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반주옛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반주옛은 1763년 또는 1764년 베트남 남부에서 태어난 응우옌 왕조의 장군이자 만다린이다. 그는 응우옌 아잉 휘하에서 장군으로 활약하며 떠이선 왕조에 대항했고, 1802년 자롱 황제가 즉위한 후 북부 베트남 정벌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이후 코친차이나의 총독으로 임명되어 캄보디아를 통치하고 남부 지역의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민망 황제와의 갈등으로 사후에 묘가 훼손되는 등 박해를 받았다. 그는 사후 복권되었고, 현재까지도 남부 베트남에서 존경받는 인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띠엔장성 출신 - 즈엉반민
즈엉반민은 응오딘지엠 정권 축출 쿠데타를 주도하고 베트남 공화국의 마지막 대통령으로서, 사이공 함락 직전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여 베트남 전쟁을 종식시킨 인물이다. - 응우옌 주의 장군 - 보지응우이
보 지 응우이는 트어티엔푸방 출신으로 응우옌푹투언 시기에 중수선을 관리했으며, 자딘으로 피신 후 응우옌푹아인에게 중군해기 관직을 받아 수군을 모집했다. - 응우옌 주의 장군 - 응우옌흐우까인
응우옌흐우껀은 17세기 후반 남부 베트남 개척에 공헌하고 사이공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영웅으로, 응우옌 푹 쭈의 명을 받아 자딘 지역을 개발하고 인구를 늘렸으며, 도로, 운하 건설과 상업 장려를 통해 사후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2. 초기 생애
레 반 주옛은 1763년[3] 또는 1764년 베트남 최남단 메콩 삼각주의 지방 도시인 딘뜨엉 (현재의 띠엔장)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평범한 농부였으며, 조상은 응우옌씨 정권의 남진 정책 시기에 베트남 중부의 꽝응아이 성에서 남쪽으로 이주해 왔다.[6] 주옛은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에는 물소를 돌보았다.[3] 그의 가족은 "새로운 남쪽"의 가능성에 이끌려 이후 지아딘 성으로 이주했다.[3]
1780년, 레반주옛은 18세의 간성[7]으로, 1777년 떠이선 형제들의 봉기로 남부 베트남을 빼앗긴 응우옌 영주 가문의 최고 연장자 응우옌 아잉 휘하로 들어갔다. 당시 응우옌 아잉은 소수의 충성파와 함께 남쪽 메콩 삼각주 정글로 피신한 상태였다. 응우옌 아잉은 레반주옛을 자신의 경호대인 ''까이 끄''("지휘관")로 임명했다.[8] 1777년부터 떠이선과 응우옌 사이의 군사적 균형은 계속 변동했다.[9]
1802년부터 1812년까지 레 반 주옛은 새로운 황도 후에와 안남(베트남 중부)에서 고위 장군으로 복무했다. 1812년, 자롱 황제는 그를 자딘의 총독으로 임명했다. 이 직책은 당시 코친차이나(베트남 남부)뿐만 아니라 캄보디아까지 관할하는 막중한 자리였다.[23] 총독으로서 레 반 주옛은 소송 판결, 관리 임면 등 상당한 자율권을 행사했다.[26] 자롱 황제는 남부 출신인 주옛과 그의 동료들을 신뢰하여 주요 직책에 임명했고, 이는 주옛이 남부에서 강력한 지지 기반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16] 그는 또한 새로 유입된 중국계 난민이나 과거 반란 가담자 중 유능한 인물을 등용하여 사회 통합을 도모하고 응우옌 왕조의 지지 기반을 넓히려 노력했다.[17][18]
3. 응우옌 아인 휘하의 장군
1782년, 떠이선 군대가 다시 지아딘(훗날 사이공, 현재의 호찌민시)을 공격하자 응우옌 아잉은 레반주옛의 호위 아래 푸꿕 섬으로 피신해야 했다. 지아딘은 이후 여러 차례 주인이 바뀌었다.[8] 1787년부터 레반주옛은 직접 병사들을 모집하여 자신의 부대를 조직하고 지휘하기 시작했다.[10]
1788년, 프랑스 가톨릭 사제 피뇨 드 베엔이 프랑스 군 장교들을 모집하여 응우옌 아잉을 지원하면서 전세는 응우옌 측에 유리하게 돌아섰다. 피뇨 드 베엔은 응우옌 아잉이 권력을 잡으면 가톨릭에 특권을 주기를 기대했다. 같은 해 응우옌 아잉은 지아딘을 탈환하여 다시는 빼앗기지 않았고,[9] 이곳을 요새로 삼아 떠이선을 몰아내기 위한 거점으로 삼았다.[11]
1789년, 응우옌 아잉은 레반주옛을 장군으로 임명했다. 이후 레반주옛은 떠이선에 맞선 여러 군사 작전에 참여하며, 주로 남중부 해안의 냐짱과 꾸이년 근처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활약했다.[12]
