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낫과 망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낫과 망치는 1917년 러시아 혁명 당시 노동자와 농민의 동맹을 상징하기 위해 처음 사용된 기호이다. 소비에트 연방의 국기와 국장에 사용되었으며, 이후 마르크스주의, 공산당, 사회주의 국가를 상징하는 것으로 널리 인식되었다. 낫과 망치는 농민과 노동자의 단결을 의미하며, 낫의 날과 망치의 자루가 교차하는 디자인이 특징이다. 현재는 구 소련 국가 및 일부 공산당에서 사용되며, 일부 국가에서는 공산주의 상징으로 인해 법적으로 사용이 금지되기도 한다. 유니코드에서는 U+262D로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몰도바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 몰도바의 상징 - 몰도바의 국기
    몰도바의 국기는 1990년 제정되었으며, 루마니아 국기를 기반으로 파랑, 노랑, 빨강의 삼색기를 사용하고 중앙에 국장을 배치하며, 2010년 법률 개정을 통해 색상과 뒷면 디자인이 규정되었다.
  • 타지키스탄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 타지키스탄의 상징 - 타지키스탄의 국기
    타지키스탄의 국기는 빨강, 흰색, 초록색 세 줄무늬 삼색기로, 흰색 줄무늬 중앙에는 사마니드 왕조와 타지크인을 상징하는 왕관과 일곱 개의 별이 그려져 있으며, 국가의 통일, 순결, 자연, 역사, 문화를 상징한다.
  • 우즈베키스탄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 우즈베키스탄의 상징 - 우즈베키스탄의 국기
    우즈베키스탄의 국기는 옥색, 흰색, 초록색, 빨간색의 수평 줄무늬와 초승달, 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색상은 우즈베키스탄의 유산을 상징하고 초승달과 별은 독립과 자주성을 나타내며, 1991년 독립 후 채택되어 국가 정체성을 반영한다.
낫과 망치
지도
기본 정보
공산주의 상징
역사독일 농민 전쟁 (1524년)
산업 혁명 (18세기 중반)
프랑스 혁명 (1789년)
의인동맹 창설 (1836년)
공산주의자동맹 창설 (1847년)
제1인터내셔널 성립 (1864년)
파리 코뮌 (1871년)
메이데이 총파업 (1886년)
제2인터내셔널 성립 (1889년)
10월 혁명 (1917년)
러시아 내전 (1917년)
스파르타쿠스 봉기 (1919년 2월)
코민테른 성립 (1919년 3월)
소비에트 연방 성립 (1922년)
제1차 국공 내전 (1927년)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28년)
스페인 내전 (1936년)
대숙청 (1937년 7월)
제2차 국공 합작 (1937년 9월)
그리스 내전 (1946년 3월 30일)
제2차 국공 내전 (1946년 3월 31일)
냉전 (1947년)
한국 전쟁 (1950년)
베트남 전쟁 (1955년)
1956년 헝가리 혁명 (1956년)
대약진 운동 (1958년)
쿠바 혁명 (1959년)
문화대혁명 (1966년)
니카라과 혁명 (1978년)
페레스트로이카 (1985년)
동유럽 혁명 (1989년 6월)
소련의 붕괴 (1991년)
상징 및 표어낫과 망치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붉은 별
인터내셔널가
적기
적기가
핵심 요소 (전근대)
핵심 요소가족 제도 폐지
공산제
금욕주의
노예제 폐지
보편주의
대규모 사회 계획
사회물리학
세계정부
엄숙주의
의지주의
중앙집권
지상낙원
철인정치
토지개혁
혁명
형이상학
핵심 요소 (근대 이후)
핵심 요소계급투쟁
계급의식
계획 경제
능력에 따른 생산, 필요에 의한 분배
마르크스주의 철학
마르크스 경제학
무계급
무국가
반자본주의
변증법적 유물론
사회공학
사회주의
생산양식이론
세계혁명
유물사관
인본주의
집단지도제
집산주의
총투쟁
총파업
코뮌
폭력혁명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프롤레타리아 독재
프롤레타리아 혁명
활동주의
관련 문헌
문헌플라톤, 《국가》 (BC.4세기?)
플라톤, 《법률》 (BC.4세기?)
캄파넬라, 《태양의 나라》 (1602년)
캄파넬라, 《형이상학》 (1623년)
미상, 《바뵈프 선언에 대한 분석》 (1796년)
바이틀링, 《인류의 현실과 이상》 (1839년)
바이틀링, 《조화와 자유의 보증》 (1842년)
바이틀링, 《가난한 죄인의 복음》 (1843년)
마르크스,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 (1843년)
마르크스, 《1844년 경제학 철학 초고》 (1844년)
엥겔스, 《잉글랜드 노동계급의 상황》 (1845년)
마르크스, 《독일 이데올로기》 (1846년)
마르크스, 《공산주의의 원리》 (1847년)
마르크스, 《임노동과 자본》 (1847년)
마르크스, 《공산당 선언》 (1848년)
