번영과 레콩키스타 이후 아라곤 왕국의 중요 도시로 성장, 20세기 스페인 내전 피해를 극복하고 발렌시아 지방의 수도로서 문화, 역사, 현대 건축, 경제 활동의 중심지이다.
바야돌리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바야돌리드 전경
파노라마 뷰
바야돌리드 마요르 광장의 시청
마요르 광장의 시청
바야돌리드 대성당
성모 승천 대성당
바야돌리드 산 파블로 교회
산 파블로 교회
캄포 그란데 공원의 조경 표지판과 기병대 아카데미
캄포 그란데의 조경 표지판; 기병대 학교
공식 명칭Valladolid
국가스페인
자치 공동체카스티야이레온
바야돌리드 주
설립1072년
별칭없음
좌우명없음
국가바야돌리드 찬가
지리
고도698 m
면적197.47 km²
도시 연합도시 연합
인구
인구 (2024년)300,618 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주민바야돌리드 사람
바야돌리드 시민 (공식)
푸셀라노, 푸셀라나 (비공식)
정치 및 행정
시장헤수스 훌리오 카르네로 (2023년)
정부 형태Ayuntamiento
시의회Ayuntamiento de Valladolid
기타 정보
시간대CET (+1)
여름 시간대CEST (+2)
우편 번호47001–47016
지역 번호983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역사

바야돌리드라는 이름의 기원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 Primera Crónica General에는 ''Valledolit''으로 언급되었으며, 이전에는 ''Valledolidi'', ''Valleolide''(1092), ''Valleolit'', ''Valleoleti'', ''Valleoliti''(1095) 등으로 표기되었다.

''Valladolid''가 "물의 계곡"을 뜻하는 켈트이베리아어 Vallis Tolitumxce에서 유래했다는 설, 알왈리드 1세를 언급하며 '알왈리드의 도시'를 의미하는 아랍어 표현(بلد الوليدar, )에서 유래했다는 설,[3][4] '올리브의 계곡'을 의미하는 Vallis Olivetumla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하지만 해당 지형에서는 올리브 나무가 발견되지 않고, 대신 소나무가 많으며, 지역 특산물은 올리브보다는 잣(piñónes)이다. 중세 시대에는 '햇볕이 잘 드는 계곡'을 의미하는 ''Vallisoletum''이라고 불렸으며, 오늘날 주민들은 Vallisoletanoes(남성)와 Vallisoletanaes(여성)라고 불린다.

Pucelaes라는 애칭으로도 불리는데, 잔 다르크의 기사들을 지칭하는 La Pucelle프랑스어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는 설과, 포촐라나 시멘트가 스페인에서 유일하게 판매된 도시라는 사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2. 1. 고대와 중세

켈트족이 거주했으나 로마 제국에 정복되어 지배 아래 놓였다. 그 후 서고트 왕국의 지배를 거쳐 우마이야 왕조의 침입을 받았다. 이후 기독교 세력의 레콘키스타(재정복 운동)가 진전되는 가운데 11세기레온 왕국의 기초 도시가 건설되고, 기독교 세력의 근거지 중 하나가 됐다. 1346년 바야돌리드 대학교도 설립되어 학예 진흥이 도모되었다. 1469년 카스티야 연합왕국공주 이사벨(후 이사벨 1세)과 아라곤 연합왕국왕자 페르난도(후 페르난도 2세)가 이 도시에서 혼례하였다.

바카이족은 켈트족의 일파로, 두에로강 중류 계곡에 정착한 것으로 기록된 최초의 민족이다.

도심 인근에서 켈트 이베리아인과 고대 로마의 야영지 유적이 발굴되었다. 도시의 핵심 지역은 원래 현재의 산 미겔 광장과 엘 로사릴로 광장 지역에 위치해 있었으며,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었다. 3개의 고대 성벽이 존재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스페인의 이슬람 세력 통치 시대에 기독교 왕들은 이 지역의 사람들을 북쪽으로, 방어하기 더 쉬운 지역으로 이동시켰고, 더 이상의 무어인 정복에 대한 완충 지대로 의도적으로 비무장 지대를 만들었다. 이 지역은 10세기에 무어인으로부터 탈환되었다.

역사주의 양식의 20세기 초 벽화로, 에우제니오 올리바가 그린 작품으로, 바야돌리드에서 안수레스, 에일로,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만남을 묘사하고 있다.


1072년 레온과 카스티야의 알폰소 6세는 바야돌리드 영지를 페드로 안수레스 백작에게 하사했다. 이 지역의 재정착을 맡은 안수레스는 아내 Eylo Alfonso|에일로 알폰소es와 함께 바야돌리드 건설을 이끌었다.[16] 1084년까지 정착지 건설 프로젝트가 이미 진행 중이었다.[16] 안수레스는 궁궐(현재는 소실됨)과 라 안티과 교회를 지었다. 에일로는 세 개의 병원과 산 세바스티안 교회, 산 니콜라스 교회를 설립했다. 두 사람은 산타 마리아 교회를 공동으로 설립했다. 바야돌리드는 카리온 데 로스 콘데스와 살다냐 지역에서 온 사람들로 재정착되었다.

12세기와 13세기에 바야돌리드는 카스티야의 알폰소 8세와 카스티야의 알폰소 10세가 부여한 상업적 특권에 힘입어 급속도로 성장했다.

