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케 강하엽병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람케 강하엽병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에서 활동한 강하엽병 부대이다. 1941년 크레타 전투 이후 헬만-베른하르트 람케 대령의 지휘 하에 임시 여단으로 편성되었으며, 몰타 섬 침공 작전에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취소되어 북아프리카 전선에 투입되었다. '아프리카 강하엽병 여단', '람케 강하엽병 여단'으로 개칭되었으며,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퇴각 중 보급품을 노획하는 전과를 올리기도 했다. 이후 '제1 공군 무장엽병 여단'으로 개칭되어 튀니지에서 연합군과 교전했으며, 람케는 유럽으로 이동하고 한스 클로 소령이 지휘권을 이어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공수부대 - 강하엽병
강하엽병은 1936년 독일에서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과 이후 독일 연방군에서 운용되었으며, 현대에는 특수 작전 사단의 핵심 전력으로 활동한다. - 독일의 공수부대 - 공중기동작전사단
공중기동작전사단은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로 헬기 등 공중 전력을 활용하여 신속한 기동 작전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1999년 1월 1일에 창설되었으며, 다양한 활동을 수행해왔으나 작전 수행 능력, 예산 낭비, 지휘 체계 문제 등 여러 논란이 있다. - 루프트바페 - 공군최고사령부
공군최고사령부(OKL)는 1935년 독일 공군의 최고 사령부로 창설되어 육군 및 해군과 동등한 지위를 가졌으며, 헤르만 괴링이 최고 지휘관을 맡았다. - 루프트바페 - 남부최고지휘관
남부최고지휘관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 공군의 제2항공군을 지휘한 지휘관으로 알베르트 케셀링, 하인리히 폰 비팅호프, 지크프리트 베스트팔 등이 주요 지휘관이었으며, 휘하에 참모장과 작전 장교 등의 주요 직책이 있었다.
람케 강하엽병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명칭 | 강하엽병 여단 아프리카 강하엽병 여단 람케 공군 엽병 여단 1 |
존속 기간 | 1942년–1943년 |
국가 | 나치 독일 |
군종 | 루프트바페 |
종류 | 공수부대 |
역할 | 공수 작전 사막전 |
규모 | 여단 |
별칭 | 람케 강하엽병 여단 |
지휘관 | |
사령관 | 헤르만-베른하르트 람케 |
주요 지휘관 | 한스 크로 |
전투 및 작전 | |
참전 | 서부 사막 전역 튀니지 전역 |
해체 | |
해체 시기 | 1943년 5월 |
2. 역사
1941년 크레타 섬 공수 강습 작전(메르쿠어 작전)으로 큰 피해를 입은 후, 몇몇 강하엽병 부대가 헬만-베른하르트 람케 대령의 지휘 아래 임시 여단으로 편성되었다. 이 여단은 몰타섬 침공 작전인 헤라클레스 작전의 일부를 담당할 예정이었다.
공격이 취소되어 '''아프리카 강하엽병 여단'''으로 개칭된 이 여단은 북아프리카에서 에르빈 롬멜이 지휘하는 독일 아프리카 군단(DAK)으로 파견되었다. 1942년 4월에 여단은 '''람케 강하엽병 여단'''으로 다시 개칭되었다.
1942년 7월 북아프리카에 도착한 후, 추축국 측의 지휘, 통신, 보급 체계를 교란하던 데이비드 스털링의 SAS에 대항하는 활동에 투입되었다. 이후 람케 부대는 DAK의 수에즈 운하 기습 작전에서, 영국군이 엘 알라메인 근처에 집결하기 전에 이탈리아 제25보병사단 ''볼로냐''와 함께 공격 선봉을 맡았다.
여단은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였지만, 독일군의 퇴각 중에 퇴로가 막혀 롬멜은 람케 여단을 손실 부대로 처리했다. 1942년 11월 3일 여단은 서쪽으로 이동, 11월 6일/7일 밤 영국 제8군의 보급 부대 차량 행렬을 기습하여 연합군 1개 기갑사단 분량의 보급품(연료, 물, 식량, 담배)을 노획했다. 람케 여단은 노획한 트럭으로 약 321.87km 이상을 이동하여 아군에 합류했고, 이후 튀니지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했다.
'''제1 공군 무장엽병 여단'''으로 개칭된 여단은 튀니지에서 연합군과 대치하는 전선에 투입되었다. 람케는 유럽으로 이동했고, 한스 클로 소령이 지휘권을 위임받았다. 여단은 튀니지 남부 산악 지대에서 영국군과 격렬한 전투를 벌였고, 1943년 5월 아프리카 기갑군의 항복과 함께 연합군에 항복했다.
프리드리히 폰 데어 하이테는 1944년 카랑탕 근처에서 제6 강하엽병 연대를 지휘했다. 람케는 1944년 9월 20일까지 브레스트 방어를 지휘, 4만 명 이상의 시민 피난을 담당했다.