마르크스,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1858년)
마르크스, 《자본 I》 (1867년)
마르크스, 《고타 강령 비판》 (1875년)
엥겔스, 《반듀링론》 (1878년)
엥겔스, 《자연변증법》 (1883년)
엥겔스,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 (1884년)
마르크스, 《자본 II》 (1885년)
마르크스, 《자본 III》 (1894년)
레닌, 《인민의 벗이란 무엇인가?》 (1893년)
레닌, 《러시아에 있어서 자본주의의 발전》 (1899년)
룩셈부르크, 《사회 개혁이냐 혁명이냐?》 (1900년)
레닌, 《무엇을 할 것인가?》 (1902년)
판네쿡, 《마르크스주의와 다윈주의》 (1909년)
레닌, 《유물론과 경험비판론》 (1909년)
레닌, 《철학 노트》 (1909년)
판네쿡, 《계급 투쟁과 국가》 (1912년)
스탈린, 《마르크스주의와 민족 문제》 (1913년)
룩셈부르크, 《자본축적론》 (1913년)
레닌, 《제국주의론》 (1916년)
레닌, 《국가와 혁명》 (1917년)
루카치, 《정통마르크스주의란 무엇인가?》 (1919년)
판네쿡, 《세계 혁명과 공산주의 전술》 (1920년)
루카치, 《역사와 계급의식》 (1923년)
스탈린, 《레닌주의의 기초와 레닌주의의 제문제》 (1924년)
마오쩌둥, 《실천론》 (1937년 7월)
마오쩌둥, 《모순론》 (1937년 8월)
스탈린, 《변증법적 유물론》 (1938년)
판네쿡, 《철학자로서의 레닌》 (1938년)
판네쿡, 《노동자평의회》 (1947년)
루카치, 《실존주의에 대해》 (1949년)
루카치, 《이성의 파괴》 (1951년)
영향
영향공상적 사회주의
신플라톤주의
아나키즘
재세례파
청년 헤겔주의
프랑스 유물론
합리주의
관련 조직
조직ML당 (목록)
공산당 (목록)
노동당 (목록)
노동자당 (목록)
인민혁명당 (목록)
의인동맹 (BG, 1836 - 1847)
공산주의자동맹 (BK, 1847 - 1852)
국제노동자협회 (IWA, 1864 - 1876)
제2인터내셔널 (ZI, 1889 - 1816)
공산주의 인터내셔널 (Comintern, 1919 - 1943)
제4인터내셔널 (FI, 1938 - )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IMCWP, 1998 - )
혁명 정당 조직 국제협력 (ICOR, 2010 - )
공산당-노동자당 행동 (INITIATIVE, 2013 - )
분파
분파국민공산주의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
룩셈부르크주의
카우츠키주의
바뵈프주의
신자코뱅주의
아나르코공산주의
유럽공산주의
종교공산주의
기독교 공산주의
마즈다크교
평의회주의
주요 운동가
운동가뮌처 (1489년 ~ 1525년)
뒤파이 (1746년 ~ 1818년)
바뵈프 (1760년 ~ 1797년)
부오나로티 (1761년 ~ 1837년)
바이틀링 (1808년 ~ 1871년)
리프크네히트 (1871년 ~ 1919년)
팽크허스트 (1882년 ~ 1960년)
무케르지 (1891년 ~ 1937년)
네루다 (1904년 ~ 1973년)
마줌다르 (1919년 ~ 1972년)
친펭 (1924년 ~ 2013년)
하바시 (1926년 ~ 2008년)
체 게바라 (1928년 ~ 1967년)
구즈만 (1934년 ~ )
H. 뉴턴 (1942년 ~ 1989년)
마르코스 (1957년 ~ )
말레마 (1981년 ~ )
주요 이론가
이론가플라톤 (BC.5c ~ BC.4c)
마즈다크 (5c ~ 528년)
캄파넬라 (1568년 ~ 1639년)
마르크스 (1818년 ~ 1883년)
엥겔스 (1820년 ~ 1895년)
레닌 (1870년 ~ 1924년)
룩셈부르크 (1871년 ~ 1919년)
판네쿡 (1873년 ~ 1960년)
스탈린 (1878년 ~ 1953년)
트로츠키 (1879년 ~ 1940년)
루카치 (1885년 ~ 1971년)
부하린 (1888년 ~ 1938년)
그람시 (1891년 ~ 1937년)
마오쩌둥 (1893년 ~ 1976년)
클리프 (1917년 ~ 2000년)
러커토시 (1922년 ~ 1974년)
만델 (1923년 ~ 1995년)
S. 아민 (1931년 ~ 2018년)
바디우 (1937년 ~ )
시손 (1939년 ~ )
주요 정치인
정치인체트킨 (1857년 ~ 1933년)
콜론타이 (1872년 ~ 1952년)
디미트로프 (1882년 ~ 1949년)
호찌민 (1890년 ~ 1969년)
티토 (1892년 ~ 1980년)
톨리아티 (1893년 ~ 1964년)
흐루쇼프 (1894년 ~ 1971년)
처이발상 (1895년 ~ 1952년)
저우언라이 (1898년 ~ 1976년)
브레즈네프 (1906년 ~ 1982년)
호자 (1908년 ~ 1985년)
수파누봉 (1909년 ~ 1995년)
보응우옌잡 (1911년 ~ 2013년)
김일성 (1912년 ~ 1994년)
네투 (1922년 ~ 1979년)
폴 포트 (1925년 ~ 1998년)
F. 카스트로 (1926년 ~ 2016년)
김정일 (1941년 ~ 2011년)
상카라 (1949년 ~ 1987년)
프라찬다 (1954년 ~ )
브장스노 (1974년 ~ )