역사적으로, 유대인 공동체는 바야돌리드에 존재했다. 아랍 시대에도 바야돌리드에 유대인의 삶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유대인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는 최초의 기록은 122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288년, 산초 4세는 유대인이 바야돌리드와 그 주변 지역에서 토지를 취득하는 것을 금지했다. 1322년에는 기독교인이 유대인 의사에게 진료를 받는 것이 금지되었고, 유대인이나 무어인의 결혼식에 참석할 수 없었다. 또한 유대인은 공직에서 배제되었다. 15세기 초에는 바야돌리드 법이 통과되었는데, 이는 일련의 반유대 법률이었다. 이 법률은 바야돌리드의 유대인으로부터 자율성을 박탈했는데, 여기에는 자체 법원 시스템을 갖는 권리도 포함되었다. 또한, 유대인과 무어인은 카스티야를 떠나는 것이 금지되었다. 그러나 1432년, 바야돌리드의 관료들은 도시의 유대인 구역에서 돈 아브라함 벤베니스트를 만나 유대인 자율성을 회복하기로 합의했다. 개종자 시인 후안 데 바야돌리드는 바야돌리드에서 유대인에 대한 대우를 비판하는 시를 썼다.[21] 바야돌리드의 유대인 생활은 유대인 추방 이후인 16세기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사벨과 페르난도의 혼인 (1469년)

2. 2. 근세

1346년 바야돌리드 대학교가 설립되어 학예 진흥이 이루어졌다. 1469년 카스티야 연합왕국의 이사벨 공주(후 이사벨 1세)와 아라곤 연합왕국의 페르난도 왕자(후 페르난도 2세)가 이 도시에서 혼인하였다.

15세기까지 바야돌리드는 카스티야 국왕의 거주지였다. 1506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바야돌리드에서 "자신이 인디에 도달했다고 여전히 확신"한 채 사망했다.[17] 현재 그를 기리는 박물관이 된 집에서였다.

1550년-1551년 동안, 이 도시는 정복자에 의한 아메리카 원주민의 권리와 대우에 대해 논의하기 위한 유럽 역사상 최초의 도덕적 논쟁을 개최했다.

''바야돌리툼'', 1574년, 브라운과 호겐베르크


1554년부터 1559년까지, 포르투갈 공주 오스트리아의 후아나섭정을 맡아 바야돌리드에 정착했다. 그 당시 바야돌리드는 히스파닉 군주국의 정치적 중심지였다. 그녀는 펠리페 2세의 궁정에서 에볼리스트 당을 알비스타와 경쟁하면서 선호했다. 종교 개혁은 후아나의 고문인 아구스티노 데 카사야를 중심으로 추정되는 개신교 서클이 나타난 도시의 일부 지역에서 자리를 잡았다. 개신교 종파에 대한 뒤이은 ''화형식''은 1559년 바야돌리드에서 열렸다. 1561년의 대재앙적인 화재는 도시의 일부를 파괴했다.

바야돌리드는 1596년에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으며, 주교구가 되기도 했다.

산 파블로 교회의 옛 엽서, c. 1900.


펠리페 3세의 통치 기간 동안, 바야돌리드는 펠리페 3세의 총신인 레르마 공작의 후원 아래 1601년1606년 사이에 잠시 히스파닉 군주국의 수도 역할을 했다. 레르마와 그의 네트워크는 그 전에 바야돌리드에 토지를 매입하여 이를 왕실에 판매했다.[18] 레르마에 의해 추진된, 수도를 마드리드에서 바야돌리드로 이전하는 결정은 레르마가 수도가 이 도시에서 이전되었을 때 가격이 폭락한 마드리드에 주택을 매입했기 때문에 (이중) 부동산 투기 계획의 사례로 묘사되었다.[19][18] 바야돌리드에서 발생한 전염병 이후, 레르마는 국왕에게 마드리드로 돌아갈 것을 제안했고, 왕실 궁정이 돌아와 가격이 다시 상승했을 때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19][18]

도시는 다시 피수엘가 강과 에스게바 강의 범람으로 피해를 입었다.

2. 3. 근대

켈트족이 거주했지만, 로마 제국에 정복되어 지배를 받았다. 그 후, 서고트 왕국의 지배를 거쳐, 한때 이슬람 세력인 우마이야 왕조의 침입을 받았다. 이후, 기독교 세력에 의한 레콩키스타 (재정복 운동)가 진전되면서, 11세기에 레온 왕국 아래 도시가 건설되어, 기독교 세력의 근거지 중 하나가 되었다.

  • -|]]|thumb|이사벨과 페르난도의 혼인 (1469년)]]


1346년 바야돌리드 대학교가 설립되어 학예 진흥이 도모되었다. 1469년 10월 19일, 카스티야 여왕 이사벨(후의 이사벨 1세)과 아라곤 국왕 페르난도(후의 페르난도 2세)가 바야돌리드에서 결혼식을 올려 스페인 왕국이 성립되었다. 1561년까지 스페인에는 명확한 수도가 없었지만, 바야돌리드나 톨레도 등에 궁정이 설치되었다.

1445년부터 1616년에는 Iglesia de San Pablo, Valladolid|산 파블로 교회영어가 건설되었다. 1550년부터 다음 해에 걸쳐, 라스 카사스(『인디아스의 파괴에 관한 간략한 보고』에서 아메리카 대륙에서의 현지인 박해를 고발)는 "바야돌리드 논쟁"을 벌여, 세풀베다와 논전을 벌였다.

  • -|]]|thumb|380px|left|1572년의 바야돌리드]]


1527년 스페인 왕 펠리페 2세가 바야돌리드에서 태어났다. 펠리페 2세는 1561년 궁정을 마드리드로 옮겨, 이후 마드리드가 스페인 왕국의 사실상의 수도가 되었다. 펠리페 2세의 아들인 펠리페 3세는 마드리드 출생이지만, 1601년부터 6년간만 궁정을 바야돌리드로 옮겼다. 1606년 다시 마드리드로 궁정이 옮겨지자, 바야돌리드는 200년 이상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1688년에는 Valladolid Cathedral|바야돌리드 대성당영어이 완공되었다.