1801년, 레반주옛은 티나이 해전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 승리는 전쟁의 전환점이 되어 떠이선 세력 약화의 계기가 되었다. 같은 해, 동료 장수 통 비엣 푹이 떠이선과의 전투에서 전사하자 레반주옛은 크게 분노하여 마주치는 적군을 무자비하게 죽였고, 이에 응우옌 아잉에게 질책을 받기도 했다.[58] 얼마 후, 응우옌 아잉은 떠이선 주력군이 보딴의 꾸이년 포위전 참전으로 부재한 틈을 타 수도 푸쑤언을 공격했다. 그러나 푸쑤언 입구인 뚜둥 해상 관문에서 강력한 저항에 부딪혔다.[13] 정면 공격이 어렵다고 판단한 응우옌 아잉은 레반주옛에게 해군을 이끌고 후방을 공격하도록 명령했다.[14] 레반주옛과 부관 레 챗은 떠이선 군대를 격파하고 지휘관 응우옌 반 찌를 패주시킴으로써 푸쑤언 성채 공격의 길을 열었다.[14]
1802년, 푸쑤언(후에)을 점령한 응우옌 아잉은 자롱 황제로 즉위하고, 레반주옛에게 ''캄 사이 쯔엉 따 꽌 딘 빈 떠이 쯩 꽌'' ("국왕 좌익 사령관, 떠이선 평정 장군") 직위를 내리며 북부 베트남 정벌을 명했다. 1802년 10월, 레반주옛은 북부를 성공적으로 점령하고 그 지역 이름을 ''박하'' ("북쪽 강")에서 ''박탄'' ("북쪽 성채")으로 바꾸어 응우옌 왕조의 최종 승리를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10][15]
레반주옛의 군사적 능력과 전략은 피뇨 드 베엔이 도입한 프랑스 군사 기술과 더불어 응우옌 아잉의 승리와 응우옌 왕조 건국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9]
4. 응우옌 왕조의 만다린
총독 재임 기간 동안 레 반 주옛은 여러 중요한 군사 및 행정 활동을 이끌었다. 특히 1813년에는 시암(태국)의 지원을 받은 반란으로 축출된 캄보디아 왕 앙 찬을 복위시키고 캄보디아에 대한 베트남의 영향력을 강화했다.[23][19] 그의 효과적인 통치 덕분에 남부 지역은 안정을 되찾았고, 백성들은 그에게 존경의 의미를 담아 "동나이의 흰 호랑이"라는 별명을 붙였다.[20] 또한 자롱 황제의 신임을 받아 유럽 상인이나 외교 사절과 황제 사이의 주요 소통 창구 역할도 수행했다.[21]
1815년 베트남 중부,[25] 1819년 북부 응에안과 탄화 지역의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까오방 출신의 전 반란 지도자 레 반 코이를 만나 양자로 삼기도 했다.[10] 자롱 황제 통치 말년에는 조정 최고위직에 올랐으며, 황제의 임종을 지킨 두 사람 중 한 명이기도 했다.[24]
자롱의 뒤를 이은 민망 황제는 1820년에 레 반 주옛을 남부 총독으로 재임명하고, 외국 무역 감독권, 캄보디아 징세권 등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며 그의 영향력을 인정했다.[25][26] 두 번째 총독 임기 동안 그는 지역 크메르족의 반란을 진압하고 중요한 수로인 빈테 운하 건설을 감독하는 등 남부 지역의 안정과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했다.[25][27][28] 민망 황제는 그의 공로를 높이 사 황족이나 최고 공신에게 주어지는 옥 허리띠를 하사하고 그의 양자에게 공주를 아내로 맞게 해주었다.[24]
한편, 레 반 주옛은 궁중 정치의 갈등에도 연루되었다. 북부 총독 응우옌 반 탄 장군과 치열한 경쟁 관계에 있었으며,[10] 1824년에는 전 태자 까잉의 부인을 근친상간 혐의로 고발하여 처형시키는 사건을 주도했다. 이는 까잉 왕자 후손의 왕위 계승 가능성을 차단하는 결과를 낳았다.[24] 한국의 역사학자 최병욱은 이 사건을 레 반 주옛이 민망 황제에게 충성을 보인 극적인 사례로 평가하기도 했다.[24]
4. 1. 캄보디아 문제
1812년, 자롱 황제는 레 반 주옛을 자딘의 총독으로 임명했다. 당시 자딘 총독은 코친차이나 (베트남 남부)뿐만 아니라 캄보디아까지 관할하는 중요한 자리였다.[23] 베트남이 떠이선 반란 시기에 내전으로 혼란스러울 때, 캄보디아는 시암(현재의 태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응우옌 왕조가 건국된 후, 캄보디아의 앙 찬 왕은 베트남에 보호를 요청했고, 이에 따라 캄보디아는 베트남의 조공국이 되었다. 자딘 총독은 응우옌 황제를 대신하여 캄보디아를 관리하는 역할을 맡았다.[23]
1812년, 캄보디아에서는 앙 찬 왕의 동생이 시암의 지원을 받아 반란을 일으켜 왕위를 빼앗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앙 찬 왕은 자딘으로 피신해야 했다. 1813년, 레 반 주옛은 자롱 황제의 승인을 얻어 10,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캄보디아로 진격하여 시암 군대를 몰아냈다. 그는 앙 찬 왕을 다시 왕위에 앉혔으며, 캄보디아에 대한 베트남의 영향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남 방(Nam Vang)과 라 리엠(Lô-yêm) 두 곳에 요새를 건설했다.[19] 이 조치로 캄보디아는 공식적으로 베트남의 보호령이 되었고, 레 반 주옛의 위상 또한 높아졌다.[23][19]