2. 역사

금색 입체형 로고


낫과 망치는 농민을 상징하는 프롤레타리아(특히 산업 노동자)를 상징하는 망치를 겹쳐 놓은 표장이다. 이 둘을 겹친 구도는 농업 노동자와 공업 노동자의 단결(노농동맹)을 나타낸다. 망치의 자루가 낫의 날과 교차하는 형태가 올바른 디자인이다.

이 표장은 소비에트 연방 국기에서 적기 위에 붉은 별과 함께 사용되어 잘 알려져 있으며, 다른 공산주의 국가나 공산당의 깃발, 국장, 당기로도 사용되었다.

낫과 망치는 공산주의 운동에서 널리 사용되었지만, 정확히는 마르크스주의가 아니라 레닌주의를 나타내는 디자인이다. 특히 코민테른을 계승한 각국 공산당이나 그 국가의 국기, 국장 등에서 사용되었다. 칼 마르크스는 프롤레타리아(근대 임금 노동 계급, 주로 공업 노동자)에 의해 혁명이 일어난다고 생각했지만, 블라디미르 레닌은 당시 러시아 현실에 맞춰 마르크스주의를 수정하여 혁명의 원동력에 농민을 포함시켰다. 이후 중화인민공화국마오쩌둥 사상에서는 농민이 노동자보다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유니코드에서 「낫과 망치」 심볼 「☭」는 U+262D로 표시된다.

2. 1. 기원

1917년 러시아 혁명 당시 노동자농민의 동맹을 상징하기 위해 처음 등장했다.[2][3] 1918년 모스크바 자모스크보레치예 구역의 5월 1일 기념 행사를 위한 장식으로 예브게니 이바노비치 캄졸킨(Yevgeny Ivanovich Kamzolkin)이 처음 제안했다.[2][3] 초기에는 칼이 포함되었으나, 레닌은 군국주의적 함의를 싫어하여 강하게 반대해 제외되었다.[4][5] 낫은 농민을, 망치는 프롤레타리아(특히 산업 노동자)를 상징하며, 이들을 겹친 구도는 농업 노동자와 공업 노동자의 단결(노농동맹)을 나타낸다. 레닌은 당시 러시아의 현실에 맞춰 마르크스주의의 형태를 바꾸어 혁명의 원동력에 농민을 포함시켰다.

2. 2. 소비에트 연방에서의 사용

소비에트 연방은 국기를 "'''낫과 망치가 그려진 붉은 깃발'''"로 정했으며, 국장은 "'''지구 위에 그려진 낫과 망치'''"로 정했다.[2][3] 1923년 7월 6일, 소비에트 연방 중앙집행위원회(CIK) 제2차 회의에서 이 상징을 채택했다.[4]

낫과 망치를 들고 있는 남성


낫과 망치는 1917년부터 1918년 사이에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1922년까지는 낫과 쟁기가 공식 상징이었다. 낫과 망치는 1923년에 소비에트 연방 국기에 적용되었고, 1924년에 제정된 소비에트 연방 헌법에 의해 최종적으로 국기 디자인의 일부가 되었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국장과 소비에트 공화국 국장에는 망치와 낫이 그려져 있었으며, 이는 붉은 별 휘장이 달린 붉은 군대 군복 모자와 여러 다른 곳에서도 볼 수 있었다.

5월 9일대독 승전 기념일 군사 퍼레이드에서는 낫과 망치 문장이 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군복을 입은 러시아 군인들이 행진했다(러시아 연방에서도 마찬가지). 11월 7일러시아 혁명 기념일 군사 퍼레이드에서는 '낫과 망치의 붉은 깃발' 국기가 즐비했고, '지구 위의 낫과 망치'를 그린 국장도 등장했다.[35]

  • ''серп и молот|세르프 이 몰로트ru''는 모스크바 야금 공장의 이름이다.
  • ''серп и молот|세르프 이 몰로트ru''는 또한 모스크바의 쿠르스키 기차역에서 고르키까지 이어지는 전철 노선의 정차역 이름이기도 하며, 베네딕트 예로페예프의 소설 ''모스크바-페투슈키''에 등장한다.


소비에트 연방의 국기(1923년 - 1955년)소비에트 연방의 국기(1955년 - 1980년)소비에트 연방의 국기(1980년 - 1991년)소비에트 해군군함기
--------
소비에트 해군의 함정기소비에트 연방의 국장(1923년 - 1936년)소비에트 연방의 국장(1946년 - 1956년)소비에트 연방의 국장(1958년 - 1991년)
--------


2. 3. 오스트리아에서의 사용



1919년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의 국장에 낫과 망치가 도입되었으나, 1934년 제거되었다가 1945년 다시 복귀했다.

3. 의미

낫과 망치는 소비에트 연방의 국기와 국장에 사용된 상징이다. 소비에트 연방 국기는 "'''낫과 망치가 그려진 붉은 깃발'''"로, 국장은 "'''지구 위에 그려진 낫과 망치'''"로 표현되었다.

