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락검-쏘아이뭇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락검-쏘아이뭇 전투는 1785년 1월, 떠이선 왕조의 응우옌 후에가 이끄는 군대와 시암의 지원을 받은 응우옌 아인 세력 간에 벌어진 전투이다. 응우옌 아인이 떠이선 군에 패배하여 시암으로 망명하자, 시암은 응우옌 아인을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으나, 락검-쏘아이뭇 전투에서 떠이선 군의 기습과 신무기 사용으로 인해 시암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고 패배했다. 이 전투의 결과로 응우옌 아인은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군사력을 강화하여 베트남을 재침공, 응우옌 왕조를 건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락검-쏘아이뭇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전투명락검-쏘아이뭇 전투
다른 이름(베트남어)
(태국어)
ラックガム=ソアイムットの戦い (일본어)
일부떠이선 전쟁 및 시암-베트남 전쟁
전투 기념비 (베트남)
시기1784년 - 1785년
장소띠엔장성의 락검 강과 쏘아이뭇 강 (현재 미토 강 근처, 베트남 남부)
결과떠이선군의 방어적 승리; 시암-캄보디아 군대는 라오스로 퇴각
교전 세력
교전국 1떠이선 왕조
교전국 2라타나코신 왕국 (시암)
캄보디아 왕국
응우옌 왕조
하띠엔 보호국
지휘관 및 지도자
떠이선 왕조응우옌 후에
응우옌 르
쯔엉반다
당반쩐
라타나코신 왕국 및 동맹군크롬 루앙 테파리락
프라야 위칫나롱
프라야 탓사다
짜오프라야 아파이푸벳 (바엔)
응우옌 아인 )로 불렸다.}}
레반주옛
레반꽌
응우옌반탄
응우옌반오아이
막뜨신
병력 규모
떠이선 왕조30,000명 이상의 병력
군함 55척
범선 100척
소형 카누 300척
대포 132문
라타나코신 왕국 및 동맹군시암-캄보디아 해군: 40,000명
시암 보병: 30,000명
군함 300척
응우옌 아인 군대: 3,000–4,000명
피해 규모
떠이선 왕조미상 (상대적으로 적음)
라타나코신 왕조 및 동맹군군함: 거의 전멸
시암-캄보디아 군인: 40,000명 이상 사망
응우옌 군대: 3,200명 사망
기타 정보
관련 전투떠이선 전쟁
시암-베트남 전쟁

2. 배경

1783년 떠이선 군이 사이공을 다시 점령하자, 응우옌 아인은 시암으로 망명하여 라마 1세에게 병력 지원을 요청했다.[20] 1784년, 응우옌 아인의 요청에 따라 시암의 왕 라마 1세는 응우옌 아인을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 시암 왕의 조카인 치에우 탕(昭曾)이 총사령관을, 치에우 스엉(昭霜)이 선봉장을 맡은 2만 명의 수군과 300척의 함선, 그리고 3만 명의 보병으로 구성된 시암군은[20] 캄보디아를 경유하여 메콩강 삼각주 지역으로 진격했다. 시암군은 끼엔장과 짭랍에 상륙하여 껀터를 향해 진격, 락자, 껀터 등을 점령하고 베트남인 정착민들에게 약탈, 방화 등 잔혹 행위를 자행하여 현지인들의 반감을 샀다.[20]

시암군은 초기에는 승리했지만, 떠이선 군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했다. 장문다(張文多)는 시암-응우옌 연합군에 맞서 용감하게 싸웠으며, 11월 30일에는 만 팃 강에서 시암 장군 탓 시 다(Thát Xỉ Đa)에게 부상을 입히기도 했다.

2. 1. 시암의 개입

1783년 떠이선 군이 사이공을 다시 점령하자, 응우옌 아인은 시암으로 망명하여 라마 1세에게 병력 지원을 요청했다.[20] 1784년, 응우옌 아인의 요청에 따라 시암의 왕 라마 1세는 응우옌 아인을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 시암 왕의 조카인 치에우 탕(昭曾)이 총사령관을, 치에우 스엉(昭霜)이 선봉장을 맡은 2만 명의 수군과 300척의 함선, 그리고 3만 명의 보병으로 구성된 시암군은[20] 캄보디아를 경유하여 메콩강 삼각주 지역으로 진격했다. 시암군은 끼엔장과 짭랍에 상륙하여 껀터를 향해 진격, 락자, 껀터 등을 점령하고 베트남인 정착민들에게 약탈, 방화 등 잔혹 행위를 자행하여 현지인들의 반감을 샀다.[20]

시암군은 초기에는 승리했지만, 떠이선 군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했다. 장문다(張文多)는 시암-응우옌 연합군에 맞서 용감하게 싸웠으며, 11월 30일에는 만 팃 강에서 시암 장군 탓 시 다(Thát Xỉ Đa)에게 부상을 입히기도 했다.