캄보디아에 대한 보호령이 확립된 이후에도 레 반 주옛은 시암을 견제하기 위한 강경한 외교 정책을 주장했다. 그는 시암에 맞서기 위해 버마와의 동맹을 옹호했으며, 베트남이 시암을 격파하고 동남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이기도 했다.[22]
자롱의 뒤를 이은 민망 황제는 1820년에 레 반 주옛을 다시 남부 베트남과 캄보디아의 총독으로 임명했다.[25] 민망 황제는 레 반 주옛에게 캄보디아에서의 세금 징수권과 재량에 따른 수출입세 징수권 등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여 그의 영향력을 강화했다.[26] 총독으로 재임하는 두 번째 기간 초기에 레 반 주옛은 지역 크메르족의 반란을 성공적으로 진압하고, 만 명의 새로운 납세자를 확보하여 조정에 상당한 수입을 가져다주었다.[25][27] 이러한 활동을 통해 레 반 주옛은 캄보디아에 대한 베트남의 지배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4. 2. 남부 통치와 경제 발전
1802년부터 1812년까지 후에와 안남(베트남 중부)에서 고위 장군으로 복무한 레 반 주옛은 1812년, 자롱 황제에 의해 자딘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자딘 총독은 코친차이나(베트남 남부)뿐만 아니라 캄보디아까지 관할하는 막강한 자리였다. 떠이선 반란 이후 응우옌 왕조가 건국되면서 캄보디아는 베트남의 조공국이 되었고, 자딘 총독은 황제를 대신하여 캄보디아를 관리했다.[23]
총독의 직위는 상당한 권한을 가졌는데, 북부 총독의 경우 "소송을 결정하고, 자신의 의지대로 관리를 임명하고 해임하는 권한"을 포함했으며, 사후 보고만으로도 충분했다.[26] 자롱 황제는 남부 출신인 레 반 주옛과 그의 동료들을 신뢰하여 총독의 주요 부관들을 모두 지역 출신으로 임명했다. 이는 레 반 주옛이 남부 지역에서 강력한 지지 기반을 구축하고 효과적으로 통치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16] 그는 또한 명나라 멸망 후 피난 온 중국 난민이나 전직 반란군 및 강도들 중에서도 자격이 있다면 행정직에 임명하여 사회 통합을 꾀하고 응우옌 왕조의 지지 기반을 넓히려 노력했다.[17][18] 당시 제도에 따라 군사 총독은 오랫동안 지휘해 온 부대와 함께 이동했기에 부하들의 충성심을 확보할 수 있었다.[23]
1813년, 레 반 주옛은 시암의 지원을 받은 캄보디아 왕족의 반란으로 쫓겨난 앙 찬 왕을 돕기 위해 1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캄보디아로 진격했다. 그는 시암군을 몰아내고 앙 찬을 복위시켰으며, 캄보디아 내에 베트남의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남 방과 라 리엠[19] 두 개의 요새를 건설했다. 이로써 캄보디아는 사실상 베트남의 보호령이 되었고 레 반 주옛의 위상은 더욱 높아졌다.[23][19] 그의 효과적인 통치 덕분에 남부 지역은 안정을 되찾았고, 백성들은 그에게 '동나이의 흰 호랑이'(Cọp Gấm Đồng Nai)라는 별명을 붙였다.[20] 그는 자롱 황제의 신임을 받아 유럽 상인 및 외교 사절과 황제 사이의 소통 창구 역할도 수행했다.[21] 1820년대 초에는 무기 구매를 위해 영국에 대표단을 파견하기도 했으나, 폭풍으로 인해 버마에 표류하여 실패했다. 그는 캄보디아 보호령 확립 이후에도 시암에 대항하기 위해 버마와의 동맹을 주장하는 등 강경한 외교 정책을 지지했다.[22]
1815년에는 베트남 중부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소환되었고,[25] 1819년에는 북부 응에안과 탄화 지역의 반란을 진압했다. 이 과정에서 까오방 출신의 전 반란 지도자였던 레 반 코이를 만나 그를 양자로 삼고 조정에 합류시켰다.[10] 레 반 코이는 이후 자딘에서 고위직에 임명되었다.[23]
1820년, 자롱의 뒤를 이은 민망 황제는 레 반 주옛을 남부 총독으로 재임명하며 그의 권한을 더욱 강화했다.[25] 황제는 그에게 남부 지역으로 들어오는 모든 외국 무역을 감독하고, 캄보디아에서 세금을 징수하며, 수출입 관세를 재량껏 부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이는 레 반 주옛에게 비옥한 농업 지역과 풍부한 목재 자원,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토지 개발에 대한 통제권을 안겨주었다. 당시 남부 지역은 베트남인의 이주와 개간, 토지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던 곳이었다.[26]
두 번째 총독 임기 동안 레 반 주옛은 지역 크메르족의 반란을 진압하고 만 명의 새로운 납세자를 확보하여 조정의 재정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또한 베트남 남부의 중요한 수로인 빈테 운하 개수 작업을 감독했다. 그의 노력 덕분에 남부 지역의 불안과 범죄 활동이 억제되고 외국과의 무역이 활발해졌다.[25][27] 이러한 업적들은 베트남 남부를 안정시키고 부유하며 평화로운 지역으로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28] 민망 황제는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황족이나 최고 공신에게 하사하는 옥 허리띠를 선물하고, 그의 양자에게 공주를 아내로 맞이하게 했다.[24]