소비에트 연방 외에도 중화인민공화국, 루마니아 인민 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 여러 공산당 일당제 국가에서 낫과 망치를 당 깃발로 사용하거나, 국기에 낫과 망치 이외의 디자인을 사용하기도 했다.

이 표장은 소비에트 연방 국기에서 적기 위에 붉은 별과 함께 사용되었기 때문에 잘 알려져 있으며, 다른 공산주의 국가나 다른 나라 공산당의 깃발이나 국장, 당장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낫과 망치는 원래 마르크스주의가 아니라 레닌주의를 나타내는 디자인으로, 코민테른을 계승한 각국의 공산당이나 그 국가의 국기, 국장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칼 마르크스는 혁명이 프롤레타리아(근대 임금 노동 계급, 주로 공업 노동자)에 의해 일어난다고 보았지만, 블라디미르 레닌은 러시아의 현실에 맞춰 마르크스주의를 수정하여 혁명의 원동력에 농민을 포함시켰다(노농동맹). 이후 중화인민공화국마오쩌둥 사상에서는 농민이 노동자보다 오히려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유니코드에서 「낫과 망치」 심볼 「☭」는 U+262D로 표시된다.

3. 1. 초기 의미

낫과 망치는 만들어질 당시 노동자-농민 동맹을 상징했는데, 망치는 전통적으로 산업 프롤레타리아(러시아 프롤레타리아를 지배했던 계층)의 상징이고, 낫은 전통적으로 농민의 상징이었다.[4] 이 표장은 망치가 겹쳐져 있는데, 낫은 농민을, 망치는 프롤레타리아(특히 산업 노동자)를 상징하며, 이들을 겹친 구도는 농업 노동자와 공업 노동자의 단결을 나타낸 것이다. 항상 망치의 '''자루'''가 낫의 '''날'''과 교차하는 것이 올바른 디자인이다.

3. 2. 의미의 확장

시간이 지나면서 낫과 망치는 전 세계적으로 마르크스주의, 공산당 또는 사회주의 국가들을 상징하는 것으로 인식되게 되었다.[4]

원래 망치는 산업 프롤레타리아(러시아 프롤레타리아를 지배했던 계층)의 상징이고, 낫은 농민의 상징이었으나, 그 의미가 확장된 것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우, 조선로동당 당기에는 낫(농민), 망치(노동자), 붓(지식인)이 함께 사용되는 특수한 예시가 있다.

4. 현대적 사용

현대 사회에서 낫과 망치는 여러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소련 붕괴 이후에도 구소련 국가들에서 낫과 망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러시아 연방의 블라디미르주는 깃발에, 브랸스크주는 깃발과 문장에, 오룔은 깃발에 사용한다.[8] 아에로플로트는 여전히 상징에 낫과 망치를 사용하고 있다.[8] 트란스니스트리아는 깃발과 문장에 낫과 망치가 포함되어 있지만, 차량 등록 번호판 등 일부 상황에서는 낫과 망치 없이 나타나기도 한다.

주/도시/단체깃발/문장사용 현황
블라디미르주깃발사용
브랸스크주깃발, 문장사용
오룔깃발사용
아에로플로트상징사용
트란스니스트리아깃발, 문장사용 (일부 상황 제외)



소련 외 공산당 일당제 국가에서는 "낫과 망치"를 당 깃발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중화인민공화국,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등이 그 예이다. 중국 공산당, 베트남 공산당, 라오 인민혁명당 등 현재 집권하고 있는 공산당들은 낫과 망치를 당의 상징으로 사용한다.[9] 그리스 공산당,[9] 칠레 공산당, 스웨덴 공산당, 포르투갈 공산당[10] 등 전 세계의 많은 공산당들도 낫과 망치를 사용한다.

중국 공농적군 깃발


인도 공산당 깃발


인도 공산당 (마르크스주의) 깃발


타지키스탄 공산당 로고


네팔 공산당(통일 마르크스-레닌주의)(1991~2018) 로고


중국 공산당 상징(1996~현재)


4. 1. 구소련 국가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의 블라디미르주는 깃발에, 브랸스크주는 깃발과 문장에 낫과 망치를 사용하며, 이는 깃발의 중앙 요소이기도 하다. 또한 러시아 도시 오룔도 깃발에 낫과 망치를 사용한다.[8]

옛 소련(현재 러시아)의 국영 항공사인 아에로플로트는 여전히 상징에 낫과 망치를 사용한다.[8]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사실상 정부는 (약간 수정하여) 낫과 망치가 포함된 옛 몰다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깃발과 문장을 사용한다. 깃발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어 트란스니스트리아 발행 번호판에서는 낫과 망치 없이 나타나기도 한다.

주/도시/단체깃발/문장사용 현황
블라디미르주깃발사용
브랸스크주깃발, 문장사용
오룔깃발사용
아에로플로트상징사용
트란스니스트리아깃발, 문장사용 (일부 상황 제외)


4. 2. 공산당



소련 외 공산당 일당제 국가에서는 "낫과 망치"를 당 깃발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중화인민공화국(국기:오성홍기),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국기:금성홍기) 등이 그 예이다.

