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트비아의 국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트비아의 국기는 카민색 바탕에 흰색 가로 줄무늬가 있는 형태이다. 이 깃발은 13세기 초에 처음 언급되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국기 중 하나로 여겨지며, 19세기 라트비아 민족주의 운동을 거쳐 1917년 현재의 디자인이 채택되었다. 소련 점령 기간 동안 사용이 금지되었다가 1990년 라트비아 국기로서의 지위를 회복했다. 국기의 색상 비율은 2:1:2이며, 높이와 너비의 비율은 1:2이다. 라트비아 국기는 독립 기념일 등 특정일에 게양되며, 대통령기, 총리기, 사에이마 의장기 등 다양한 공식 기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의 상징 - 알락할미새
    알락할미새는 할미새과에 속하며 유라시아 전역에 분포하고 16.5~21cm의 몸길이와 흔들리는 꼬리를 가진 새로, 곤충을 주식으로 하며 일부 지역에서 개체수 감소 추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 라트비아의 상징 - 라트비아의 국가
    라트비아의 국가는 1873년에 작사, 작곡되었으며, 1920년에 공식 국가로 지정되었다가 소비에트 연방 점령 기간에 금지되었다가 독립 회복 직전에 다시 복원되었다.
  • 1990년 도입 - HTML
    HTML은 웹 페이지 제작을 위한 표준 마크업 언어로서, 팀 버너스리가 제안하고 구현한 후 인터넷 발전과 함께 널리 사용되며, SGML에 기반하여 하이퍼텍스트 기능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표현하고 연결하며, W3C와 WHATWG에서 표준화를 진행하고 최신 버전은 HTML Living Standard이다.
  • 1990년 도입 - X 2000
    X2000은 스웨덴 국철에서 도입한 차체 경사 기능이 적용된 푸시풀 방식의 동력집중식 고속열차로, 스톡홀름-괴테보리 구간에서 최고 시속 200km로 운행하며, 여러 국가에서 시험 운행되었으나 일부 구간 외에는 상용화되지 못했다.
  • 국기 - 일본의 국기
    일본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붉은 원이 그려진 디자인으로, 태양을 상징하며 1999년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국기로 지정되었다.
  • 국기 - 독일의 국기
    독일 국기는 검은색, 빨간색, 금색 가로 줄무늬 삼색기로, 자유주의와 통일 독일을 상징하며, 1949년 서독과 동독, 그리고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통일 독일의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라트비아의 국기
라트비아 국기
라트비아 국기
국기
별칭없음
더 많은 별칭없음
용도110100
비율1:2
채택일1921년 6월 15일
복원일1990년 2월 27일
현재 표준화일2018년 11월 28일 (2019년 1월 1일부터 사용)
디자인카민 적색 바탕에 좁은 흰색 가로줄(깃발 폭의 1/5)이 있음
디자이너안시스 치룰리스
별칭2없음
더 많은 별칭2없음
디자인2카민 적색 바탕에 좁은 흰색 가로줄 (깃발 폭의 1/5)
디자이너2없음
라트비아 국기 깃발
라트비아 국기 깃발
별칭3없음
더 많은 별칭3없음
용도3깃발
비율35:1
채택일32009년
디자인3국기의 색상 및 색상 비율에 상응하는 사다리꼴 천 리본
디자이너3없음
기타 정보
라트비아어 명칭Latvijas karogs

2. 역사

적백적 라트비아 국기는 중세 시대의 『리보니아 운율 연대기(Livländische Reimchronik)』에서 처음 언급되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국기 중 하나이다.[1] 1279년경, 현대 라트비아 북부 도시 체시스(Cēsis) 출신의 고대 라트갈리아인 부족들이 '흰색 줄무늬가 있는 붉은색 깃발'을 휘날리며 전쟁을 벌였다는 기록이 있다.[2]

이러한 역사적 기록은 19세기 라트비아 민족주의 운동에 영향을 주었고, 1917년 안시스 치룰리스의 디자인이 채택되어 라트비아 독립 전쟁 동안 널리 사용되었다. 이후 1921년 라트비아 입헌 의회에서 공식 국기로 확정되었다.[5][6][7]

소련(Soviet) 점령기(1940-1991)에는 라트비아 국기 사용이 금지되었으나, 1990년 국기로서 지위를 회복하고 1991년 독립을 완전히 회복하였다.