레 반 주옛은 엄격하고 다혈질이지만 공정하다는 평을 받아 백성들에게 두려움과 존경을 동시에 받았다.[57] 그는 격식에 얽매이지 않는 태도를 보였으며, 이는 유교적 질서를 중시했던 민망 황제 시대의 조정 분위기와는 다소 맞지 않았다.[62] 1824년 수도를 방문한 후, 그는 조정의 분위기가 자신과 맞지 않음을 느끼고 동료에게 "우리는 군인 출신이라 솔직하고 빠른 행동에 익숙하여 때때로 예법을 어기곤 한다. 그들과는 다르니 실수를 피하기 위해 물러나는 것이 낫겠다"고 토로하기도 했다.[62] 그와 동료 남부 장군 레 챗은 사임을 청했으나 황제는 이를 거절했고, 결국 레 반 주옛은 다시 남부로 돌아가 총독직을 수행했다.[63]
5. 민망 황제와의 갈등
레반주옛과 민망 황제 사이에는 상당한 긴장 관계가 존재했다. 이러한 갈등의 뿌리는 자롱 황제의 후계자 선정 과정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자롱 황제는 본래 장남인 까인 태자의 아들을 후계자로 염두에 두었으나, 까인 태자가 일찍 사망하고 그의 아들이 가톨릭교로 개종하여 유교 전통을 멀리하자, 강한 성격과 서양에 대한 보수적 입장을 가진 둘째 아들 민망을 1816년 후계자로 지명했다.[31][32] 레반주옛은 이러한 자롱의 결정에 반대했던 여러 고위 관료 중 한 명이었다.[33] 그는 까인 태자의 아들을 지지했으며, 남부의 그의 측근들 역시 기독교에 비교적 호의적이었기에 가톨릭 공동체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34]
민망 황제는 전통적인 유교 질서를 중시하고 고립주의적 성향을 보인 반면, 레반주옛은 보다 실용적인 입장을 취했다. 역사가 마크 맥레오드(Mark McLeod)는 레반주옛이 선비 관료 출신이 아니었고 고전 유교 교육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전통보다는 군사적 필요성에 더 집중했으며, 서구 문물 도입의 사회적 파장보다는 서양과의 관계를 통해 무기를 확보하는 데 더 관심을 가졌을 것이라고 분석했다.[34] 이러한 근본적인 입장 차이는 여러 정책 분야에서 충돌을 야기했다.
주요 갈등 지점은 다음과 같다.
- '''가톨릭 문제''': 민망 황제는 가톨릭을 "이단 교리"로 규정하고 탄압하려 했으나, 레반주옛은 과거 응우옌 왕조 건국 과정에서 서양 세력과 선교사들의 도움을 받았던 점을 상기시키며 황제의 명령을 거부하고 남부 지역의 가톨릭 신자들과 서양인들을 보호했다.[37][38][39] (자세한 내용은 #가톨릭 문제 참조)
- '''전직 반군 등용 문제''': 레반주옛은 떠이선 출신 장교나 반군들을 실용적인 이유로 등용하고자 했으나, 민망 황제는 유교적 질서에 어긋난다며 이를 반대했다.[43][44] (자세한 내용은 #전직 반군 등용 문제 참조)
- '''중국 이민자 문제''': 레반주옛은 남부 지역 개발과 무역 활성화를 위해 중국 이민자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세금 감면 등의 혜택을 주려 했으나, 민망 황제는 불법 무역(쌀 밀수출, 아편 밀수입)과 중국 세력의 과도한 영향력을 우려하며 이를 규제하려 했다.[45][47][48][49] (자세한 내용은 #중국 이민자 문제 참조)
이러한 갈등 속에서 민망 황제는 남부에서 막강한 자율권을 누리는 레반주옛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점진적인 조치를 취했다. 황제는 레반주옛의 측근들을 다른 지역으로 보내거나[54], 중앙에서 파견한 관리를 통해 그의 권한을 견제하려 시도했다.[53][54] 예를 들어, 1823년 레반주옛의 측근인 쩐 녓 빈이 비리 혐의로 고발되자 레반주옛이 이를 막으려 했으나 결국 빈은 북부로 이송되어 투옥되었고, 그 자리는 황제의 측근으로 채워졌다.[52][54] 또한 황제는 레반주옛이 관할하던 캄보디아 보호령 문제에 개입하여 자신의 측근을 임명하고, 레반주옛을 지휘 계통에서 사실상 배제시켰다.[54] 1831년에는 레반주옛의 군사 조직을 해체하고 다른 지역으로 분산시키는 조치를 취했으며, 중앙에서 파견된 민간 관료의 승인 없이는 남부의 보고서가 공식적으로 처리될 수 없도록 하여 그의 권한을 더욱 약화시켰다.[56] 이러한 중앙 정부의 견제는 남부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불만과 지역주의 감정을 점차 고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56]
5. 1. 가톨릭 문제
