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니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튀니지는 북아프리카에 위치한 국가로, 지중해와 접하며 알제리, 리비아와 국경을 접한다. 고대 카르타고의 번영, 로마 제국의 지배, 이슬람교의 전파 등 다양한 역사를 거쳤으며, 7세기 아랍인의 정복 이후 이슬람 문화가 정착되었다. 16세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19세기에는 프랑스의 보호령이 되었다가 1956년 독립했다. 대통령 중심의 공화국이며, 2011년 아랍의 봄 시위로 벤 알리 대통령이 퇴진하고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했으나, 이후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 튀니지는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며, 아랍어와 프랑스어가 널리 사용된다. 농업, 광업, 관광 등 다양한 산업을 가지고 있으며, 유럽 연합과 경제적 교류가 활발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니지 - 베르베르인
베르베르인은 북아프리카 마그레브 지역의 토착 민족 집단으로, 아마지그라고도 불리며, 기원전부터 존재하며 여러 세력의 지배와 아랍화 과정을 거쳐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며 마그레브 국가에서 사회·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유럽 등지에 디아스포라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 튀니지 - 무어인
무어인은 어원적으로 "검다"는 의미를 가지며, 역사적으로 검은 피부를 가진 사람들을 지칭했으나,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이슬람 정복 시대의 아랍인, 베르베르인, 이슬람교도를, 현대에는 모로코, 모리타니 주민을, 필리핀에서는 무슬림 주민을 가리키는 등 시대와 지역에 따라 의미가 다양하게 변화되어 사용된다. - 아랍 연맹 회원국 - 쿠웨이트
쿠웨이트는 서아시아의 입헌 군주국으로, 석유 매장량을 바탕으로 높은 경제 수준을 유지하며, 1990년 이라크의 침공 이후 다국적군의 도움으로 국토를 회복했고, 1979년 대한민국과 수교했다. - 아랍 연맹 회원국 - 알제리
알제리는 아프리카 북부 마그레브 지역에 위치한 국가로, 지중해 연안에 자리 잡고 있으며, 사하라 사막을 포함한 국토를 가지고 있으며,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를 거쳐 독립했으며, 현재는 대통령 중심 공화국 체제이나 군부의 영향력이 큰 국가이다. - 아랍 연맹 - 쿠웨이트
쿠웨이트는 서아시아의 입헌 군주국으로, 석유 매장량을 바탕으로 높은 경제 수준을 유지하며, 1990년 이라크의 침공 이후 다국적군의 도움으로 국토를 회복했고, 1979년 대한민국과 수교했다. - 아랍 연맹 - 알제리
알제리는 아프리카 북부 마그레브 지역에 위치한 국가로, 지중해 연안에 자리 잡고 있으며, 사하라 사막을 포함한 국토를 가지고 있으며,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를 거쳐 독립했으며, 현재는 대통령 중심 공화국 체제이나 군부의 영향력이 큰 국가이다.
| 튀니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 |
| 공식 명칭 | 튀니지 공화국 |
| 현지 명칭 | 알줌후리야 앗투니시야 () |
| 표어 | 자유, 질서, 정의 () |
| 국가 (國歌) | 조국의 수호자 ([[File:Humat al-Hima.ogg|조국의 수호자 음성 파일]]) () |
| 수도 | 튀니스 |
| 최대 도시 | 수도와 동일 |
| 공용어 | 아랍어 |
| 토착어 | 튀니지 아랍어 |
| 외국어 | 프랑스어 |
| 종교 | 수니파 이슬람교 99% 기타 1% (기독교, 유대교, 시아파 이슬람교, 바하이 신앙 포함) |
| 민족 구성 | 아랍인 98% 베르베르인 1% 유대인 및 기타 1% |
| 통화 | 튀니지 디나르 |
| 통화 코드 | TND |
| 시간대 | CET |
| UTC 오프셋 | +1 |
| 날짜 형식 | dd/mm/yyyy |
| 자동차 주행 방향 | 오른쪽 |
| 국제 전화 코드 | +216 |
|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 .tn .تونس |
| 정치 | |
| 정부 형태 | 단일 국가, 대통령 중심제 공화국 |
| 대통령 | 카이스 사이에드 |
| 총리 | 카멜 마두리 |
| 의회 | 튀니지 의회 |
| 상원 | 지역 및 지구 의회 |
| 하원 | 국민대표의회 |
| 역사 | |
| 건국 | 고대 카르타고 (기원전 814년) 후세이니 왕조 (1705년 7월 15일) 튀니지 왕국 (1956년 3월 20일) 튀니지 공화국 (1957년 7월 25일) 현재 헌법 (2022년 7월 25일) |
| 지리 | |
| 면적 | 163,610 km² (63,170 sq mi) |
| 면적 순위 | 91위 |
| 수역 비율 | 5.04% |
| 인구 | |
| 인구 추정 (2020년) | 11,708,370명 |
| 인구 순위 | 81위 |
| 인구 밀도 | 71.65 명/km² |
| 인구 밀도 순위 | 144위 |
| 경제 | |
| 구매력평가(PPP) 기준 GDP (2023년) | $1,620.97억 |
| 구매력평가(PPP) 기준 GDP 순위 | 82위 |
| 구매력평가(PPP) 기준 1인당 GDP (2023년) | $13,248 |
| 구매력평가(PPP) 기준 1인당 GDP 순위 | 113위 |
| 명목 GDP (2023년) | $512.71억 |
| 명목 GDP 순위 | 92위 |
| 명목 1인당 GDP (2023년) | $4,190 |
| 명목 1인당 GDP 순위 | 129위 |
| 지니 계수 (2021년) | 33.7 |
| 인간 개발 지수 (HDI) (2022년) | 0.732 |
| 인간 개발 지수 (HDI) 순위 | 101위 |
2. 역사
튀니지 지역의 역사는 고대 베르베르족의 정착에서 시작된다. 기원전 12세기경부터 해안 지역에 페니키아인들이 정착하기 시작했으며, 기원전 9세기에는 강력한 도시 국가 카르타고가 건설되었다.[46] 카르타고는 지중해 무역을 주도하며 번영했으나, 신흥 강국 로마와 포에니 전쟁이라 불리는 세 차례의 큰 전쟁을 치른 끝에 기원전 146년 멸망하고 로마의 아프리카 속주가 되었다.
로마 지배 하에서 튀니지 지역은 농업 생산의 중심지로 번영했으며, 로마 문화와 기독교가 전파되었다. 5세기에는 반달족이 침입하여 왕국을 세웠으나, 6세기에는 동로마 제국에 의해 다시 정복되었다.[49]
7세기 후반, 아랍인들이 이슬람을 전파하며 북아프리카를 정복했고, 튀니지 지역은 이슬람 세계의 일부가 되었다. 카이루완과 같은 이슬람 도시가 건설되었고,[50] 이후 아글라브 왕조, 파티마 왕조, 지리드 왕조, 무와히드 왕조, 하프스 왕조 등 여러 이슬람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특히 하프스 왕조 시대에는 튀니스가 수도로서 번영을 누렸으며, 이븐 할둔과 같은 학자가 활동하기도 했다.[64]
16세기 후반, 튀니지는 오스만 제국의 영토가 되었으나, 점차 지역 통치자인 베이가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는 자치 상태가 되었다. 1705년에는 후세인 왕조가 들어서 20세기 중반까지 튀니지를 통치했다.[65] 19세기에는 서구화 개혁 시도가 있었으나 재정 파탄으로 이어졌고, 결국 1881년 프랑스의 침공을 받아 보호령이 되었다.[68]
프랑스 식민 통치 하에서 민족 운동이 꾸준히 전개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립 요구가 거세졌다. 하비브 부르기바가 이끄는 신 데스투르당의 주도로 1956년 3월 20일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쟁취했다.[75] 이듬해 왕정이 폐지되고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며, 부르기바가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77] 부르기바는 장기 집권했으나, 1987년 벤 알리 총리가 무혈 쿠데타로 집권했다.[2][81]
벤 알리 정권은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권위주의 통치와 부패, 인권 탄압으로 국민들의 불만을 샀다.[83][89][90] 2010년 말, 모하메드 부아지지의 분신 사건을 계기로 대규모 반정부 시위인 튀니지 혁명이 발발했고,[93][94] 이는 아랍의 봄의 도화선이 되었다. 결국 2011년 1월 벤 알리 대통령은 해외로 망명했다.[98]
혁명 이후 튀니지는 민주적인 헌법 제정과 선거를 통해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하는 과정을 밟았다. 2011년 제헌의회 선거,[101] 2014년 총선 및 대선, 2019년 대선 등을 통해 민주적 절차를 이어갔다. 그러나 정치적 불안정, 경제난, 테러 위협 등 여러 도전에 직면했으며, 2021년에는 카이스 사이에드 대통령이 의회 정지 및 총리 해임 등 비상 조치를 단행하며 민주주의 후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112][113] 2024년 대선에서 사이에드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했으나, 야권의 보이콧 속에 치러졌다.[134]
2. 1. 고대
기원전 5000년경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나일 계곡으로 농업 기술이 전파되었고, 기원전 4000년경에는 마그레브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튀니지 중부의 습윤한 해안 평야에 거주하던 농업 공동체는 오늘날 베르베르족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고대에는 이 지역에 유목민인 게툴리아인과 리비아인이 거주했다고 전해진다. 로마 역사가 살루스트에 따르면, 헤라클레스가 스페인에서 죽자 그의 군대가 아프리카에 정착했는데, 페르시아인들은 게툴리아인과 혼인하여 누미디아인이 되었고, 메디아인들은 정착하여 마우리, 즉 무어인이 되었다고 한다.[42] 누미디아인과 무어인은 베르베르인의 조상이 된 종족에 속하며, 누미디아는 이름의 의미처럼 원래 반유목 생활을 했다.[43][44][45]기록된 역사의 시작 무렵, 튀니지 지역에는 베르베르족 부족들이 살고 있었다. 기원전 12세기 초부터 페니키아인들이 해안가에 비제르테, 우티카 등의 교역 거점을 건설하며 정착하기 시작했다. 고대 카르타고는 기원전 9세기에 페니키아인들에 의해 건설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기원전 814년경 오늘날 레바논의 티레 출신인 디도 여왕이 도시를 건설했다고 한다.[46] 카르타고는 페니키아의 문화와 종교(바알, 타니트 숭배 등)를 이어받아 지중해 무역의 중심지로 번영했으며, 토페트라는 종교적 시설도 건설했다. 기원전 5세기에는 시칠리아의 그리스 도시 국가들과의 전쟁을 거치며 서지중해의 지배적인 세력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이탈리아반도에서 세력을 키운 로마와 지중해 패권을 두고 충돌하게 되었다. 기원전 264년부터 시작된 제1차 포에니 전쟁을 시작으로 세 차례에 걸친 포에니 전쟁이 벌어졌다. 특히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는 카르타고의 명장 한니발이 알프스 산맥을 넘어 이탈리아 본토를 침공하여 로마를 멸망 직전까지 몰아붙였으나,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이끄는 로마군의 반격으로 결국 패배했다. 기원전 202년 전쟁이 끝난 후 카르타고는 50년간 로마의 영향력 아래 놓였다.[47] 이후 제3차 포에니 전쟁(기원전 149년~기원전 146년)에서 로마에 의해 완전히 정복당하면서 기원전 146년에 멸망하였다.
카르타고 멸망 후, 현재의 튀니지와 리비아 해안 지역은 로마의 아프리카 속주가 되었다. 로마 시대에 이 지역은 농업을 중심으로 크게 발전하여 '로마 제국의 곡창'으로 불릴 정도였다. 한 추정에 따르면 매년 100만 톤의 곡물을 생산하여 그중 4분의 1을 로마로 수출했으며, 콩, 무화과, 포도 등 다양한 작물도 재배되었다. 2세기경에는 올리브 오일이 곡물과 맞먹는 주요 수출품이 되었고, 그 외에도 직물, 대리석, 포도주, 목재, 가축, 아프리카 적색 토기와 같은 도자기, 양모 등이 생산 및 수출되었다. 로마 제국에서 두 번째로 큰 원형극장이 있었던 엘젬에서는 모자이크와 도자기가 대량 생산되기도 했다. 한편, 이 시기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베르베르인 주교 도나투스 마그누스를 중심으로 도나티스트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48]
서기 5세기와 6세기(430년~533년)에는 게르만족의 일파인 반달족이 침입하여 북아프리카 지역에 왕국을 세우고 지배했다. 그러나 서기 533년~534년, 동로마 제국(비잔틴 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가 파견한 벨리사리우스 장군에 의해 반달 왕국은 멸망하고, 이 지역은 다시 로마 제국의 영향권 아래 놓이게 되었다.[49] 이후 약 165년간 비잔틴 제국의 통치가 이어졌다.
2. 2. 로마 시대
현재의 튀니지 지역은 로마 지배하에서 아프리카 속주(기원전 146년 ~ 439년)가 되었다. 로마의 통치 아래 이 지역은 중요한 속주로서 로마화가 진행되었고 기독교도 전래되었다. 로마 제국이 동서로 분열된 후에는 서로마 제국의 아프리카 관구(314년 ~ 432년) 관할이 되었다. 그러나 439년 게르만족계 반달족이 침입하여 카르타고에 반달 왕국(439년 ~ 534년)을 세웠다. 반달 왕국은 해상 무역으로 번영하였으나, 534년 동로마 제국에 의해 멸망하고 동로마 제국의 아프리카 총독부(534년 ~ 590년)로 편입되었다.2. 3. 이슬람 시대
7세기 후반과 8세기 초, 아랍인들은 마그레브의 이슬람 정복을 통해 이 지역을 장악했다. 이 과정에서 아랍인들은 토착 베르베르인 지도자 카히나와 동로마 제국 연합군을 격파하고 북아프리카를 이슬람 세계에 편입시켰다. 670년에는 북아프리카 최초의 이슬람 도시인 카이루완을 건설하고 욱바 모스크(카이루완 대모스크)를 세웠다.[50] 이 모스크는 이슬람 서방에서 가장 오래되고 권위 있는 성지 중 하나이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미나렛을 가지고 있다.[51] 또한 이슬람 예술과 건축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52] 이 시기부터 마그레브로의 아랍 이주가 시작되었다.
698년, 아랍인들은 동로마 제국으로부터 이 지역을 완전히 빼앗았다. 이후 라틴어를 사용하던 기독교 베르베르인 사회는 점차 이슬람교를 믿고 아랍어를 사용하는 사회로 변모했는데, 이 과정은 400년 이상 소요되었다. 12세기 또는 13세기에 이르러 기독교와 라틴어는 거의 사라졌다. 인구 대다수가 이슬람교도가 된 것은 9세기 후반이며, 10세기에는 완전히 이슬람화되었다. 일부 튀니지 기독교인들은 698년 정복 이후나 11~12세기 노르만인의 지배 시기에 시칠리아나 이탈리아로 이주했다.[53]
800년, 아바스 왕조의 칼리파를 섬기는 형태로 카이루완을 중심으로 아글라브 왕조(800년-909년)가 성립되어 튀니지, 트리폴리타니아, 동부 알제리를 통치했다.[54] 아글라브 왕조 시대에 튀니지는 번영을 누렸다. 도시에는 상수도와 관개 시설이 확충되어 농업, 특히 올리브 생산이 발달했다.[54][55] 이러한 번영은 알-압바시아(809년)와 라크아다(877년) 같은 새로운 궁전 도시 건설로 이어졌다.[54]
아글라브 왕조가 쇠퇴하자, 이스마일파를 신봉하는 파티마 왕조(909년-1171년)가 일어나 아글라브 왕조를 멸망시켰다. 이후 파티마 왕조가 카이로를 정복하면서 튀니지와 동부 알제리 지역은 현지 베르베르인 왕조인 지리드 왕조(972년-1148년)에게 넘어갔다.[56] 지리드 왕조 초기에는 농업, 산업, 무역, 학문 등 여러 분야에서 번영을 이루었다.[57] 그러나 후기로 갈수록 통치자들의 무능과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무역과 농업이 쇠퇴하기 시작했다.[54][58][59]
11세기 중반, 이집트 파티마 왕조의 사주를 받은 아랍 유목민 부족 바누 힐랄의 침입은 튀니지 지역의 농촌과 도시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56] 이로 인해 농촌 인구가 감소하고 산업 구조가 농업에서 제조업 중심으로 바뀌면서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되었다.[60] 역사가 이븐 할둔은 바누 힐랄의 침략으로 황폐해진 땅이 사막처럼 변했다고 기록했다.[58][61]
12세기에는 시칠리아의 노르만인들이 해안 도시들을 점령하여 아프리카 왕국을 세웠으나, 1159년-1160년 모로코에서 발흥한 무와히드 왕조(알모하드 왕조)가 튀니지를 정복하면서 노르만 세력은 물러났다. 무와히드 왕조는 칼리프의 친척을 총독으로 파견하여 튀니지를 다스렸지만, 잦은 반란과 아랍 및 튀르크 용병들의 소요로 혼란이 계속되었다. 1182년-1183년과 1184년-1187년에는 아이유브 왕조의 침공을 받기도 했다.[63] 알모라비드 왕조의 잔존 세력인 바누 가니야는 마요르카를 거점으로 튀니지를 공격하여 1200년경 잠시 튀니지 전역을 장악하기도 했으나, 1207년 무와히드 군대에 의해 격퇴되었다. 이후 무와히드 왕조는 왈리 아부 하프스를 튀니지 총독으로 임명했다.

