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는 라트비아가 소비에트 연방의 일부였던 1919년부터 1990년까지 사용된 국기들을 의미한다. 최초에는 "LSPR" 문자가 새겨진 붉은색 깃발이 사용되었고, 1940년부터는 금색 낫과 망치, 금색 문자로 "LPSR"이 적힌 붉은색 깃발이 사용되었다. 1953년에는 붉은색 바탕에 낫과 망치, 오각별과 함께 흰색과 청색 물결 무늬가 추가된 디자인으로 변경되었으며, 1981년에는 국기 뒷면에 오각별과 낫과 망치를 표시하지 않도록 규정되었다. 1990년 라트비아의 독립 회복 선언과 함께 소련 시대의 국기는 라트비아 국기로 대체되었으며, 2013년부터는 라트비아 SSR 깃발의 공공 행사 사용이 금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노래 혁명
    노래 혁명은 1980년대 후반부터 1991년까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에서 일어난 비폭력 독립 운동으로,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로 인한 소련의 자유화 정책 속에서 세 나라가 민족주의적 열망을 노래와 시위로 표현하며 소련으로부터의 독립을 쟁취하고자 한 운동이다.
  •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장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장은 소련 점령 후 제정되어 여러 변화를 거쳤으며, 소비에트화를 상징하는 요소들을 담고 디자인에 대한 비판을 받다가 1989년 라트비아 공화국 국장으로 복원되었다.
  • 소련의 기 -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의 국기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의 국기는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을 대표하는 깃발이다.
  • 소련의 기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는 공화국의 공식 깃발로서, 초기에는 붉은색 바탕에 약칭이 새겨진 형태였으나 이후 망치와 낫, 하늘색 줄무늬가 추가되었고, 독립 후 현재의 깃발로 대체되었으며 탈공산화 법에 따라 금지되었지만 러시아 점령 지역에서 사용되기도 했다.
  • 소련 - 보리스 옐친
    보리스 옐친은 소련 공산당에서 활동하다가 러시아 공화국 대통령이 되어 소련 해체 후 시장 경제 개혁을 추진했으며, 헌법 위기와 체첸 전쟁을 겪고 1999년 사임 후 2007년 사망했다.
  • 소련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
기본 정보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 (1953–1990)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 (1953–1990)
용도국가기
비율1:2
채택일1953년 1월 17일
디자인깃대 상단에 망치와 낫과 금색 테두리가 있는 붉은 별이 있고 하단에 파란색과 흰색의 물결무늬가 있는 단순한 붉은색 깃발
뒷면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 (1953–1990, 뒷면)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 (1953–1990, 뒷면)
용도뒷면 깃발
디자인하단에 파란색-흰색 물결 패턴이 있는 빨간색 필드

2. 과거의 기

wikitext

최초의 사회주의 라트비아 국가인 라트비아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은 "LSPR"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붉은색 깃발을 사용했다.[5] 1919년 1월 15일에 채택된 헌법은 국기에 대한 기술을 1918년의 러시아 공화국 헌법/러시아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헌법ru에서 완전히 가져온 것이었다.[5] 실제 국기에는 라트비아어로 "L.S.P.R."이라고 표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5]

라트비아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의 국기


나치 독일과 소비에트 연방에 의한 발트 3국 점령 당시, 1940년 7월 21일 라트비아 공화국 인민 사에이마/Tautas Saeimalv는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발족을 선언하고, 소비에트 연방 편입을 연방 최고 회의 간부회에 요청했다.[4] 8월 15일 연방 최고 회의 간부회는 이를 수락하여 라트비아 공화국은 소련 구성 공화국이 되었지만, 이 기간 동안은 이전의 흰색 줄무늬가 있는 짙은 적색 기를 계속 사용했다.[4] 그러나, 당시 사진에서는 적기낫과 망치가 들어간 적기가 게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4]

1940년 8월 25일, 제2회 인민 사에이마에서 승인된 라트비아 공화국 헌법 제117조는 국기를 왼쪽 상단에 금색 낫과 망치를, 그 위에 금색 문자를 표시한 적기로 규정했다.[4] 깃발의 높이에 대한 폭의 비율은 1:2였다. 1941년 9월 6일, 라트비아 공화국 최고 회의 간부회는 "라트비아 SSR의 국장과 국기에 대해" 법령을 승인하고, 세칙을 정했다.[4] 문장의 이미지는 1942년 10월 25일 신문에 공포되었다.[4]

1940년 8월 25일부터 1953년 1월 17일까지의 국기


1953년 이후의 국기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에서 다룬다.