현재 집권하고 있는 공산당 중 중국 공산당, 베트남 공산당, 라오 인민혁명당은 낫과 망치를 당의 상징으로 사용한다.[9] 라오스와 베트남에서는 낫과 망치가 그려진 당기가 국기와 나란히 게양되는 경우가 흔하다.

전 세계의 많은 공산당들도 낫과 망치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그리스 공산당,[9] 칠레 공산당, 브라질 공산당과 브라질 공산당, 방글라데시의 푸르바 방글라르 사르바하라당, 스리랑카 공산당, 인도 공산당 (마르크스주의) 등이 있다. 스웨덴 공산당, 포르투갈 공산당,[10] 멕시코 공산당은 붉은 별 위에 낫과 망치를 사용한다.

5. 다양한 형태

낫과 망치는 그 자체로도 강력한 상징이지만,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거나 다른 상징들과 결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원래 디자인은 낫과 망치가 교차하는 형태로, 낫은 농민을, 망치는 프롤레타리아(특히 산업 노동자)를 상징하며, 이들의 결합은 농업 노동자와 공업 노동자의 단결을 의미한다. 이때 망치의 자루가 낫의 날과 교차하는 것이 올바른 디자인이다.[36] 이 디자인은 소비에트 연방 국기에서 적기 위에 붉은 별과 함께 사용되어 널리 알려졌으며, 다른 공산주의 국가나 공산당의 깃발, 국장, 당기 등에도 사용되었다.

유니코드에서는 "낫과 망치" 심볼 "☭"은 U+262D로 표시된다.

이 표장은 마르크스주의보다는 레닌주의를 상징하며, 특히 코민테른을 계승한 각국 공산당에서 사용되었다. 칼 마르크스는 혁명의 주체를 프롤레타리아로 보았지만, 블라디미르 레닌은 러시아의 현실에 맞게 농민을 혁명의 동력에 포함시켰다. 이후 중화인민공화국마오쩌둥 사상에서는 농민이 노동자보다 더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미국 공산당 로고는 반쪽 톱니바퀴와 반원형 낫날로 원을 이루며, 망치는 낫의 손잡이 위에 놓여 머리가 로고 중앙에 위치한다. 터키 공산당 로고는 반쪽 톱니바퀴에 망치가 교차하고 위쪽에 별이 있다. 레온 트로츠키가 설립한 제4인터내셔널은 숫자 4가 겹쳐진 낫과 망치 기호를 사용하는데, 망치 머리가 오른쪽에, 낫 끝이 왼쪽에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트로츠키주의 제5인터내셔널 연맹은 망치와 숫자 5를 결합하여 숫자의 아랫부분 아치를 낫으로 만든다. 이란 인민 무자헤딘은 소총이 있는 낫을 사용한다.

과들루프 공산당 깃발은 대문자 G처럼 보이도록 돌린 낫을 사용하여 과들루프를 나타낸다.[11]

1938년 당시 영국령 버마의 반영국 민족주의 단체 도바마 아시아요네는 붉은 낫과 망치가 그려진 삼색기를 채택했다.[12] 1974년부터 2010년까지 버마(미얀마) 국기에는 14개 흰색 별로 둘러싸인 톱니바퀴 위에 한 단이 겹쳐져 있었다. 벼는 농민, 톱니바퀴는 노동자를 나타내며, 14개 별은 연합의 14개 구성 단위의 통일성과 평등을 상징한다.[13]

현재 탄자니아 집권 정당 참마 참 마핀두지(CCM) 깃발은 낫 대신 망치와 괭이를 사용한다.

아르헨티나 급진 시민 연합과 체코 체코 민족 사회당 같은 자유 사회주의 정당 상징은 망치와 깃펜을 특징으로 하며, 전자는 노동자, 후자는 사무원을 나타낸다.

인도 공산당 선거 상징은 중앙에 옥수수 이삭이 수직으로 교차하는 수평 낫이다.

5. 1. 다른 도구와의 결합



원래 낫과 망치는 비슷한 구조와 메시지를 가진 많은 상징들이 디자인되었다. 예를 들어, 앙골라 국기는 톱니바퀴의 일부분을 보여주는데, 마체테가 교차되어 있고 사회주의 별로 장식되어 있다. 조선로동당의 당기는 낫, , 망치가 교차하는 디자인으로, 농민, 지식인, 노동자의 단결을 상징한다.[36]

동독의 문장과 국기에는 망치와 컴파스가 결합된 상징이 사용되었다.

5. 2. 다른 상징과의 결합

영국 공산당은 망치와 비둘기 상징을 사용한다. 1988년 미할 본차가 디자인한 이 상징은 당의 평화 운동과의 연관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 상징은 일반적으로 낫과 망치와 함께 사용되며, 영국 공산당의 모든 간행물에 나타난다. 영국 공산당의 일부 당원들은 한 상징을 다른 상징보다 선호하지만, 1994년 당대회에서는 망치와 비둘기가 당의 공식 문장으로서의 지위를 재확인했다.[11] 이스라엘 공산당도 낫과 망치 위에 비둘기를 상징으로 사용한다.

6. 예술에서의 사용



낫과 망치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에서 오랫동안 흔한 주제였다. 마르크스주의가 아닌 대중문화에서도 일부 묘사되었는데, 앤디 워홀이 낫과 망치에 대한 많은 그림과 사진을 제작한 것으로 유명하다.