자롱 황제는 왕위를 되찾는 과정에서 유럽의 지원을 받았고, 이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삐뇨 주교 등 선교사들의 베트남 내 활동을 허용했다.[29] 그러나 그는 전통적인 유교 원칙에 따라 국가를 운영했으며, 베트남 문화의 중요한 부분인 조상 숭배를 비판하는 가톨릭교의 입장에 대해 불편함을 느꼈다. 그의 아들인 태자 까인(Cảnh)은 삐뇨 주교의 영향으로 가톨릭으로 개종한 뒤 조상에게 절하기를 거부하는 등 전통적 가치와 충돌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30]
까인 태자가 천연두로 일찍 사망하자 그의 아들이 왕위를 이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1816년 자롱은 둘째 부인의 아들인 민망을 후계자로 지명했다.[31] 자롱은 민망의 강한 성격과 서양 세력에 대한 보수적인 입장을 높이 평가했으며, 반면 까인의 후손들은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조상 숭배와 같은 유교 전통에서 멀어졌기 때문이다.[32] 자롱은 민망에게 유럽인, 특히 프랑스인을 존중하되 그들에게 어떠한 특권도 부여하지 말라고 당부했다.[31]
민망은 즉위 후 가톨릭에 대한 제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했다.[35] 그는 "가톨릭 종교 금지 칙령"을 반포하여 기독교를 "이단 교리"로 규정하고 탄압의 근거를 마련했다.[35] 민망은 가톨릭이 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분열의 씨앗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으며,[35] 특히 베트남에 입국하는 선교사의 수가 점차 증가하는 상황을 우려했다.[36]
그러나 남부 지역 총독이었던 레반주옛은 민망의 이러한 정책에 정면으로 반대했다. 레반주옛은 자롱의 후계자 선정 과정에서 민망 대신 까인의 아들을 지지했던 주요 인물 중 하나였으며,[33] 그와 남부의 측근들은 기독교에 대해 비교적 관대한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 덕분에 레반주옛은 가톨릭 공동체로부터 상당한 신망을 얻었다.[34] 역사가 마크 맥레오드(Mark McLeod)는 레반주옛이 전통적인 선비 관료 출신이 아니었고 유교 교육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엄격한 전통보다는 군사적 실용성을 더 중시했으며, 서구화가 가져올 사회적 파장보다는 유럽인들로부터 무기를 확보하기 위해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데 더 관심이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34]
이러한 입장 차이로 인해 레반주옛은 민망 황제의 고립주의 및 유교 중심 정책에 맞서 베트남의 가톨릭 신자들과 서양인들을 보호했으며, 황제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37] 민망이 선교사들의 포교 활동을 막기 위해 그들을 수도인 후에로 이동시키라는 칙령을 내렸을 때,[39] 중부와 북부의 관리들은 명령에 복종했지만 레반주옛은 이를 단호히 거부했다. 그는 민망에게 보내는 서신에서 "우리는 선교사들이 우리가 굶주리고 있을 때 우리에게 준 쌀을 아직 이빨 사이에 가지고 있습니다"라고 언급하며, 과거 선교사들이 베풀었던 도움을 상기시키며 명령 불복종의사를 분명히 했다.[38][39] 그 결과, 레반주옛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동안 남부의 기독교인들은 비교적 자유롭게 신앙 활동을 이어갈 수 있었다.[40] 역사가 최병욱(Choi Byung Wook)은 당시 상황에 대해 "민망과 그의 측근의 관점에서 자딘(Gia Định) 땅은 레반주옛의 위신 아래 철저히 보호받고 있었다"고 평가했다.[40]
레반주옛의 이러한 독자적인 행보는 민망으로 하여금 일시적으로 가톨릭 탄압 정책의 강도를 조절하게 만들기도 했지만, 근본적으로 황제와 총독 사이의 긴장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51]
5. 2. 전직 반군 등용 문제
레반주옛이 범죄자 및 전직 반군을 다루는 방식 또한 민망 황제와의 갈등 요인이었다.[41] 19세기 초 응우옌 왕조 초기에는 특히 베트남 북부와 중부에서 반란이 끊이지 않았다. 이로 인해 많은 반군과 일반 범죄자들이 체포되었는데, 이들은 보통 나라 반대편으로 추방되어 상당수가 남부 베트남으로 보내졌다.[41] 여기에는 1810년대 후반, 레반주옛이 북부와 중부 베트남에서 벌인 평정 작전에서 패배한 후 사형을 면하고 그에게 개인적으로 충성을 맹세한 전직 반군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41]이들을 남부로 보낸 것은 잠재적 반란 세력을 제거하고 처벌하려는 목적 외에도, 최근 베트남 영토가 된 남부 지역 개발을 위한 군사 식민지를 개척하려는 의도도 있었다.[42] 죄수들에게는 토지 개간을 위한 장비가 지급되었고, 일부는 나중에 사면되기도 했다.[42] 자롱 황제와 레반주옛은 항복한 떠이선 출신 장교들을 등용했으며, 이러한 정책은 인력 부족으로 인해 민망 황제가 집권한 이후에도 한동안 유지되었다.[43]