1229년, 아부 하프스의 아들이 독립을 선언하며 튀니스를 수도로 하프스 왕조(1229년-1574년)를 세웠다. 하프스 왕조는 서쪽으로는 알제리 일부에서 동쪽으로는 트리폴리까지 영토를 확장했으며, 지중해 기독교 국가들과 활발한 교역을 펼쳤다.[64] 이 시기에는 《역사 서설》을 저술한 이븐 할둔과 같은 학자들이 활동했다. 그러나 하프스 왕조는 점차 쇠퇴하여 16세기 초에는 오스만 제국의 위협을 피하기 위해 스페인의 보호를 받는 속국 신세가 되었다(1535년 튀니스 정복). 해안 지역은 바르바리 해적의 근거지가 되기도 했다. 1534년 바르바로사 하이레딘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함대가 튀니스를 점령했으나 스페인이 탈환했고, 최종적으로 1574년 울루치 알리 레이스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이 스페인 세력을 몰아내고 튀니스를 정복하면서 하프스 왕조는 멸망했다. 이로써 튀니지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가게 된다.
2. 4. 근대
오스만 제국 시대 초기에는 튀니스에 "파샤"라 불리는 군 사령관이 파견되었으나, 점차 지역 "베이"가 이스탄불의 오스만 정부로부터 독립적인 통치를 하게 되었다. 1705년에는 후세인 왕조(1705년 ~ 1957년)가 성립되어 프랑스의 지배를 사이에 두고 252년간 튀니지를 통치했다.[65] 이 시대 동안 튀니지를 통제하는 통치 위원회는 주로 외국 엘리트로 구성되었으며, 국가 업무는 튀르키예어로 처리되었다.19세기에 들어서면서 튀니지의 통치자들은 오스만 제국 수도에서 진행되던 탄지마트 개혁을 인식하고, 이를 참고하여 제도와 경제를 현대화하려는 노력을 시작했다.[67] 1837년 즉위한 아흐메드 베이 시대부터 서구화 정책과 부국강병책이 추진되었다. 하이레딘 파샤 등의 활약으로 1861년에는 헌법이 제정되었고, 사독 베이는 이슬람 세계 및 아프리카 최초의 입헌군주가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근대화 및 서구화 정책은 보수파의 저항에 부딪혀 1864년 헌법이 정지되면서 좌절되었다. 서구화 정책 추진에 따른 재정 부담은 결국 1869년 국가 재정 파탄으로 이어졌다. 튀니지의 국제 부채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증가하자 유럽 열강의 개입이 시작되었다.[67]
한편, 바르바리 해적에 의한 유럽 선박 공격은 주로 알제에서 이루어졌으나, 튀니스와 트리폴리에서도 발생했다. 그러나 유럽 국가들의 힘이 강해지면서 해적 활동은 점차 약화되었다. 또한 페스트 유행병이 1784년~1785년, 1796년~1797년, 1818년~1820년에 튀니지를 휩쓸기도 했다.[66]
1878년 베를린 회의에서 프랑스의 튀니지에 대한 종주권이 인정되면서 프랑스의 개입이 본격화되었다. 1881년, 프랑스는 튀니지 부족의 알제리 침입을 구실로 약 3만 6천 명의 군대를 동원하여 튀니지를 침공했고, 베이 무함마드 3세 아스-사디크에게 바르도 조약 체결을 강요했다.[68] 이 조약으로 튀니지는 이탈리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으로 프랑스 보호령이 되었다. 이후 1883년 《마르사 협정》을 통해 프랑스의 지배권은 더욱 공고해졌다. 베이는 명분상의 군주로 남았고, 실질적인 통치는 프랑스인 총독과 행정 기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주요 관직 역시 프랑스인들이 차지했다. 프랑스는 유럽인, 특히 자국민의 튀니지 정착을 적극 장려하여 프랑스인 식민 인구는 1906년 3만 4천 명에서 1945년 14만 4천 명으로 증가했다. 1910년에는 이탈리아계 인구도 10만 5천 명에 달했다.[69]
제2차 세계 대전 중 튀니지 보호령은 나치 독일에 협력한 비시 프랑스 정부의 통제 하에 놓였다. 이 시기 비시 정부가 제정한 반유대주의 법령(비시 반유대인 법규)이 튀니지에도 시행되어 유대인에 대한 박해가 이루어졌다. 1942년 11월부터 1943년 5월까지는 독일군이 튀니지를 직접 점령했으며, SS 사령관 발터 라우프는 이곳에서 유대인 박해 정책("최종 해결책")을 추진했다.

1942년 말부터 튀니지는 추축국과 연합국 간의 격렬한 전투가 벌어진 튀니지 전역의 무대가 되었다. 초기에는 독일과 이탈리아군이 우세했으나, 연합군의 압도적인 보급과 병력 우위로 전세가 역전되어 1943년 5월 13일 추축군이 항복했다.[70][71] 이 6개월간의 전투는 북아프리카 전역의 종결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2. 5. 현대

1907년 튀니지 독립을 목표로 하는 결사 '청년 튀니지당'이 등장했고, 이는 1920년 '헌정당'(Destour)으로 발전하여 튀니지인의 시민권 승인, 헌법 제정, 정치 참여를 요구하는 운동을 전개했다. 이후 하비브 부르기바가 이끈 '신헌정당'(Neo Destour)은 튀니지의 완전 독립을 요구하며 민족 운동을 주도했다.
이러한 민족 운동의 고조에 따라 프랑스 정부는 1956년 3월 20일, 베이 무함마드 8세 알 아민을 국왕으로 하는 조건으로 독립을 승인했다. 부르기바가 초대 총리로 선출되어 '튀니지 왕국'이 성립되었으나,[75] 이듬해인 1957년 왕정을 폐지하고 대통령제를 채택하여 '튀니지 공화국'을 수립했다. 부르기바는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77] 3월 20일은 매년 튀니지 독립기념일로 기념된다.[76]
부르기바 대통령은 1959년 헌법을 제정하고 초기에는 사회주의 정책을 채택했으나, 1970년대에는 자유주의 노선으로 변경했다. 1964년 5월 12일 외국인 소유 농지를 국유화하자 프랑스는 재정 지원을 중단했고,[79] 튀니지는 국민들에게 소득에 비례하여 '국민 대출'에 가입하도록 요구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79] 1982년에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본부가 수도 튀니스에 자리를 잡았다.

부르기바의 장기 집권과 총파업, 식량 위기 등 사회 불안이 고조되던 중, 1987년 11월 의사들이 부르기바의 통치 불능을 선언하자[80] 벤 알리 총리가 무혈 쿠데타를 통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2][81] 벤 알리 정권은 헌법 민주 집회당(RCD)을 중심으로 사실상 일당 독재 체제를 유지했으며,[78] 5년마다 압도적인 득표율로 재선되었다.[82] 1991년 걸프 전쟁 시기에는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 정권을 지지하며 아랍 연대를 주장했고, 1990년대에는 이웃 알제리에서 이슬람주의 조직에 의한 테러가 내전으로 발전하자(알제리 내전), 국내 이슬람 세력을 강력히 탄압했다. 벤 알리 정권 하에서 튀니지는 경제적으로 성장하고 비교적 온건한 이슬람 국가로 평가받기도 했으나, 대통령 일가의 부패[83][84][85][86][87][88]와 기본적인 인권 및 정치적 자유 탄압[89][90][91][92] 문제가 심각했다. 높은 청년 실업률과 물가 상승 또한 국민들의 불만을 키웠다.

2010년 12월 17일, 노점상 모하메드 부아지지가 자신의 물건 압수와 지방 관리의 모욕에 항의하며 분신한 사건은 국민적 분노를 촉발했다.[95][96] 이는 높은 실업률, 식량 물가 상승, 부패, 언론 자유 및 기타 정치적 자유 부족, 열악한 생활 수준 등에 대한 불만이 누적된 결과였다. 노동 조합도 시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97] 대규모 시민 저항 운동인 튀니지 혁명[93][94] (재스민 혁명)으로 번졌고, 이는 아랍 세계 전역에 영향을 미친 아랍의 봄의 시작을 알렸다. 결국 2011년 1월 14일, 23년간 집권했던 벤 알리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로 망명하며 그의 정권은 막을 내렸다.[305][98]
혁명 이후 과도 정부가 수립되었고, 시위대의 요구에 따라 구 집권당 RCD는 해산되었으며 정치 활동가들을 탄압했던 '정치 경찰' 특수부대도 금지되었다.[99] 2011년 10월 23일, 제헌의회 선거가 국제 및 국내 관찰자들로부터 자유롭고 공정하다는 평가 속에 치러졌다.[101] 이 선거에서 벤 알리 정권 하에서 금지되었던 이슬람주의 정당인 안나흐다 운동이 217석 중 89석을 얻어 제1당이 되었다.[102] 2011년 12월 12일, 전 반체제 인사이자 인권 운동가인 몬세프 마르주키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03] 2012년 3월, 안나흐다 운동은 새로운 헌법의 주요 법원으로 샤리아를 채택하지 않고 국가의 세속적 성격을 유지할 것이라고 선언하여 세속주의 정당들의 환영을 받았으나, 강경 이슬람주의자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104] 그러나 2013년 2월 6일, 좌파 야당 지도자이자 안나흐다 운동의 비평가였던 쇼크리 벨라이드가 암살당하는 등[105] 정치적 불안은 계속되었다. 2014년, 몬세프 마르주키 대통령은 국가 화해의 일환으로 튀니지 진실과 화해위원회를 설립했다.[106]
2015년에는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두 차례의 대규모 테러 공격이 발생했다. 바르도 국립 박물관 테러에서 22명이 사망했고, 2015 수스 테러에서는 수스 해변에서 38명이 사망했다. 이에 베지 카이드 에세브시 대통령은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연장했다.[107] 같은 해, 튀니지의 평화롭고 다원적인 정치 질서 구축에 기여한 공로로 튀니지 국가 대화 4자 위원회가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108]
튀니지의 초대 민주적으로 선출된 대통령인 베지 카이드 에세브시가 2019년 7월 재임 중 사망했다.[109] 그 뒤를 이어 카이스 사이에드가 10월 2019년 튀니지 대통령 선거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튀니지의 새로운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110]
2. 5. 1. 카이스 사이에드 정부
카이스 사이에드는 2019년 10월 2019년 튀니지 대통령 선거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튀니지 대통령이 되었고,[110] 같은 해 10월 23일에 취임했다.[111]2021년 7월 25일, 정부 기능 부전과 부패에 대한 지속적인 시위와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카이스 사이에드는 의회를 정지시키고 총리를 해임했으며, 의원들의 면책 특권을 박탈했다.[112][113] 이 조치는 튀니지 민주주의의 후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2021년 9월, 사이에드는 새로운 헌법 개정안 초안 작성을 지원할 위원회를 임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14] 같은 해 9월 29일, 그는 나즐라 부덴을 새로운 총리로 임명하여 내각 구성을 맡겼고, 새 내각은 10월 11일에 출범했다.[115][116]
외교적으로는 2022년 2월 3일, 튀니지가 아프리카 연합(AU) 평화 및 안보 이사회에 2022년부터 2024년까지의 임기로 선출되었다.[117] 경제적으로는 2022년 2월, 튀니지는 경기 침체, 공공 부채 증가, 인플레이션, 실업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통화기금(IMF)과 수십억 달러 규모의 구제 금융 확보를 위한 예비 협상을 시작했다.[118]
사이에드 정부 하에서 야권에 대한 압박도 이어졌다. 2023년 4월, 튀니지 정부는 이슬람주의 정당인 안나흐다의 본부를 폐쇄하고 당수인 라셰드 가누시를 체포했다.[119] 2023년 10월에는 자유 헌정당(FDL)의 대표이자 사이에드 대통령의 주요 비판자인 아비르 무시가 구금되었다.[120][121][122][123]
2023년에는 유럽과의 이민 문제 관련 갈등도 있었다. 9월, 사이에드 정부는 이민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유럽 집행위원회 대표단의 방문 연기를 요청했다.[124][125] 이는 7월에 체결된 이민 협정에 대한 인권 단체들의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나온 조치였다.[125][126][127] 카멜 페키 내무부 장관은 튀니지가 다른 나라의 국경 경비대 역할을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128][129] 튀니지는 유럽으로 향하는 이민자들의 주요 경유지 중 하나이다.[129] 10월 초, 사이에드는 EU가 제안한 1.27억달러 규모의 지원금을 거절했는데, 이는 3개월 전 체결된 협정 내용과 맞지 않는다는 이유였다.[130][131][132] 이 결정은 EU 측에 예상치 못한 일로 받아들여졌다.[133]
2024년 10월 6일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카이스 사이에드는 90% 이상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다. 그러나 5개 야당은 선거 보이콧을 촉구하며 선거의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했다.[134]
3. 정치

튀니지는 대통령제 공화국으로, 대통령이 국가원수, 총리가 정부수반을 맡고 있다. 입법부는 단원제인 국민의회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법부는 민법 법원 체계를 따른다. 2011년 재스민 혁명 이후 민주화 과정을 거쳐 2014년 새로운 헌법이 채택되었으나, 2022년 카이스 사이에드 대통령 주도로 국민투표를 통해 대통령 권한을 대폭 강화하는 방향으로 헌법이 개정되었다.[271][154]
2014년 헌법은 여성의 권리를 보장하고 대통령의 종교가 "이슬람교"여야 함을 명시했다. 2014년 10월, 튀니지는 아랍의 봄 이후 새로운 헌법에 따라 첫 선거를 치렀다.[141] 한때 북아프리카 유일의 민주주의 국가로 평가받았으나,[141] 2021년 이후 민주주의 후퇴를 겪으며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의 민주주의 지수에서 "혼합 정권"으로 분류되었다.[142] V-Dem 민주주의 지수의 선거 민주주의 점수 역시 2020년 0.727에서 2022년 0.307로 크게 하락했다.[143]
최근 정치 동향튀니지 최초의 민주적 선거로 선출된 대통령 베지 카이드 에세브시가 2019년 7월 사망한 후,[109] 같은 해 10월 2019년 튀니지 대통령 선거에서 카이스 사이에드가 압도적인 지지로 당선되어 10월 23일 취임했다.[110][111]
그러나 2021년 7월 25일, 정부 기능 부전, 부패, 코로나19 확산 등에 대한 지속적인 시위 속에서 사이에드 대통령은 의회 정지, 총리 해임, 의원 면책 특권 박탈 등 비상조치를 단행했다.[112][113][270] 이후 9월에는 새 헌법 개정안 초안 작성을 위한 위원회 임명을 발표했고,[114] 9월 29일 아랍권 최초의 여성 총리인 나즐라 부덴을 임명했다.[115][116][272]
2022년 2월, 사이에드 대통령은 재스민 혁명 이후 사법부 독립을 위해 설립된 최고 사법 평의회를 해산하고 임시 평의회를 설치하여 판사 해임권을 확보했으며,[267] 같은 해 6월에는 판사 57명을 부패 및 테러리스트 옹호 혐의로 해임했다.[267] 7월 25일에는 대통령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의 개헌 국민투표가 실시되어 94.5%의 찬성률로 통과되었으나, 야권의 보이콧 운동으로 투표율은 30%대에 그쳤다.[271][154]
사이에드 대통령 집권 이후 야권 인사들에 대한 탄압이 이어졌다. 2023년 4월, 이슬람주의 정당 안나흐다의 본부가 폐쇄되고 당수인 라셰드 가누시가 체포되었으며,[119][273] 10월에는 자유 헌정당(FDL)의 대표이자 사이에드 대통령의 주요 비판자인 아비르 무시가 구금되었다.[120][121][122][123]
2024년 10월 6일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카이스 사이에드는 90% 이상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다. 그러나 5개 주요 야당은 선거 보이콧을 선언하며 선거의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했다.[134]
정치 체제2022년 개정 헌법에 따라 튀니지는 강력한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
- 대통령: 국가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으로, 국민 직접선거를 통해 선출된다. 임기는 5년이며 연임 제한은 없다. 총리 및 각료 임면권, 튀니지군 최고사령관 권한, 계엄령 선포권 등 막강한 권한을 가진다.