민스크(Minsk)의 ''레닌 광장(Plošča Lienina)'' 지하철역


주체탑(Juche Tower) 앞의 "노동자, 농민 그리고 지식인" 평양


이 표장은 망치가 겹쳐져 있는데, 낫은 농민의, 망치는 프롤레타리아(특히 산업 노동자)의 상징이며, 이들을 겹친 구도는 농업 노동자와 공업 노동자의 단결을 나타낸 것이다. 항상 망치의 '''자루'''가 낫의 '''날'''과 교차하는 것이 올바른 디자인이다.

이 표장은 소비에트 연방 국기에서 적기 위에 붉은 별과 함께 사용되었기 때문에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다른 공산주의 국가나 다른 나라의 공산당의 깃발이나 국장, 당장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 표장은 공산주의 운동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지만, 정확히는 마르크스주의가 아니라 레닌주의를 나타낸 디자인이며, 특히 코민테른을 계승한 각국의 공산당이나 그 국가의 국기, 국장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칼 마르크스는 혁명은 프롤레타리아(근대 임금 노동 계급, 주로 공업 노동자)의 손에 의해 일어난다고 생각했지만, 블라디미르 레닌은 당시 러시아의 현실에 맞춰 마르크스주의의 형태를 바꾸어 혁명의 원동력에 농민을 포함시켰다(노농동맹). 후의 중화인민공화국의 공산주의인 마오쩌둥 사상에서는 농민이 노동자보다 오히려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유니코드에서는 「낫과 망치」의 심볼 「☭」는 U+262D로 표시된다.

7. 법적 지위

소비에트 연방과 공산당 지배에 억압되어 온 발트 삼국동유럽에서는 "낫과 망치"에 대한 혐오 정서가 강했다.[42]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일부 국가들은 낫과 망치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했다.

동구권의 여러 국가에서는 낫과 망치를 "토탈리즘적이고 범죄적인 이데올로기"의 상징으로 규정하는 법률이 있으며, 낫과 망치 및 붉은 별과 같은 다른 공산주의 상징물의 공개적인 전시는 범죄 행위로 간주된다.

2010년,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불가리아, 헝가리, 루마니아, 체코 정부는 EU 회원국들이 홀로코스트 부정을 금지한 것처럼 "공산주의 범죄에 대한 옹호, 부인 또는 경시"를 범죄화할 것을 촉구했으나, 유럽 집행위원회는 이를 거부했다.[26]

인도네시아에서는 1965년-1966년 공산주의자 대학살 이후, 수하르토 대통령의 칙령에 따라 공산당과 공산주의 상징물 전시가 금지되었다.[29][30]

7. 1. 금지 국가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 헝가리(1993년), 에스토니아(2007년), 리투아니아라트비아(2008년), 폴란드(2009년)는 각각 공산주의를 상징하는 "낫과 망치"의 사용을 금지하였다.[43] 이들 국가는 낫과 망치를 "토탈리즘적이고 범죄적인 이데올로기"의 상징으로 규정하고, 공개적인 전시를 범죄 행위로 간주한다. 인도네시아에서도 공산주의 상징물 전시가 금지되어 있다.[29]

조지아[14], 헝가리[15], 라트비아[16], 리투아니아[17], 몰도바 (2012년 10월 1일 – 2013년 6월 4일)[18], 우크라이나[19][20][21] 역시 공산주의 상징 금지를 시행했다. 에스토니아[22]에서도 유사한 법안이 고려되었지만 의회 위원회에서 부결되었다.[23]

2010년,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불가리아, 헝가리, 루마니아, 체코 정부는 EU에 "공산주의 범죄에 대한 옹호, 부인 또는 경시"를 범죄화할 것을 촉구했으나, 유럽 집행위원회는 이를 거부했다.[26]

2013년 2월, 헝가리 헌법재판소는 낫과 망치 사용 금지를 무효화했고,[27] 같은 해 6월, 몰도바 헌법재판소는 몰도바 공산당의 상징인 낫과 망치가 합법이라고 판결했다.[28]

인도네시아에서는 수하르토 대통령의 칙령에 따라 공산당과 공산주의 상징물 전시가 금지되었다.[29][30] 이는 1965년-1966년 공산주의자 대학살 이후의 조치였다.[29][30]

폴란드에서는 1997년 "파시스트, 공산주의 또는 기타 전체주의 상징의 매체" 배포를 범죄화했으나, 2011년 헌법재판소는 이 제재가 위헌이라고 판결했다.[33]

7. 2. 논란

소비에트 연방과 공산당 지배에 억압되어 온 발트 삼국동유럽에서는 "낫과 망치"에 대한 혐오 정서가 강했다.[42]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1991년 이후) 동유럽 국가 가운데 소비에트 연방과 공산주의의 표장인 "낫과 망치"를 금지하는 나라도 있었다. 1993년 헝가리, 2007년 에스토니아, 2008년 리투아니아라트비아, 2009년 폴란드가 각각 공산주의를 상징하는 "낫과 망치"의 사용을 금지하였다.[43]