2. 1. 기원과 전설

적백적 라트비아 국기는 중세 시대의 『리보니아 운율 연대기(Livländische Reimchronik)』에서 처음 언급된다.[1] 이 연대기는 1180년부터 1343년까지의 시기를 다루고 있으며, 따라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국기 중 하나이다. 연대기에는 1279년경에 일어난 전투에 대해 기술하고 있는데, 현대 라트비아 북부 도시 체시스(Cēsis) 출신의 고대 라트갈리아인(Latgalians) 부족들이 '흰색 줄무늬가 있는 붉은색 깃발'을 휘날리며 전쟁을 벌였다는 내용이 있다.[2]

전설에 따르면, 흰 천으로 싸인 채 치명상을 입은 라트갈리아인 족장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가 누워 있던 천의 일부는 흰색으로 남아 있었고, 양쪽 가장자리는 그의 피로 물들었다. 다음 전투에서 피로 물든 이 천은 깃발로 사용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이때 라트갈리아인 전사들은 성공적으로 적을 몰아냈다. 그 이후로 라트갈리아인 부족들은 이 색깔들을 상징으로 사용해 왔다.

이러한 역사적 기록에 영감을 받아 19세기에 여러 라트비아 민족주의(Latvian nationalists)자들이 다시 이 깃발을 사용하기 시작했다.[6][7] 붉은색 바탕에 가는 흰색 줄무늬가 있는 최초의 깃발은 발미에라(Valmiera) 무역학교 교사 마리안나 스트라우트마네(Marianna Strautmane, 1896~1985)가 1916년 후반에 동료이자 언론인이자 난민 운동가인 야니스 라피니시(Jānis Lapiņš, 1885~1941)가 그린 스케치를 따라 제작했다. 이 선명한 붉은색 깃발에는 깃발의 왼쪽 상단 모서리에 노란색 태양이 있었고, 나중에는 1917년 3월 비드제메(Vidzeme) 지방 회의 기간 동안 발미에라 라트비아 협회 건물 위에 게양되었다. 1940년 소련(Soviet)의 점령 기간 동안 라피니시 가족이 보관했고, 1944년 이후 서방 망명 중에도 보관되었던 이 깃발은 1997년 체시스 박물관에 기증되어 현재 체시스 성(Cēsis Castle)에 전시되어 있다.[3]

라트비아 국기의 직물 버전


1917년, 라트비아 지역과 라트비아 군대(예: 라트비아 저격병(Latvian Riflemen) 부대, 이스콜라트(Iskolat) 기관)를 통합하기 위한 여러 행사에서 적백적 깃발이 사용되었고, 라트비아 국기의 시각적 모양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었다. 5월, 라트비아 미술 진흥 협회 회의에서 여러 제안이 검토되었고, 마침내 안시스 치룰리스(Ansis Cīrulis) 화가의 디자인이 채택되었다.[7]

라트비아 독립 전쟁 동안 라트비아군, 정부 기관(예: 1919년 리가 전투 전후 리가 성(Riga Castle)에서 게양됨)과 국민들이 이 깃발을 점점 더 많이 사용했다.[4] 라트비아 국기는 국장과 함께 1921년 6월 15일 라트비아 입헌 의회(Constitutional Assembly of Latvia)의 법령에 의해 공식적으로 이 형태로 확정되었다.[5][6][7]

2. 2. 19세기 민족주의 운동과 국기 채택

19세기 라트비아 민족주의자들은 중세 시대의 『리보니아 운율 연대기』에 언급된 역사적 기록에서 영감을 받아 적백적 깃발을 다시 사용하기 시작했다.[6][7] 이 연대기에는 1279년경 현대 라트비아 북부 도시 체시스(Cēsis) 출신의 고대 라트갈리아인 부족들이 '흰색 줄무늬가 있는 붉은색 깃발'을 휘날리며 전쟁을 벌였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2]

1917년, 라트비아 지역과 라트비아 군대(예: 라트비아 저격병 부대, 이스콜라트)를 통합하기 위한 여러 행사에서 적백적 깃발이 사용되었고, 라트비아 국기의 시각적 모양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5월, 라트비아 미술 진흥 협회 회의에서 여러 제안이 검토되었고, 최종적으로 안시스 치룰리스의 디자인이 채택되었다.[7]

라트비아 독립 전쟁 동안 라트비아군, 정부 기관과 국민들이 이 깃발을 점점 더 많이 사용했다.[4] 1919년 리가 전투 전후 리가 성에 이 깃발이 게양되기도 했다. 라트비아 국기는 라트비아의 국장과 함께 1921년 6월 15일 라트비아 입헌 의회의 법령에 의해 공식적으로 확정되었다.[5][6][7]

최초의 적백적 깃발은 발미에라 무역학교 교사 마리안나 스트라우트마네가 1916년 후반에 동료이자 언론인이자 난민 운동가인 야니스 라피니시가 그린 스케치에 따라 제작했다. 이 깃발은 1940년 소련 점령 기간 동안 라피니시 가족이 보관했고, 1944년 이후 서방 망명 중에도 보관되었다가 1997년 체시스 박물관에 기증되어 현재 체시스 성에 전시되어 있다.[3]