- 총리 및 내각: 대통령을 보좌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입법부: 단원제인 국민의회로 구성된다. 총 217석이며, 의원의 임기는 5년이다. (2011년 혁명 이전에는 양원제였다.)
- 사법부: 대법원이 최고 사법기관의 역할을 한다. 프랑스 민법의 영향을 받았으나, 신분법(가족법)은 이슬람법(샤리아)에 기반한다.[149] 샤리아 법원은 1956년에 폐지되었다.[149]
정당재스민 혁명 이후 정당 설립이 자유화되면서 100개가 넘는 정당이 활동하고 있다.[144] 혁명 이전에는 헌법민주연합(RCD)이 사실상 일당 독재 체제를 유지했다. 혁명 후 첫 선거에서는 온건 이슬람주의 정당인 안나흐다가 제1당으로 부상했으나,[268] 2023년 당수가 구속되고 당사가 폐쇄되는 등 탄압을 받고 있다.[273] 현재는 카이스 사이에드 대통령을 지지하는 7월 25일 운동 등이 주요 정치 세력으로 언급된다. 과거 불법화되었던 튀니지 공산당 계열의 에타지디드(변혁) 운동은 다른 세력과 통합하여 "사회민주주의의 길 운동"(알 마사르)이 되었다.
여성 정치 참여 및 권리튀니지는 아랍 세계에서 여성의 정치 참여율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혁명 이전 의회에서도 여성이 20% 이상의 의석을 차지했으며,[145] 2011년 제헌의회에서는 24~31%를 기록했다.[146][147] 1956년 독립 직후 제정된 신분법은 여성에게 완전한 법적 지위를 부여하고 일부다처제 금지, 남편의 일방적 이혼권 폐지 등을 규정하여 북아프리카 및 이슬람 세계에서 가장 진보적인 법률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50][152] 1993년 개정을 통해 튀니지 여성이 외국인과 결혼하여 해외에 거주하는 경우에도 자녀에게 시민권을 이전할 수 있게 되었다.[151]
외교튀니지는 비동맹 노선을 표방했으나 실제로는 서방 국가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왔다. 아랍 연맹 및 아프리카 연합(AU) 등 지역 기구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프랑코포니 창설에도 기여했다. 유럽 연합(EU)과는 유럽 인근 정책(ENP)을 통해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최근에는 유럽으로 향하는 이주민 문제로 EU와 갈등을 겪고 있다. 2023년 7월 EU와 이민 협정을 체결했으나,[125][126][127] 튀니지 정부는 자국이 다른 나라의 국경 경비대 역할을 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며[128][129] 10월에는 EU의 1.27억달러 지원 제안을 거부했다.[130][131][132]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랍권의 입장을 지지하며 과거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본부를 유치하기도 했다. 이스라엘과는 국가 승인 관계이지만 관계가 원만하지는 않다.
군사

튀니지군은 육군, 해군, 공군 및 준군사조직인 국가경비대로 구성된다.[156] 2008년 기준 육군은 약 2만 7천 명 규모이다. 국방비는 GDP의 1.6% 수준(2006년 기준)이다. 튀니지군은 전통적으로 외부 위협 방어에 주력하며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역할을 해왔으나, 2011년 이후 국내 안보 및 인도적 위기 대응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다.[144] 유엔 평화유지 활동에도 적극 참여하여 콩고민주공화국,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캄보디아, 나미비아 등지에 파병한 경험이 있다.[157] 2024년 세계 평화 지수에서는 163개국 중 73위를 기록했다.[158]
행정 구역튀니지는 24개의 주(Wilaya)로 구성되며, 주는 다시 264개의 대표구(Delegations, ''무타마디야'')로, 대표구는 시(Municipalities, ''발라디야'')[159]와 구역(Sectors, ''이마다'')[160]으로 세분화된다.
관련 웹사이트
3. 1. 부르기바 정부
독일군 점령에서 해방된 후, 프랑스는 튀니지에 대한 통제권을 다시 강화하고 민족주의 정당의 활동을 불법화했다.[72] 당시 튀니지인들의 지지를 받던 몽세프 베이는 프랑스에 의해 폐위되었는데, 프랑스는 그가 추축국에 협력했다는 명목을 내세웠으나 실제 이유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72]이러한 상황에서 튀니지 민족주의 지도자 하비브 부르기바는 1945년 프랑스의 감시를 피해 카이로로 이동하여 아랍 연맹과 접촉하는 등 국제적인 독립 지원 활동을 시작했다.[72] 그는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유엔과 미국 국무부 관계자들에게 튀니지의 입장을 알리며 독립의 필요성을 역설했다.[72] 국내에서는 민족주의 정당인 신데스투르당의 중요한 지지 기반이 된 튀니지 일반노동조합(UGTT)이 결성되어 독립 운동에 힘을 보탰다.[72] 부르기바는 미국노동총연맹 회의 참석,[73] 이탈리아 방문[73] 등을 통해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으려 노력했으나, 당시 국제 정세 속에서 서방 국가들은 NATO 동맹국인 프랑스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73]
프랑스는 1953년 피에르 보아자르를 새로운 총독으로 임명하고 언론 검열 해제, 정치범 석방 등 일부 유화 조치를 취했으며,[74] 이듬해에는 튀니지에 더 많은 자치권을 부여하는 개혁안을 발표했다.[74] 그러나 신데스투르당은 부르기바의 석방과 개혁 과정 참여를 요구하며 프랑스의 일방적인 개혁안에 반대했다.[74]
결국 튀니지는 독립을 쟁취했고, 독립 이후에는 신데스투르당(독립 이후 네오데스투르당으로 불림)이 계속 집권했다. 하비브 부르기바 정부는 초기에는 급격한 협동조합화와 사회주의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1970년대에 들어서는 경제 상황 등을 고려하여 자유주의적인 온건 노선으로 정책 방향을 전환했다. 1974년에는 헌법 개정을 통해 하비브 부르기바가 종신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장기 집권의 기반을 마련했다. 1978년 1월에는 이슬람 정통주의 세력에 의한 정부 전복 시도가 발각되어 내각이 개편되기도 했다.
3. 2. 벤 알리 정부
1987년 11월, 당시 총리였던 벤 알리는 하비브 부르기바 대통령의 건강 문제를 이유로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벤 알리는 튀니지 헌법 제57조[2][81]에 따른 합법적 승계라고 주장했으나, 이는 사실상 무혈 쿠데타로 받아들여진다.[80] 그는 집권 초기 연설에서 "대통령 종신제나 자동 권력 이양은 없을 것"이며 "복수 정당제에 기반한 개선된 정치 환경"을 약속했다.
그러나 벤 알리는 이후 장기 집권을 이어갔다. 1994년과 1999년 대통령 선거에서 각각 99.5%와 99.9%라는 비현실적인 득표율로 재선되었다. 1999년 재선 후에는 헌법 개정을 추진하여 2002년 국민투표로 통과시켰는데, 이 개정 헌법은 사실상 75세까지 연임이 가능한 종신제를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2004년 10월 24일 대선에서도 벤 알리는 94.5%의 득표율로 다시 당선되었다.[306] 그는 5년마다 압도적인 득표율(80% 이상)로 꾸준히 재선되었으며, 마지막 재선은 2009년 10월 25일이었다.[82]
벤 알리 정부는 기본적으로 온건 사회주의와 비동맹 중립 노선을 표방했으나 실제로는 친서방 정책을 유지했으며, 1958년 가입한 아랍 연맹 활동도 이어갔다.
벤 알리 정권은 심각한 부패 문제와 인권 탄압으로 비판받았다. 벤 알리와 그의 가족, 특히 부인 레일라 트라벨시 측근들은 국가 자금을 착복하고[83] 경제 자유화 과정에서 얻은 이권을 통해 부를 축적했다는 비난을 받았다.[84] 트라벨시 가문은 국가 사업 부문의 상당 부분을 장악했으며,[85] 영부인 레일라는 국가 전용기를 사적인 쇼핑 여행에 이용하는 등 사치스러운 생활로 구설수에 올랐다.[86] 또한 대통령의 조카 두 명이 프랑스에서 요트 절도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튀니지 정부는 이들의 인도를 거부하기도 했다.[87] 르몽드지는 벤 알리의 사위가 권력을 승계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88]
국제앰네스티, 프리덤 하우스 등 국제 인권 단체들은 벤 알리 정권 하에서 기본적인 인권과 정치적 권리가 심각하게 침해되고 있다고 지속적으로 보고했다.[89][90] 정권은 국내 인권 단체들의 활동을 모든 수단을 동원해 방해했으며,[91] 언론 자유도 크게 위축되어 2008년에는 세계 173개국 중 143위를 기록했다.[92]
결국 국민들의 불만이 누적되어 2011년 1월 14일,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발생하며 국가적인 혼란 상태에 빠졌다. 국가비상사태가 선포되었으나[307][308] 시위는 진정되지 않았고, 결국 벤 알리는 튀니지를 탈출하여 사우디아라비아로 망명했다.[309] 이는 아랍의 봄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 되었다.
4. 자연 환경
튀니지는 북아프리카의 지중해 연안에 위치하며, 서쪽으로는 알제리, 남동쪽으로는 리비아와 국경을 접한다.[135] 국토는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비교적 작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자연환경을 보인다. 동서 폭은 좁은 편이다.
국토는 크게 세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북부의 텔(Tell) 지역은 아틀라스 산맥의 영향을 받아 구릉과 평야가 발달했으며, 메제르다 강 유역은 비옥한 곡창 지대이다. 중부는 동쪽 해안의 올리브 재배지인 사헬(Sahil) 평야와 내륙의 스텝 지대로 구성된다. 남쪽으로 갈수록 건조해져 국토의 남부 지역 대부분은 반건조 지역과 사하라 사막이 차지한다. 사하라 북단에는 염호들이 분포한다.
기후는 북부의 지중해성 기후에서 남부의 사막 기후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남쪽으로 갈수록 강수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특징이 있다. 봄과 여름에는 사하라 사막에서 시로코라는 뜨거운 바람이 불기도 한다.
이러한 지리적, 기후적 다양성 덕분에 튀니지에는 지중해 연안의 삼림부터 사하라 사막의 식생까지 여러 생태계가 존재한다.[140] 하지만 물 부족 문제도 겪고 있다.
4. 1. 지리

튀니지는 북아프리카의 지중해 연안에 위치하며, 서쪽과 남서쪽으로는 알제리(국경 길이 965km), 남동쪽으로는 리비아(국경 길이 459km)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135] 북쪽과 동쪽으로는 지중해와 접한다. 국토는 북위 30°와 북위 38° 사이, 동경 7°와 동경 12° 사이에 위치한다. 국토는 북쪽 끝에서 남쪽 끝까지 약 850km, 동쪽 해안에서 서쪽 국경까지 약 250km로 남북으로 길쭉한 모양이다.[278]
튀니지는 주변 국가에 비해 면적이 작은 편이지만,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지리적, 기후적 다양성이 크다. 동서 방향의 폭은 좁은 편이다. 마그레브 지역의 다른 나라들처럼 튀니지도 남쪽으로 갈수록 강수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남북 간 환경 차이가 뚜렷하다.
국토는 크게 세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 북부 (텔 지역): 알제리 국경에서 동쪽 본 곶 반도까지 아틀라스 산맥의 동쪽 줄기인 도르살 산맥이 북동 방향으로 가로지른다. 도르살 산맥 북쪽의 텔(Tell) 지역은 낮은 구릉과 평야가 특징이며, 알제리 서부 산맥의 연장선이다. 북서쪽 크루미르 지역은 고도가 1050m에 달하며 겨울에는 눈이 내리기도 한다. 텔 지역에는 튀니지에서 가장 긴 강인 메제르다 강이 흐르며, 그 유역의 메제르다 평야는 비옥한 곡창 지대이다.[279]
- 중부 (스텝 지역): 동쪽 지중해 해안을 따라서는 사힐(Sahil)이라 불리는 넓은 해안 평야가 펼쳐지는데, 이곳은 세계적인 올리브 재배 지역이다. 사힐 평야의 내륙, 도르살 산맥과 남쪽의 가프사 구릉 지대 사이에는 스텝 지대가 나타난다. 도르살 산맥은 지중해의 습한 공기를 막아 이 지역 남쪽은 스텝 기후를 보인다. 서부의 해발 400m~800m 지역은 스텝 고원, 동부의 해발 400m 이하 지역은 스텝 평원으로 불린다. 스텝 고원 남쪽에는 면적 5000km2의 염호인 제리드 호(쇼트 엘 제리드)가 있다. 이 호수 부근에서는 19세기 말부터 인광석 채굴이 시작되어 현재 튀니지의 주요 수출품이 되었다.[280]
- 남부 (사하라 사막 지역): 국토의 남쪽 절반은 반건조 지역 및 사하라 사막이다. 마토마타 산맥에서 남동쪽으로 다르 구릉이 리비아까지 이어지고, 그 동쪽에는 해발 200m 이하의 제파라 평야가 펼쳐져 있다. 이 지역의 사막은 바람에 의해 모습이 변하는 모래 사막(에르그) 외에도, 돌과 자갈로 덮인 자갈 사막, 식물이 거의 없는 암석 사막 등 다양한 형태를 띤다.[280] 사하라 사막 북쪽 가장자리에는 동서 방향으로 염호(chotts 또는 shatts)들이 늘어서 있다. 이 중 쇼트 엘 제리드는 해발 -17m로 튀니지에서 가장 낮은 지점이다.[139] 튀니지 최고봉은 알제리와의 국경 근처 아틀라스 산맥에 있는 제벨 엘 샴비(해발 1544m)이다.[139][279]
튀니지의 해안선 길이는 1148km이다.[136] 북쪽 해안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동쪽 해안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뻗어 있으며, 튀니스 만, 함마메트 만, 가베스 만 등 주요 만이 있다. 가베스 만 앞바다에는 제르바 섬이 있다. 해양법상 튀니지는 24nmi의 접속수역과 12nmi의 영해를 주장한다.[136] 수도 튀니스는 튀니스 호수로 내려가는 언덕 경사면에 자리 잡고 있으며, 튀니스 호수와 세주미 호수 사이의 좁은 지협에 위치한다.[137]
튀니지의 기후는 북부는 온화하고 비가 오는 겨울과 덥고 건조한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해성 기후이다.[138] 중부는 스텝 기후, 남부는 사막 기후를 보인다. 봄부터 여름까지 사하라 사막에서 북쪽으로 시로코라는 뜨거운 바람이 불기도 한다. 연평균 강수량은 지역별 차이가 커서, 튀니스는 약 470mm이지만 북부의 비제르트는 1000mm를 넘는다.
4. 2. 기후
튀니지의 기후는 북부는 온화하고 비가 오는 겨울과 덥고 건조한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해성 기후이며, 남부는 사막 기후이다.[138]
북부 지역은 7월 평균 기온이 29.3°C, 12월 평균 기온은 11.4°C이다. 그러나 여름에는 기온이 40°C 이상 오르기도 하며, 겨울에는 6°C~7°C 정도로 떨어지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북부의 지형은 산악 지형이며, 남쪽으로 갈수록 기후는 더 덥고 건조해져 중앙 평원으로 이어진다. 남부 지역은 반건조 지역이며, 사하라 사막과 맞닿아 있다.
''chotts'' 또는 ''shatts''로 알려진 일련의 염호는 사하라 사막의 북쪽 가장자리에 동서 방향으로 위치하며, 가베스 만에서 알제리까지 이어진다. 가장 낮은 지점은 해발 17m 아래에 있는 쇼트 엘 제리드이며, 가장 높은 지점은 1544m에 있는 제벨 엘 샴비이다.[139]
4. 3. 행정 구역
튀니지의 수도는 튀니스이다. 튀니지는 24개의 주(''Wilaya'', ''윌라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주의 주지사는 대통령이 임명한다.
주는 다시 264개의 대표구(''Delegations'', ''무타마디야'') 또는 구(''district'', ''무타마디야'')로 나뉘고, 다시 시(''municipalities'', ''발라디야'')[159]와 구역(''sectors'', ''이마다'')[160]으로 세분화된다.