동구권의 여러 국가에서는 낫과 망치를 "토탈리즘적이고 범죄적인 이데올로기"의 상징으로 규정하는 법률이 있으며, 낫과 망치 및 붉은 별과 같은 다른 공산주의 상징물의 공개적인 전시는 범죄 행위로 간주된다. 조지아[14], 헝가리[15], 라트비아[16], 리투아니아[17], 몰도바(2012년 10월 1일 – 2013년 6월 4일)[18], 우크라이나[19][20][21]는 이를 포함한 공산주의 상징 금지를 시행했다. 에스토니아[22]에서도 유사한 법안이 고려되었지만, 결국 의회 위원회에서 부결되었다.[23] 우크라이나에서는 낫과 망치를 포함한 공산주의 상징을 나치의 스와스티카 상징과 동일시한다.[24][25]

2010년,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불가리아, 헝가리, 루마니아, 체코 정부는 여러 EU 회원국이 홀로코스트 부정을 금지한 것과 마찬가지로 유럽 연합이 "공산주의 범죄에 대한 옹호, 부인 또는 경시"를 범죄화할 것을 촉구했다. 유럽 집행위원회는 연구 결과 EU 전역의 형사 법규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 요청을 거부했으며, 과거 전체주의 범죄를 처리하는 정도는 각 회원국이 스스로 결정하도록 남겨두었다.[26]

2013년 2월, 헝가리 헌법재판소는 낫과 망치, 붉은 별, 스와스티카를 포함한 파시스트 및 공산주의 독재 정권 상징물 사용 금지를 무효화했다. 재판소는 금지 조항이 너무 광범위하고 불명확하다고 판단했다. 또한, 헝가리가 유럽인권재판소의 판결에서 제10조(표현의 자유)를 위반한 것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것을 지적했다.[27] 2013년 6월, 몰도바 헌법재판소는 몰도바 공산당의 상징인 낫과 망치가 합법적이며 사용될 수 있다고 판결했다.[28]

인도네시아에서는 공산주의 상징물의 전시가 금지되어 있으며, 공산당수하르토 대통령의 칙령에 따라 금지되었다. 이는 50만 명 이상이 사망한 1965년-1966년 공산주의자 대학살 이후였다.[29][30] 2018년 1월, 부미 리소시즈에 항의하는 활동가가 낫과 망치를 전시하고 공산주의를 선동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어 투옥되었다.[31][32]

폴란드에서는 1997년 "파시스트, 공산주의 또는 기타 전체주의 상징의 매체"를 배포하는 행위가 범죄화되었다. 그러나 헌법재판소는 2011년 이러한 제재가 위헌이라고 판결했다.[33]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부터 냉전 종식까지(1939년 - 1989년) 50년 동안 소비에트 연방과 공산당 일당 독재에 의해 억압받아 온 발트 3국중앙유럽에서는 “낫과 망치”나 “붉은 별” 등 소비에트 연방과 공산주의 상징에 대한 혐오감이 강했다.

이 때문에 EU에서 독일이나 프랑스와 마찬가지로 “갈고리 십자” 등 나치 독일의 상징을 금지하려는 제안이 있었을 때, 동유럽의 몇몇 국가는 마찬가지로 소비에트 연방과 공산주의 상징을 공공장소에서 사용하는 것도 금지하려는 제안을 했다. 그러나 서유럽 각국의 공산당과 러시아 연방의 반발이 거셌던 데다 “갈고리 십자” 금지와 “낫과 망치” 금지 제안 자체가 주목받지 못해 결국 “갈고리 십자” 금지 제안과 “낫과 망치” 금지 제안 모두 실현되지 않았다.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를 계기로 “낫과 망치”를 금지한 국가로는 1993년 이후 헝가리 제3공화국(1993년 개정 형법)[38], 2007년 이후 발트 3국의 하나인 에스토니아 공화국, 2008년 이후 발트 3국의 리투아니아 공화국라트비아 공화국, 2009년 이후 폴란드 제3공화국[39][40], 2015년 이후 우크라이나[41]에서 각각 “낫과 망치”의 사용과 게양이 법률에 의해 금지되어 있다. 참고로 폴란드 제3공화국에서 “낫과 망치”를 금지하는 법률은 “법과 정의”의 야로슬라프 카친스키 당수가 제안했다.

8. 유니코드

유니코드에서 "낫과 망치" 기호는 U+262D(☭)이다. 이것은 기타 기호(2600–26FF) 코드 블록의 일부로, 1993년 유니코드 1.1에 추가되었다.[34]