3. 전황

응우옌후에가 이끄는 떠이선군은 1785년 1월경 꾸이년에서 남쪽으로 진격하여 코친차이나 영토에 도착했다. 응우옌후에는 사덱의 강력한 시암군에 대한 직접 공격을 피하고 함정을 설치하고자 했다.[20] 그는 미토에 사령부를 설치하고, 시암군의 기동을 예측하여 은밀하게 보병과 포병을 메콩강(현재 띠엔장의 락검-쏘아이뭇 지역) 연안과 강 중앙의 일부 섬에 배치하여 북쪽 강둑의 다른 부대와 마주보게 했고, 이렇게 배치된 양측 보병 병력이 수군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20][8]

1785년 1월 19일 아침, 응우옌후에는 휴전기(休戰旗)를 내건 소규모 수군 병력을 보내 시암군을 함정으로 유인했다. 계속된 승리로 시암군은 자신만만해 있었고,[22] 교섭을 위해 함정을 모르는 채로 나아갔다. 이때 응우옌후에의 전함이 무대비 상태의 시암 병력을 향해 신속하게 달려들어 시암군을 진퇴양난에 빠뜨렸다. 그사이 떠이선 포병대는 포격을 시작했다.[23] 1월 20일 아침, 크롬 루앙 테파리락(치에우 탕)과 시암 주력 부대는 후에의 사령부가 있는 미토를 공격하기 위해 짜 떤을 떠났다. 레 반 꽌이 이끄는 응우옌 군주의 해군은 선두를 맡도록 명령받았다. 선봉 해군이 락검 강에 도달하고 후방 해군이 쏘아이뭇 강에 도달했을 때, 응우옌 후에의 배는 준비되지 않은 시암군에 돌진하여 전진하거나 후퇴하는 것을 막았다.[16]

떠이선 군은 화호신공(火虎神功, 불타는 호랑이 대포)과 같은 신무기를 사용하여 시암 군함에 큰 피해를 입혔다.[17] 시암군은 떠이선 군의 기습 공격과 지리적 불리함으로 인해 큰 혼란에 빠졌고, 대부분의 병력과 군함을 잃고 패퇴하였다.

전투 결과 시암군은 거의 전멸에 가까운 타격을 입었다. 베트남 측 자료에 의하면, 시암 측의 모든 전함이 파괴되었고 시암 원정군 중 2-3천 명만이 살아서 메콩 강을 건너 시암으로 도망쳤다고 한다.[23][16] 치에우 탕(테파리락)과 치에우 쑤엉은 미토 강 북쪽 강둑에 상륙한 다음 캄보디아를 거쳐 꽝호아에 도착하여 1785년 3월 방콕에 도착했다.[16] 응우옌아인과 식솔들은 도망쳐 나중에 시암으로 갔다.[23] 라마 1세는 시암 해군이 패배했다는 정보를 받고 시암 군인을 구출하기 위해 수십 척의 배를 보냈다. 생존자는 만 명에 불과했다. 해군이 거의 전멸했을 때, 응우옌 아인은 10여 명의 사람들과 함께 쩐장(껀터)으로 탈출하여 막 뜨 싱을 만나 세 척의 배를 타고 하 티엔으로 갔다. 하 티엔에서 응우옌 아인은 해군의 잔여 병력을 모아 푸로 판장으로 도망친 다음 코 굿으로 도망쳐 마침내 1787년 8월까지 망명한 방콕에 도착했다.[18][19]

전투의 무기 잔해

3. 1. 락검-쏘아이뭇 전투

응우옌후에가 이끄는 떠이선군은 1785년 1월경 꾸이년에서 남쪽으로 진격하여 코친차이나 영토에 도착했다. 응우옌후에는 사덱의 강력한 시암군에 대한 직접 공격을 피하고 함정을 설치하고자 했다.[20] 그는 미토에 사령부를 설치하고, 시암군의 기동을 예측하여 은밀하게 보병과 포병을 메콩강(현재 띠엔장의 락검-쏘아이뭇 지역) 연안과 강 중앙의 일부 섬에 배치하여 북쪽 강둑의 다른 부대와 마주보게 했고, 이렇게 배치된 양측 보병 병력이 수군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20][8]

1785년 1월 19일 아침, 응우옌후에는 휴전기(休戰旗)를 내건 소규모 수군 병력을 보내 시암군을 함정으로 유인했다. 계속된 승리로 시암군은 자신만만해 있었고,[22] 교섭을 위해 함정을 모르는 채로 나아갔다. 이때 응우옌후에의 전함이 무대비 상태의 시암 병력을 향해 신속하게 달려들어 시암군을 진퇴양난에 빠뜨렸다. 그사이 떠이선 포병대는 포격을 시작했다.[23] 1월 20일 아침, 크롬 루앙 테파리락(치에우 탕)과 시암 주력 부대는 후에의 사령부가 있는 미토를 공격하기 위해 짜 떤을 떠났다. 레 반 꽌이 이끄는 응우옌 군주의 해군은 선두를 맡도록 명령받았다. 선봉 해군이 락검 강에 도달하고 후방 해군이 쏘아이뭇 강에 도달했을 때, 응우옌 후에의 배는 준비되지 않은 시암군에 돌진하여 전진하거나 후퇴하는 것을 막았다.[16]

떠이선 군은 화호신공(火虎神功, 불타는 호랑이 대포)과 같은 신무기를 사용하여 시암 군함에 큰 피해를 입혔다.[17] 시암군은 떠이선 군의 기습 공격과 지리적 불리함으로 인해 큰 혼란에 빠졌고, 대부분의 병력과 군함을 잃고 패퇴하였다.