1940년 8월 25일부터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는 붉은색 바탕에 왼쪽 상단에는 금색 낫과 망치가 있었고, 그 위에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금색 세리프체로 "LPSR"(''Latvijas Padomju Sociālistiskā Republika'')이 적혀 있었다.[4]

1953년 1월 17일, 최고 회의 간부회령에 의해 헌법 제117조의 국기에 관한 조항이 개정되었다.[4] 새로운 국기는 5가지 색상의 수평 띠로 구성되었으며, 상단의 적색 띠는 깃발 높이의 3분의 2를, 2개의 흰색 띠와 2개의 청색 띠를 교대로 배치한 물결 모양의 띠는 바다를 나타내며 깃발 높이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적색 띠의 왼쪽 상단에는 금색 낫과 망치, 금색 테두리를 가진 오각별이 표시되었다.[4]

1967년 2월 28일 승인된 최고 회의 간부회령과 같은 해 4월 10일 승인된 법령에 의해 국기에 대한 세칙이 정해졌다.[4] 1981년 4월 27일 승인된 최고 회의 간부회령에 의해 국기 뒷면에는 오각별과 낫과 망치를 표시하지 않도록 규정되었다.[4]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인 1988년 9월 29일, 최고 회의 간부회는 "라트비아 인민의 문화적·역사적 심볼에 대해" 결의를 채택하여, 공적인 행사에서 흰색 줄무늬가 있는 짙은 적색 깃발의 사용을 인정했다.[4] 1989년 7월 28일, 라트비아 공화국 최고 회의는 라트비아의 주권 선언을 채택했고, 1990년 2월 15일에는 1940년 당시의 국기·국장·국가가 부활했다.[4]

같은 해 5월 4일, 최고 회의는 라트비아의 독립 회복 선언을 채택하고 국명을 "라트비아 공화국"으로 개칭했다.[4] 1991년 8월 21일 최고 회의는 라트비아의 완전한 독립을 선언한 새 헌법을 채택했다.[4] 소련 시대의 깃발은 1990년 2월 27일, 라트비아 국기가 다시 도입되면서 공식적으로 대체되었으며, 2013년부터는 라트비아 SSR 깃발을 공공 행사에서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다.[2]

1990년 2월 27일부터의 국기

2. 1.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이전

최초의 사회주의 라트비아 국가인 라트비아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은 "LSPR"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붉은색 깃발을 사용했다.[5] 1919년 1월 15일에 채택된 헌법은 국기에 대한 기술을 1918년의 러시아 공화국 헌법/러시아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헌법ru에서 완전히 가져온 것이었다.[5] 실제 국기에는 라트비아어로 "L.S.P.R."이라고 표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5]

나치 독일과 소비에트 연방에 의한 발트 3국 점령 당시, 1940년 7월 21일 라트비아 공화국 는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발족을 선언하고, 소비에트 연방 편입을 연방 최고 회의 간부회에 요청했다.[4] 8월 15일 연방 최고 회의 간부회는 이를 수락하여 라트비아 공화국은 소련 구성 공화국이 되었지만, 이 기간 동안은 이전의 흰색 줄무늬가 있는 짙은 적색 기를 계속 사용했다.[4] 그러나, 당시 사진에서는 적기낫과 망치가 들어간 적기가 게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4]

1940년 8월 25일, 제2회 인민 사에이마에서 승인된 라트비아 공화국 헌법 제117조는 국기를 왼쪽 상단에 금색 낫과 망치를, 그 위에 금색 문자를 표시한 적기로 규정했다.[4] 깃발의 높이에 대한 폭의 비율은 1:2였다. 1941년 9월 6일, 라트비아 공화국 최고 회의 간부회는 "라트비아 SSR의 국장과 국기에 대해" 법령을 승인하고, 세칙을 정했다.[4] 문장의 이미지는 1942년 10월 25일 신문에 공포되었다.[4]

|200px|center|thumb| 1940년 8월 25일부터 1953년 1월 17일까지의 국기]]

1953년 이후의 국기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에서 다룬다.

