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타샤 할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타샤 할린스는 1991년 3월 16일, 로스앤젤레스에서 한국계 미국인 상점 주인 두순자에게 총에 맞아 사망한 흑인 소녀이다. 두순자는 할린스가 오렌지 주스를 훔치는 것으로 오해하고 몸싸움을 벌이다가 총격을 가했다. 재판에서 두순자는 과실치사 혐의로 5년의 보호관찰과 사회봉사, 벌금형을 선고받았고, 이 가벼운 형량은 흑인 사회의 반발을 샀다. 이 사건은 로스앤젤레스 폭동의 한 원인이 되었으며, 이후 흑인과 아시아계 간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사건 이후, 할린스의 유족과 친구들은 흑인의 지위 향상을 위한 활동을 펼쳤고, 이 사건은 여러 영화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3월 -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는 30년 만에 지방 자치 부활의 첫걸음으로 기초의원 및 광역의원 선거로 나뉘어 실시되었으며, 광역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자유당의 압승, 낮은 투표율, 야권 분열 등의 결과를 낳았다.
  • 1991년 3월 - 제63회 아카데미상
    제63회 아카데미상은 1991년 3월 25일에 개최되었으며, 영화 《늑대와 함께 춤을》이 최다 부문 후보에 올라 작품상 등을 포함해 7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 화기에 죽은 사람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화기에 죽은 사람 - 이기붕
    이기붕은 이승만 정권에서 요직을 두루 거치며 권력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으나,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으로 몰락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1991년 사망 - 달머스 라수라라
    달머스 라수라라는 흑인 착취 영화와 TV 미니시리즈 《뿌리》에서 활약한 미국의 배우로, 브로드웨이 뮤지컬에도 출연했으나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 1991년 사망 - 존 바딘
    존 바딘은 트랜지스터와 초전도 현상에 대한 이론적 설명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두 번 수상한 미국의 물리학자로서, 트랜지스터 발명과 BCS 이론 발표를 통해 현대 전자공학과 물리학 발전에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
라타샤 할린스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라타샤 할린스
로마자 표기Latasha Harlins
출생1975년
사망1991년 3월 16일
사망 장소로스앤젤레스 사우스 센트럴
사망 원인총격
국적미국
사건 관련 정보
가해자순자 두
사건 발생 장소엠파이어 마켓
사건 요약1991년 3월 16일, 로스앤젤레스 사우스 센트럴의 엠파이어 마켓에서 한인 여성 점주 순자 두가 흑인 소녀 라타샤 할린스를 총으로 쏴 살해한 사건.
기타 정보
관련 재판순자 두는 과실치사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징역형 대신 집행유예와 사회봉사형을 선고받았다.
사건의 영향이 사건은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의 원인이 된 여러 사건 중 하나로 여겨진다.

2. 사건 발생 이전 배경

두순자는 한국에서 의사의 딸로 태어나 비교적 유복한 환경에서 성장했다. 1976년 남편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하여 로스앤젤레스 남부에서 여러 상점을 운영했다.[39] 두순자 가족이 운영하던 상점들은 잦은 강도와 협박에 시달렸고, 만일의 사태를 대비하기 위해 두순자의 남편은 권총을 계산대에 비치해 두었다. 하지만 이 권총은 사건 이전에 사용된 적이 없으며, 오히려 강도가 훔쳐갔다가 경찰에 의해 되돌려받기도 했다. 이 권총은 강도가 더 쉽게 발사할 수 있도록 개조한 것으로 드러났다.[39]

라타샤 할린스는 로스앤젤레스 사우스 센트럴 지역에서 할머니와 함께 살았다.[32] 어머니는 할린스가 열 살 때 클럽에서 발생한 총격 사건으로 사망했고, 그 직후 아버지는 실종되었다.[28] 당시 사우스 센트럴 지역은 흑인 인구가 밀집한 곳으로, 범죄율이 높고 교육 환경이 열악했다.[30][35] 그럼에도 불구하고, 할린스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학업에 전념하여 사망할 때까지 전 과목 A를 받았으며, 친구들에게는 장래에 변호사가 되어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지역의 환경을 개선하고 아이들을 위한 공간을 만들겠다는 꿈을 이야기했다고 한다.[26][32]