  • -|]]|thumb|카스티야 이 레온 주 의회]]


1833년 스페인 지방 행정 구역 개편에서 스페인 전역에 49개 현이 설치되었고, 바야돌리드는 바야돌리드 현의 현도가 되었다. 바야돌리드 현을 포함한 8개 현은 카스티야 라 비에하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1860년 바야돌리드에 철도가 도달했고, 1895년 바야돌리드에서 부르고스 현아란다 데 두에로를 거쳐 사라고사 현 Ariza|아리사영어에 이르는 Ferrocarril Valladolid-Ariza|바야돌리드-아리사 철도es가 개통되었다. 철도 부설을 계기로 공업화가 진전되어 인구도 급증했다. 1936년 발발한 스페인 내전에서 프랑코 장군 세력 하에 놓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53년 르노 바야돌리드 공장이 가동을 시작하는 등, 외국 자본 유입도 보였다.

1983년 3월 2일 카스티야 이 레온 주가 설치되면서, 주 정부와 주 의회가 위치한 바야돌리드는 카스티야 이 레온 주의 사실상의 주도가 되었다. 주 고등 법원은 바야돌리드가 아닌 부르고스 현부르고스에 있다. 2007년 고속 철도 AVE의 마드리드-바야돌리드 고속선이 개통되어, 과다라마 산맥을 사이에 둔 수도 마드리드까지 소요 시간이 약 1시간으로 단축되었다.

2. 4. 현대

1970년대 바야돌리드의 파세오 데 조리야


1950년부터 바야돌리드는 중요한 산업 중심지가 되었다.[19] ENDASA(1950), FASA(1954), TECNAUTO(1956), SAVA(1957) 등의 회사들이 설립되었고, 1964년에는 ''폴로 데 데사롤로 인두스트리얼''(산업 개발 거점)로 선언되었다.[20]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 바야돌리드 지방과 인근 지방에서 많은 이민자들이 유입되었으며,[20] 1960년대 초반부터 피수르가 강 서쪽 둑을 따라 도시가 확장되기 시작했다.[21]



카스티야이레온 자치 지방 창설 과정(1983년 완료)에서 바야돌리드는 다른 도시들과 지역 수도 지위를 놓고 경쟁했으며, 특히 부르고스와 "적대감"을 조성했다.[22] 1983년부터 Estatuto de Autonomía de Castilla y León|카스티야이레온 자치 헌장|lt=지역 자치 헌장es에 수도가 명시적으로 குறிப்பிட되지 않았지만,[23] 1987년 바야돌리드는 행정부 및 입법 기관(카스티야이레온 의회, 카스티야이레온 코르테스)의 ''사실상'' 소재지로 지정되었다.[23]

2024년 6월 25일, 1581년에 건축된 베라크루스 교회가 개보수 공사로 인해 붕괴되어 도시 전체에 먼지가 퍼졌다.[20]

3. 지리

바야돌리드는 이베리아 반도 북서부 두에로강 유역을 덮고 있는 고원인 '메세타 노르테'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피스우에르가 강이 본류인 두에로 강과 합류하기 15km 전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바야돌리드의 기후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지중해성 기후이지만, 강수량이 적어 스텝 기후의 요소도 있다. 여름은 덥지만, 겨울은 춥고 바람이 강하며, 눈이 내리기도 한다. 안개는 종종 발생한다. 강수는 봄과 늦가을에 많고, 여름에는 적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8.2°C11.2°C15.2°C16.9°C21°C27°C30.7°C30.1°C25.6°C18.9°C12.4°C8.6°C18.8°C
평균 최저 기온 (℃)0.2°C0.7°C2.8°C4.6°C7.9°C11.6°C14°C14.1°C11.3°C7.6°C3.5°C1.3°C6.6°C
평균 강수량 (mm)40mm27mm22mm46mm49mm29mm13mm16mm31mm55mm52mm53mm433mm
평균 상대 습도 (%)83726262605245485670798464


3. 1. 위치

바야돌리드는 해발 약 735m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이베리아 반도 북서부의 상당 부분을 덮고 있는 두에로강 유역을 흐르는 고원인 '메세타 노르테'의 중심부에 있다.[5] 초기 도시 중심부는 11세기에 에스게바강과 피수에르가강이 합류하는 지점 근처의 작은 고지대에 건설되었다. 피수에르가강은 두에로강의 주요 지류이며, 바야돌리드시는 현재 피수에르가강 양쪽에 걸쳐 있다.

바야돌리드시는 도시가 위치한 주요 영토 외에도 두 개의 월경지를 포함한다. 하나는 나바부에나(5,129 헥타르)이며, 다른 하나는 엘 레볼라르(400 헥타르)이다.[6]

시가지를 흐르는 피스우에르가 강


피스우에르가 강이 본류인 두에로 강과 합류하기 15킬로미터 전, 피스우에르가 강의 강변에 위치한 공업 도시이다. 스페인 중북부의 교통 요충지이며, 농작물 집산지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인근 대도시로는 약 110km 남서쪽의 살라망카, 120km 북서쪽의 레온, 160km 남동쪽의 마드리드 등이 있다.

두에로 강 유역은 스페인 유수의 와인 생산지이며, 바야돌리드 주변에는 리베라 델 두에로 (DO), Rueda (vino)|루에다 (DO)es, Toro (DO)|토로 (DO)영어, Tierra de León (DO)|티에라 데 레온 (DO)영어, Cigales (DO)|시갈레스 (DO)영어의 5개의 원산지 명칭 통제 (Denominación de Origen, DO)가 있다.