24개 주는 다음과 같다.
| # | 주 이름 | # | 주 이름 |
|---|---|---|---|
| 1 | 아리아나 주 | 13 | 마누바 주 |
| 2 | 베자 주 | 14 | 메데닌 주 |
| 3 | 벤 아루스 주 | 15 | 모나스티르 주 |
| 4 | 비제르테 주 | 16 | 나뵐 주 |
| 5 | 가베스 주 | 17 | 스팍스 주 |
| 6 | 가프사 주 | 18 | 시디부지드 주 |
| 7 | 젠두바 주 | 19 | 실리아나 주 |
| 8 | 카이르완 주 | 20 | 수스 주 |
| 9 | 카세린 주 | 21 | 타타우인 주 |
| 10 | 케빌리 주 | 22 | 토죄르 주 |
| 11 | 케프 주 | 23 | 튀니스 주 |
| 12 | 마디아 주 | 24 | 자구안 주 |
4. 4. 외교
튀니지는 아랍권과의 유대를 중시하면서도 경제적으로는 미국과의 실질적인 경제 협력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친서방 노선을 유지하며 EU 및 아랍권과의 연대를 강화하는 외교 정책을 펼치고 있다.[72] 아프리카 연합, 아랍 연맹, 지중해 연합, 아랍 마그레브 연합 등 다양한 국제기구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다.독립 운동 시기 민족주의 지도자 하비브 부르기바는 프랑스의 감시를 피해 카이로에서 아랍 연맹과 접촉하고,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유엔과 미국 국무부에 튀니지의 입장을 알리며 국제적 지지를 호소했다.[72] 그는 이탈리아 등 다른 국가들과도 접촉하며 독립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다.[73] 초대 대통령이 된 부르기바는 비동맹 노선을 표방하면서도 EU, 파키스탄, 미국 등 서방과의 긴밀한 관계를 중시했다. 그의 뒤를 이은 즈인 알 아비딘 벤 알리 대통령 역시 서방과의 우호 관계를 유지하면서 아랍 및 아프리카 지역 기구에서 활발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존 정책을 이어갔다.
독립 직후에는 프랑스군의 비제르테 해군 기지 문제와 알제리 전쟁에 대한 입장 차이로 프랑스와 대립하기도 했으나, 1970년대 이후로는 친프랑스, 친서방 정책을 지속하고 있다. 부르기바 대통령은 세네갈의 상고르 대통령 등과 함께 프랑스어권 국가들의 협력체인 프랑코포니 창설에 기여하기도 했다.
1980년대에는 아랍 연맹 본부가 이집트 카이로에서 튀니스로 이전되고 튀니지인이 사무총장으로 선출되면서, 1990년대 이집트가 연맹에 복귀하기 전까지 아랍 국가들 사이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리비아와는 1974년 합방을 선언하고 아랍 이슬람 공화국을 결성했으나 곧바로 무산된 이후 관계가 악화되었다. 1980년에는 리비아에서 훈련받은 튀니지 반정부 세력이 가프사를 공격하는 가프사 사건이 발생했고, 1985년에는 리비아군이 국경 부근에 집결하여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기도 했다.
팔레스타인 문제와 관련해서는 제3차 중동 전쟁과 제4차 중동 전쟁에 소규모 병력을 파병하며 아랍 측을 지원했다. 1982년에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본부를 유치했으나, 이로 인해 1985년 이스라엘 공군의 공습(림바스 작전)을 받기도 했다. PLO 본부는 오슬로 협정 이후인 1994년 팔레스타인으로 이전했다. 튀니지는 이스라엘을 국가로 승인했지만, 팔레스타인 문제 등으로 인해 관계는 원만하지 않으며, 가자 지구 분쟁 (2008년-2009년) 당시 이스라엘을 비난하는 입장을 취했다.
일본과도 외교 관계를 맺고 교류하고 있다.[274] 주일 튀니지 대사관은 도쿄도 치요다구에 위치해 있다.



4. 4. 1. 한국과의 관계
한국과는 1969년에 수교하였고, 북한과는 1975년에 수교하였다.5. 경제
튀니지는 수출 지향적인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2009년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아프리카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경제로 선정되었다.[162][283] 1990년대 초반부터 평균 5%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정치적으로 연결된 엘리트들에게 이익이 돌아가는 부패 문제도 겪고 있다.[162][281] 튀니지 형법은 뇌물수수, 직권남용 등 여러 형태의 부패를 범죄로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 단속은 효과적이지 않다는 평가가 있다.[163]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6년 국제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의 부패인식지수(Corruption Perceptions Index)에서는 북아프리카 국가 중 가장 부패가 적은 국가로 평가되었다.
튀니지의 경제는 농업, 광업, 제조업, 석유 제품에서부터 관광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164] 2008년 기준 명목 GDP는 410억달러, 구매력평가(PPP) 기준 GDP는 820억달러였다.[165][282] 지난 10년간 평균 5%의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특히 청년층의 높은 실업률은 지속적인 문제로 남아있다.[166][167][168] (튀니지 경제의 상세 구조와 부문별 현황은 #산업 섹션 참조)
유럽 연합(EU)은 튀니지의 최대 교역 파트너로서, 현재 튀니지 수입의 72.5%와 수출의 75%를 차지한다.[169] 튀니지는 지중해 지역에서 EU의 가장 오래된 교역 파트너 중 하나이며, 1995년 7월 지중해 국가 중 최초로 EU와 협력 협정을 체결했다.[169][287] 2008년에는 산업 제품에 대한 관세 철폐를 완료하여 EU 비회원 지중해 국가 중 최초로 EU와 자유무역지대를 형성하였다.[169][287]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세계적인 식량 공급 위기는 튀니지 경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170][171] 한편, 이탈리아와의 전력 상호 연결 프로젝트인 ELMED 추진 등 에너지원 다변화 및 재생 에너지 전환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172] 2023년 6월 세계은행은 이 프로젝트를 위해 2.6839999999999997억달러 규모의 대출을 승인했다.[172] 튀니지는 2024년 세계혁신지수(Global Innovation Index)에서 81위를 기록했다.[173]
튀니지의 주요 산업, 에너지 정책, 교통 인프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관련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산업
튀니지는 수출 지향적인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2009년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아프리카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경제로 선정되기도 했다.[162][283] 1990년대 초반부터 평균 5%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정치적으로 연결된 엘리트들에게 이익이 돌아가는 부패 문제도 겪고 있다.[162][281] 튀니지 형법은 여러 형태의 부패를 범죄로 규정하지만, 실제 단속은 효과적이지 않다는 평가가 있다.[163]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의 2016년 부패인식지수(Corruption Perceptions Index)에서는 41점을 받아 북아프리카 국가 중 가장 부패가 적은 국가로 평가되었다.
튀니지 경제는 농업, 광업, 제조업, 석유 제품, 관광 등 다양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164] 2008년 기준 명목 GDP는 410억달러, 구매력평가(PPP) 기준 GDP는 820억달러였다.[165][282] GDP에서 각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농업 11.6%, 산업 25.7%, 서비스업 62.8%이다. 산업 부문은 주로 의류 및 신발 제조, 자동차 부품 생산, 전기 기계 등이 중심이다.[166][167][168] 지난 10년간 평균 5%의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특히 청년층의 높은 실업률은 지속적인 문제로 남아있다.[166][167][168] 튀니지는 에어버스[284]와 휴렛팩커드 등 많은 다국적 기업을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285] 2024년 세계혁신지수(Global Innovation Index)에서는 81위를 기록했다.[173]
'''농업 및 수산업'''
국토 면적의 27.8%가 농경지, 36.3%가 목초지, 5.4%가 삼림지대로, 북아프리카에서 비교적 좋은 농업 환경을 갖추고 있다.[314] 북부에서는 밀 재배와 축산(주로 양)이 활발하며, 튀니스 부근에서는 포도, 본곶에서는 과일과 채소가 재배된다. 남부 연안 지역에서는 올리브 생산이 중요하다.[314] 건조 기후에 적합한 올리브와 채소 재배가 농업의 중심이며, 유럽보다 빠른 수확기를 이용한 밀 수출도 이루어진다. 주요 농산물 생산량(2005년 기준)은 올리브 세계 5위(70만ton, 세계 시장 점유율 4.8%), 자몽 세계 10위(7.2만ton, 2.0%) 등이다.[294] 대추야자(13만 톤, 1.8%), 낙타(23만 마리, 1.2%) 등 건조 기후를 활용한 농축산물도 생산된다. 주요 곡물은 밀(136만 톤, 북부 중심)과 보리(44만 톤, 남부 중심)이며, 토마토(92만 톤) 생산량도 많다.[294] 19세기 말 유럽인이 건설한 대규모 농장은 독립 후 접수되어 협동농장이 되었다.[314] 수스를 중심으로 수산업도 활발하다.[314] 튀니지는 식량 자급률 100%를 넘는다.[293]
'''광업 및 에너지'''
튀니지의 주요 지하자원은 인광석이며, 모로코와 함께 세계적인 인광석 수출국이다. 주요 광산은 국토 중앙부 가프사 근교에 있으며, 생산량은 세계 5위(인산칼슘 240만 톤, 5.4%) 수준이다.[314] 그 외 철광, 수은, 망간, 아연, 은, 납 등도 채굴된다.[314]
석유는 1964년 이탈리아 자본에 의해 발견되었고, 1966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어 12개의 유전이 가동 중이다.[179] 주요 유전은 남부 엘 부르마(El Bourma)이며,[178] 1968년 이후 석유는 튀니지의 제1 수출품이 되었다.[314] 원유 생산량은 하루 약 97,600 배럴이다.[178] 리비아 국경 근처 가베스만의 유전 개발은 상대적으로 더디다. 2004년 기준 원유 채굴량은 317만 톤, 천연가스는 82천兆줄이다. 에너지 자급률은 100%를 넘는다.
전력의 대부분은 국영 회사인 STEG(Société Tunisienne de l'Electricité et du Gaz|소시에테 튀니지엔 드 레렉트리시테 에 뒤 가즈fra)가 국내에서 생산한다. 2008년 총 13,747 기가와트시(GWh)의 전력이 생산되었다.[177] 주요 전력 생산원은 열증기(44%), 복합 사이클(43%), 가스터빈(11%)이며, 풍력, 수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비중은 2% 수준이다.[176]
튀니지는 당초 2020년까지 900~1000 메가와트(MW)급 원자력 발전소 2기 건설을 계획했으나,[180][181] 2015년경 이 계획을 포기했다.[182] 대신 재생 에너지, 석탄, 셰일 가스, 액화 천연 가스 도입 및 이탈리아와의 해저 전력 상호 연결(ELMED) 건설 등 에너지원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다.[182] 2023년 6월, 세계은행(World Bank Group)은 이탈리아와의 전력 상호연결 프로젝트인 ELMED에 2.6839999999999997억달러를 대출했다. 이 프로젝트는 600MW급 해저 케이블을 통해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를 시칠리아와 EU로 수출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72] 튀니지 에너지 절약 국가 기관(National Agency for Energy Conservation)이 제안한 튀니지 태양 에너지 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전력 생산에서 재생 에너지 비율을 30%(주로 풍력 및 태양광)까지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83] 2015년 기준 튀니지의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은 총 312MW(풍력 245MW, 수력 62MW, 태양광 15MW)였다.[184][185]
'''제조업'''
독립 후 공업화 정책에 따라 제철, 정유, 시멘트, 건재, 화학, 식품 등의 공업이 발달했다.[314] 농산물 가공에 기반한 식품공업(올리브유, 채소 통조림 등), 광물 채취와 연계된 화학공업(주로 비료 생산), 가공 무역 중심의 기계공업 및 섬유업이 주요 분야이다. 올리브유 생산량은 세계 4위(15만ton, 6.4%)이며, 인산(세계 3위, 63만 톤, 3.7%), 황산(세계 6위, 486만 톤, 4.8%), 인산 비료(세계 7위, 97만 톤, 2.9%) 등 화학 제품 생산도 활발하다. 주요 공업 도시는 수도 튀니스이다. 최근에는 유럽 국가들의 의류 제조 하청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관광'''
관광 산업은 튀니지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2009년 기준 GDP의 7%, 37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164][286]
'''무역 및 국제 관계'''
튀니지는 무역 의존도가 높은 국가로, 수출 34.4%, 수입 45.2%를 기록하고 있다. 주요 수출품은 올리브유, 야채, 과일 통조림, 인광석 등이었으나, 1968년 이후 석유가 최대 수출품이 되었다.[314] 현재는 공산품이 수출의 81%, 수입의 77.8%를 차지하며 가공 무역이 활발하다. 품목별 수출 비중은 의류(37.0%), 전기 기계(11.9%), 원유(5.4%), 화학 비료(4.7%), 직물(3.7%) 순이다. 수입은 섬유(14.7%), 전기 기계(11.9%), 기계류(10.7%), 자동차(6.9%), 의류(5.3%) 등이 많다. 식료품은 수출의 7.6%, 수입의 9.0%를 차지한다.
유럽 연합(EU)은 튀니지의 최대 교역 파트너로, 튀니지 수입의 72.5%, 수출의 75%를 차지한다.[169][287] 튀니지는 지중해 지역에서 EU와 가장 오래된 교역 파트너 중 하나이며, 1995년 7월 지중해 국가 중 최초로 EU와 협력 협정을 체결했다.[169][287] 2008년에는 산업 제품에 대한 관세를 완전히 철폐하여 EU 비회원 지중해 국가 중 최초로 EU와 자유무역지대를 형성했다.[169][287] 주요 교역 상대국은 프랑스와 이탈리아로, 두 국가가 전체 교역의 약 50%를 차지한다. 그 외 독일, 리비아, 벨기에, 스페인 등과도 교역한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세계적인 식량 공급 위기는 튀니지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170][171] 또한, 프랑스와 리비아 등 해외에서 일하는 튀니지 노동자들의 송금도 중요한 외화 수입원이다.
'''기타 개발 프로젝트'''
튀니지에서는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 튀니스 스포츠 시티(Tunis Sports City)는 아랍에미리트의 Bukhatir 그룹이 50억달러를 투자하여 건설하는 스포츠 및 주거 복합 단지이다.[288] 튀니스 금융 항구(Tunis Financial Harbour)는 30억달러 규모의 개발 프로젝트로, 북아프리카 최초의 역외금융센터를 목표로 한다.[289] 튀니스 텔레콤 시티(Tunis Telecom City)는 30억달러를 투자하여 튀니스에 IT 허브를 조성하는 프로젝트이다.[290]
5. 2. 교통
튀니지의 도로는 잘 정비되어 있으며 총 길이는 19232km에 달한다. 주요 고속도로는 세 개가 있다. 튀니스에서 스팍스까지 이어지는 A1(스팍스-리비아 구간 공사 중), 튀니스에서 베자까지 이어지는 A3(베자-부살렘 구간 공사 중, 부살렘-알제리 구간 연구 중), 그리고 튀니스에서 비제르테까지 이어지는 A4 고속도로가 운영 중이다. 일부 구간은 범아프리카 고속도로의 일부를 구성한다.철도는 주로 프랑스 통치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운행된다. 일부 노선은 광산 개발 목적으로 건설되기도 했다.[315] 철도망은 국영 철도 회사인 SNCFT가 운영하며 총 길이는 2135km이다.[165] 수도 튀니스 지역에는 Transtu가 관리하는 '메트로 레제르'(Métro Léger|메트로 레제르fra)라는 경전철 네트워크가 운행되고 있다.
튀니지에는 총 29개의 공항이 있다. 이 중 튀니스 카르타고 국제공항과 제르바-자르지스 국제공항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2011년에는 수스 북쪽 엔피다에 엔피다-함마메트 국제공항이 새로 개항하여 함마메트와 엘 칸타우이 항구의 리조트, 그리고 카이루안과 같은 내륙 도시를 주로 연결한다. 튀니스 카르타고 국제공항은 파리, 로마, 카이로 등 주요 국제 도시와 연결된다.[315] 튀니지에는 튀니스에어, 시팍스 항공, 카르타고 항공, 누벨레어, 튀니스에어 익스프레스 등 5개의 항공사가 본사를 두고 있다.[165]
주요 항구로는 비제르테, 가베스, 스팍스 등이 있다.[315]
6. 인문 환경
튀니지는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높은 수준의 상하수도 서비스 접근성을 갖추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안전한 식수 접근율은 도시 지역에서 거의 100%, 농촌 지역에서 90%에 달하며, 연중 고품질의 식수를 제공한다.[186][187] 도시 및 대규모 농촌 지역의 상수도 시스템은 국가 상수도 관리 기관(SONEDE)이 담당하며, 소규모 농촌 지역은 농촌 공학 총국(DGGR)이 관리한다. 하수도 부문은 1974년 설립된 ONAS가 담당하며, 2012년 기준 비수익 물 비율은 21%로 이 지역에서 가장 낮다.[188]
튀니지의 공식 명칭은 الجمهورية التونسية|알주무흐리야 앗투니시야ara이며, 통칭은 تونس|투니스ara이다. 국명 '튀니지'는 수도 튀니스의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기원전 4세기에 존재했던 고대 도시 투네스(Thunes)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독립 이후 초대 대통령 하비브 부르기바의 주도로 강력한 세속주의 정책이 추진되었다. 1956년 제정된 가족법은 일부다처제와 공공장소에서의 베일 착용을 금지했으며, 이는 여성의 권익 증진과 사회 진출에 크게 기여했다. 후임 자인 엘 아비딘 벤 알리 대통령 역시 이러한 정책 기조를 이어받아 여성의 지위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295]. 그 결과 튀니지는 아랍 세계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296], 이슬람 국가 중 드물게 낙태가 합법적으로 허용된다.