2. 1. 한인-흑인 사회 관계

일부 한인 상인들은 흑인 손님들을 바비큐 파티에 초대하는 등 우호적인 관계를 맺기도 했다.[6] 로스앤젤레스 폭동 직후에는 한인 상인들을 돕기 위해 나선 흑인들도 있었다.[6] 그러나 두순자의 가게를 포함한 많은 한인 상점들은 흑인들의 잦은 절도와 강도 행위에 강경하게 대응했고,[7][28][32] 이는 흑인 사회와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35]

3. 두순자 사건

1991년 3월 16일, 라타샤 할린스는 두순자가 운영하는 '엠파이어 리커 마켓'에서 오렌지 주스를 백팩에 넣었다.[8] 당시 캘리포니아 주 법은 상점 주인의 허락 없이 물건을 가방에 넣는 행위를 절도로 간주할 수 있었고,[15] 로스앤젤레스 경찰국 또한 그러한 행위를 목격하면 즉시 경찰에 신고하라는 지시를 지역 전체에 내렸기 때문에,[32] 두순자는 할린스가 돈을 지불할 의사가 없다고 판단했다. 두순자는 할린스의 스웨터와 가방을 힘으로 빼앗으려 했고, 이 과정에서 할린스의 옷을 쥐어뜯고 멱살을 잡고 흔드는 등 먼저 폭력을 가했다.[40][39]

당시 상점에 있던 9세와 13세 남매는 할린스가 1달러짜리 지폐 2~3장을 왼손에 들고 있었고, 할린스가 물건을 훔쳤다고 주장하는 두순자와 지불하려 했다고 주장하는 할린스 사이에 격렬한 언쟁이 벌어졌다고 증언했다.[9] 할린스는 두순자의 얼굴을 두 차례 세게 때렸고, 두순자는 의자를 던지며 반격했다.[10] 남매는 이 과정에서도 할린스가 지불하려 했다고 큰 소리로 주장했다고 증언했다.[30] [11]

두순자가 다시 절도라고 비난하자, 할린스는 주스 병을 카운터에 내려놓고 가게에서 나가려고 했다.[12] 다른 목격자의 증언에 따르면, 두순자가 할린스를 뒤쫓아 몸싸움이 더 거세졌고, 할린스는 두순자의 얼굴을 네 번 더 때렸다.[10] 그러자 두순자는 카운터 아래에 있던 권총을 꺼내 나가려는 할린스를 향해 뒤에서 발포했다.[4] 경찰이 도착했을 때 할린스는 이미 사망했고, 왼손에는 2USD 지폐를 쥐고 있었다.[13]

4. 재판

두순자는 고의 살인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배심원단은 유죄 평결을 내렸다. 검사는 흑인 사회의 반발을 고려하여 16년 형을 구형했다.[41][42] 그러나 백인 여성 판사 조이스 앤 칼린은 두순자가 재범 가능성이 낮다는 이유로 5년 보호관찰, 400시간 사회봉사, 500달러 벌금형을 선고했다.[19]

재판 과정에서 검찰은 점포 내부 감시 카메라 영상을 증거로 제출했는데, 여기에는 할린스가 지불할 지폐를 손에 들고 있었고,[11][12] 뒤에서 총격을 당하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12] 배심원단은 이 영상을 근거로 두순자에게 유죄 평결을 내렸다.[35][30]

반면 두순자 측 변호사는 주변 상점에서 발생한 강도 사건과 두순자 아들의 피해 사실을 언급하며 정당방위를 주장했다.[10][13] 칼린 판사는 변호 측 주장을 받아들여 두순자의 죄를 3급 살인죄(과실치사에 해당)로 변경하고, 상점이 반복적으로 강도 피해를 입었던 점 등을 고려하여 형량을 감경했다.[17][3][4]