3. 2. 기후

바야돌리드는 북부 메세타 중앙부에 위치하며, 중심부의 해발 고도는 735m이고, 시 경계 내 최저 지점은 617m, 최고 지점은 863m이다. 내륙에 위치하고 해발 고도가 높다는 점이 기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지중해성 기후이지만, 강수량이 적어 스텝 기후의 요소도 크다.

여름은 덥지만, 겨울은 춥고 바람이 강하며, 강설도 있다. 종종 안개가 발생한다. 강수는 봄과 늦가을에 많고, 여름에는 적다. 연간 강수량은 433mm이며, 연간 상대 습도는 64%이다. 기온의 연교차가 크며, 여름의 평균 최고 기온은 30°C가 되지만, 겨울에는 빈번하게 영하로 내려가 -8°C까지 내려가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1995년 7월 19일에는 40.2°C를 기록했다(최고 기온 기록).[40][41]

바야돌리드는 스페인 북부 해안 지역보다 건조하지만 연중 강수량이 있다. 바야돌리드의 기후는 고도와 도시의 내륙 위치로 인해 시원하고 바람이 많이 부는 겨울이 특징이며, 겨울 아침에 안개는 매우 전형적이다.[7] 겨울에는 가끔 눈이 내리고 한랭 전선 동안 영하의 기온을 기록한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8.2°C11.2°C15.2°C16.9°C21°C27°C30.7°C30.1°C25.6°C18.9°C12.4°C8.6°C18.8°C
평균 최저 기온 (℃)0.2°C0.7°C2.8°C4.6°C7.9°C11.6°C14°C14.1°C11.3°C7.6°C3.5°C1.3°C6.6°C
평균 강수량 (mm)40mm27mm22mm46mm49mm29mm13mm16mm31mm55mm52mm53mm433mm
평균 상대 습도 (%)83726262605245485670798464


4. 정치

바야돌리드 시청 건물 외관, 마요르 광장에 위치


바야돌리드는 스페인의 기본적인 지방 행정 구역인 지방 자치체이다. 지방 정부와 행정은 바야돌리드 시의회(Ayuntamiento de Valladolid)가 담당한다.[22] 시의회는 27명의 시의원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보통 선거를 통해 18세 이상 선거권 소유자에 의해 선출된다. 시의원들은 의회 내 투표를 통해 시장을 선출한다.

2019년 5월 26일 마지막 지방 선거가 치러졌다. 2015년부터 스페인 사회노동당(PSOE) 소속 오스카 푸엔테(Óscar Puente)가 시장으로 재임 중이며, 2019년 선거 이후 두 번째 임기를 연임하고 있다.[23] 1995년부터 2015년까지는 국민당(PP)의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레온 데 라 리바가 시장을 역임했다.

5. 경제



바야돌리드는 스페인의 주요 경제 중심지이다. 자동차 산업은 1953년 FASA-Renault가 설립되어 르노 브랜드 차량을 조립하면서 도시 경제의 주요 동력 중 하나가 되었으며, 이후 르노 에스파냐가 되었다.[30] 1957년, 사바가 설립되어 상용차 생산을 시작했다. 사바는 나중에 페가소에 흡수되었고, 1990년부터는 이탈리아 트럭 제조업체 이베코에 흡수되었다. 프랑스 타이어 제조업체 미쉐린과 함께 르노와 이베코는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기업을 형성한다.[30]

자동차 및 자동차 보조 산업 외에도, 식품 가공 (아코르, 케세리아스 엔트레피나레스와 같은 지역 기업과 캐드버리, 락탈리스, 레사프레와 같은 다국적 기업의 시설), 야금 (링고테스 에스페시알레스, 사에타 다이 캐스팅 등) 화학 및 인쇄 산업이 있다.[30] 2007년에는 총 22,013명이 산업 현장에서 고용되어 전체 근로자의 14.0%를 차지했다.[30]

하지만 고용 측면에서 바야돌리드의 주요 경제 부문은 서비스 부문으로, 111,988명을 고용하여 사회 보장에 가입된 바야돌리드 근로자의 74.2%를 차지한다.[30]

건설 부문은 2007년에 15,493명을 고용하여 전체 근로자의 10.3%를 차지했다.[30]

마지막으로 농업은 도시에서 작은 부문으로, 2,355명(전체의 1.5%)을 고용한다.[30] 주요 작물은 밀, 보리, 사탕무이다.

2013년 매출액 기준 상위 10개 기업(백만 유로)은 다음과 같다:[31]

순위기업명매출액 (백만 유로)
1르노45.96억유로
2미쉐린26.7억유로
3IVECO16억유로
4그룹 엘 아르볼8.49억유로
5케세리아스 엔트레피나레스2.04억유로
6아코르2.01억유로
7그룹 노르테1.74억유로
8포레시아-아센토스 데 카스티야 이 레온1.43억유로
9사다1.29억유로
10히페레코1.08억유로


6. 교통

바야돌리드는 항공, 철도, 도로 교통이 잘 발달되어 있다.