2. 3. 소련 점령과 독립 회복

소련 시대 (그리고 잠시 나치 독일 점령 기간 동안) 라트비아의 적백적 국기는 1940년부터 1941년까지, 그리고 1944년부터 1991년까지 사용될 수 없었다. 민족주의적인 라트비아 국기를 제작하거나 공개적으로 게양하는 것은 반국가적 범죄로 간주되어 법으로 처벌받았다.[7] 최초의 소비에트 라트비아 국기는 왼쪽 상단에 금색의 낫과 망치가 있는 붉은색 깃발이었으며, 그 위에는 세리프체로 금색의 라틴 문자 LPSR (''Latvijas Padomju Sociālistiskā Republika'',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가 표기되어 있었다. 1953년에 최종적으로 국기가 채택되었다. 이 국기는 소련 국기를 바탕으로 하단에 바다를 나타내는 6개의 파란색 물결 무늬 띠가 1/3 비율로 그려져 있다.

반소비에트 시위에서 등장한 변형된 국기


지방 당국은 1990년 2월 15일 적백적기(red-white-red flag)를 라트비아 국기로서의 지위를 회복시켰다. 이는 소련이 1991년 9월 6일 라트비아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기 1년 반 전의 일이다.[8]

3. 규격과 색상

(#9E3039)255–255–255
(#FFFFFF)



국기의 물리적 버전과 디지털 버전 비교


라트비아 법에 따르면, “라트비아 국기는 카민색 바탕에 흰색 가로 줄무늬가 있다.”[9] 국기의 색상은 때때로 “라트비아 레드(Latvian red)”라고도 불린다. 라트비아 국기의 빨간색은 특히 어두운 색조로, 갈색과 보라색으로 구성된다. 국기의 색상 비율은 2:1:2(위쪽과 아래쪽 빨간색 띠는 가운데 흰색 띠의 두 배 너비)이며, 국기의 높이와 너비 비율은 1:2로 고정되어 있다.

국기 색상
팬톤 기준 국기 비율 및 색상
흰색빨간색(디지털)빨간색(직물)
팬톤흰색201 C[10]19-1629 TPX 또는 TC
RGB빨강: 255
녹색: 255
파랑: 255
Hex: #FFFFFF
빨강: 157
녹색: 34
파랑: 53
Hex: #9D2235
빨강: 119
녹색: 53
파랑: 61
Hex: #77353D
CMYK시안: 0%
마젠타: 0%
옐로우: 0%
블랙: 0%
시안: 40%
마젠타: 100%
옐로우: 90%
블랙: 10%
시안: 40%
마젠타: 100%
옐로우: 90%
블랙: 10%


4. 국기 게양일

라트비아 법률에 따르면 국기는 다음과 같은 날에 게양된다.[1]

날짜게양일
3월 25일공산주의 대량학살 희생자 추모 (애도일)
5월 1일헌법 기념일, 노동절
5월 4일독립 회복 기념일 (1990년)
6월 14일공산주의 대량학살 희생자 추모 (애도일)
6월 17일라트비아의 소련 점령 시작 (애도일)
7월 4일홀로코스트 희생자 추모 (애도일) (참조: 라트비아의 홀로코스트)
11월 11일라치플레시스의 날
11월 18일독립 기념일 (1918년)
12월 첫째 일요일공산주의 대량학살 희생자 추모 (애도일)



국기는 지면에서 최소 2.5m 이상 높이에 깃대에 고정해야 한다. 깃대는 국기의 가장 긴 변보다 길고, 똑바르며, 흰색으로 칠해져야 하며, 가능하면 나무로 만들어야 한다. 깃대 끝의 장식구는 깃대보다 넓어야 한다. 국기가 지속적으로 게양되지 않는 경우 일출 시 게양하고 일몰 시 내려야 한다. 축제나 장례식을 위해 게양하는 경우 행사 시작 전에 게양하고 종료 후에 내려야 한다.[1]

조기 게양 시에는 국기를 반기로 게양해야 한다. 깃대에 고정된 경우, 국기 너비의 1/20에 해당하는 너비의 검은 리본을 국기 위에 깃대에 고정해야 하며, 리본은 국기의 너비를 가로지를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길이여야 한다.[1]

5. 여러 가지 기

5. 1. 공식 기

대통령궁(검은 머리의 집)에 있는 라트비아 대통령 깃발


라트비아 대통령 깃발은 흰색 바탕에 국기의 색상 비율로 된 직사각형 십자가가 있고, 십자가 중앙에는 라트비아 국장이 새겨진 흰색 직사각형 패널이 있다. 국장 높이는 깃발 너비의 3/5이고, 국장 방패에 그려진 태양의 중심은 깃발 중앙에 있다. 국기 색상 너비와 깃발 너비의 비율은 1:5이며, 깃발 길이와 너비의 비율은 3:2이다.

