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키원숭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키원숭이는 남아메리카 북부와 중부에 분포하는 몸집이 작은 원숭이이다. 털이 많고 긴 꼬리를 가지며, 열대 우림의 나무에서 생활한다. 잡식성 동물로 과일을 주로 먹으며, 가족 집단 내에서 생활하고 짝은 평생을 함께 한다. 사키원숭이속에는 여러 종이 있으며, 짝짓기 계절은 따로 없고 임신 기간은 약 150~180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키원숭이속 - 흰얼굴사키
    흰얼굴사키(*Pithecia pithecia*)는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는 사키원숭이의 일종으로, 털 색깔에서 성적 이형성을 보이며, 나무 위에서 생활하고 씨앗, 과일, 곤충 등을 먹으며,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보호받고 있다.
  • 사키원숭이속 - 밀러사키
  • 1804년 기재된 포유류 - 밍크고래
    밍크고래는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고래로, 과거에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일반 밍크고래와 남극 밍크고래 두 종으로 분류되며, 몸집이 작고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여 사람에게 접근하기도 하지만, 상업적 포경으로 인해 보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1804년 기재된 포유류 - 큰뿔양
    큰뿔양은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며 수컷의 굽은 뿔이 특징인 야생 양으로, 아시아에서 기원하여 세 아종으로 분류되며, 가파른 지형에 적응하여 살아가며 인간과의 관계에서 사냥, 문화적 상징, 보존 노력의 대상이 된다.
사키원숭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흰얼굴사키 (수컷)
학명Pithecia Desmarest, 1804
명명자앙셀므 가에탕 데마레
모식종Simia pithecia Linnaeus, 1766
한국어 이름사키속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영장목
아목직비원아목
하목원숭이하목
소목광비원류
사키원숭이과
아과사키원숭이아과
사키속 (Pithecia)
하위 분류
Pithecia aequatorialis
Pithecia albicans
Pithecia cazuzai
Pithecia chrysocephala
Pithecia hirsuta
Pithecia inusta
Pithecia irrorata
Pithecia isabela
Pithecia milleri
?Pithecia mittermeieri
Pithecia monachus
Pithecia napensis
?Pithecia pissinattii
Pithecia pithecia
?Pithecia rylandsi
Pithecia vanzolinii

2. 분포

사키원숭이는 남아메리카 북부와 중부에 분포하며, 콜롬비아 남부에서부터 페루를 지나 볼리비아 북부, 브라질 중부까지 서식한다.

3. 신체 특징

사키원숭이는 몸집이 작은 원숭이로, 길고 털이 많은 꼬리를 지니고 있다. 부드러운 털이 나고, 거친 이들의 피부는 종에 따라서 검은색, 회색 또는 붉은 갈색을 띤다. 일부 종의 얼굴은 털이 덮여있지 않으나, 눈 위로는 털이 덮여 있다. 몸은 나무에서 생활하기에 적합하며, 강한 뒷다리가 있어 멀리 도약도 가능하다. 사키원숭이의 몸 길이는 꼬리 길이와 비슷한 30cm~50cm이고, 몸무게는 2kg 정도이다.

4. 생태 및 습성

사키원숭이는 주행성 동물이다. 열대 우림의 나무에서 살며, 땅으로 내려오는 경우는 드물다. 주로 네 발로 이동하며, 때로는 나뭇가지 위에서 뒷다리로 서서 달리거나, 먼 거리를 뛰어넘기도 한다. 잠을 잘 때는 고양이처럼 나뭇가지에 몸을 웅크린다. 일반적으로 매우 수줍고 조심스러운 동물이다. 사키원숭이는 티티원숭이올빼미원숭이와 달리 성체 새끼나 관련 없는 이주민을 무리에 받아들인다.[4] 사키원숭이는 일반적으로 사회적 일부일처제를 따르는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일반적으로 짝을 이루어 사는 사키원숭이만이 사회적 일부일처제를 보인다.[3] 암컷이 주로 새끼를 돌보며, 수컷과 새끼 간의 상호 작용은 드물다.[4]

5. 사회적 행동

사키원숭이는 부모와 새끼로 이루어진 가족 집단 내에서 생활하며, 맺어진 짝은 보통 평생동안 인연을 이어간다. 이들은 다른 가족들로부터 자신의 영역을 보호하는 영역형 동물이다. 사키원숭이는 일군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알고 있다. 날카롭고, 새처럼 지저귀는 소리는 가족 구성원들 내에 어떤 연락 역할을 하며, 시끄럽게 고함치는 소리는 자신들의 영역 내에 들어오는 다른 동물에게 경고를 하는 역할을 한다.

사키원숭이는 주행성 동물이다. 열대 우림의 나무에서 살며, 땅으로 내려오는 경우는 드물다. 주로 네 발로 이동하며, 때로는 나뭇가지 위에서 뒷다리로 서서 달리거나, 먼 거리를 뛰어넘기도 한다. 잠을 잘 때는 고양이처럼 나뭇가지에 몸을 웅크린다. 일반적으로 매우 수줍고 조심스러운 동물이다. 사키원숭이는 티티원숭이올빼미원숭이와 달리 성체 새끼나 관련 없는 이주민을 무리에 받아들인다.[4] 사키원숭이는 일반적으로 사회적 일부일처제를 따르는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일반적으로 짝을 이루어 사는 사키원숭이만이 사회적 일부일처제를 보인다.[3] 암컷이 주로 새끼를 돌보며, 수컷과 새끼 간의 상호 작용은 드물다.[4]

6. 식성

사키원숭이는 잡식성 동물이다. 이들은 과일과 나뭇잎, 꽃, 곤충 그리고 설치류나 박쥐와 같은 작은 척추동물을 먹는다. 사키원숭이는 과식성 동물로, 식단의 90% 이상이 과일이며, 소량의 잎, 꽃, 곤충으로 보충된다. 사키원숭이는 우아카리원숭이와 마찬가지로 덜 익은 과일과 씨앗에 특히 집중하는 특별한 형태의 과식성을 보인다.