2010년 기준, 의료비 지출은 국내총생산(GDP)의 3.37%를 차지했다. 2009년 기준 인구 1만 명당 의사는 12.02명, 간호사는 33.12명이었다.[236] 2016년 출생 시 기대 수명은 75.73세(남성 73.72세, 여성 77.78세)였으며[237], 같은 해 영아 사망률은 1,000명당 11.7명이었다.[238]
교육은 6세부터 16세까지의 초등 및 중등 교육이 무상 의무 교육으로 제공된다. 학생들은 가정에서 튀니지 아랍어를 배우고, 학교에서 6세부터 표준 아랍어 읽기와 쓰기, 8세부터 프랑스어 읽기와 쓰기, 12세부터 영어를 배운다. 2004년 기준 15세 이상 인구의 문해율은 74.3%(남성 83.4%, 여성 65.3%)였다.[298] 주요 고등 교육 기관으로는 자이투나 대학교(737년 설립), 튀니스 대학교(1960년 설립), 카르타고 대학교(1988년 설립), 엘 마나르 대학교(2000년 설립) 등이 있으며, 명문 고등학교로는 사디키 학교(Sadiki校)(1875년 설립)가 있다.
6. 1. 인구
튀니지의 주요 도시는 다음과 같다.
| 순위 | 도시 | 주 | 인구 (2014년)[189] |
|---|---|---|---|
| 1 | 투니스 | 투니스 주 | 1,066,961 |
| 2 | 스팍스 | 스팍스 주 | 330,440 |
| 3 | 수스 | 수스 주 | 271,428 |
| 4 | 에타다멘-므닐라 | 아리아나 주 | 196,298 |
| 5 | 케이루안 | 케이루안 주 | 186,653 |
| 6 | 가베스 | 가베스 주 | 152,921 |
| 7 | 비제르테 | 비제르테 주 | 142,966 |
| 8 | 라 수크라 | 아리아나 주 | 129,693 |
| 9 | 아리아나 | 아리아나 주 | 114,486 |
| 10 | 사키에트 에다이에르 | 스팍스 주 | 113,776 |
튀니지는 이슬람 국가이지만 세속주의를 표방하는 국가이다. 독립과 같은 해인 1956년, 초대 대통령 하비브 부르기바는 “국가 페미니즘” 기조 아래 가족법을 제정했다. 이 법에 따라 터키와 마찬가지로 일부다처제가 금지되었고, 공공장소에서 여성이 스카프나 베일(히잡)을 착용하는 것도 금지되었다. 이후 자인 엘 아비딘 벤 알리 대통령 역시 이러한 정책 기조를 이어받아, 1993년에는 결혼한 부부가 공유 재산 외에 각자의 개별 재산을 선택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했다[295]. 가족법 제정 이후 여성의 사회 진출이 눈에 띄게 증가하여, 튀니지는 아랍 세계에서 여성의 지위가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296]. 또한 이슬람 세계에서는 드물게 낙태가 법적으로 허용된 국가이기도 하다. 튀니지의 인구는 독립한 1956년부터 2007년까지 약 2.3배 증가했다[297].
6. 2. 주민
CIA 세계 정보 연감에 따르면, 튀니지의 민족 집단은 아랍인 98%, 유럽인 1%, 유대인 및 기타 1%로 구성된다.[165] 다른 자료들 역시 아랍인 인구를 98%로 추정하며,[165][191][192] 베르베르인은 1% 정도로 보고 있다.[193] 1956년 튀니지 인구 조사 당시에는 총인구 3,783,000명 중 95%가 아랍인과 베르베르인이었으며, 유럽인은 256,000명, 유대인은 105,000명이었고, 베르베르 방언 사용자는 인구의 2%였다.[190]오늘날 튀니지로 알려진 지역의 역사적으로 확인된 첫 주민은 베르베르인이다. 그러나 7세기 아랍의 정복 이후 주민들의 혼혈과 아랍화가 진행되어 현재는 민족적으로 뚜렷이 구분하기 어렵게 되었다. 베르베르인(아마지그족)은 주로 남동부의 다하르 산맥과 제르바 섬, 북서부의 크루미르 산악 지대에 집중되어 있으며, 여러 유전학 및 역사 연구는 튀니지 내에서 아마지그족의 유전적 기여가 상당함을 시사한다.[197]
흑인 튀니지인은 인구의 10~15%를 차지하며,[194][195] 이들 대부분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출신으로 노예 무역을 통해 튀니지로 오게 된 사람들의 후손이다.[196]
수천 년에 걸쳐 페니키아인/카르타고인, 로마인, 반달족, 아랍인, 스페인인, 오스만 튀르크인과 예니체리, 그리고 프랑스인 등 수많은 문명과 민족이 이 지역을 침략하거나 이주하여 인구 구성에 영향을 미쳤다.[198] 특히 아라비아 반도에서 유목민 바누 힐랄 아랍 부족의 지속적인 유입이 있었다.[56] 오스만 제국의 영향은 튀르코-튀니지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중요했으며, 1870년경에는 아랍어를 사용하는 인구와 튀르크 엘리트 사이의 구분이 점차 모호해졌다.[199] 또한 레콩키스타 이후 스페인에서 추방된 비기독교인과 모리스코 중 다수가 튀니지에 정착했으며, 최대 8만 명의 모리스코가 주로 수도 투니스와 그 주변에 정착했다고 추정된다.[202]
19세기 후반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까지 튀니지에는 많은 프랑스인과 이탈리아인이 거주했다(1956년 기준 유럽계 튀니지인 255,000명).[200] 그러나 튀니지가 독립한 후 이들 대부분과 상당수의 유대인 인구가 튀니지를 떠났다. 튀니지 유대인의 역사는 약 2,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1948년에는 인구가 105,000명에 달했으나 2013년에는 약 1,000명만이 남게 되었다.[201]
6. 3. 언어
2002년에 개정한 1992년 헌법 1조에 따라 아랍어가 튀니지의 공용어이다. 일상생활에서는 튀니지 아랍어( تونسي|툰시ar, Tounsi)라는 구어체 아랍어 변종이 널리 사용된다.[203][204] 튀니지어는 말타어와 유사하다는 특징이 있다.소수 언어로는 베르베르어 계통의 언어들이 사용되는데, 이를 통칭하여 제발리( Jebbali|제발리ber) 또는 셸하( Shelha|셸하ber)라고 부른다. 현재 사용되는 베르베르어로는 제르바 섬의 제르바 베르베르어와 마트마타 지역의 마트마타 베르베르어가 있다. 세네드어는 현재 사멸된 상태이다.[205][206]
과거 프랑스의 보호령이었던 영향으로 프랑스어는 공식적인 지위는 없지만 사회 전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교육(특히 중등 교육 과정의 과학 과목), 언론, 비즈니스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 준공용어와 같은 지위를 가진다. 2010년 기준으로 튀니지 인구의 약 64%에 해당하는 663만 9천 명이 프랑스어를 구사할 수 있으며,[207] 튀니지는 프랑코포니(프랑스어사용국기구)의 정회원국이다. 대부분의 튀니지 국민이 프랑스어를 구사할 수 있다.
이탈리아어 역시 일부 튀니지 인구가 이해하고 사용한다.[208] 관광지에서는 영어와 독일어, 이탈리아어 등도 통용된다. 튀니지의 상점 간판, 메뉴판, 도로 표지판 등은 일반적으로 아랍어와 프랑스어가 함께 표기되어 있다.[209]
6. 4. 종교


튀니지 헌법은 이슬람을 공식 국교로 명시하면서도, 사상, 신념 및 종교 실천의 자유를 보장한다.[214] 인구의 약 98%가 무슬림으로 보고되며, 약 2%는 주로 기독교 또는 유대교를 따른다.[165] 튀니지는 종교가 정치 및 공공 생활과 분리되는 세속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사회는 개인의 종교 자유에 관대한 편이고 일반적으로 타인의 신념에 대해 직접적으로 묻지 않는 분위기이다.[214] 이슬람 국가임에도 주말은 토요일과 일요일이다.
이슬람교대부분의 튀니지 무슬림은 말리키 학파의 수니파에 속하며, 이들의 모스크는 네모난 첨탑이 특징이다.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에 유입된 하나피 학파의 영향도 남아있어, 터키계 후손들 사이에서 명맥을 잇고 있으며, 이들의 모스크는 전통적으로 팔각형 첨탑을 가진다.[215] 수니파가 대다수를 차지하며, 무교파 무슬림이 두 번째로 큰 무슬림 그룹이고[216], 제르바 섬(Djerba) 등지에 소수의 이바디파 베르베르인 신자들도 있다.[217][218] 이슬람교의 계율 적용이 비교적 유연하여, 여성들이 베일을 쓰지 않고 서구적인 패션을 하는 경우도 많다. 1980년대 이슬람주의의 부상으로 베일 착용이 증가했으나, 1990년대 이웃 알제리 내전의 영향으로 이슬람주의가 쇠퇴하며 베일 착용도 다시 감소했다.[296]
2018년 아랍 바로미터(Arab Barometer) 조사에서는 튀니지인의 99.4%가 자신을 무슬림으로 인식하지만, 약 33%는 비종교인으로 확인된다고 보고하여 아랍 세계에서 가장 비종교적인 국가 중 하나로 나타났다. 특히 젊은 층의 절반 가까이가 비종교인이라고 답했다.[210][211][212] 그러나 2022년 7월 발표된 새로운 아랍 바로미터 조사에서는 이러한 비종교적 경향이 "역전되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2021년 조사 기준으로 튀니지인의 44%가 자신을 종교적, 37%가 다소 종교적, 19%가 비종교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13][210]
기독교이슬람 등장 이전에는 키프리아누스나 테르툴리아누스 같은 교부들이 활동했을 정도로 기독교의 역사가 깊다. 독립 전에는 25만 명이 넘는 기독교인(주로 이탈리아계 및 몰타계)이 거주했으나, 독립 후 다수가 이탈리아나 프랑스로 이주했다.[219] 현재 튀니지에는 약 3만 5천 명 이상의 기독교 공동체가 있으며[220][221], 주로 가톨릭교도(약 2만 2천 명)이고 개신교 신자도 소수 존재한다. 대부분의 기독교 신자는 외국인이다. 베르베르인 기독교 공동체는 15세기 초까지 일부 네프자와(Nefzaoua) 지역에, 18세기까지 토제르(Tozeur)에 존재했던 기록이 있다.[62] 2007년 국제 종교 자유 보고서에 따르면, 수천 명의 튀니지 무슬림이 기독교로 개종한 것으로 추정된다.[223][224] 튀니지에서는 선교 활동이 제한되어 기독교 관련 문서의 판매나 배포가 금지된다.
유대교유대교는 1,000명에서 1,400명 사이의 신자를 가진 세 번째로 큰 종교이다.[225][226] 유대인 인구의 약 3분의 1은 수도 튀니스와 그 주변에 거주하며, 나머지는 주로 제르바 섬(Djerba)에 산다. 제르바 섬에는 39개의 시나고그가 있으며, 유대인 공동체는 2,600년의 역사를 지닌다.[227] 스팍스와 하맘리프에도 소수의 유대인이 거주한다.[214]
제르바 섬의 유대인들은 기원후 70년 로마 제국의 예루살렘 성전 파괴 이후 피난 온 이들의 후손으로 여겨지며,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오래된 시나고그 중 하나인 엘 그리바 시나고그(El Ghriba synagogue)를 설립했다. 이 시나고그는 솔로몬 성전의 돌로 지어졌다는 전설과 함께 오랜 역사로 인해 많은 유대인들의 순례지가 되었으며, 매년 축제가 열린다.[228] 11세기 중세 상인의 기록을 통해 제르바 유대인 공동체의 존재가 문헌상으로 확인되며, 이들은 무와히드 왕조의 박해로 추방당하기도 했다. 반유대주의에 기반한 폭력 사건이 보고되기도 했지만[229], 튀니지는 모로코와 함께 아랍 국가 중에서 유대인 인구를 비교적 잘 수용하는 국가로 평가받는다.[230]
기타소수의 바하이교 공동체도 존재한다.[231]
세속주의와 종교튀니지는 독립 이후 부르기바 초대 대통령의 주도로 강력한 세속주의 정책을 추진했다. 1956년 제정된 가족법은 일부다처제와 공공장소에서의 스카프 착용을 금지했으며, 이는 터키와 유사한 조치였다. 후임 벤 알리 대통령 역시 이러한 정책을 계승하여 여성의 사회 진출을 장려했고, 1993년에는 부부 재산 제도를 개정하기도 했다.[295] 이러한 정책 덕분에 튀니지는 아랍 세계에서 여성의 지위가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296], 이슬람 세계에서는 드물게 낙태가 합법이다.
7. 문화
튀니지 문화는 페니키아인, 로마인, 반달족, 비잔틴인, 아랍인, 시칠리아-노르만인, 튀르크인, 이탈리아인, 몰타인, 프랑스인 등 오랜 기간 다양한 외부 세력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혼합 문화이다. 이들 모두 튀니지에 그들의 흔적을 남겼다.
튀니지는 아름다운 해변과 일광욕하기 좋은 햇빛, 그리고 로마·카르타고·반달의 문화유적 등으로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다. 아랍·이슬람 문화 건축물도 대부분 튀니지 도시에서 발견되는 볼거리 가운데 하나이다. 그중에서도 카이라완 대성원과 자이투나 대성원을 꼽을 수 있다. 남부 사막에서는 푸른 오아시스, 광활한 소금호수, 사막에서의 밤 등 새롭고 매혹적인 풍경과 삶을 경험할 수 있다. 사막 여행은 주로 겨울에 떠나며, 제르바 섬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유대교 회당 중 하나인 ‘Ghriba’가 있다. 튀니지의 관광 명소로는 국제적인 분위기의 수도 튀니스, 고대 유적지 카르타고, 제르바 섬의 이슬람 및 유대인 거주지, 모나스티르 외곽의 해안 휴양지, 그리고 활기찬 밤문화를 자랑하는 함마메트 등이 있다.[174]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튀니지는 "황금빛 해변, 화창한 날씨, 그리고 부담 없는 사치로 유명하다"고 한다.[175]

2008년 기준 성인 문해율은 78%였으며, 15세부터 24세까지의 인구만 고려하면 97.3%까지 상승한다.[233] 교육은 최우선 순위 과제이며, GNP의 6%를 차지한다. 1991년부터 6세에서 16세 사이의 아동을 위한 기본 교육이 의무화되었다. 튀니지는 세계경제포럼에서 발표한 2008-09년 세계 경쟁력 보고서에서 "고등 교육 시스템의 질" 부문에서 17위, "초등 교육의 질" 부문에서 21위를 차지했다.[234]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튀니지 아랍어를 습득하지만, 6세에 입학하면 표준 아랍어 읽기와 쓰기를 배우게 된다. 8세부터 프랑스어를 배우고, 11세부터 영어를 배운다.[235]
4년간의 중등 교육은 'Diplôme de Fin d'Études de l'Enseignement de Base' 자격을 소지한 모든 학생들에게 개방되어 있으며, 학생들은 대학 진학 또는 졸업 후 취업에 중점을 둔다. 중등 교육(Enseignement secondaire)은 일반 학문 및 전문 분야로 나뉜다. 튀니지의 고등 교육 시스템은 급속한 확장을 경험했으며, 학생 수는 지난 10년 동안 약 102,000명(1995년)에서 365,000명(2005년)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2007년 고등 교육의 총 등록률은 31%였으며, 성별 평등 지수(GER)는 1.5였다.[234]
튀니지 현대 회화의 탄생은 튀니지 출신 예술가 그룹이 설립한 튀니스 미술학교(École de Tunis)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들은 토착적인 주제를 통합하고 오리엔탈리즘 식민지 회화의 영향을 거부하고자 하는 열망을 공유했다. 1949년에 설립된 이 학교는 프랑스인과 튀니지인, 무슬림, 기독교인, 유대인 예술가들을 한데 모았다. 피에르 부셰르(Pierre Boucherle)가 야히아 투르키(Yahia Turki), 압델아지즈 고르지(Abdelaziz Gorgi), 모세 레비(Moses Levy), 아마르 파르하트(Ammar Farhat), 쥘 렐루슈(Jules Lellouche)와 함께 주요 주도자였다. 그 교리에 따라 일부 회원들은 이슬람 미니어처 건축 등 아랍-이슬람 미술의 미적 원천으로 눈을 돌렸다. 아마라 데바셰(Amara Debbache), 젤랄 벤 아브달라(Jellal Ben Abdallah), 알리 벤 살렘(Ali Ben Salem)의 표현주의 회화가 인정받는 반면, 에드가르 나카셰(Edgar Naccache), 넬로 레비(Nello Levy), 헤디 투르키(Hedi Turki)와 같은 화가들은 추상 미술에 매료되었다.[239]
1956년 독립 이후 튀니지의 미술 운동은 국가 건설의 역동성과 국가에 봉사하는 예술가들에 의해 추진되었다. 하비브 불라레스(Habib Boularès) 장관과 같은 장관들이 이끄는 문화부가 설립되어 예술과 교육, 권력을 감독했다.[239] 하템 엘 메키(Hatem El Mekki)나 주베이르 투르키(Zoubeir Turki)와 같이 국제적인 인정을 받은 예술가들이 새로운 젊은 화가 세대에 영향을 미쳤다. 사독 젬시(Sadok Gmech)는 국민의 부유함에서 영감을 얻는 반면, 몽세프 벤 아무르(Moncef Ben Amor)는 판타지로 눈을 돌린다. 또 다른 발전으로 유세프 레키크(Youssef Rekik)는 유리에 그림을 그리는 기법을 재활용했고, 신비로운 차원을 지닌 엔자 마다위(Nja Mahdaoui) 캘리그래피를 창시했다.[239]
현재 튀니지와 국제 예술가들의 전시회를 개최하는 미술관이 50개나 있다.[240] 여기에는 튀니스의 야히아 갤러리(Gallery Yahia)와 카르타고 에사디 갤러리(Carthage Essaadi gallery)가 포함된다.[240] 바르도(Bardo)의 옛 왕궁에서 "국가의 각성"이라는 제목의 새로운 전시회가 열렸다. 이 전시회는 19세기 중반 튀니지 개혁주의 군주제 시대의 문서와 유물을 전시한다.[241]
튀니지 문학은 아랍어와 프랑스어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아랍어 문학은 7세기 아랍 문명이 이 지역에 도착하면서 시작되었으며, 1881년 프랑스 보호령 시대에 도입된 프랑스어 문학보다 분량과 가치 면에서 더 중요하다.[242] 대부분의 튀니지인의 모어는 아랍어이다.[300]
아랍어 문학의 인물로는 150편 이상의 라디오 드라마, 500편이 넘는 시와 민요, 그리고 거의 15편의 희곡을 제작한 알리 두아지(Ali Douagi),[243] 1930년대에 많은 주목할 만한 책을 출판했고 대화가 튀니지 방언으로 쓰여져 논란을 일으켰던 아랍 소설가 카라이프 바시르(Khraief Bashir),[243] 그리고 몽세프 가솀(Moncef Ghachem), 모하메드 살라 벤 무라드(Mohamed Salah Ben Mrad), 마무드 메사디(Mahmoud Messadi) 등이 있다. 시에서는 아불카셈 에셰비(Aboul-Qacem Echebbi)와 같은 시인들이 비순응과 혁신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인다.