라트비아 총리 깃발은 흰색 바탕에 국기 색상 비율을 따르는 대칭 십자가가 있으며, 왼쪽 상단에 라트비아 국장이 배치되어 있다. 국장 높이는 칸톤 높이의 5/6이며, 국장의 태양은 칸톤 중앙에 있다. 국기 색상 너비와 깃발 너비의 비율은 1:5이고, 깃발 길이와 너비의 비율은 3:2이다.

사에이마 의장 깃발은 국기 색상 비율을 따른 대칭 십자가가 새겨진 흰색 깃발이다. 오른쪽 상단에 국장이 배치된다. 국장 높이는 깃발 상단 칸 높이의 5/6이며, 국장의 태양은 상단 칸 중앙에 있다. 국기 색상과 깃발 너비의 비율은 1:5이고, 깃발 길이와 너비의 비율은 3:2이다.

라트비아 국방부 장관 깃발은 흰색 바탕에 라트비아 국기 색상 비율을 따르는 대칭 십자가가 그려져 있다. 왼쪽 상단에 군인 휘장이 놓여 있으며, 휘장 높이는 깃발 왼쪽 상단(canton) 높이의 3/5이다. 국기 색상 너비와 깃발 너비 비율은 1:5이며, 깃발 길이와 너비 비율은 3:2이다.

5. 2. 그 외의 기

6. 과거의 기

소련 시대(그리고 잠시 나치 독일 점령 기간 동안) 라트비아의 적백적 국기는 1940년부터 1941년까지, 그리고 1944년부터 1991년까지 사용될 수 없었다. 민족주의적인 라트비아 국기를 제작하거나 공개적으로 게양하는 것은 반국가적 범죄로 간주되어 법으로 처벌받았다.[7] 최초의 소비에트 라트비아 국기는 왼쪽 상단에 금색의 낫과 망치가 있는 붉은색 깃발이었으며, 그 위에는 세리프체로 금색의 라틴 문자 LPSR (''Latvijas Padomju Sociālistiskā Republika'')가 표기되어 있었다. 1953년에 최종적으로 국기가 채택되었다. 이 국기는 소련 국기를 바탕으로 하단에 바다를 나타내는 6개의 파란색 물결 무늬 띠가 1/3 비율로 그려져 있다.

깃발사용 기간설명
--테라 마리아나의 국장
--1562년–1795년쿠를란트와 젬갈렌 공국의 국기
--1917년–1918년이스콜라토 정권의 깃발
--1918년–1920년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
--1918년발트 연합 공국의 국기
--1918년–1940년라트비아의 국기
--1940년–1953년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
--1953년–1990년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
--1953년–1990년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 뒷면


참조

[1] 웹사이트 Livlädische Reimchronik http://www.old.histo[...] 2014-12-15
[2] 웹사이트 National Flagge des Lettland http://www.flaggenle[...] 2003-04-27
[3] 웹사이트 Jānis Lapiņš and the sketch of the first Latvian red - white - red flag https://militaryheri[...] 2024-05-31
[4] 웹사이트 Permanent exhibition on the Latvian War of Independence in 1918-1920 — Dd studio https://dd.lv/en/wor[...] 2024-05-31
[5] 웹사이트 Sarkanbaltsarkanās – Latvijas karoga krāsas (II) https://lvportals.lv[...] 2009-11-17
[6] 웹사이트 National symbols https://www.presiden[...] 2024-01-15
[7] 웹사이트 Latvia - History of Flag https://www.crwflags[...] 2023-01-06
[8] 서적 Lielā Latvijas Enciklopēdija. Zvaigzne ABC
[9] 웹사이트 Latvijas valsts karoga likums http://www.saeima.lv[...] The Saeima (legislature) of Latvia 2009-11-17
[10] 웹사이트 Procedures for the Application of the Law on the National Flag of Latvia https://likumi.lv/ta[...] 2018-11-28
[11] 웹사이트 Latvia https://www.fotw.inf[...] 2024-05-19
[12] 웹사이트 Valsts prezidenta Valsts heraldikas komisija: Par valsts karoga un ģerboņu krāsām https://www.vestnesi[...] 2009-04-21
[13] 웹사이트 Latvijas valsts karogs un ģerboņi http://www.km.gov.lv[...] Ministry of Culture of Latv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