7. 번식

짝짓기 계절은 따로 없으며, 연중 언제라도 가능하다. 임신 기간은 약 150~180일이며, 한 마리를 낳는다. 4개월이면 젖을 떼고, 완전히 성숙하는 데 3년이 필요하다. 수명은 최대 30년이다.[1]

8. 분류

사키원숭이속(''Pithecia'')의 분류는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1979년에는 몽크사키에서 흰발사키(황갈색사키)와 털북숭이사키를 분리하자는 주장이 제기되었고,[8] 같은 해 털북숭이사키의 일본어 이름은 '검은수염사키'로 불리기도 했다.[13] 1987년에는 몽크사키에서 적도사키와 민얼굴사키가 분리되었다. (1987년에 털북숭이사키는 다시 몽크사키의 동의어로 간주되었다.)[7][9] 2014년에는 동의어 부활과 신종 기재를 포함한 여러 종 분리가 제안되었다.[9]

최근에는 Mammal Diversity Database (2024)의 분류를 따르며,[14] 일본어 이름과 영어 이름은 일본원숭이센터 영장류 일본어 이름 목록(2024년 7월판)을 따른다.[10]

8. 1. 하위 종

학명한국어 이름영어 이름
Pithecia aequatorialis적도사키Equatorial saki
Pithecia albicans흰발사키 또는 황갈색사키Buffy saki
Pithecia cazuzai카주자사키Cazuzas saki
Pithecia chrysocephala황금얼굴사키Golden-faced saki
Pithecia hirsuta털북숭이사키Hairy saki
Pithecia inusta검게 그을린 사키Burnished saki
Pithecia irrorata히우 타파조스 사키 또는 그레이 대머리 사키Gray's bald-faced saki
Pithecia isabela이사벨라사키Isabels saki
Pithecia milleri밀러사키Millers saki
Pithecia mittermeieri미터마이어 타파조스 사키
Pithecia monachus몽크사키Geoffroy's monk saki
Pithecia napensis나포사키Napo saki
Pithecia pissinattii피시나티흰반점얼굴사키
Pithecia pithecia흰얼굴사키White-faced saki
Pithecia rylandsi라일랜즈흰반점얼굴사키
Pithecia vanzolinii반졸리니흰반점얼굴사키Vanzolinis bald-faced saki



사키원숭이속은 한때 흰얼굴사키(''P. pithecia'')와 몽크사키(''P. monachus'') 두 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8] 1979년에는 몽크사키에서 노란사키(''P. albicans'')와 털북숭이사키(''P. hirsuta'')를 분리하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다.[8] 1987년에는 몽크사키에서 적도사키(''P. aequatorialis'')와 민얼굴사키(''P. irrorata'')가 분리되었다.[7][9] 2014년에는 동의어 부활과 신종 기재를 포함한 여러 종 분리가 제안되었다.[9]

9. 인간과의 관계

'사키'라는 명칭은 현지에서의 호칭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8] 투피어에서 프랑스어로 차용되었다.[16]

참조

[1] MSW3
[2] MSW3 Primates
[3] 학술지 The evolution of pair-living, sexual monogamy, and cooperative infant care: Insights from research on wild owl monkeys, titis, sakis, and tamarins 2020-04
[4] 학술지 Within-group social bonds in white-faced saki monkeys (Pithecia pithecia) display male-female pair preference http://doi.wiley.com[...] 2011
[5] 학술지 A Taxonomic Revision of the Saki Monkeys, Pithecia Desmarest, 1804 https://bioone.org/j[...] 2014-08-01
[6] 학술지 Reconsidering the taxonomy of the ''Pithecia irrorata'' species group (Primates: Pitheciidae) 2019-01
[7] 서적 Order Primates https://www.departm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8] 학술지 サルの分類名(その5:オマキザル科) https://doi.org/10.2[...] 日本霊長類学会 1988
[9] 학술지 A taxonomic revision of the saki monkeys, ''Pithecia'' Desmarest, 1804 https://doi.org/10.1[...] 2014
[10] 웹사이트 日本モンキーセンター 霊長類和名リスト 2024年7月版 http://www.j-monkey.[...] 2024-09-11
[11] 학술지 Cytogentic relations among the genera of the subfamily Pitheciinae (Cebidae, Primates) http://www1.unifi.it[...]
[12] 학술지 A fully resolved genus level phylogeny of neotropical primates (Platyrrhini) http://www.sciencedi[...]
[13] 서적 サキ属 平凡社 1988
[14] 데이터베이스 Mammal Diversity Database https://www.mammaldi[...] 2024
[15] 학술지 Reconsidering the taxonomy of the Pithecia irrorata species group (Primates: Pitheciidae) https://doi.org/10.1[...]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2019
[16] 서적 saki 1984
[17] MSW3 Grov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