프랑스어 문학은 비판적인 접근 방식이 특징이다. 튀니지 문학이 젊은 나이에 죽을 운명이라고 예측한 알베르 멤미(Albert Memmi)의 비관론과는 달리,[244] 압델와합 메데브(Abdelwahab Meddeb), 바크리 타하르(Bakri Tahar), 무스타파 틀릴리(Mustapha Tlili), 엘레 베지(Hele Beji), 멜라 푸아지(Mellah Fawzi) 등 많은 튀니지 작가들이 해외에서 활동하고 있다. 방황, 망명, 실연, 단절, 기억, 표현 등의 주제가 튀니지 문학의 중심이 되는 경우가 많다.[245][246] 현대를 대표하는 튀니지 출신 작가로는 알베르 멤미, 압델와합 메데브, 무스타파 틀릴리 등이 있다.
국가 서지에 따르면 2002년 튀니지에서 출판된 비교과서 1249권 중 아랍어로 된 책이 885권이었다.[247] 2006년에는 이 수치가 1,500권으로, 2007년에는 1,700권으로 증가했다.[248] 책의 약 3분의 1이 아동 도서이다.[249]
중세에 "이슬람 세계 최대의 학자"라 불린[301] 튀니지 출신의 이븐 칼둔(Ibn Khaldun)은 『무카디마』(역사서설)를 저술했다. 칼둔은 『무카디마』에서 아사비야(집단에서의 인간 연대 의식)를 중심으로 문명의 발달과 몰락을 체계화하여 독자적인 역사 법칙 이론을 세웠다. 칼둔은 18세기에 노동가치설을 주장한 애덤 스미스(Adam Smith)에 앞서 노동이 부를 생산한다는 개념을 밝히는 등 선구적인 학자였다.
튀니지 음악은 15세기에 스페인 사람들이 이주한 후 안달루시아에서 수입된 음악의 한 종류인 "말루프(malouf)"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20세기 초, 음악 활동은 종교 단체와 관련된 예배용 레퍼토리와, 주로 안달루시아 형식과 기원의 스타일을 차용한 기악곡과 노래로 구성된 세속 레퍼토리로 구성되었다. 1930년 유대인 공동체 출신 예술가들 덕분에 잘 알려진 라시디아(The Rachidia)가 설립되었다. 1934년 음악학교 설립은 당시 엘리트가 음악 유산 상실의 위험과 튀니지 국가 정체성의 기반을 위협한다고 믿었던 사회적, 문화적 부흥을 통해 아랍 안달루시아 음악을 크게 부흥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 기관은 음악가, 시인, 학자 그룹을 모았다. 1938년 튀니스 라디오(Radio Tunis)의 설립은 튀니지 음악가만을 홍보하는 정책을 채택한 방송국을 통해 음악가들에게 작품을 더 많이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250]
주목할 만한 튀니지 음악가로는 사베르 레바이(Saber Rebaï), 자페르 유세프(Dhafer Youssef), 벨가셈 부구에나(Belgacem Bouguenna), 소니아 엠바렉(Sonia M'barek), 라티파(Latifa), 살라 엘 마흐디(Salah El Mahdi), 아누아르 브라헴(Anouar Brahem), 에멜 마틀루티(Emel Mathlouthi) 및 롯피 부시낙(Lotfi Bouchnak)이 있다.
튀니지는 영화 제작이 활발한 국가는 아니지만, 튀니지 출신 영화 제작자로는 『튀니지의 소년』(1990년)의 페리드 부게디르(Férid Boughedir)와 『어떤 여가수의 추억』(1994년)의 무피다 투라트리(Moufida Tlatli) 등이 있다. 1966년부터 2년에 한 번씩 카르타고 영화제가 개최되고 있다.
수많은 국제, 국가, 지역 축제들이 튀니지의 연중 행사를 채운다. 음악 및 연극 축제가 국가 문화계를 주도한다. 여름에는 매년 여러 축제가 열린다. 7월에는 카르타고 국제축제,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는 마흐르 국제예술축제, 7월과 8월에는 함마메트 국제축제가 있다.
카르타고 영화제는 격년으로 10월과 11월에 개최되며, 카르타고 연극제와 번갈아 열린다. 이 영화제는 1966년 튀니지 문화부 장관에 의해 마그레브, 아프리카 및 중동의 영화를 선보이기 위해 만들어졌다.[251] 경쟁 자격을 얻으려면 영화 감독이 아프리카 또는 중동 국적이어야 하며, 출품 전 최소 2년 전에 제작되어야 한다. 최고상은 고대 카르타고의 달의 여신 타닛의 이름을 딴 "황금 타닛"이다. 이 상은 수평선과 원으로 덮인 사다리꼴 모양이다.
매년 12월 말에 열리는 사하라 국제축제는 튀니지 사막과 관련된 문화 전통을 기린다. 이 축제는 전 세계의 많은 관광객과 음악가뿐만 아니라 안장과 현지 직물 및 기술을 과시하는 기수들을 끌어들인다. 또한 여러 음악 축제가 있다. 일부는 전통 튀니지 음악을 기리고, 다른 축제들(예: 타바르카 재즈 페스티벌)은 다른 장르에 중점을 둔다.
수스 시에서는 아우수스 카니발이 매년 7월 24일에 열리는 축제이자 문화 행사이다. 이것은 부자파르 해변 근처에서 '''아우수스'''(8월의 폭염을 가리키는 단어, 베르베르력에 따름)가 시작되기 전날에 열리는 튀니지 및 기타 지역 출신의 상징적인 전차, 팡파르 및 민속 그룹의 행렬이다. 원래 이것은 바다의 신 넵투누스를 기리는 이교 축제(넵투날리아)였으며, 심지어 페니키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다. 아우수스라는 명칭은 오케아누스의 변형일 가능성이 있다.[252]
오멕 타누는 고대 튀니지의 강우 축제로, 여신 타닛을 부르는 푸니크와 베르베르 전통에서 유래했다. 이 축제는 여성의 조각된 머리(소녀의 인형 머리와 다소 유사함)를 의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가뭄 기간 동안 아이들이 أمك طانقو يا نساء طلبت ربي عالشتاء|amk ṭangu ya nsaʾ tlbt rbi ʿalshta'a|오메크 탕고, 여자들이여, 신께 비를 청합시다aeb라는 후렴을 부르며 마을의 집들 사이를 행렬한다. 이 노래는 "shta"라는 용어가 특정 도시 지역에서만 비를 가리키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다르다. 각 주부는 작은 조각상에 물을 조금 부어 비를 기원한다.
튀니지의 텔레비전 매체는 오랫동안 튀니지 방송청(ERTT) 및 그 전신인 1957년에 설립된 튀니지 라디오 텔레비전의 지배를 받아왔다. 2006년 11월 7일, 당시 대통령 즈인 알-아비딘 벤 알리는 이 사업을 두 개의 별도 회사로 분할하는 것을 발표했고, 이는 2007년 8월 31일부터 효력을 발생했다. 그때까지 ERTT는 모든 공영 텔레비전 방송국(튀니지 텔레비전 1과 폐지된 RTT 2를 대체한 튀니지 텔레비전 2)과 4개의 전국 라디오 방송국(튀니지 라디오, 튀니지 문화 라디오, 청소년 라디오 및 RTCI) 그리고 스팍스, 모나스티르, 가프사, 르케프, 타타우인에 있는 5개의 지역 방송국을 운영했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아랍어로 방송되지만 일부는 프랑스어로 방송된다. 민간 부문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의 성장으로 라디오 모자이크 FM, 자우하라 FM, 자이투나 FM, 한니발 TV, 에투니시아 TV, 네스마 TV 등 수많은 방송국이 생겨났다.[253][254]
2007년에는 약 245개의 신문과 잡지(1987년에는 91개에 불과)가 있었는데, 그중 90%가 민간 단체와 독립 언론사가 소유하고 있었다.[255] 튀니지 정당들은 자체 신문을 발행할 권리가 있지만, 야당의 신문들은 발행 부수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최근 민주적 전환 이전에는 언론의 자유가 헌법에 의해 공식적으로 보장되었지만, 거의 모든 신문이 실제로는 정부의 입장을 따랐으며 비판적인 접근은 억압되었다. 본질적으로 언론은 튀니지 아프리카 프레스 통신사를 통해 국가 당국이 지배했다. 그러나 언론 검열이 대부분 폐지되고 자기 검열이 크게 줄어들면서 이는 변화했다.[256]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규제 체계와 사회 정치적 문화는 언론과 매체 자유의 미래가 여전히 불확실함을 의미한다.[256] 2022년 9월 튀니지 대통령 카이스 사이에드는 인터넷에서 "허위 정보와 소문"과 싸우기 위해 법령 54호에 서명했다. 이 법령 제24조는 그러한 정보를 유포한 사람에게 최대 5년의 징역형과 최대 5만튀니지 디나르의 벌금을 부과한다. 만약 공무원에 대한 발언이라면 벌금이 두 배가 된다.[257]
축구는 튀니지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다. "카르타고의 독수리"로도 알려진 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은 개최국으로서 200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ACN)에서 우승했다.[258][259] 또한 독일에서 열린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아프리카 대표로 참가했지만 1라운드를 넘지 못했다. 튀니지의 최상위 축구 리그는 튀니지 리그 프로페시오넬 1이다. 주요 클럽으로는 에스페랑스 스포르티브 드 튀니스, 에투알 스포르티브 뒤 사헬, 클럽 아프리캥, 클럽 스포르티프 스팍시앵, US 모나스티리앵, 스타드 튀니지앵, CA 비제르틴이 있다.
튀니지 남자 핸드볼 국가대표팀은 여러 핸드볼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2005년 튀니지는 4위를 차지했다. 국가 리그는 약 12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클럽 아프리캥과 에스페랑스가 주도하고 있다. 가장 유명한 튀니지 핸드볼 선수는 위셈 하맘이다. 2005년 튀니지 핸드볼 선수권 대회에서 위셈 하맘은 대회 최고 득점자로 선정되었다. 튀니지 핸드볼 국가대표팀은 아프리카컵에서 10번 우승했으며, 2018년 가봉에서 열린 아프리카컵에서 이집트를 물리치고 우승했다.[260]
튀니지 농구 국가대표팀은 아프리카 최고의 팀 중 하나로 부상했다. 이 팀은 2011년 아프로바스켓에서 우승했고, 1965년, 1987년, 2015년에 아프리카 최고의 농구 대회를 개최했다. 튀니지는 아프리카에서 농구의 선구자 중 하나였으며, 아프리카 최초의 경쟁 리그 중 하나를 설립했다.[261]
권투에서는 빅토르 페레즈("영")가 1931년과 1932년에 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262]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 튀니지의 우사마 멜룰리는 1500m 자유형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263]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1500m 자유형에서 동메달, 남자 마라톤 수영 10km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튀니지는 역사상 일곱 번째로 하계 패럴림픽에 참가했다. 국가대표팀은 금메달 9개, 은메달 5개, 동메달 5개 등 총 19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대회를 마쳤다. 튀니지는 패럴림픽 메달 순위에서 14위, 육상에서는 5위를 차지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테니스 선수 온스 자베르가 급속도로 순위를 올리면서 3위라는 커리어 하이를 기록하고 윔블던을 포함한 3개의 그랜드 슬램 결승에 진출하면서 튀니지와 다른 아랍 국가에서 테니스의 인기가 급증했다.
튀니지 요리의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쿠스쿠스(알갱이 모양의 파스타), 브리크, 랍레비 등이 있다. 튀니지는 이슬람 국가이지만, 와인 생산국이기도 하다. 튀니지 와인에는 프랑스 와인의 영향으로 로제 와인이 많다. 잣이 들어간 민트티가 있으며, 오렌지, 제라늄 등의 꽃 증류수인 플라워워터는 커피, 과자에 넣는다.
'''튀니지의 세계유산'''
튀니지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된 문화유산 7곳과 자연유산 1곳이 있다.


'''튀니지의 공휴일'''
| 날짜 | 한국어 표기 | 현지어 표기 | 비고 |
|---|---|---|---|
| 1월 1일 | 신년 | ||
| 이동 공휴일 | 희생제 | 이슬람력에 따름 | |
| 이동 공휴일 | 이슬람력 신년 | 이슬람력에 따름 | |
| 3월 20일 | 독립기념일 | ||
| 3월 21일 | 청년의 날 | ||
| 4월 9일 | 혁명 희생자 추모일 | ||
| 이동 공휴일 | 무함마드 탄생일 | 이슬람력에 따름 | |
| 5월 1일 | 메이데이 | ||
| 7월 25일 | 공화국 기념일 | ||
| 8월 13일 | 여성의 날 | ||
| 10월 15일 | 프랑스군 철수 기념일 | ||
| 이동 공휴일 | 라마단 종료 축일 | 이슬람력에 따름 | |
| 11월 7일 | 대통령 취임 기념일 | 1987년 벤 알리 대통령 취임 기념일이었으나, 2011년 혁명 이후 폐지 논의가 있음. |
참조
[1]
웹사이트
Tunisian Constitution, Article 1
http://www.anc.tn/si[...]
2014-01-26
[2]
웹사이트
Tunisia
https://www.cia.gov/[...]
2024-03-13
[3]
웹사이트
Tunisia, Religions
https://www.cia.gov/[...]
2022-05-22
[4]
웹사이트
New survey reveals drop-off in religiosity across Arab world, especially North Africa
https://www.middleea[...]
[5]
웹사이트
2. Young adults around the world are less religious by several measures
https://www.pewresea[...]
2018-06-13
[6]
웹사이트
Arabic, Tunisian Spoken
http://www.ethnologu[...]
1999-02-19
[7]
웹사이트
Tunisia, Languages
https://www.cia.gov/[...]