2. 1. 편성
1941년 크레타 섬 공수 강습 작전으로 큰 피해를 입은 메르쿠어 작전 이후, 몇몇 강하엽병 부대가 베테랑 지휘관 헤르만-베른하르트 람케 대령의 지휘 하에 임시 여단으로 편성되었다. 이 여단은 몰타섬 침공 작전인 헤라클레스 작전의 일부를 담당할 예정이었다.공격이 취소되어 '''아프리카 강하엽병 여단'''으로 개칭된 이 여단은 북아프리카에서 에르빈 롬멜이 지휘하는 독일 아프리카 군단(DAK)으로 파견되었다.
1942년 4월에 여단은 '''람케 강하엽병 여단'''으로 다시 개칭되었다.
1942년 10월 여단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3]

부대 |
---|
제너럴마요어 헤르만-베른하르트 람케 휘하 사령부 |
제2 공수연대 제1대대 |
제3 공수연대 제1대대 |
제5 공수연대 제2대대 |
제4 공수 훈련대대 |
제7 공수 포병연대 제2대대 |
제7 대전차 대대 A 중대 |
공수 공병대대 제2 중대 |
공수 통신 소대 A |
의무 중대 |
2. 2. 북아프리카 전역
1942년 7월, 북아프리카에 도착한 람케 여단은 영국 특수부대(SAS) 소탕 작전에 투입되어 혁혁한 전과를 올렸다.[1] 이후, 독일 아프리카 군단(DAK)의 수에즈 운하 진격 작전에 참여하여 이탈리아 제25보병사단 ''볼로냐''와 함께 선봉을 맡았다. 그러나 엘 알라메인 근처에서 영국군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하게 된다.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람케 여단은 치열한 전투를 벌였으나, 독일군 주력 부대의 퇴각 과정에서 고립되었고, 에르빈 롬멜 장군은 람케 여단을 손실 처리했다.[1] 1942년 11월 3일 여단은 포위망을 뚫고 서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고, 11월 6일/7일 밤, 영국 수송 차량으로 구성된 영국 제8군의 보급 부대 차량 행렬을 기습하여 다량의 보급품을 노획하는 데 성공했다. 이때 노획한 보급품은 연합군 1개 기갑사단 분량이었으며, 람케의 부하들은 연료, 물, 식량, 담배 등을 손에 넣었다.[1] 람케 여단은 노획한 트럭을 이용하여 약 321.87km 이상을 이동하여 독일군에 재합류했다.
이후 람케 여단은 휴식을 위해 튀니지로 이동했다. '제1루프트바페엽병여단'(Luftwaffen-Jäger-Brigade 1de)으로 개칭된 여단은 튀니지에서 연합군과 대치하는 전선에 투입되었다. 람케는 유럽으로 전출되었고, 한스 크로 소령이 여단 지휘권을 인수받았다.[1] 여단은 튀니지 남부 산악 지대에서 영국군과 격렬한 전투를 벌였다. 1943년 5월, 람케 여단은 아프리카 기갑군의 항복과 함께 연합군에 항복했다.[1]
2. 3. 노르망디 상륙작전 이후
폰 데어 하이테는 1944년 카랑탕 근처에서 제6 강하엽병 연대를 지휘했다. 람케 자신은 1944년 9월 20일까지 저항한 브레스트 방어를 지휘했으며, 4만 명 이상의 민간인 대피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3. 전투 서열
람케 강하엽병여단은 다음과 같은 전투 서열을 갖추고 있었다.[3]
- 제2강하엽병연대 1대대
- 제3강하엽병연대 3대대
- 제5강하엽병연대 2대대
- 강하엽병대전차대대
3. 1. 1942년 7월
부대 | 지휘관 |
---|---|
여단 본부 | |
제2강하엽병연대 제1대대 | 크로 소령 |
제3강하엽병연대 제1대대 | 폰 데어 하이테 소령 |
제5강하엽병대대 제2대대 | 휴브너 소령 |
제11항공군단 강하엽병훈련대대 | 부르크하르트 소령 |
강하포병연대 제2대대 | |
공병중대 | 코르트 티티엔 박사 |
전차사냥꾼중대 (3.7cm 3.7 cm PaK 36 12문) |
3. 2. 1942년 10월
1942년 10월 여단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3]부대 |
---|
람케 소장 휘하 사령부 |
제2 공수연대 제1대대 |
제3 공수연대 제1대대 |
제5 공수연대 제2대대 |
제4 공수 훈련대대 |
제7 공수 포병연대 제2대대 |
제7 대전차 대대 A 중대 |
공수 공병대대 제2 중대 |
공수 통신 소대 A |
의무 중대 |
4. 계보
- Fallschirmjäger-Brigade Afrikade
- Fallschirmjäger-Brigade Ramckede
- Luftwaffen-Jäger-Brigade 1de
5. 지휘관

참조
[1]
서적
Vom Schiffsjungen zum Fallschirmjäger-General
Verlag Die Wehrmacht
1943
[2]
서적
Defenders of Fortress Europe: The Untold Story of the German Officers During the Allied Invasion
Potomac Books
2009
[3]
웹사이트
Ramke Brigade, Luftflotte 2, German Air Force, 23.10.42
http://niehorster.or[...]
2019-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