기호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명칭
U+262D☭낫과 망치


참조

[1] 웹사이트 Flag of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https://www.britanni[...] 2019-11-30
[2] 웹사이트 АртРу.инфо - Художники - Камзолкин Евгений Иванович https://web.archive.[...] 1957-03-18
[3] 웹사이트 International Gallery of Contemporary Artists http://www.picture-r[...] 2015-11-06
[4] 웹사이트 The Hammer and Sickle: The Role of Symbolism and Rituals in the Russian Revolution https://web.archive.[...] 2023-09-01
[5] 서적 Critical companion to the Russian Revolution, 1914-1921 Indiana University Press 1997
[6] 서적 Daily Life in a Crumbling Empire: The Absorption of Russia into the World Economy Columbia University Press/ Eastern European Monographs 1996
[7] 뉴스 De unde vine simbolul "secera şi ciocanul". Ce ţară l-a folosit prima şi în ce state este interzis https://adevarul.ro/[...] Adevarul Holding 2018-09-01
[8] 웹사이트 Aeroflot Logo To Keep Hammer And Sickle https://aviationweek[...] 2003-04-18
[9] 웹사이트 KKE - Αρχική http://www.kke.gr/
[10] 웹사이트 Estatutos do PCP, art. 72 http://www.pcp.pt/es[...] 2010-03-17
[11] 웹사이트 Parti Communiste Guadeloupéen http://flagspot.net/[...]
[12] 서적 The Dobama Movement in Burma (1930-1938) https://www.cornellp[...] Cornell University Press 1988
[13] 서적 မြန်မာဖတ်စာ ဒုတိယတန်း (Grade-3) http://www.myanmarbo[...] Ministry of Education, Government of the Union of Myanmar 2006
[14] 뉴스 Communist symbols to be banned in Georgia https://www.bbc.com/[...] BBC News 2014-05-04
[15] 웹사이트 Act C of 2012 on the Criminal Code, Section 335: Use of Symbols of Totalitarianism http://thb.kormany.h[...] 2017-02-21
[16] 뉴스 Latvia Bans Soviet, Nazi Symbols http://en.ria.ru/rus[...] RIA Novosti 2013-06-21
[17] 뉴스 Lithuanian ban on Soviet symbols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6-17
[18] 뉴스 Moldovan Parliament Bans Communist Symbols http://www.rferl.org[...] Radio Free Europe 2012-07-12
[19] 뉴스 Ukraine Bans Soviet-Era Symbols https://www.wsj.com/[...]
[20] 간행물 LAW OF UKRAINE. On the condemnation of the communist and national socialist (Nazi) regimes, and prohibition of propaganda of their symbols http://www.memory.go[...]
[21] 웹사이트 Про засудження комуністичного та націонал-соціалістичного ... - від 09.04.2015 № 317-VIII http://zakon4.rada.g[...] rada.gov.ua
[22] 웹사이트 Free speech questioned as Estonia prepares to ban Soviet, Nazi symbols https://www.balticti[...]
[23] 웹사이트 Ants Erm: Erinevalt venelaste ajaloost on Venemaa ajalugu Eestis vaid vägivald, küüditamine ja kommunistlik diktatuur https://epl.delfi.ee[...]
[24] 웹사이트 У поліції нагадали, що за серп і молот можна сісти на 5 років https://www.pravda.c[...] 2022-07-05
[25] 웹사이트 Заборона символіки тоталітарних режимів: що мають знати миколаївці https://suspilne.med[...] 2021-05-07
[26] 뉴스 EU won't legislate on communist crimes https://www.bbc.com/[...] BBC News 2010-12-22
[27] 뉴스 Hungary, hammer and sickle ban declared illegal http://www.ansa.it/n[...] ANSA 2013-02-27
[28] 뉴스 Constitutional Court rules that 'hammer and sickle' can be used http://www.allmoldov[...] 2013-06-05
[29] 웹사이트 Declassified files outline US support for 1965 Indonesia massacre https://www.ft.com/c[...] 2017-10-29
[30] 뉴스 Artists summoned over communist symbol exhibition http://www.thejakart[...] The Jakarta Post 2008-10-20
[31] 웹사이트 Indonesian activist jailed for advocating communism https://www.ucanews.[...] 2019-02-16
[32] 웹사이트 Indonesia's 'Anti-Communism' Law Used Against Environmental Activist https://www.hrw.org/[...] 2018-01-12
[33] 웹사이트 Nowelizacja kodeksu karnego. http://trybunal.gov.[...] 2011-07-19
[34] 웹사이트 ☭ Hammer and Sickle Emoji https://emojipedia.o[...] 2019-10-11
[35] 뉴스 1977년 11월 7일 러시아 혁명 60주년 기념 군사 퍼레이드 朝日新聞 1977-11-08
[36] 웹사이트 日本共産党の党章 - 日本共産党 http://www.jcp.or.jp[...] 2021-06
[37] 웹사이트 日本共産党の党章 - hatenafotolife http://f.hatena.ne.j[...]
[38] 웹사이트 ハンガリー文化センター 2008年7月6日 - 12日のニュース http://src-h.slav.ho[...]
[39] 웹사이트 ポーランドが共産主義の標章を禁止 http://www.foxnews.c[...] Fox News 2009-11-27
[40] 웹사이트 東欧国家、共産主義への取締を強化 http://www.epochtime[...] 大紀元 2009-12-03
[41] 뉴스 Ukraine Bans Soviet-Era Symbols http://www.wsj.com/a[...] 월스트리트 저널 2016-06-21 # 2015년 4월 9일 기사를 2016년 6월 21일에 열람했으므로 열람일을 date로 설정
[42] 뉴스 BBC 2005년 2월 3일 EU에서 "낫과 망치"의 금지를 요구하는 운동 http://news.bbc.co.u[...] BBC 2005-02-03
[43] 웹인용 Fox News 2009년 11월 27일 폴란드가 공산주의의 표시를 금지 http://www.foxnews.c[...] 2011-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