두순자 측은 항소했지만, 1992년 4월 12일 캘리포니아 주 항소법원은 항소를 기각했다.[20]

4. 1. 판결에 대한 비판과 사회적 반향

1991년 11월 15일에 열린 재판에서 배심원은 유죄 평결을 내렸고 검사는 16년 형을 구형했으나, 판사 조이스 앤 칼린은 두순자가 재범 가능성이 적다는 이유로 5년간의 보호관찰과 함께 400시간의 사회봉사, 500USD의 벌금형을 선고했다.[41][42]

이 판결은 흑인들의 사법 시스템 및 한인들에 대한 반감을 확산시켰고, 로스앤젤레스 흑인 지역에서 장사하던 한국인들이 흑인들의 주요 폭행 대상이 되는 단초를 제공했다. 이 사건은 흑인 남성 로드니 킹이 백인 경관들에게 폭행당한 사건이 발생한 지 불과 13일 만에 일어났다.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부정되지만,[3][4] 흑인과 한국계 주민 간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켰다는 평가도 있다.[21]

분쟁의 발단이 된[4] 오렌지 주스 가격은 1.79USD에 불과했고,[10] 이 사건은 미국 흑인 사회에 흑인이 2USD도 채 되지 않는 금액 때문에 뒤에서 총에 맞아 살해당하고, 가해자의 형량이 가볍게 처리되는 현실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었다.[4] 라타샤 할린스 사건은 미국 사회에 남아 있는 흑인에 대한 불평등, 특히 사법 절차에서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전형적인 사례로 이후 반복적으로 언급되게 된다.[24]

형량을 변경한 조이스 카린 판사는 리콜 운동의 대상이 되는 등의 일을 겪은 후, 1997년 판사직에서 은퇴했다.[27]

5.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

1992년 4월 29일, 로드니 킹 폭행 사건 재판에서 네 명의 경찰 모두에게 무죄가 선고되면서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이 일어났다. 폭동이 시작되자마자 미국 언론 ABC 방송과 KABC TV는 라타샤 할린스 사망 사건을 집중 보도하여 한국인과 흑인 사이의 인종 갈등을 부각시켰다. 이는 흑인들의 분노가 한국인에게 향하도록 하는 의도로 해석된다.[43] 미국 언론들은 로드니 킹이 경찰관들을 밀치고 구타한 장면과 라타샤 할린스가 두순자의 안면을 구타한 장면을 삭제한 편집된 비디오를 방송하여, 흑인들이 한국인과 백인 경찰들이 흑인을 차별한다고 생각하게 만들었다.

폭동은 주로 흑인들이 한국인과 기타 아시아인을 향해 진행되었다. 흑인들은 한국인으로 보이는 동양인들에게 무차별 폭력, 투석, 총격을 가했고, 격앙된 한국인 이민자들 역시 흑인들을 폭행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한흑 갈등으로 인한 로스앤젤레스시 전체 피해액은 7.1억달러였으며, 이 중 한인 업소 약 2,300개가 전소되는 등 한국인 피해액은 3.8억달러로 절반에 달했다.[43]

이 사건은 로드니 킹 사건이 발생한 지 13일 만에 일어났으며, 흑인과 한국계 주민 간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21] 분쟁의 발단이 된 오렌지 주스 가격은 1.79USD에 불과했고,[10] 이 사건은 미국 흑인 사회에 흑인이 2달러도 안 되는 돈 때문에 뒤에서 총에 맞아 살해당하고 가해자의 형량이 가볍게 처리되는 현실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었다.[4] 라타샤 할린스 사건은 미국 사회에 남아 있는 흑인에 대한 불평등, 특히 사법 절차에서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전형적인 사례로 반복적으로 언급된다.[24]