레반주옛은 이러한 정책을 계속 이어가기를 원해 민망 황제에게 허가를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황제는 "원숭이를 풀어 나무에 오르게 하는 것과 같다"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43] 민망 황제에게 전직 죄수나 반군을 관직에 등용하는 것은 유교적 질서에 어긋나고 국가의 위신을 떨어뜨리는 일이었지만, 레반주옛은 오직 실용적인 측면만을 고려했던 것이다.[44]
5. 3. 중국 이민자 문제
1820년대 레반주옛이 베트남 남부에 대규모로 정착한 화교(중국 이민자) 공동체와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은 것은 민망 황제와의 갈등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었다. 레반주옛은 중국인 이민 상인을 아들로 입양하고 그에게 무역 관련 기관의 직책을 주는 등 호의를 베풀었다.[45] 일본 역사가 시마오(島尾)는 레반주옛과 그의 측근들이 정부 관리들의 호의적인 대우에 대한 대가로 중국 상인들로부터 재정적 보상과 선물을 받았다고 보았다.[45] 레반주옛의 다른 측근 중 일부는 중국인 대리인을 둔 사업가였다는 점도 지적되었다.[48]당시 베트남 남부는 쌀 생산량이 풍부했지만, 민망 황제는 쌀 수출을 금지했다. 그러나 베트남 내 쌀 가격이 해외보다 낮았기 때문에 불법적인 쌀 수출이 이루어졌고, 이는 5년 만에 베트남 여러 지역의 쌀값을 50~100%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47][46] 동시에 아편 공급도 계속 증가했는데, 레반주옛의 후원을 받는 중국 상인들이 더 높은 가격으로 쌀을 불법 수출하고 돌아오는 길에 아편과 이민자들을 데려오는 것으로 여겨졌다.[47]
레반주옛은 이러한 불법 거래에 대해 황제와 다른 견해를 가졌다. 그는 불법 거래에 중국인과 베트남인 모두가 연루되어 있으며, 아편 밀수는 중국 상인보다는 새로 들어오는 이민자들의 개인적인 중독 문제라고 주장했다.[48] 역사가 놀라 쿡(Nola Cooke)은 레반주옛의 견해가 더 타당할 수 있으며, 황제의 입장은 불법 거래의 실질적인 문제보다는 중국의 과도한 영향력이 베트남에 미칠 결과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48]
레반주옛은 이민을 장려하고 지역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가난한 것으로 간주되는 새로 도착한 중국 이민자들에게 세금 감면 혜택을 주고자 했다. 그러나 민망 황제는 누가 정말 도움이 필요한지 판단하기 어렵고 제도가 악용될 수 있다는 이유로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48][49] 그럼에도 불구하고 레반주옛은 황제의 뜻을 거스르고 세금 감면을 시행했다.
쌀의 불법 수출과 아편 수입 문제 때문에 민망 황제는 1827년 중국인들의 해상 무역 참여를 금지하려 시도했다.[48] 하지만 상인들은 레반주옛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베트남인 아내의 이름으로 사업을 등록하는 등 사기적인 방법으로 규제를 쉽게 회피했다.[48][50] 민망 황제는 레반주옛이 사망한 후에야 이러한 불법적인 해상 무역을 단속할 수 있었다.[50]
6. 죽음과 유산
1832년 7월 30일, 레반주옛은 68세의 나이로 사이공 요새에서 사망했으며,[64] 현재의 호치민 시인 빈 호아 지역에 묻혔다. 그의 묘는 현지인들에게 "바찌에우의 원수 묘"(Lăng Ông Bà Chiểu|랑옹바찌에우vie)라고 불린다.[64]
사후 민망 황제에 의해 그의 묘가 훼손되고 친족이 처형당하는 등 박해를 받았으며,[55] 이는 그의 양자 레반코이가 반란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65] 이후 티에우 트리 황제 때 복권되어 묘가 복원되었고,[66] 뜨득 황제는 그의 묘를 국가 기념물로 지정했다.[67] 레반주옛은 역사적 평가가 시대에 따라 달라졌으나, 특히 남부 베트남 지역에서는 중요한 영웅으로 여겨지며 존경받고 있다.[72]
6. 1. 사후 박해와 레 반 코이의 난

1832년 7월 30일, 레반주옛은 68세의 나이로 사이공 요새에서 사망했다.[64] 그는 현재의 호치민 시인 빈 호아, 자딘에 묻혔으며, 그의 묘는 현지인들에게 "바찌에우의 원수 묘"(Lăng Ông Bà Chiểu|랑옹바찌에우vie)라고 불렸다.[64]
레반주옛의 죽음은 민망 황제에게 남부 지역에 대한 중앙 정부의 통제력을 강화할 기회를 제공했다. 황제는 남부 부총독 직위를 폐지하고 직접 통치 체제를 구축하려 했으며, 이로써 레반주옛은 해당 직책의 마지막 인물이 되었다.[55] 레반주옛 사후, 민망 황제가 임명한 새로운 관리들이 남부 지역 행정을 장악하고 즉시 조사에 착수했다. 이들은 레반주옛과 그의 측근들이 부패했으며 권력을 남용했다는 조사 결과를 보고했다.[55]