2022-05-22
[8]
웹사이트
Tunisia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2-12-22
[9]
웹사이트
Tunisia Demographics
https://worldpopulat[...]
[10]
뉴스
Berbers Populations Distribution
http://news.bbc.co.u[...]
2004-03-12
[11]
뉴스
Q&A: The Berbers
http://news.bbc.co.u[...]
2004-03-12
[12]
웹사이트
The Jews of Tunisia
http://www.pjvoice.c[...]
[13]
웹사이트
Tunisia's President Saied sacks prime minister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23-08-08
[14]
웹사이트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Tunisia
http://www.ins.tn/en[...]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Tunisia
[15]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Tunisia)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10-10
[16]
웹사이트
GINI index
http://data.worldban[...]
World Bank
[17]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18]
웹사이트
Report on the Delegation of تونس.
https://www.iana.org[...]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19]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Longman
[20]
웹사이트
Embassy of the Republic of Tunisia
https://www.tunisian[...]
Embassy of the Republic of Tunisia
[21]
서적
Arabic Historical Dialectology: Linguistic and Sociolinguistic Approach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8-30
[22]
뉴스
Tunisie : les législatives fixées au 26 octobre et la présidentielle au 23 novembre
http://www.jeuneafri[...]
2014-06-25
[23]
뉴스
Tunisia holds first post-revolution presidential poll
https://www.bbc.co.u[...]
2014-11-23
[24]
웹사이트
Democracy Index 2021
https://infographics[...]
[25]
웹사이트
Democracy Index 2021: The China challenge
https://www.eiu.com/[...]
[26]
웹사이트
Tunisie – France-Diplomatie – Ministère des Affaires étrangères et du Développement international
http://www.diplomati[...]
[27]
웹사이트
Pourquoi l'Italie de Matteo Renzi se tourne vers la Tunisie avant l'Europe
http://www.jolpress.[...]
2014-02-28
[28]
뉴스
La Tunisie renforce ses relations avec l'Italie
http://magharebia.co[...]
2014-09-12
[29]
서적
Placenames of the World: Origins and Meanings of the Names for 6,600 Countries, Cities, Territories, Natural Features, and Historic Sites
McFarland
[30]
서적
The Concise Dictionary of World Place-nam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31]
서적
Articles on the Middle East, 1947–1971: A Cumulation of the Bibliographies from the Middle East Journal
Pierian Press, University of Michigan
[32]
서적
Names and Their Histories: A Handbook of Historical Geography and Topographical Nomenclature
BiblioBazaar, LLC
[33]
서적
E. 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Brill
[34]
서적
History of Rome
Oxford University Press
[35]
백과사전
[36]
백과사전
Tunisia
[37]
서적
The New International Encyclopædia
https://archive.org/[...]
Dodd, Mead and Company
1905
[38]
서적
The New International Encyclopædia
https://babel.hathit[...]
Dodd, Mead and Company
1916
[39]
서적
The New International Encyclopædia
https://archive.org/[...]
Dodd, Mead and Company
1928
[40]
사전
https://archive.org/[...]
[41]
사전
https://archive.org.[...]
[42]
서적
The Invention of Racism in Classical Antiqu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43]
웹사이트
Carthage and the Numidians
https://web.archive.[...]
Hannibalbarca.webspace.virginmedia.com
2011-10-28
[44]
웹사이트
Numidians (DBA II/40) and Moors (DBA II/57)
https://web.archive.[...]
Fanaticus.org
2001-12-12
[45]
웹사이트
Numidia (ancient region, Africa)
http://www.britannic[...]
2011-10-28
[46]
웹사이트
The City of Carthage: From Dido to the Arab Conquest
https://web.archive.[...]
2013-01-08
[47]
웹사이트
The Punic Wars
https://www.livius.o[...]
[48]
웹사이트
Donatist
http://www.britannic[...]
[49]
서적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from the Death of Theodosius I. to the Death of Justinian
Courier Corporation
1958
[50]
서적
Pilgrimage: From the Ganges to Graceland: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2
[51]
서적
Historic Cities of the Islamic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52]
웹사이트
Kairouan inscription as World Heritage
https://web.archive.[...]
Kairouan.org
2010-05-02
[53]
서적
Staying Roman, Conquest and Identity in Africa and the Mediterranean, 439–7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54]
서적
A History of Islamic Societ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55]
서적
Tunisia
Lonely Planet
[56]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Ancient, Medieval, and Modern, Chronologically Arranged
Houghton Mifflin Harcourt
[57]
서적
E. 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BRILL
[58]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islamic dynasties
Anmol
[59]
서적
General history of Africa
James Currey Publishers
[60]
서적
The Norman Kingdom of Africa
[61]
웹사이트
Populations Crises and Population Cycles, Claire Russell and W.M.S. Russell
https://web.archive.[...]
Galtoninstitute.org.uk
2013-01-19
[62]
서적
Africa from the Seventh to the Elev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ESCO. International Scientific Committee for the Drafting of a General History of Africa. J. Currey
1992
[63]
학술지
Saladin and the Ayyubid Campaigns in the Maghrib
[64]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65]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66]
서적
Barbary Corsairs: The End of a Legend, 1800–1820
https://books.google[...]
BRILL
[67]
서적
Rebel and Saint: Muslim Notables, Populist Protest, Colonial Encounters (Algeria and Tunisia, 1800–1904)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8]
서적
The Sahara: A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9]
서적
Through fascism to world power: a history of the revolution in Italy
A. Maclehose & co.
[70]
서적
Afrikakorps 1941–43
https://books.google[...]
Osprey
[71]
서적
The German Wars: A Concise History, 1859–1945
https://books.google[...]
Zenith Imprint
[72]
학술지
The Tunisian Nationalist Movement: Four Decades of Evolution
https://www.jstor.or[...]
1952
[73]
학술지
The History and Evolution of Independence Movements in Tunisia
https://www.jstor.or[...]
2017
[74]
학술지
TUNISIA
https://www.jstor.or[...]
1955
[75]
뉴스
Tunisia profile
https://www.bbc.com/[...]
2020-04-05
[76]
웹사이트
Tunisia Celebrates Independence Day
https://allafrica.co[...]
2012-03-20
[77]
뉴스
Habib Bourguiba: Father of Tunisia
http://news.bbc.co.u[...]
BBC
2000-04-06
[78]
뉴스
Amnesty International censures Tunisia over human rights
https://www.theguard[...]
2010-07-13
[79]
뉴스
Tunisia Will Seek Loan From Public
https://www.proquest[...]
1964-05-23
[80]
obituary
Habib Bourguiba: Father of Tunisia
http://news.bbc.co.u[...]
[81]
뉴스
A Coup Is Reported in Tunisia
https://www.nytimes.[...]
1987-11-07
[82]
웹사이트
Ben Ali, sans discussion
http://www.parismatc[...]
ParisMatch.com
2009-11-23
[83]
웹사이트
Tunisians hail fall of ex-leader's corrupt family
http://www.sandiegou[...]
Sandiegounion-tribune.com
2011-01-17
[84]
학술지
The Other Side of a Neoliberal Miracle: Economic Reform and Political De-Liberalization in Ben Ali's Tunisia
2013
[85]
웹사이트
Tunisie: comment s'enrichit le clan Ben Ali?
http://www.radicalpa[...]
RadicalParty.org
[86]
잡지
Caught in the Net: Tunisia's First Lady
https://foreignpolic[...]
2007-12-13
[87]
웹사이트
Ajaccio – Un trafic de yachts entre la France et la Tunisie en procès
http://lci.tf1.fr/fr[...]
2009-09-30
[88]
웹사이트
Le parcours fulgurant de Sakhr El-Materi, gendre du président tunisien Ben Ali
http://www.tunisiawa[...]
2009-10-24
[89]
웹사이트
Tunisia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90]
웹사이트
Protectionline.org
http://www.protectio[...]
Protectionline.org
2010-01-18
[91]
웹사이트
Droits de l'Homme : après le harcèlement, l'asphyxie
http://www.rfi.fr/ac[...]
RFI.fr
2004-12-16
[92]
웹사이트
Dans le monde de l'après-11 septembre, seule la paix protège les libertés
http://fr.rsf.org/da[...]
RSF.org
2008-10-22
[93]
웹사이트
How Tunisia's revolution began
http://english.aljaz[...]
Al Jazeera English
2011-01-26
[94]
웹사이트
Wikileaks might have triggered Tunis' revolution
http://www.alarabiya[...]
2011-01-15
[95]
뉴스
Tunisia riots: Reform or be overthrown, US tells Arab states amid fresh riots
https://www.telegrap[...]
2011-01-13
[96]
웹사이트
Tunisia's bitter cyberwar
http://english.aljaz[...]
2011-01-14
[97]
웹사이트
Trade unions: the revolutionary social network at play in Egypt and Tunisia
http://www.defenddem[...]
Defenddemocracy.org
[98]
서적
The power and the people: paths of resistance in the Middle Ea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99]
뉴스
When fleeing Tunisia, don't forget the gold
https://www.koreatim[...]
2011-01-25
[100]
뉴스
Interim President Announces Election of National Constituent Assembly on July 24
2011-03-03
[101]
뉴스
Tunisian PM Announces October Date for Elections
2011-06-09
[102]
뉴스
http://merip.org/mer[...]
Middle East Research and Information Project
2011-11-08
[103]
뉴스
Former dissident sworn in as Tunisia's president
http://latimesblogs.[...]
2011-12-13
[104]
웹사이트
Tunisia's constitution will not be based on Sharia: Islamist party
http://www.alarabiya[...]
Al Arabiya
2012-03-27
[105]
뉴스
Tunisian opposition leader Chokri Belaid shot dead outside his home
https://www.latimes.[...]
2013-02-06
[106]
웹사이트
Tunisia launches Truth and Dignity Commission
http://www.undp.org/[...]
2014-06-09
[107]
웹사이트
The real reason Tunisia renewed its state of emergency
http://www.al-monito[...]
[108]
웹사이트
The Nobel Peace Prize 2015
Nobel Foundation
2016-12-15
[109]
뉴스
Tunisian President Beji Caid Essebsi dies aged 92
https://www.france24[...]
2019-07-25
[110]
뉴스
Tunisia election: Kais Saied to become president
https://www.bbc.com/[...]
2019-10-14
[111]
뉴스
Tunisia's new president sworn in after surprise election win
https://www.france24[...]
2019-10-23
[112]
뉴스
Tunisia's Democracy Verges on Dissolution as President Moves to Take Control
https://www.nytimes.[...]
2021-07-26
[113]
웹사이트
Tunisian president sacks PM, suspends parliament after violent protests
https://www.france24[...]
2021-07-25
[114]
뉴스
Tunisian president moves to cement one-man rule
https://www.cnn.com/[...]
2021-09-23
[115]
뉴스
Tunisian leader names new PM with little experience at crisis moment
https://www.reuters.[...]
2021-09-29
[116]
웹사이트
New Tunisian government sworn in
https://www.aa.com.t[...]
2021-10-11
[117]
뉴스
Tunisia elected member of African Union security council
http://www.xinhuanet[...]
Xinhua
2022-02-04
[118]
뉴스
Tunisia's talks with the IMF: What's at stake?
https://www.aljazeer[...]
2022-02-18
[119]
웹사이트
Tunisia closes offices of opposition party Ennahdha after arresting leader
https://www.france24[...]
2023-04-17
[120]
웹사이트
Tunisia arrests opposition figure as crackdown escalates – DW – 10/04/2023
https://www.dw.com/e[...]
[121]
뉴스
En Tunisie, l'opposante Abir Moussi placée en détention
https://www.lemonde.[...]
2023-10-04
[122]
웹사이트
Tunisia detains Abir Moussi, prominent opponent of president
https://arab.news/22[...]
2023-10-04
[123]
웹사이트
Tunesien: Erneut Oppositionspolitikerin festgenommen
https://orf.at/stori[...]
2023-10-04
[124]
웹사이트
EU, Tunisia sign €1 billion deal to fight illegal migration – DW – 07/16/2023
https://www.dw.com/e[...]
[125]
웹사이트
Tunesien verschiebt Besuch von EU-Delegation zu Migration
https://orf.at/stori[...]
2023-09-30
[126]
웹사이트
EU Commission Should Stop Ignoring Tunisia's Abuses Against Migrants {{!}} Human Rights Watch
https://www.hrw.org/[...]
2023-09-28
[127]
웹사이트
Migration as a weapon: Is Tunisia blackmailing the EU? – DW – 09/20/2023
https://www.dw.com/e[...]
[128]
웹사이트
La Tunisia: non possiamo proteggere le frontiere di altri paesi
https://askanews.it/[...]
2023-10-01
[129]
웹사이트
Tunesien will nicht Grenzen anderer Länder überwachen
https://orf.at/stori[...]
2023-10-01
[130]
웹사이트
Tunesien lehnt EU-Finanzhilfe wegen Migrationsabkommens ab
https://orf.at/stori[...]
2023-10-03
[131]
뉴스
Tunisia rejects EU financial aid, casting doubt on an immigration deal
https://www.reuters.[...]
2023-10-02
[132]
웹사이트
Tunisia: President Kais Saied rejects EU financial aid on immigration
https://www.africane[...]
2023-10-03
[133]
웹사이트
Tunisia can 'wire back' EU money if it doesn't want it: Commissioner
https://www.euronews[...]
2023-10-05
[134]
뉴스
Tunisia election: Kais Saied secures second term with 91% of votes
https://www.bbc.com/[...]
[135]
웹사이트
Présentation générale du pays
https://scid.tn/fr/p[...]
2002
[136]
서적
International Boundaries: Geopolitical Atla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37]
웹사이트
Visit Tunis, Tunisia
https://visitafrica.[...]
[138]
웹사이트
Climate of Tunisia
http://www.bbc.co.uk[...]
BBC
[139]
서적
Middle East, western Asia, and northern Africa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140]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141]
뉴스
Tunisia holds first election under new constitution
https://www.bbc.co.u[...]
2014-10-26
[142]
웹사이트
EIU Democracy Index 2019
https://infographics[...]
[143]
논문
V-Dem [Country–Year/Country–Date] Dataset v11.1
https://doi.org/10.2[...]
Varieties of Democracy (V-Dem) Project
[144]
웹사이트
Tunisia (03/09/12)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12-03-09
[145]
웹사이트
TUNISIA. Majlis Al-Nuwab (Chamber of Deputies)
http://www.ipu.org/p[...]
Inter-Parliamentary Union
2013-01-19
[146]
뉴스
49 femmes élues à l'assemblée constituante : 24% des 217 sièges
http://www.leaders.c[...]
2011-10-28
[147]
뉴스
Tunisie: Selma Znaidi, une femme de plus à l'Assemblée
http://www.huffpostm[...]
2014-04-29
[148]
뉴스
Tunisia holds first post-revolution presidential poll
https://www.bbc.co.u[...]
2014-11-23
[149]
웹사이트
Tunisia
http://www.reunite.o[...]
Reunite International
[150]
웹사이트
State Department page on Tunisia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09-03-19
[151]
서적
Major Trends Affecting Families: A Background Document
https://books.google[...]
United Nations Publications
[152]
학술지
Personal status laws in Morocco and Tunisia: a comparative exploration of the possibilities for equality-enhancing reform in Bangladesh
2008-12
[153]
뉴스
Tunisian president decrees a referendum for new constitution
https://www.reuters.[...]
2022-05-25
[154]
뉴스
Tunisia referendum: Voters give president near unchecked power
https://www.bbc.com/[...]
2022-07-27
[155]
웹사이트
EU-Maghreb ties: Reversing the old power asymmetry – DW – 10/07/2023
https://www.dw.com/e[...]
[156]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08
Taylor & Francis Group
2008-02
[157]
웹사이트
Tunisia – Armed forces
http://www.nationsen[...]
Nationsencyclopedia.com
2011-01-18
[158]
웹사이트
2024 Global Peace Index
https://www.economic[...]
[159]
웹사이트
Tunisia Governorates
https://www.statoids[...]
Statoids.com
[160]
웹사이트
Portail de l'industrie Tunisienne
http://www.tunisiein[...]
Tunisieindustrie.nat.tn
[161]
웹사이트
The Global Competitiveness Index 2009–2010 rankings
http://www.weforum.o[...]
[162]
웹사이트
GTZ in Tunisia
http://www.gtz.de/en[...]
GTZ
[163]
웹사이트
Tunisia Corruption Profile
http://www.business-[...]
[164]
웹사이트
Trouble in paradise: How one vendor unmasked the 'economic miracle'
http://mobile.france[...]
France24
2011-01-11
[165]
웹사이트
Tunisia
https://www.cia.gov/[...]
CIA World Factbook
2021-10-19
[166]
학술지
Youth Unemployment in Tunisia: Characteristics and Policy Responses
https://meea.sites.l[...]