바야돌리드 공항과 바야돌리드 캄포 그란데 역이 있으며, 여러 고속도로가 도시를 다른 지역과 연결한다.[1][4]

6. 1. 항공

바야돌리드 공항은 시 경계 내가 아닌 비야누블라에 있다. 이 공항은 바르셀로나, 말라가카나리아 제도와 연결된다.[1]

바야돌리드 시가지에서 북서쪽으로 11km 떨어진 곳에 군민 공용의 바야돌리드 공항이 있으며, 3,000m 활주로 1개를 갖추고 있다. 1910년에 시가지 근처에 건설된 공항이 그 기원으로, 1938년에 현재의 비야누블라로 이전했다. 1950년대 이후 여러 차례 확장되었으며, 2000년에는 새로운 여객 터미널도 완성되었다. 이 공항은 카스티야이레온주의 핵심 공항이다. 바르셀로나 엘프라트 공항이나 세비야 공항에는 연중 정기편이 운항되고 있으며, 발레아레스 제도카나리아 제도의 여러 공항 등에는 계절 한정으로 정기편이 운항되고 있다.[1] 라이언에어를 통해 독일의 베제 등으로 갈 수 있다.[1]

바야돌리드 공항을 이착륙하는 군용기

6. 2. 철도

바야돌리드 캄포 그란데에 정차한 아방 열차


바야돌리드 캄포 그란데 역은 스페인 고속철도망 AVE에 통합되어 있다. 2007년 12월 22일 마드리드-바야돌리드 고속철도선이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마드리드와 바야돌리드를 연결하며, 유럽에서 네 번째로 긴 기차 터널인 과다라마 터널을 통해 시에라 데 과다라마를 통과한다. 바야돌리드는 스페인 북부 및 북서부 지역을 나머지 지역과 연결하는 모든 AVE 노선의 허브가 될 것이다. 이 노선에서 사용되는 열차는 S-114(최고 속도 250km), S-130 (파티토, 최고 속도 250km), S-102 (파토, 최고 속도 320km)가 있으며, 마드리드까지 56분 안에 도달할 수 있다.[4]

마드리드를 출발한 열차는 스페인에서 가장 긴 터널(28km)인 Guadarrama Tunnel영어을 통해 과다라마 산맥을 통과하여 세고비아 주의 주도 세고비아를 경유하여 바야돌리드에 이른다. 마드리드-바야돌리드 간의 노선 거리는 약 180km이며, 소요 시간은 약 2시간 30분에서 1시간 이하로 단축되었다.[4]

바야돌리드는 마드리드에서 스페인 북부로 향하는 고속철도 노선의 거점역이다. 레온 주 레온을 경유하여 아스투리아스 주의 오비에도히혼으로 향하는 노선, 부르고스 주부르고스를 경유하여 바스크 주의 비토리아-가스테이스, 빌바오산세바스티안으로 향하는 노선 등이 건설 중이다.[4]

6. 3. 도로

바야돌리드에서는 여러 고속도로가 방사형으로 뻗어 있다. 북서쪽으로 뻗은 N-601호선은 레온으로, 북동쪽으로 뻗은 A-62호선(유럽 고속도로 E80호선)은 팔렌시아부르고스로, 동쪽으로 뻗은 A-11호선은 아란다 데 두에로로, 남동쪽으로 뻗은 A-601호선은 세고비아로 이어진다. 또한, 마드리드와 갈리시아 주를 잇는 대동맥인 A-6호선은 바야돌리드 교외의 토르데시야스를 통과한다.

바야돌리드 주변의 도로망

7. 문화

세르반테스 저택


바야돌리드는 스페인어가 유일한 공용어인 도시이다. 돈 키호테의 작가 미겔 데 세르반테스는 물론 호세 소리야나 미겔 델리베스와 같은 작가들의 거주지였으며, 바야돌리드 대학교가 있어 스페인어를 배우려는 사람들을 유치하며 언어 관광지로도 알려져 있다.

바야돌리드 구시가지에는 다수의 역사적 건축물, 가톨릭 교회, 궁전, 광장, 공원 등이 있다. 스페인 국립 조각 박물관, 파티오 에레리아노 스페인 현대 미술관, 바야돌리드 동양 박물관, 세르반테스 저택, 소리야 저택 등의 박물관·미술관이 있다.

; 스페인 국립 조각 박물관

: 1842년 10월 4일 산타 크루스 궁전에 설립되어 1933년 산 그레고리오 학원으로 이전했다. 국립 박물관이며, 스페인 문화부에서 관할하고 있다. 13세기부터 19세기의 스페인 및 관련 지역(이탈리아, 플랑드르, 남아메리카)의 회화 작품과 조각 작품을 수집·전시하고 있다.

; 산 파블로 교회

: 1445년 후안 데 토르케마다 추기경의 의뢰로 건축이 시작되어 1616년에 완성되었다. 16세기 중반 펠리페 2세, 17세기 초 펠리페 4세가 이곳에서 세례를 받았다. 18세기 초에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방문했다.

; 바야돌리드 대성당

: 16세기 말에 건설이 시작되어 1668년에 완성되었다. 르네상스 양식이며, 설계는 후안 데 에레라이다. 1561년까지 바야돌리드는 스페인 왕국의 수도였으며, 원래 설계는 유럽 최대 규모의 대성당이었으나, 자금 부족으로 절반 정도만 완성되었다.

; 세르반테스 저택

: 17세기 초 『돈 키호테』를 저술한 작가 미겔 데 세르반테스가 살았던 집. 내부는 박물관이다.

; 콜럼버스 저택 박물관

: 1492년 신대륙에 도달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1506년 바야돌리드에서 사망했다. 1965년에 설립된 이 박물관에는 최초의 대서양 횡단 항해에 사용된 산타 마리아 호의 모형과 당시 사료 등이 전시되어 있다.

