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일랜즈흰반점얼굴사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일랜즈흰반점얼굴사키(Pithecia rylandsi)는 사키원숭이의 일종으로, 볼리비아 북서부, 페루 남동부, 브라질의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 이 종은 매우 큰 크기와 검고 털이 없는 얼굴, 극심한 흰색 거스러미를 특징으로 한다. 이전에는 타파조스사키의 개체군으로 분류되었으나, 2014년 연구를 통해 별도의 종으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2019년 연구에서는 털색 변이가 타파조스사키의 변이 범위 내에 속하며, 불분명한 기준 산지로 인해 라일랜즈흰반점얼굴사키가 타파조스사키와 동의어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미국 포유동물학회는 이를 타파조스사키와 동의어로 처리했으나, IUCN 적색 목록과 ITIS는 별도의 종으로 유지하고 있다. 라일랜즈흰반점얼굴사키는 서식지 파괴, 밀렵, 애완동물 거래 등으로 위협받아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키원숭이속 - 흰얼굴사키
    흰얼굴사키(*Pithecia pithecia*)는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는 사키원숭이의 일종으로, 털 색깔에서 성적 이형성을 보이며, 나무 위에서 생활하고 씨앗, 과일, 곤충 등을 먹으며,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보호받고 있다.
  • 사키원숭이속 - 밀러사키
  • 2014년 기재된 포유류 - 카주자사키
    카주자사키는 브라질 북부 지역에서 발견되는 사키원숭이의 일종으로, 수컷은 검은색 털과 흰색 얼굴 털을 가지며 좁은 서식지, 벌목, 밀렵으로 위협받고 자료 부족으로 분류된다.
  • 2014년 기재된 포유류 - 이사벨사키
    이사벨사키는 페루 북부에 서식하며 벌목, 밀렵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는 사키원숭이의 일종으로, 18세기 에콰도르 여성 이자벨 고댕 데 오도네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라일랜즈흰반점얼굴사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Pithecia rylandsi
명명자Marsh, 2014
IUCN 적색 목록 상태취약종
IUCN 상태 기준IUCN3.1
IUCN 참고 자료Marsh, L.K., Mollinedo, J.M. & Wallace, R. 2021. Pithecia rylands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1: e.T70610711A192447821.

2. 분류

이 종의 개체군은 이전에 타파조스사키 (''P. irrorata'')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지만, 2014년 연구에서 독특한 털색을 근거로 이 개체군을 별도의 종인 ''P. rylandsi''로 묘사했다.[2][3] 그러나 2019년 연구에서도 ''P. irrorata'' 종 복합체의 전체 범위에서 털색 변이를 분석한 결과, ''P. irrorata''와 반졸리사키 (''P. vanzolini'')에 해당하는 두 개의 뚜렷한 그룹만 구분되었으며, ''P. rylandsi''를 구별하는 데 사용된 독특한 털색은 ''P. irrorata''의 변이 범위 내에 속했다.[4] 또한, 이 연구에서는 불분명한 기준 산지로 인해 ''P. irrorata''의 모식표본이 ''P. rylandsi''의 범위 내에서 수집되었을 수 있으며, 이는 ''rylandsi''를 즉시 ''P. irrorata''와 동의어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4] 이 연구를 바탕으로 미국 포유동물학회는 (추가적인 계통 발생학적 연구가 진행될 때까지 잠정적으로) ''rylandsi''를 ''irrorata''와 동의어로 처리했지만,[5] IUCN 적색 목록과 ITIS은 ''rylandsi''를 별도의 종으로 유지하고 있다.[1][6]

이 종은 보전 국제의 선임 연구 과학자이자 IUCN/SSC 영장류 전문가 그룹의 부의장이자 브라질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며, 미나스제라이스 연방 대학교의 전 척추 동물학 교수이자 저널 ''신열대 영장류''의 창립 편집자인 브라질 영장류학자 앤서니 라일랜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