조사를 주도한 바흐쑤언 응우옌은 레반주옛에 대한 사후 처벌을 명령했다. 이에 따라 그의 묘가 파헤쳐지고 심하게 훼손되었으며, 16명의 친척이 처형당하고 그의 동료들이 체포되는 등 가혹한 박해가 이루어졌다.[55] 민망 황제의 이러한 강압적인 조치와 레반주옛에 대한 모욕은 그의 양아들 레반코이가 1833년 5월 10일 감옥에서 탈출하여 황제에 대한 반란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65]
시암(태국)의 개입까지 불러온 이 반란을 세 차례에 걸쳐 진압한 후, 민망 황제는 레반주옛의 묘를 다시 한번 파헤쳐 평평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그 폐허 위에 "''Đây chỗ tên lại cái lộng quyền Lê Văn Duyệt chịu phép nước''"(Đây chỗ tên lại cái lộng quyền Lê Văn Duyệt chịu phép nước|데이 쪼 뗀 라이 까이 롱 꾸옌 레 반 주옛 찌우 펏 느억vie, "여기가 법을 어기고 권력을 농단한 환관 레반주옛이 처벌받은 곳이다")라는 모욕적인 글귀를 새긴 비석을 세우도록 명령했다.[67]
6. 2. 복권과 현재의 평가
레반주옛 사후, 민망 황제는 남부 지역에 대한 직접 통치를 강화하고자 그의 측근들을 조사하고 처벌했다.[55] 이 과정에서 레반주옛은 부패하고 직권을 남용한 인물로 규정되었고, 그의 묘는 파헤쳐지고 16명의 친척이 처형당하는 등 사후 수모를 겪었다.[55] 민망 황제는 훼손된 묘 터에 "Đây chỗ tên lại cái lộng quyền Lê Văn Duyệt chịu phép nướcvie"("여기 법에 저항한 환관 레반주옛이 잠들다")라는 비문을 새긴 비석을 세우기까지 했다.[67] 이러한 탄압은 그의 양자 레반코이가 반란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했다.[65]
그러나 다음 황제인 티에우 트리 대에 이르러 레반주옛은 복권되었고 그의 묘 또한 복원되었다.[66] 이후 뜨득 황제는 그의 묘를 국가 기념물로 지정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리하도록 했다.[67]

프랑스 식민 통치 시기인 코친차이나 식민지 시절에도 레반주옛에 대한 숭배는 이어졌다. 프랑스가 베트남 제국의 전통적인 의례 관습을 해체하려 했음에도 불구하고, 매년 열리는 레반주옛 기념 축제에는 코친차이나의 정치인들이 참석했다.[66] 이는 레반주옛이 프랑스 식민 통치에 저항한 어부 응우옌쭝쭝의 꿈에 나타나 싸우는 법을 조언했다는 남부 베트남 지역의 전설과 함께 그의 영향력을 보여준다.[59] 1937년에는 식민 정부 관리들과 사업가들의 기부로 묘가 개조되고 확장되기도 했다.[66]
남베트남 시절 레반주옛은 위대한 국가 영웅으로 여겨져 그의 초상이 화폐 도안으로 사용되었고, 주요 거리 이름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68][69]
하지만 1975년 사이공 함락 이후 들어선 베트남 공산당 정부는 응우옌 왕조를 "봉건적", "반동적"으로 규정하며 레반주옛의 역할을 낮게 평가했다. 프랑스 세력 확장에 기여했다는 점이 비판의 주된 이유였다. 이 시기 그의 묘는 국가의 관리를 받지 못해 방치되었고, 그의 이름을 딴 거리들도 다른 이름으로 바뀌었다.[68][69] 이러한 분위기는 2000년대 후반까지 이어졌으나, 2008년 이후 베트남 정부는 레반주옛의 묘를 개조하고[70] 그의 삶을 다룬 연극 공연을 허용하는 등 재평가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71]
현재 레반주옛은 남부 베트남 지역 주민들에게 가장 중요한 지역 영웅 중 한 명으로 널리 존경받고 있다. 한국의 역사학자 최병욱은 그의 인기에 대해 "베트남인, 중국 정착민, 불교도 또는 기독교인을 막론하고, 사이공의 주민들은 오랫동안 가장 좋아하는 남부 지역 영웅인 레반주옛에게 열정적으로 경의를 표해왔다. 그의 화려한 사당은 빈탄군 딘티엔호앙 거리에 위치해 있다. 후에나 하노이에서 인종이나 종교적 배경에 관계없이 주민들이 자신의 지역 영웅을 그렇게 존경하는 곳은 찾을 수 없을 것이다."라고 평가했다.[72]
7. 대중 문화
레 반 주옛은 응우옌 반 쯔엉, 응우옌 반 년, 응우옌 휜 득, 쯔엉 떤 부와 함께 베트남 민속 문화에서 "응우 호 쯔엉" (Ngũ hổ tướng|오호장vie, "다섯 호랑이 장군") 중 한 명으로 불린다. 이들은 모두 응우옌 아인(훗날의 자롱 황제) 휘하의 장군들이었다.[73] 또한 사람들은 그가 역임했던 직책인 "따 꿘" (Tả quân|좌군vie, "응우옌 왕조 군대의 좌익 사령관")을 따라 "득 따 꿘" (Đức Tả quân|득좌군vie, "존경받는 좌익 사령관")으로 부르기도 한다.[10] 호찌민 시(옛 사이공)에 있는 레 반 주옛 고등학교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74]
유럽인들에게는 "위대한 환관"으로 알려져 있다.[75]
참조
[1]
서적
พระราชพงษาวดาร กรุงรัตนโกสินทร รัชกาลที่ ๒
https://vajirayana.o[...]