한편, 로스앤젤레스 폭동 당시 두(Du) 씨의 상점은 습격과 방화로 소실되어 재개업하지 못했고, 상점이 있던 부지는 다른 사람에게 넘어갔다.[25] 할린스의 유족은 민사 소송으로 상점 주인을 고소했고, 상점 주인 측이 300000USD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합의를 보았다.[26]

6. 사건 이후

이 사건은 로드니 킹 사건이 발생한 지 불과 13일 만에 일어났다.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현재 부정되고 있지만[3][4], 이미 존재하던 흑인과 한국계 주민 간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켰다는 평가도 있다.[21]

재판이 시작될 무렵, 로스앤젤레스 경찰은 이 사건을 "상업적 분쟁"이라고 밝히며, 총격이 인종차별적인 동기에 의한 것이라는 소문을 일축했다.[22] 사건 직후 흑인과 한국계 미국인 단체 대표자들이 만나, 사업상의 불화로 인한 비극적인 사건이었다는 내용의 공동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22]

하지만 분쟁의 발단이 된[4] 오렌지 주스 가격은 1.79USD에 불과했고[10], 이 사건은 미국 흑인 사회에 2USD도 채 되지 않는 금액 때문에 흑인이 뒤에서 총에 맞아 살해당하고, 가해자의 형량이 가볍게 처리되는 엄혹한 현실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었다.[4] 따라서 라타샤 할린스 사건은 미국 사회에 남아 있는 흑인에 대한 불평등, 특히 사법 절차에서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전형적인 사례로 이후 반복적으로 언급되게 된다.[24]

로스앤젤레스 폭동 당시 두(Du) 씨의 상점은 습격과 방화로 소실되었다. 그대로 재개업하지 않았고, 상점이 있던 부지는 다른 사람에게 넘어갔다.[25] 나중에 할린스의 유족은 민사 소송으로 상점 주인을 고소했고, 상점 주인 측이 300000USD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합의를 보았다.[26]

형량을 변경한 조이스 카린(Joyce Karlin) 판사는 리콜 운동의 대상이 되는 등의 일을 겪은 후, 1997년 판사직에서 은퇴했다. 은퇴 후에는 카린이 아닌 남편의 성인 페이(Fee)를 사용하게 되었다.[27]

6. 1. 사회적 영향

할린스의 유족과 친구들은 '할린스 사법위원회'(할린스 위원회)를 설립하여[28] 흑인의 지위 향상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시작했다.[29] 특히 캘리포니아 주에서 사법 감시 활동과 판사 리콜 운동으로 알려져 있다.[30]

할린스 유족들은 이 사건이 미국 사회에서 새로운 인종 갈등을 일으키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을 강력하게 표명했다.[29] 사건 당시 미국 주류 언론에서 "한국계·아시아계 시민의 인종차별이 사건의 원인이 되었다"는 일부 보도[30]에 대해, 할린스 유족들은 이 사건이 단지 소수 시민이 저지른 일이며, 한국인이나 아시아계 시민 전체에 대한 반감을 조장해서는 안 된다며 언론에 반복적으로 항의했다.[29][31]

특히 래퍼 아이스 큐브(Ice Cube)가 할린스 사건에 자극받아 한국계·중국계 시민에 대한 공격을 암시하는 노래를 발표하자,[32] 할린스 위원회는 아시아계 단체와 공동으로 "라타샤의 죽음을 악용하여 한국계 시민에 대한 편견을 부추겨서는 안 된다"[33]는 성명을 내고 강하게 항의했다.[34] 아이스 큐브는 항의를 받고 "나는 한국 문화와 한국계 시민을 존중하며, 인종차별 의도는 없었다"[29]는 사과 성명을 발표했다.[33]