7. 1. 건축

12세기 로마네스크 건축은 산타 마리아 라 안티구아와 산 마르틴 교회의 종탑에서 볼 수 있다.[1]

산 그레고리오 대학은 후기 고딕 건축(이사벨 양식)의 뛰어난 예로 꼽힌다.[2] 고딕 양식은 산 파블로 교회에서도 나타나며, 르네상스 건축 및 플라테레스크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2] 15세기 후반 산타 크루스 궁전(현재 바야돌리드 대학교 총장 사무실)은 스페인 르네상스 예술의 선구적인 예로 언급된다.[3]

스페인에서 최초로 꼽히는 기념비적인 바야돌리드 중앙 광장은 1561년 대화재 이후 1561~62년에 프란시스코 데 살라망카에 의해 설계되었다.[4] 포르티코 광장은 나무 받침대와 상인방이 있는 석재 기둥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5] 광장 정면의 디자인은 인근 거리의 여러 건물에 대한 템플릿 역할을 했다.[4]

구티에레스 통로 (1886)


미완성된 바야돌리드 대성당은 16세기에 후안 데 에레라에 의해 처음 설계되었으며 (매너리즘) 재정 문제로 인해 건설이 지연되었고 본관은 1668년에야 개장되었다. 1730년, 알베르토 데 추리게라가 정면 작업을 완료했다.

로페 데 베가 극장은 1861년에 고전 양식으로 지어진 극장으로 현재 매우 낡았다. 최근에는 시가 극장 복구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26] 캄포 그란데는 도시 중심부에 위치한 대형 공원으로 178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건축가 Modesto Coloma Palenzuela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 많은 주택 프로젝트를 저술하면서[6] 도시의 윤곽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7] 그의 건물 중 상당수가 아직 남아 있다.[7] 도시에서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의 절충주의 건축의 두드러진 예로는 플라테레스크식 시청, 기병 아카데미, Palace of Correos y Telégrafos (1960년대 개조로 훼손됨),[27] 및 신 바로크 양식의 새로운 대학교 건물이 있다.[8]

프랑코 독재는 신 에레라 양식 (또는 "에스쿠리알렌세")의 "제국 건축"의 예를 "세미나리오 메노르" 건물에서 보여주었으며, 이는 스페인 수도의 공군부의 영향을 분명히 받았다.[9]

이 도시는 세르반테스 생가와 호세 소리야의 집과 같은 상징적인 도시 이웃의 거주지를 보존하고 있다. 반대로 콜럼버스 하우스-박물관은 1960년대 재건축된 건물이다.

7. 2. 축제

도시의 성주간 행렬


성주간(Semana Santa|세마나 산타es)은 바야돌리드에서 가장 잘 알려진 가톨릭 전통 중 하나이다. 성금요일 행렬은 카스티야 종교 조각의 절묘하고 풍부한 전시로 여겨진다. 이날 아침, 형제단의 회원들이 말을 타고 도시 전체에 걸쳐 시적인 선언을 한다. "일곱 말씀의 설교"는 마요르 광장에서 연설된다. 오후에는 수천 명의 사람들이 31개의 파소(종교 조각상)로 구성된 수난 행렬에 참여하며, 대부분 16세기와 17세기에 제작되었다. 행렬의 마지막 조각상은 비르헨 데 라스 앙구스티아스이며, 그녀가 교회로 돌아가는 것은 축제의 가장 감동적인 순간 중 하나로, 그녀를 기리는 살베 포풀라르가 불린다.

부활절은 바야돌리드에서 가장 웅장하고 감동적인 축제 중 하나이다. 종교적 헌신, 예술, 색상 및 음악이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하는 행사, 즉 행렬에서 결합된다. 서로 다른 부활절 형제단의 회원들은 특징적인 로브를 입고 종교 조각상(파소)을 들고 다니며 드럼과 음악 소리에 맞춰 거리를 행진한다.

1956년에는 바야돌리드 국제 영화제가 처음 개최되었다. 유럽 유수의 역사를 가진 영화제라고 여겨진다. 스페인 황금 세기 연극의 극작가인 페드로 칼데론 데 라 바르카를 기념하여 칼데론 극장을 주 회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인디펜던트 영화와 작가주의 영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여겨진다. 프랑코 정권 (1939년~1975년) 하에서의 국가적 검열을 피해, 원래는 스페인에서 상영할 수 없는 작품을 다수 상영했다. 1975년 영화제에서는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시계태엽 오렌지』 (1971년)를 스페인에서 처음으로 상영했다.

7. 3. 음식

구운 ''레차소''(젖먹이 어린 양)는 이 지방 요리의 주요 음식이다.


''Hermanos Sastre'' 와이너리


내륙 지방임에도 불구하고, 칸타브리아 해에서 들여온 생선을 흔히 소비한다. 도미와 대구와 같은 생선은 바야돌리드 요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바야돌리드의 주요 특산품은 레차소(젖먹이 어린 양)이다. 레차소는 장작 오븐에서 천천히 구워 샐러드와 함께 제공된다.

바야돌리드는 또한 다양한 야생 버섯, 아스파라거스, 엔다이브, 콩류를 제공한다. 흰콩과 렌즈콩과 같은 일부 콩류는 특히 훌륭하다. 잣도 대량 생산된다.

파타 데 물로(노새 발)로 유명한 비야론 데 캄포의 양 치즈는 보통 숙성되지 않은(신선한) 상태로 제공되지만, 숙성 과정을 거치면 맛이 더욱 풍부해져 스페인 최고의 양 치즈와 경쟁할 수 있다.

바야돌리드는 모든 요리에 곁들일 수 있는 빵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메디나 델 캄포의 맛있는 콰드로스, 머핀, 돼지 껍질 빵, 그리고 양상추 머리를 닮은 동심원 패턴의 레추기노스가 있다.

바야돌리드 지방의 과자와 구운 식품은 잘 알려져 있는데, 특히 성모 마리아의 링 모양 과자, 성 클레어의 스폰지 케이크, 잣 볼, 크림 프리터가 유명하다.