2. 2.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40-1990)

1940년 8월 25일부터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는 붉은색 바탕에 왼쪽 상단에는 금색 낫과 망치가 있었고, 그 위에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금색 세리프체로 "LPSR"(''Latvijas Padomju Sociālistiskā Republika'')이 적혀 있었다.[4] 1940년 7월 21일 라트비아 공화국 인민 사에이마/Tautas Saeimalv는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발족을 선언하고, 소비에트 연방 편입을 연방 최고 회의 간부회에 요청했다.[4] 8월 15일 연방 최고 회의 간부회는 이를 수락하여 라트비아 공화국은 소련 구성 공화국이 되었지만, 이 기간 동안 국기는 이전부터 사용하던 흰색 줄무늬가 있는 짙은 적색 기에서 변경되지 않았다.[4] 하지만, 당시 증언과 사진에서는 건물이나 광장에 적기낫과 망치가 들어간 적기가 게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4]

같은 달 25일 제2회 인민 사에이마에서 승인된 새로운 라트비아 공화국 헌법 제117조는 국기에 대해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는 왼쪽 상단에 금색 낫과 망치를, 그 위에 금색 문자를 표시한 적기로 한다. 높이에 대한 폭의 비율은 1:2로 한다"고 규정했다.[4] 1941년 9월 6일, 라트비아 공화국 최고 회의 간부회는 "라트비아 SSR의 국장과 국기에 대해" 법령을 승인하고, 세칙을 정했다.[4]

1953년 1월 17일, 최고 회의 간부회령에 의해 헌법 제117조의 국기에 관한 조항이 개정되었다.[4] 새로운 국기는 5가지 색상의 수평 띠로 구성되었으며, 상단의 적색 띠는 깃발 높이의 3분의 2를, 2개의 흰색 띠와 2개의 청색 띠를 교대로 배치한 물결 모양의 띠는 바다를 나타내며 깃발 높이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적색 띠의 왼쪽 상단에는 금색 낫과 망치, 금색 테두리를 가진 오각별이 표시되었다.[4]

1967년 2월 28일 승인된 최고 회의 간부회령과 같은 해 4월 10일 승인된 법령에 의해 국기에 대한 세칙이 정해졌다.[4] 1981년 4월 27일 승인된 최고 회의 간부회령에 의해 국기 뒷면에는 오각별과 낫과 망치를 표시하지 않도록 규정되었다.[4]

{{multiple image

| align = center

| footer = 1953년 1월 17일부터 1990년 2월 27일까지의 국기( 오른쪽 뒷면은 1981년 4월 27일부터)

| width = 200

| image1 = Flag of Latvian SSR.svg

| image2 = Flag of the Latvian Soviet Socialist Republic (reverse).svg

}}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인 1988년 9월 29일, 최고 회의 간부회는 "라트비아 인민의 문화적·역사적 심볼에 대해" 결의를 채택하여, 공적인 행사에서 흰색 줄무늬가 있는 짙은 적색 깃발의 사용을 인정했다.[4] 1989년 7월 28일, 라트비아 공화국 최고 회의는 라트비아의 주권 선언을 채택했고, 1990년 2월 15일에는 1940년 당시의 국기·국장·국가가 부활했다.[4]

같은 해 5월 4일, 최고 회의는 라트비아의 독립 회복 선언을 채택하고 국명을 "라트비아 공화국"으로 개칭했다.[4] 1991년 8월 21일 최고 회의는 라트비아의 완전한 독립을 선언한 새 헌법을 채택했다.[4] 소련 시대의 깃발은 1990년 2월 27일, 라트비아 국기가 다시 도입되면서 공식적으로 대체되었으며, 2013년부터는 라트비아 SSR 깃발을 공공 행사에서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다.[2]