2. 1. 타파조스사키와의 관계

라일랜즈흰반점얼굴사키는 이전에 타파조스사키(''Pithecia irrorata'')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2][3] 2014년 연구에서 독특한 털색을 근거로 별도의 종으로 묘사되었으나,[2][3] 2019년 연구에서 ''P. irrorata'' 종 복합체의 털색깔 변이를 분석한 결과, ''P. rylandsi''를 구별하는 데 사용된 털색깔이 ''P. irrorata''의 변이 범위 내에 속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4] 기준 산지의 불분명함으로 인해 ''P. irrorata''의 모식표본이 ''P. rylandsi''의 범위 내에서 수집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rylandsi''가 ''P. irrorata''와 동의어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4]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 포유동물학회는 ''rylandsi''를 ''irrorata''와 동의어로 처리했지만,[5] IUCN 적색 목록과 ITIS은 ''rylandsi''를 별도의 종으로 유지하고 있다.[1][6]

2. 2. 종명

이 종은 이전에 타파조스사키 (''P. irrorata'')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지만, 2014년 연구에서 독특한 털색을 근거로 이 개체군을 별도의 종인 ''P. rylandsi''로 묘사했다.[2][3] 그러나 2019년 연구에서 ''P. irrorata'' 종 복합체의 전체 범위에서 털색 변이를 분석한 결과, ''P. irrorata''와 반졸리사키 (''P. vanzolini'')에 해당하는 두 개의 뚜렷한 그룹만 구분되었으며, ''P. rylandsi''를 구별하는 데 사용된 독특한 털색은 ''P. irrorata''의 변이 범위 내에 속했다.[4] 또한, 이 연구에서는 불분명한 기준 산지로 인해 ''P. irrorata''의 모식표본이 ''P. rylandsi''의 범위 내에서 수집되었을 수 있으며, 이는 ''rylandsi''를 즉시 ''P. irrorata''와 동의어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4] 이 연구를 바탕으로 미국 포유동물학회는 (추가적인 계통 발생학적 연구가 진행될 때까지 잠정적으로) ''rylandsi''를 ''irrorata''와 동의어로 처리했지만,[5] IUCN 적색 목록과 ITIS은 ''rylandsi''를 별도의 종으로 유지하고 있다.[1][6]

이 종은 보전 국제의 선임 연구 과학자이자 IUCN/SSC 영장류 전문가 그룹의 부의장이자 브라질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며, 미나스제라이스 연방 대학교의 전 척추 동물학 교수이자 저널 ''신열대 영장류''의 창립 편집자인 브라질 영장류학자 앤서니 라일랜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

3. 분포

이 종은 볼리비아 북서부, 페루 남동부, 브라질의 혼도니아 주 남부 및 마투그로수 주 서부에서 발견된다.[1] 볼리비아페루에서는 마드레데디오스 강 북쪽에서 발견되며, 브라질에서는 구아포레 강 동쪽과 북쪽에서 발견된다.[1] 지파라나 강 북쪽이나 자마리 강 서쪽까지 분포할 수 있다.[1]

4. 특징

릴란즈사키는 사키 중에서 가장 큰 종 중 하나이다. 이 종은 매우 큰 크기, 매우 검고 털이 없는 얼굴, 그리고 극심한 흰색 거스러미로 다른 모든 사키와 쉽게 구별되는데, 이는 종종 나이든 수컷을 거의 완전히 하얗게 보이게 할 수 있다.[2][7] 어린 수컷은 적당한 거스러미가 있는 검은색을 띤다. 다 자란 암컷은 수컷만큼이나 짙은 흰색을 띠며, 이마의 털은 흰색 "뱅"을 형성할 수 있다.[2][7]

5. 보전 상태

이 종은 소 목장을 위한 산림 벌채, 밀렵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으며, 개체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 또한 때때로 애완동물 거래에서도 발견된다.[1] IUCN 적색 목록에 의해 취약으로 분류된다.[1] 대한민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Pithecia rylandsi 2021-12-06
[2] 논문 A Taxonomic Revision of the Saki Monkeys, Pithecia Desmarest, 1804 https://bioone.org/j[...] 2014-08-01
[3] 뉴스 Scientists uncover five new species of 'toupee' monkeys in the Amazon https://news.mongaba[...] 2021-12-06
[4] 논문 Reconsidering the taxonomy of the Pithecia irrorata species group (Primates: Pitheciidae) 2019-01-03
[5] 문서 Perodicticus ibeanus O. Thomas, 1910 2021-12-06
[6] 문서 Pithecia 2021-12-01
[7] 뉴스 Five New Species of Saki Monkeys Discovered http://www.sci-news.[...] 2021-12-06
[8] 서적 A Taxonomic Revision of the Saki Monkeys, Pithecia Desmarest, 1804. http://www.primate-s[...]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