바야돌리드는 또한 와인 생산지이다. 시갈레스 원산지 명칭에 해당하는 와인은 매우 훌륭하다. 루에다의 백포도주와 리베라 델 두에로의 적포도주는 품질로 유명하다.

8. 교육

바야돌리드의 교육 관리 및 정책은 카스티야 이 레온 주 정부의 교육부 관할이다. 카스티야 이 레온 주 정부의 교육부는 지역 수준에서 대학 및 비대학 교육을 담당한다.

산타 크루스 궁전에는 바야돌리드 대학교의 총장 사무실이 있다.


바야돌리드 대학교(UVA)는 1241년 카스티야의 알폰소 8세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 중 하나이다. 바야돌리드 시 주변에 4개의 캠퍼스(우에르타 델 레이, 센트로, 리오 에스게바, 미겔 델리베스)와 카스티야 이 레온 광역 지역에 3개의 캠퍼스(팔렌시아, 소리아, 세고비아)를 두고 있다. 25개의 단과대학과 부속 센터에 걸쳐, 약 2,000명의 교수가 2011년에 23,800명 이상의 학생들에게 수업을 제공한다. 바야돌리드 대학교에는 25개의 센터, 총장실이 있는 산타 크루스 궁전과 같은 여러 행정 건물, 바야돌리드 대학교 박물관(MUVa), 국제 관계 관련 행정 서비스가 주로 있는 학생의 집, 구 과학대학 옆 알폰소 8세 대학 레지던스 지하에 위치한 CTI(정보 기술 센터) 등이 있다.

UEMC 대학교


미겔 데 세르반테스 유럽 대학교(UEMC)는 약 1,5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인 사립 대학교이다. 사회 과학, 법학 및 경제학, 보건 및 공과 대학의 3개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후 교육 및 연구에 할애되는 면적을 두 배로 늘린 새로운 시설로 캠퍼스를 확장했으며, 치과 진료소와 도서관을 갖추고 있다.

카스티야 이 레온 프랑스 학교(Lycée Français de Castilla y León)는 바야돌리드 근처의 라구나 데 두에로에 위치한 프랑스 국제 학교이다.[24] 산 후안 바우티스타 데 라 살레 학교(San Juán Bautista de La Salle School)는 바야돌리드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로, 유치원, 초등학교, 고등학교 과정을 통합하여 운영한다.[25]

바야돌리드에는 공립 대학교(주립)인 바야돌리드 대학교와 사립 대학교인 미겔 데 세르반테스 유럽 대학교가 있다.

9. 스포츠

호세 소리야 경기장, 레알 바야돌리드의 홈구장


파베욘 폴리데포르티보 피수에르가, CBC 바야돌리드의 홈구장


바야돌리드에는 다양한 스포츠 팀들이 활동하고 있다.

종목팀명리그홈구장비고
축구레알 바야돌리드라리가 하이퍼모션누에보 호세 소리야 경기장1982년 FIFA 월드컵[32] 개최
농구CBC 시우다드 데 바야돌리드리가 LEB 오로폴리데포르티보 피수에르가CB 바야돌리드 해체 후 창단
핸드볼BM 아틀레티코 바야돌리드리가 ASOBAL폴리데포르티보 우에르타 델 레이BM 바야돌리드 해체 후 창단
럭비 유니온VRAC, CR 엘 살바도르디비시온 데 오노르에스타디오 페페 로호



바야돌리드 투우장은 1890년 9월 29일에 개장했으며, 11,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10. 유명 인물

펠리페 2세

  • 산초 4세 (1258년 - 1295년): 카스티야 왕. '용감왕'.
  • Juan de Torquemada (cardinal)|후안 데 토르케마다|영어 (1388년 - 1468년): 추기경, 주교. 도미니코회 수사.
  • 엔리케 4세 (1425년 - 1474년): 카스티야 왕. '무능왕'.
  • 펠리페 2세 (1527년 - 1598년): 스페인 왕. 스페인 황금 시대의 최성기에 재위한 왕.
  • 펠리페 4세 (1605년 - 1665년): 스페인 왕, 나폴리 왕, 시칠리아 왕.
  • 안 도트리슈 (1601년 - 1666년): 루이 13세 왕비.
  • José Zorrilla|호세 소리야|영어 (1817년 - 1893년): 시인, 극작가.
  • 미겔 데 리베스 (1920년 - 2010년): 작가.
  •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사파테로 (1960년 - ): 정치인. 스페인 총리.
  • 미리암 블라스코 (1963년 출생): 유도 선수
  • 마리아 메르세데스 카파 에스트라다 (1970년 출생): 골볼 선수
  • 호세 마누엘 카풀레티 (1925년–1978년): 화가
  • 헤수스 시푸엔테스 (1966년 출생): 가수, 셀타스 코르토스 창립자
  • 프란시스코 페르디난드 데 카피야스 (1607년–1648년): 중국의 원조 순교자 성인
  • 후스토 가란 모소 (1867년-1942년): 전통주의 정치인
  • 알베르토 가르시아 (1970년 출생): 셀타스 코르토스 멤버
  • 세실리아 델 나시미엔토 (1570년–1646년): 수녀, 신비주의자, 작가, 시인
  • 아오드 루어 오돔나일 (1572년–1602년): 아일랜드 게일족 족장, 이곳에 묻힘
  • 롤단 로드리게스 (1984년 출생): 레이싱 드라이버
  • 카를로스 소토 (1968년 출생): 셀타스 코르토스 창립자이자 멤버
  • 고요 예베스 (1968년 출생): 셀타스 코르토스 창립자이자 멤버
  • 후안 데 바야돌리드 (1420년-?): 개종자 시인이자 점성가

11. 자매 도시

바야돌리드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33]

바야돌리드의 자매 도시
도시국가체결 연도비고
모렐리아Moreliaes 멕시코1978년1820년 멕시코 독립 이전에는 "바야돌리드"로 불렸다. 1828년 독립 지도자이자 1765년 모렐리아에서 태어난 호세 마리아 모렐로스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다.[34]
Lille프랑스어 프랑스1987년
올랜도Orlando영어 미국2006년
피렌체Firenzeit 이탈리아2007년
레체Lecceit 이탈리아2009년
아흐메다바드અમદાવાદgu 인도2017년



바야돌리드는 또한 다음 도시들과 우호 관계를 맺고 있다.