3. 변천

나치 독일과 소비에트 연방에 의한 발트 3국 점령 당시인 1940년 7월 21일, 라트비아 공화국 인민 사에이마는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발족을 선언하고, 소비에트 연방 편입을 연방 최고 회의 간부회에 요청했다.[4] 같은 해 8월 15일, 연방 최고 회의 간부회는 이를 수락하여 라트비아 공화국은 소련 구성 공화국이 되었지만, 이 기간 동안 국기는 이전의 흰색 줄무늬가 있는 짙은 적색 기에서 변경되지 않았다.[4] 그러나 당시 증언과 사진에서는 건물이나 광장에 적기낫과 망치가 들어간 적기가 게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4]

같은 달 25일, 제2회 인민 사에이마에서 승인된 새로운 라트비아 공화국 헌법 제117조는 국기에 대해 "왼쪽 상단에 금색 낫과 망치를, 그 위에 금색 문자를 표시한 적기로 한다. 높이에 대한 폭의 비율은 1:2로 한다"고 규정했다.[4] 다음 해 9월 6일, 라트비아 공화국 최고 회의 간부회는 "라트비아 SSR의 국장과 국기에 대해" 법령을 승인하고, 세칙을 정했다.[4] 문장 이미지는 다음 해 10월 25일 신문에 공포되었다.[4]

1953년 1월 17일, 최고 회의 간부회령에 의해 헌법 제117조의 국기 조항이 개정되었다.[4] 새 국기는 5가지 색상의 수평 띠로 구성되었는데, 상단의 적색 띠는 깃발 높이의 3분의 2를, 2개의 흰색 띠와 2개의 청색 띠를 교대로 배치한 물결 모양의 띠는 바다를 나타내며 깃발 높이의 3분의 1을 차지했다.[4] 적색 띠 왼쪽 상단에는 금색 낫과 망치, 금색 테두리를 가진 오각별이 표시되었다.[4]

1967년 2월 28일 승인된 최고 회의 간부회령과 같은 해 4월 10일 승인된 법령에 의해 국기 세칙이 정해졌다.[4] 물결 모양 띠는 바다를 나타내는 5개의 타원형 파도를 형성하며, 낫과 망치, 오각별의 크기와 위치 등이 규정되었다.[4]

1981년 4월 27일, 최고 회의 간부회령에 의해 국기 뒷면에 오각별과 낫과 망치를 표시하지 않도록 규정되었고, 국기는 내륙 수송선 선미 깃발 및 라트비아 공화국 고위 관리가 탑승한 배의 공식 깃발로도 사용되도록 규정되었다.[4]

{{multiple image

| align = center

| footer = 1953년 1월 17일부터 1990년 2월 27일까지의 국기( 오른쪽 뒷면은 1981년 4월 27일부터)

| width = 200

| image1 = Flag of Latvian SSR.svg

| image2 = Flag of the Latvian Soviet Socialist Republic (reverse).svg

}}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인 1988년 9월 29일, 최고 회의 간부회는 "라트비아 인민의 문화적·역사적 심볼에 대해" 결의를 채택하여 흰색 줄무늬가 있는 짙은 적색 깃발 사용을 인정했다.[4] 같은 해 11월 11일, 1940년 이래 처음으로 리가 성 탑 위에 흰색 줄무늬가 있는 짙은 적색 깃발이 게양되었다.[4]

|200px|center|thumb| 1988년에 제안된 깃발]]

1989년 7월 28일, 라트비아 공화국 최고 회의는 라트비아 주권 선언을 채택했고, 1990년 2월 15일에는 1940년 당시의 국기, 국장, 국가를 부활시켰다.[4] 같은 해 5월 4일, 최고 회의는 라트비아 독립 회복 선언을 채택하고 국명을 "라트비아 공화국"으로 개칭했다.[4] 1991년 8월 21일, 최고 회의는 라트비아의 완전한 독립을 선언한 새 헌법을 채택했다.[4]

|200px|center|thumb|1990년 2월 27일부터의 국기]]

4. 갤러리

[3]

참조

[1] 서적 Guide to the Flags of the World
[2] 웹사이트 Latvia Bans Soviet Symbols https://themoscowtim[...] 2013-06-23
[3] 웹사이트 Book by Latvian Vexillologist Aloizs Luksa http://www.heraldicu[...]
[4] 웹사이트 Латвийская ССР http://vexillographi[...] Вексиллография 2018-07-28
[5] 웹사이트 Латвия в 1917-1919 годах http://vexillographi[...] Вексиллография 2018-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