전투 결과 시암군은 거의 전멸에 가까운 타격을 입었다. 베트남 측 자료에 의하면, 시암 측의 모든 전함이 파괴되었고 시암 원정군 중 2-3천 명만이 살아서 메콩 강을 건너 시암으로 도망쳤다고 한다.[23][16] 치에우 탕(테파리락)과 치에우 쑤엉은 미토 강 북쪽 강둑에 상륙한 다음 캄보디아를 거쳐 꽝호아에 도착하여 1785년 3월 방콕에 도착했다.[16] 응우옌아인과 식솔들은 도망쳐 나중에 시암으로 갔다.[23] 라마 1세는 시암 해군이 패배했다는 정보를 받고 시암 군인을 구출하기 위해 수십 척의 배를 보냈다. 생존자는 만 명에 불과했다. 해군이 거의 전멸했을 때, 응우옌 아인은 10여 명의 사람들과 함께 쩐장(껀터)으로 탈출하여 막 뜨 싱을 만나 세 척의 배를 타고 하 티엔으로 갔다. 하 티엔에서 응우옌 아인은 해군의 잔여 병력을 모아 푸로 판장으로 도망친 다음 코 굿으로 도망쳐 마침내 1787년 8월까지 망명한 방콕에 도착했다.[18][19]

4. 결과 및 영향

4. 1. 전투 이후 응우옌 아인의 행보

응우옌 아인과 식솔들은 락검-쏘아이뭇 전투에서 패배한 후 시암으로 도망쳤다.[23] 시암에서 그는 피뇨 드 베엔을 만나 프랑스의 지원을 받는 데 성공하였다. 이후 프랑스의 원조를 받아 군사력을 강화하고, 떠이선 왕조의 내분을 틈타 베트남을 재침공, 1802년 베트남 통일에 성공하고 응우옌 왕조를 건국했다.

5. 평가

5. 1. 베트남의 관점

5. 2. 한국의 관점

참조

[1] 서적 พระราชพงศาวดารกรุงรัตนโกสินทร์ รัชกาลที่ 1
[2] 간행물 Tương quan Xiêm-Việt cuối thế kỷ XVIII
[3] 서적 พระราชพงศาวดารกรุงรัตนโกสินทร์ รัชกาลที่ 3 ไทยควอลิตี้บุ๊คส์
[4] 웹사이트 Tương quan Xiêm – Việt cuối thế kỷ 18 http://www.vjol.info[...] 2018-12-03
[5] 웹사이트 Tương quan Xiêm – Việt cuối thế kỉ XVIII https://nghiencuulic[...]
[6] 웹사이트 Quang Trung - Nguyễn Huệ với chiến thuật nghi binh, dụ địch https://web.archive.[...] 2021-02-14
[7] 웹사이트 Về Tiền Giang nhớ Rạch Gầm - Xoài Mút - Giáo dục Việt Nam https://giaoduc.net.[...] 2017-01-19
[8] 문서 Tucker, p. 15
[9] 문서 Clodfelter, p. 7
[10] 문서 Dutton, p. 45–46
[11] 문서 Việt Nam sử lược
[12] 서적 พระราชพงศาวดารกรุงรัตนโกสินทร์ รัชกาลที่ 1 2017-01-20
[13] 서적 พระราชพงศาวดารกรุงรัตนโกสินทร์ รัชกาลที่ 1 2017-01-20
[14] 간행물
[15] 웹사이트 Tay Son Uprising (1771-1802) In Vietnam: Mandated By Heaven? https://www.research[...] Research Gate 2019-02-07
[16] 문서 Tucker, p.16
[17]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6 volumes]: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ABC-CLIO 2009-12-23
[18]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Vietnam War: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2nd Edition [4 volumes]: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5-20
[19] 웹사이트 The art of combining naval - ground warfare in the battle of Rach Gam – Xoai Mut (1875) http://tapchiqptd.vn[...] National Defence Journal 2015-01-27
[20] 서적 Vietnam 켄터키 대학 출판부
[21] 서적 Vietnam in Military Statistics: A History of the Indochina Wars, 1772-1991 McFarland & Company
[22] 서적 The Tây Sơn uprising: society and rebellion in eighteenth-century Vietnam https://archive.org/[...] 하와이 대학 출판부
[23] 문서 Tucker, 16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