[2]
뉴스
Le Van Duyet {{!}} Vietnamese statesman
https://www.britanni[...]
2018-03-20
[3]
문서
Nghia M. Vo Saigon: A History
[4]
문서
"Far-sighted sovereigns in Việt Nam'' Thế Giới Publishers (Hanoi, Vietnam) 2004 Page 64 Especially, when the meritorious warriors Nguyễn Văn Thành and Lê Văn Duyệt were Governors-General of Bắc Thành and Gia Định respectively, their authority went beyond the central court's control."
[5]
문서
Jacob Ramsay Mandarins and Martyrs: The Church and the Nguyen Dynasty
[6]
문서
Huỳnh Minh, p. 128.
[7]
문서
Nguyễn Khắc Thuần (1998), Việt sử giai thoại (History of Vietnam's tales), vol. 8, Vietnam Education Publishing House, p. 55
[8]
문서
Huỳnh Minh, p. 129.
[9]
문서
Hall, pp. 423–429.
[10]
문서
Choi, p. 52.
[11]
문서
Mantienne, p. 522.
[12]
문서
Mantienne, p. 520.
[13]
문서
Trần Trọng Kim, pp. 394–395.
[14]
문서
Trần Trọng Kim, p. 395.
[15]
문서
Huỳnh Minh, pp. 129–130.
[16]
문서
Choi, pp. 48–49.
[17]
문서
Choi, pp. 60–75.
[18]
문서
Cooke, p. 86.
[19]
문서
Trần Trọng Kim, pp. 412–413.
[20]
문서
Huỳnh Minh, pp. 130–131.
[21]
간행물
Lê Văn Duyệt
http://www.britannic[...]
2009-08-14
[22]
문서
Ngaosīvat and Pheuiphanh Ngaosyvathn, pp. 98–101.
[23]
문서
Choi, p. 53.
[24]
문서
Choi, p. 58.
[25]
문서
Huỳnh Minh, p. 131.
[26]
문서
Choi, p. 48.
[27]
문서
Choi, pp. 69–70.
[28]
문서
Choi, pp. 58–59.
[29]
문서
Buttinger, pp. 241, 311.
[30]
문서
Buttinger, pp. 310, 262.
[31]
문서
Buttinger, p. 268.
[32]
문서
Buttinger, p. 269.
[33]
문서
Choi, pp. 56–57.
[34]
문서
McLeod, p. 24.
[35]
문서
McLeod, p. 26.
[36]
서적
McLeod, p. 27.
[37]
서적
Choi, pp. 60–61.
[38]
서적
Hall, p. 608.
[39]
서적
McLeod, p. 28.
[40]
서적
Choi, p. 83.
[41]
서적
Choi, pp. 66–67.
[42]
서적
Choi, p. 67.
[43]
서적
Choi, pp. 68–69.
[44]
서적
Choi, p. 69.
[45]
서적
Choi, pp. 77–78.
[46]
서적
Cooke, p. 87.
[47]
서적
Choi, pp. 70–75.
[48]
서적
Cooke, pp. 86–94.
[49]
서적
Choi, p. 79.
[50]
서적
Choi, p. 80.
[51]
서적
McLeod, pp. 28–29.
[52]
서적
Choi, p. 84.
[53]
서적
Choi, p. 51.
[54]
서적
Choi, p. 85.
[55]
서적
McLeod, p. 29.
[56]
서적
Choi, p. 86.
[57]
서적
Choi, pp. 54–55.
[58]
서적
Choi, p. 54.
[59]
서적
Choi, p. 55.
[60]
서적
Huỳnh Minh, pp. 211–212.
[61]
서적
Do, p. 59.
[62]
서적
Choi, p. 59.
[63]
서적
Choi, pp. 59–60.
[64]
서적
Huỳnh Minh, pp. 132–133.
[65]
서적
Huỳnh Minh, p. 133.
[66]
서적
Taylor, p. 210.
[67]
서적
Huỳnh Minh, p. 48.
[68]
서적
Ray, Dragicevich, & Louis, p. 351.
[69]
서적
Dodd & Lewis, p. 101
[70]
웹사이트
Giữ được "nét xưa" nhờ trùng tu kịp thời (Keep the old things by renovating in time)
http://www.baovanhoa[...]
The Thao Van Hoa Newspapers
2010-02-11
[71]
웹사이트
Kịch "Tả quân Lê Văn Duyệt" ra nhà hát Hòa Bình ("Left Marshal Lê Văn Duyệt" play is to be performed first time in Hoa Binh theater)
http://www.tuoitre.c[...]
2009-02-11
[72]
논문
[73]
서적
[74]
서적
A Dragon Child: Reflections Of A Daughter Of Annam In America
[75]
웹사이트
Notice on Historic Tombs in the Province of Gia-Dinh, 1924
http://www.historicv[...]
2015-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