2020년부터 2021년에 걸쳐 미국에서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증오범죄가 빈발하자,[36] 할린스 위원회는 시민 단체와 연계하여 한국계, 중국계, 일본계 시민을 중심으로 하는 아시아계 시민에 대한 모든 차별에 반대한다는 공동 성명을 발표하고, 전국 각지에서 항의 활동을 펼쳤다.[35]

6. 2.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

라타샤 할린스 사건은 미국 사회에서 흑인들이 겪는 불평등과 사법 시스템의 문제점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사례로 여겨져 여러 편의 영화로 제작되었다.[37] 이들 영화는 흑인이 사소한 사건으로도 쉽게 표적이 되고, 가해자에 대한 처벌은 가벼운 경향이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38]

  • 마이 선샤인 ''Kings'' (2017), 데니즈 가므제 에르규벤 감독
  • 라타샤에게 바치는 노래 - 기억으로 엮는 15년의 생애 - ''A Love Song for Latasha'' (2019), 소피아 나리 앨리슨 감독
  • ''[https://filmfreeway.com/LatashaHarlinsARoseThatGrewfromConcrete Latasha Harlins: A Rose That Grew from Concrete]'' (2020), 섀넌 디온 감독
  • ''The Dope Years - The Story of Latasha Harlins'' (2021), 앨리슨 웨이트 감독

6. 3. 한인 사회에 미친 영향

이 사건은 로드니 킹이 로스앤젤레스 경찰의 백인 경관들에게 과속 단속 과정에서 심한 폭행을 당해 중상을 입은 사건이 발생한 지 불과 13일 만에 일어났다. 비록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 당시 한국계 미국인 상점들이 습격과 약탈을 당했던 것과 이 사건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부정되고 있지만[3][4], 이미 존재하던 흑인과 한국계 주민 간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켰다는 평가도 있다[21].

재판이 시작될 무렵, 로스앤젤레스 경찰은 이 사건을 "상업적 분쟁"이라고 밝히며, 총격이 인종차별적인 동기에 의한 것이라는 소문을 일축했다[22]. 사건 직후 흑인과 한국계 미국인 단체 대표자들이 만나, 사업상의 불화로 인한 비극적인 사건이었다는 내용의 공동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22].

하지만 분쟁의 발단이 된[4] 오렌지 주스 가격은 1.79USD에 불과했고[10], 이 사건은 미국 흑인 사회에 2USD도 채 되지 않는 금액 때문에 흑인이 뒤에서 총에 맞아 살해당하고, 가해자의 형량이 가볍게 처리되는 엄혹한 현실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었다[4].