2012-09
[167]
보고서
Tunisia: Breaking the Barriers to Youth Inclusion
https://www.worldban[...]
World Bank
2014-11-01
[168]
웹사이트
To Support Youth, Tunisia Needs a New Approach to Development
https://www.usip.org[...]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2022-09-14
[169]
웹사이트
Bilateral relations Tunisia EU
http://ec.europa.eu/[...]
[170]
웹사이트
Tunesien: Was Saïed mit der rassistischen Gewalt zu tun hat
https://www.zdf.de/u[...]
2023-03-11
[171]
웹사이트
The impact of the Russian-Ukrainian war on the Tunisian food system - Rosa Luxemburg Stiftung
https://rosaluxna.or[...]
[172]
뉴스
World Bank lends Tunisia $268 million for power line with Italy
https://www.reuters.[...]
2023-06-22
[173]
웹사이트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Unlocking the Promise of Social Entrepreneurship
https://www.wipo.int[...]
[174]
웹사이트
HAMMAMET
https://www.tunisiat[...]
[175]
뉴스
A Night, and Day, In Tunisia at a New Resort
https://query.nytime[...]
2009-11-22
[176]
웹사이트
Effort national de maitrise de l'energie : contribution de la steg
http://www.steg.com.[...]
2009-11-12
[177]
웹사이트
STEG, company website
http://www.steg.com.[...]
2009-10-28
[178]
웹사이트
Oil and Gas in Tunisia
http://www.mbendi.co[...]
2009-10-09
[179]
웹사이트
MBendi oilfields in Tunisia
http://www.mbendi.co[...]
2009-10-31
[180]
뉴스
Tunisias nuclear plans
http://uk.reuters.co[...]
2009-04-23
[181]
웹사이트
Tunisia: A civil nuclear station of 1000 Megawatt and two sites are selected
http://www.africanma[...]
2009-11-04
[182]
웹사이트
Débat national sur l'Énergie
http://www.tunisiein[...]
2015-09-15
[183]
간행물
Nouvelle version du plan solaire tunisien
http://www.anme.nat.[...]
anme.nat.tn
2012-04
[184]
웹사이트
Tunisia Energy Situation - energypedia
https://energypedia.[...]
[185]
간행물
Production de l’électricité en Tunisie
http://www.oitsfax.o[...]
oitsfax.org
[186]
웹사이트
Joint Monitoring Programme for Drinking Water Supply and Sanitation
http://www.wssinfo.o[...]
2012-12-27
[187]
간행물
Étude sur la participation privée dans les infrastructures en Tunisie
http://www-wds.world[...]
Ministère du Developpement et de la Cooperation Internationale, Banque Mondiale et Programme "Participation Privee dans les infrastructures mediterreeanees" (PPMI)
2010-03-21
[188]
웹사이트
Chiffres clés
http://www.sonede.co[...]
SONEDE
2013-12-27
[189]
웹사이트
http://citypopulatio[...]
[190]
서적
Owen's Commerce & Travel and International Register
https://books.google[...]
Owen's Commerce & Travel Limited
2018-01-07
[191]
논문
Polymorphisms of mtDNA control region in Tunisian and Moroccan populations: An enrichment of forensic mtDNA databases with Northern Africa data
[192]
웹사이트
Le Tunisien: une dimension méditerranéenne qu'atteste la génétique
http://www.lapresse.[...]
Lapresse.tn
2013-01-19
[193]
뉴스
Q&A: The Berbers
http://news.bbc.co.u[...]
2013-01-19
[194]
웹사이트
Tunisia 'needs a cultural revolution' to combat racism
https://www.aljazeer[...]
2018
[195]
웹사이트
What's in a name? How the legacy of slavery endures in Tunisia
http://www.theguardi[...]
2020-11-07
[196]
뉴스
Tunisia court rules that 81-year-old can drop slave name
https://www.reuters.[...]
2020-10-19
[197]
웹사이트
Indigenous Peoples in Tunisia
https://www.iwgia.or[...]
[198]
백과사전
Tunisia – Land {{!}} history – geography
https://www.britanni[...]
[199]
서적
The Tunisian Ulama 1873–1915: Social Structure and Response to Ideological Currents
Brill
[200]
서적
Contours of the World Economy 1–2030 AD: Essays in Macro-Economic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01]
백과사전
The Jews of Tunisia
https://www.jewishvi[...]
[202]
서적
Blood and faith: the purging of Muslim Spain
https://books.google[...]
The New Press
[203]
서적
Diglossia and Language Contact: Language Variation and Change in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204]
서적
Maltes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5]
웹사이트
An outline of the Shilha (Berber) vernacular of Douiret (Southern Tunisia)
http://library.uws.e[...]
Australian Digital Theses Program
2008-05-26
[206]
서적
The Middle East in the World: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207]
웹사이트
Le dénombrement des francophones
http://www.francopho[...]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208]
서적
Footprint Tunisia Handbook: The Travel Guide
https://books.google[...]
Globe Pequot Press
[209]
웹사이트
Tunisian Languages
http://www.tunisia-t[...]
Tunisia-tourism.org
[210]
웹사이트
Data Analysis Tool – Arab Barometer
https://www.arabbaro[...]
[211]
뉴스
The Arab world in seven charts: Are Arabs turning their backs on religion?
https://www.bbc.com/[...]
2021-04-03
[212]
웹사이트
Young Arabs are Changing their Beliefs and Perceptions: New Survey
https://www.arabbaro[...]
2021-04-03
[213]
웹사이트
The Newsroom: The Arab World Survey 2021-2022 – Arab Barometer
https://www.arabbaro[...]
2023-02-05
[214]
서적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08
https://2001-2009.st[...]
US State Department
[215]
서적
The Rough Guide to Tunisia
Rough Guides
[216]
웹사이트
Chapter 1: Religious Affiliation
http://www.pewforum.[...]
2013-09-04
[217]
논문
Studi berberi e mediterranei. Miscellanea offerta in onore di Luigi Serra, a cura di A.M. Di Tolla
http://boa.unimib.it[...]
[218]
웹사이트
Les mosquées ibadites du Maghreb
http://remmm.revues.[...]
2015-09-05
[219]
서적
Area Handbook for Morocco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220]
웹사이트
Christians in Tunisia: Cause for Concern
https://en.qantara.d[...]
2013-10-09
[221]
웹사이트
Tunisia 2018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https://www.state.go[...]
[222]
웹사이트
The Last Christians of North-West Africa: Some Lessons For Orthodox Today
http://www.orthodoxe[...]
Orthodox England
2013-01-08
[223]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2007: Tunisia
https://2001-2009.st[...]
United States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2007-09-14
[224]
논문
Believers in Christ from a Muslim Background: A Global Census
https://www.academia[...]
2015-10-30
[225]
웹사이트
Tunisia
https://www.state.go[...]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20-12-19
[226]
웹사이트
Jews of Tunisia
https://www.jewishvi[...]
2020-12-19
[227]
웹사이트
Pilgrims flock to Tunisia's Djerba Jewish festival Lamine Ghanmi
https://thearabweekl[...]
2020-03-17
[228]
서적
Synagogues
Metro Books
1999-05-01
[229]
웹사이트
Tunisia: Jewish population determined to stay despite anti-Semitic violence
https://www.dw.com/e[...]
2018-01-11
[230]
웹사이트
Usurping History
http://www.aish.com/[...]
Aish.com
2010-03-13
[231]
웹사이트
United in our diversity
https://news.bahai.o[...]
Bahai.org
2023-05-10
[232]
웹사이트
National adult literacy rates (15+), youth literacy rates (15–24) and elderly literacy rates (65+)
http://stats.uis.une[...]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2013-01-18
[233]
웹사이트
Tunisia - Literacy rate
https://www.indexmun[...]
[234]
웹사이트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08–2009
http://www.weforum.o[...]
World Economic Forum
2010-05-02
[235]
웹사이트
The Tunisia K-12 Education System – Basic and Secondary Education
https://www.tunisiae[...]
2021-03-16
[236]
웹사이트
Health
http://www.sesrtcic.[...]
SESRIC
2013-01-26
[237]
웹사이트
Life expectancy at birth, total (years) Data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18-08-25
[238]
웹사이트
Mortality rate, infant (per 1,000 live births) Data
https://data.worldba[...]
2018-08-25
[239]
웹사이트
Un pays pour les peintres
http://guides.tangka[...]
Guide Tangka
2013-01-26
[240]
웹사이트
Culture de la Tunisie
http://www.tunisiaon[...]
Tunisia Online
2013-01-19
[241]
뉴스
A Tunis, une exposition réveille l'histoire précoloniale du pays
http://www.lemonde.f[...]
[242]
웹사이트
La littérature tunisienne de langue française (Mémoire vive)
http://www.francopho[...]
2013-01-26
[243]
웹사이트
Fantaisie arabe et poésie
http://guides.tangka[...]
Guide Tangka
2013-01-26
[244]
웹사이트
Littérature francophone
http://guides.tangka[...]
Guide Tangka
2013-01-26
[245]
논문
Memory and Representation in the Novels of Fawzi Mellah
https://www.academia[...]
[246]
서적
Oscillating Bodies: Understanding Tunisian Society through its Novels (1956–2011)
Dr. Ludwig Reichert Verlag
2022
[247]
웹사이트
Littérature tunisienne
http://www.culture.t[...]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Sauvegarde du patrimoine
2005-12-29
[248]
뉴스
2009, l'année des rendez-vous culturels importants
http://www.realites.[...]
Réalités
2008-11-18
[249]
서적
Women's Activism in Africa: Struggles for Rights and Representation
Zed Books
2017-02-15
[250]
학술지
The art/popular music paradigm and the Tunisian Ma'lūf
https://www.jsto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10
[251]
웹사이트
Carthage Film Festival prepares to launch
http://www.magharebi[...]
Magharebia
2008-10-20
[252]
웹사이트
Le Carnaval d'Aoussou à Sousse, Tunisie
https://www.voyage-t[...]
2017-07-02
[253]
웹사이트
Shems FM hits Tunisia airwaves
http://www.magharebi[...]
Magharebia.com
2010-10-05
[254]
웹사이트
Television TV in Tunisia
http://www.tunispro.[...]
TunisPro
[255]
웹사이트
Presse et communication en Tunisie
http://www.tunisie.c[...]
Tunisie.com
[256]
웹사이트
Tunisia
https://freedomhouse[...]
2015-04-23
[257]
뉴스
تونس: مرسوم رئاسي يقضي بالسجن 5 سنوات لكل من ينشر "أخبارا كاذبة" أو "إشاعات"
https://www.france24[...]
2022-09-17
[258]
뉴스
Tunisia win Cup of Nations
http://news.bbc.co.u[...]
2004-02-14
[259]
웹사이트
Previous winners of major international cups And tournaments: the African Cup of Nations
http://www.napit.co.[...]
Napit.co.uk
[260]
웹사이트
Tunisian handball team wins 2010 African Cup of Nations
http://www.tunisiada[...]
Tunisia Daily
2010-02-20
[261]
뉴스
Basketball's next frontier is Africa
https://www.newframe[...]
2020-12-20
[262]
서적
Encyclopedia of Boxing
Book Sales
[26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Competitive Swimming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
[264]
웹사이트
UNdata
http://data.un.org/e[...]
국연
[265]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https://www.imf.org/[...]
IMF
2021-10
[266]
웹사이트
チュニジア共和国(Republic of Tunisia)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022-07-28
[267]
뉴스
「アラブの春」成功のチュニジア 民主化逆行、カギ握る労組
日経産業新聞
2022-07-20
[268]
뉴스
「チュニジア:連立政権3党が権力配分に合意」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1-11-23
[269]
웹사이트
12月総選挙の意向表明=混乱収拾図る-チュニジア首相
http://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2013-07-30
[270]
뉴스
「チュニジア大統領、議会を停止 首相を解任」
https://www.afpbb.co[...]
AFP
2021-07-26
[271]
웹사이트
憲法改正を問う国民投票が実施、賛成9割超(チュニジア)
https://www.jetro.go[...]
JETRO
2022-07-28
[272]
웹사이트
Tunisia's president appoints woman as prime minister in first for Arab world
https://www.cnn.com/[...]
2021-09-29
[273]
웹사이트
野党・アンナハダ党のガンヌーシ党首逮捕(チュニジア)
https://www.jetro.go[...]
日本貿易振興機構
2023-04-28
[274]
웹사이트
チュニジア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275]
웹사이트
チュニジアで国民的人気を得た日本人
https://www.mofa.go.[...]
日本国外務省
[276]
웹사이트
Tunisia - Foreign Military Assistance
https://www.globalse[...]
2011-05-08
[277]
서적
Tunisia, a country study.
[278]
서적
多様な生態系と美しい自然景観
明石書店
2010
[279]
서적
多様な生態系と美しい自然景観
明石書店
2010
[280]
서적
多様な生態系と美しい自然景観
明石書店
2010
[281]
웹사이트
GTZ in Tunisia
http://www.gtz.de/en[...]
GTZ
2010-10-20
[282]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Tunisia
https://www.cia.gov/[...]
2009-09-16
[283]
웹사이트
The Global Competitiveness Index 2009–2010 rankings
http://www.weforum.o[...]
2009-09-16
[284]
웹사이트
Airbus build plant in tunisia
http://www.eturbonew[...]
2009-01-29
[285]
웹사이트
HP to open customer service center in Tunisia
http://www.africanma[...]
2009-09-16
[286]
웹사이트
Trouble in paradise: How one vendor unmasked the 'economic miracle'
http://mobile.france[...]
Mobile.france24.com
2011-10-28
[287]
웹사이트
Bilateral relations Tunisia EU
http://ec.europa.eu/[...]
2009-09-16
[288]
웹사이트
Tunis Sport City
http://www.sportciti[...]
2009-09-16
[289]
웹사이트
Tunis Financial Harbour
http://www.gfh.com/e[...]
2009-09-16
[290]
웹사이트
Vision 3 announces Tunis Telecom City
http://www.ameinfo.c[...]
2009-09-16
[291]
서적
지중해 세계·아프리카 세계·중동 세계 속의 튀니지
明石書店
2010
[292]
서적
변화하는 농촌 지역
明石書店
2010
[293]
서적
변화하는 농촌 지역
明石書店
2010
[294]
서적
세계국세도회 2005/06
矢野恒太記念会
2005
[295]
논문
민중혁명하의 튀니지 여성들-이행기(2011-2014년)에 있어서의 튀니지 여성들(요지)
http://www.tiu.ac.jp[...]
[296]
서적
이슬람 여성과 튀니지 아랍 여성 해방의 리더 국가의 동태
朝倉書店
2007-04
[297]
서적
변화하는 농촌 지역
明石書店
2010
[298]
웹사이트
CIA 세계 정보 연감
https://www.cia.gov/[...]
미국 중앙정보국(CIA)
2009-04-02
[299]
웹사이트
튀니지 안전 대책 기초 데이터
https://www.anzen.mo[...]
외무성
2022-01-23
[300]
웹사이트
튀니지에 있어서의 다언어 상황과 문학
http://www.agbi.tsuk[...]
[301]
서적
알제리에 대해 아는 62가지
明石書店
2009-04
[302]
웹인용
튀니지 헌법, 제4조
http://www.anc.tn/si[...]
2014-02-10
[303]
웹사이트
세계 경제 전망 데이터베이스, 2023년 10월판. (튀니지)
https://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23-10-14
[304]
간행물
인간 개발 보고서 2023/24
https://hdr.undp.org[...]
유엔 개발 계획
2024-05-09
[305]
뉴스
튀니지 국가 비상사태…대통령 사우디 도피
https://news.naver.c[...]
mbn
2011-01-15
[306]
뉴스
독재자 알리의 백인 친구들
http://h21.hani.co.k[...]
한겨레신문사
2010-05-05
[307]
뉴스
튀니지 국가 비상사태 선포...벤 알리 대통령 도망
http://www.vop.co.kr[...]
[308]
뉴스
'대통령 탈출' 튀니지는 어떤 나라
https://news.naver.c[...]
[309]
뉴스
‘탈출’ 튀니지 대통령 사우디 도착…국내 혼란은 격화
https://news.naver.c[...]
[310]
뉴스
튀니지 급진주의 세력 준동 리비아 부족 충돌 분리 움직임
https://news.naver.c[...]
[311]
뉴스
튀니지·모로코 민심, 다시 거리로 … 아랍의 봄 2라운드
https://news.naver.c[...]
[312]
뉴스
튀니지 강경 이슬람주의자들, "술 판다" 호텔 바 공격…모든 술병 깨부셔
https://news.naver.c[...]
[313]
뉴스
튀니지 국가 비상사태 3개월 또 연장
https://news.naver.c[...]
[314]
백과사전
튀니지의 산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315]
백과사전
튀니지의 교통·도시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316]
일반
[317]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