바야돌리드의 우호 도시
도시국가
보스턴Boston영어 미국
과달라하라Guadalajaraes 멕시코


참조

[1] 웹사이트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Spanish Statistical Institute) https://www.ine.es/n[...] 2023-10-26
[2] 웹사이트 Constituida la Comunidad Urbana de Valladolid, que agrupa a la capital y 15 municipios del entorno https://www.elnorted[...] 2012-02-23
[3] 서적 The Formation of Al-Andalus: History and Society Ashgate 1998
[4] 서적 The Zenith of the Marwanid House Suny, Albany 1990
[5] 웹사이트 ¿Por qué no nieva en Valladolid? https://www.tribunas[...] 2019-11-17
[6] 웹사이트 Valladolid tiene su 'Alaska' situado a 20 kilómetros del centro de la ciudad https://www.20minuto[...] 2008-02-14
[7] 웹사이트 La niebla de todos los días. ¿Por qué se produce? https://www.elnorted[...] 2019-12-27
[8] 웹사이트 Weather station data https://opendata.aem[...] AEMET OpenData 2024-11-13
[9] 웹사이트 Valores extremos. Valladolid Aeropuerto http://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020-12-24
[10] 웹사이트 Valladolid vuelve a batir su récord de calor: 41,1 grados https://www.eldiadev[...] El Dia de Valladolid 2022-07-16
[11] 웹사이트 Extremes https://opendata.aem[...] AEMET OpenData 2024-12-16
[12] 웹사이트 Normal https://opendata.aem[...] AEMET OpenData 2024-12-16
[13] 웹사이트 AEMET OpeenData https://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ia 2024-11-13
[14] 웹사이트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Valladolid https://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024-12-16
[15] 웹사이트 Atlas Agroclimático Castilla y León. Valladolid http://www.atlas.ita[...]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023-10-01
[16] 웹사이트 De anonimato a ciudad próspera, Valladolid evocará 900 años de su repoblación https://www.lavangua[...] 2018-09-28
[17] 서적 Conquerors: How Portugal Forged the First Global Empire Random House 2015
[18] 웹사이트 El Duque de Lerma, precursor de la corrupción Inmobiliaria en España https://www.madridia[...] 2019-03-26
[19] 웹사이트 ¿Cómo dio el 'pelotazo' el Duque de Lerma? https://www.xlsemana[...] 2018-04-09
[20] 웹사이트 null https://www.pressrea[...]
[21] 웹사이트 Valladolid https://www.jewishvi[...] 2024-06-24
[22] 웹사이트 Ayuntamiento de Valencia https://www.valencia[...] Ayuntamiento de Valencia
[23] 웹사이트 Óscar Puente revalida la alcaldía de Valladolid y tendrá apoyo de afines a IU https://www.lavangua[...] 2019-06-15
[24] 웹사이트 null http://lfcyl.org/fr/
[25] 웹사이트 null http://lasallevallad[...]
[26] 웹사이트 De la Riva confía en que las obras del Lope de Vega salgan adelante http://www.elnortede[...] 2011-11-10
[27] 뉴스 10 restauraciones de edificios en España que todos lamentan y ya no tienen vuelta atrás https://elpais.com/e[...] 2019-02-21
[28] 웹사이트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Padrón 2024 https://www.ine.es/j[...]
[29] 웹사이트 Las localidades que rodean Valladolid ya suman 100.000 vecinos https://www.elnorted[...] 2015-02-27
[30] 간행물 Informe de Datos Económicos y Sociales de los Municipios de España
[31] 간행물 Castilla y León Económica 2013-02
[32] 웹사이트 World Cup 1982 finals https://www.rsssf.or[...] 2013-09-05
[33] 웹사이트 La plaza de las Ciudades Hermanas de Valladolid http://www.info.vall[...] Valladolid 2019-12-31
[34] 웹사이트 Valladolid contempla el hermanamiento con el estado mexicano de Guanajuato ante la petición de cuatro de sus ciudades https://www.20minuto[...] 2019-11-28
[35] 웹사이트 Валядолид, Испания https://www.lovech.b[...] Lovech 2019-12-31
[36] 웹사이트 Población, superficie y densidad por municipios http://www.ine.es/ja[...] INE(スペイン国立統計局) 2011-11-16
[37] 웹사이트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Valladolid http://www.aemet.es/[...] スペイン気象庁(AEMet) 2014-08-20
[38] 웹사이트 Valores extremos. Valladolid Aeropuerto http://www.aemet.es/[...] スペイン気象庁(AEMet) 2012-09-22
[39] 웹사이트 World Cup 1982 finals http://www.rsssf.com[...] 2018-11-23
[40] 웹인용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Valladolid http://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014-08-20
[41] 웹인용 Valores extremos. Valladolid Aeropuerto http://www.aemet.es/[...] Agencia Estatal de Meteorología 2012-09-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