참조

[1] 서적 The Contested Murder of Latasha Harlin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 뉴스 Videotape Shows Teen Being Shot After Fight : Killing: Trial opens for Korean grocer who is accused in the slaying of a 15-year-old black girl at a South-Central store. http://articles.lati[...]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1991-10-01
[3] 서적 Performance and Activism: Grassroots Discourse After the Los Angeles Rebellion of 1992 Lexington Books 2009
[4] 서적 The Contested Murder of Latasha Harlin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 뉴스 Grocer Is Convicted in Teen Killing : Verdict: Jury finds Korean woman guilty of voluntary manslaughter in the fatal shooting of a black girl. https://www.latimes.[...]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1991-10-12
[6] 서적 マイナーな感情 アジア系アメリカ人のアイデンティティ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24
[7] 영화 A Love Song for Latasha Netflix 2020
[8] 웹사이트 Latasha Harlins’ name sparked an L.A. movement. 30 years later, her first memorial is up https://www.latimes.[...] 2021-02-01
[9] 논문 To Be Almost Like White: The Case of Soon Ja Du https://digitalcommo[...] University of Nebraska at Omaha 2002
[10] 웹사이트 Videotape Shows Teen Being Shot After Fight : Killing: Trial opens for Korean grocer who is accused in the slaying of a 15-year-old black girl at a South-Central store. https://www.latimes.[...] 1991-10-01
[11] 뉴스 Girl Turned Away Before Being Shot Fatally by Grocer Los Angeles Times 1991-10-01
[12] 뉴스 Merchant Charged in Girl's Fatal Shooting https://www.nytimes.[...] 뉴욕 타임즈 1991-03-22
[13] 서적 LA Rising Korean Relations with Blacks and Latinos after Civil Unrest Lexington Books 2019
[14] 서적 The Contested Murder of Latasha Harlin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15] 서적 Race, Media, and the Crisis of Civil Society: From the Watts Riots to Rodney K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6] 웹사이트 Korean Grocer Convicted in Shooting http://timesmachine.[...] 1991-10-12
[17] 뉴스 1st-Degree Murder Ruled Out in Grocer Trial Los Angeles Times 1991-10-04
[18]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White, 401 U.S. 745 (1971) https://tile.loc.gov[...]
[19] 뉴스 Grocer Given Probation in Shooting of Girl https://www.nytimes.[...] 뉴욕 타임즈 1991-11-17
[20] 법률문서 Soon Ja Du https://scholar.goog[...]
[21] 뉴스 U.S. Looks Into Korean Grocer's Slaying of Black https://www.nytimes.[...] 뉴욕 타임즈 1992-11-26
[22] 뉴스 A Senseless and Tragic Killing : New tension for Korean-American and African-American communities https://www.latimes.[...]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1991-03-20
[23] 웹사이트 三菱UFJリサーチ&コンサルティング {{!}} 外国為替相場 {{!}} 1990年以降の為替相場 http://www.murc-kawa[...]
[24] 웹사이트 How the killing of Latasha Harlins changed South L.A., long before Black Lives Matter https://www.latimes.[...] 2016-03-19
[25] 웹사이트 https://graphics.lat[...]
[26] 서적 The Contested Murder of Latasha Harlins: Justice, Gender, and the Origins of the LA Riots Oxford UP 2013
[27] 웹사이트 http://www.metnews.c[...]
[28] 학술지 (Mis)interpretations and (In)justice: The 1992 Los Angeles “Riots” and “Black-Korean Conflict” 2005
[29] 학술지 Seeds of the Los Angeles rebellion of 1992 1993
[30] 학술지 NEW PERSPECTIVES ON CRIMINAL (IN)JUSTICE AND INCARCERATION 2015
[31] 학술지 LATASHA HARLINS, SOON JA DU, AND JOYCE KARLIN: A CASE STUDY OF MULTICULTURAL FEMALE VIOLENCE AND JUSTICE ON THE URBAN FRONTIER 2004
[32] 학술지 Race, Class, Conflict and Empowerment 1993
[33] 학술지 “Keep Runnin’ Bro”: Carrie Mae Weems and the Visual Act of Refusal 2018
[34] 학술지 Confronting an Enemy Abroad, Transforming a Nation at Home 2016
[35] 학술지 Racial justice and the visual representation 2021
[36] 뉴스 Asian-Americans Are Being Attacked. Why Are Hate Crime Charges So Rare? https://www.nytimes.[...] 2021-03-18
[37] 웹사이트 'Gook' - A Cinematic Requiem for Latasha Harlins https://shadowandact[...] 2020-07-31
[38] 웹사이트 NEW DOC REMINDS US THAT LATASHA HARLINS' LIFE MATTERED https://afropunk.com[...] 2019-05-29
[39] 서적 디케의 눈 궁리
[40] 논문 A Distressed Shooter
[41] 뉴스 "군대 다녀온 한국 남자들, 총 들고 모여라" 26년 전 5월 LA서 일어난 일 https://www.joongang[...] 2018-05-05
[42] 웹인용 Associates Call Judge Karlin Open-Minded, Independent : Courts: Friends say she carefully deliberated the case of Soon Ja Du and that she stands firm in wake of criticism http://articles.lati[...] LA Times 1991-12-09
[43] 보고서 LA 바로 알기 : 한국 밖의 한국 http://overseas.mofa[...]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