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랴푸노프 방정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랴푸노프 방정식은 선형 시스템의 안정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도구이다. 이 방정식은 이산 시간 및 연속 시간 시스템 모두에 적용되며, 주어진 행렬 A, P, Q에 대한 조건을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을 판단한다. 특히, 랴푸노프 방정식의 해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랴푸노프 함수를 구성하는 데 활용된다. 랴푸노프 방정식은 해석적 해, 수치적 해를 통해 풀 수 있으며, 이산 시간 방정식과 연속 시간 방정식 간의 관계를 통해 서로 변환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어이론 - 칼만 필터
    칼만 필터는 잡음이 있는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선형 동적 시스템의 상태를 추정하는 재귀 필터로, 예측과 보정 단계를 반복하며 항법 시스템, 레이더 추적, 컴퓨터 비전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제어이론 - 사이버네틱스
    사이버네틱스는 동물과 기계의 제어 및 통신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제어 시스템, 신경과학 등 다양한 분야를 통합하여 발전해왔으며, 피드백, 자기조직화 등의 핵심 개념을 통해 여러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랴푸노프 방정식
개요
유형선형 연산자 방정식
분야선형대수학, 제어 이론, 안정성 이론
명명 유래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랴푸노프
연속 시간 랴푸노프 방정식
형태AX + XA^* + Q = 0
변수A: n x n 행렬
X: n x n 에르미트 행렬 (구해야 하는 해)
Q: n x n 에르미트 행렬
조건A는 안정 행렬이어야 함 (모든 고유값의 실수부가 음수여야 함)
용도선형 시스템의 안정성 분석, 제어 시스템 설계
이산 시간 랴푸노프 방정식
형태AXA^* - X + Q = 0
변수A: n x n 행렬
X: n x n 에르미트 행렬 (구해야 하는 해)
Q: n x n 에르미트 행렬
조건A는 슈어 행렬이어야 함 (모든 고유값의 절대값이 1보다 작아야 함)
용도이산 시간 시스템의 안정성 분석, 디지털 제어 시스템 설계
추가 정보
관련 개념대수 리카티 방정식
참고 문헌https://doi.org/10.1093/imamci/9.4.275
https://epubs.siam.org/doi/10.1137/130912839

2. 안정성 증명

행렬 A \in \mathbb{R}^{n \times n} 와 대칭 행렬 P, Q \in \mathbb{R}^{n \times n} 가 주어졌을 때, 랴푸노프 방정식은 선형 시스템의 안정성을 증명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된다. 여기서 P>0Q>0는 각각 행렬 PQ가 양의 정부호임을 의미한다.

랴푸노프 안정성 이론에 따르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양의 정부호 행렬 PQ가 존재하면 해당 선형 시스템이 안정하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속 시간 시스템 \dot{x}=A x와 이산 시간 시스템 x(t+1)=A x(t) 모두에 대해, 각각의 랴푸노프 방정식을 만족하는 P>0Q>0가 존재하면 시스템은 초기 조건에 관계없이 점근적으로 안정하여 0으로 수렴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차 함수 V(x) = x^T P x는 시스템의 랴푸노프 함수 역할을 하여 안정성을 판별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즉, 이 함수의 특성을 분석하여 시스템의 안정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각 시스템(연속 시간, 이산 시간)에 대한 구체적인 안정성 조건과 필요충분 조건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2. 1. 연속 시간 시스템

행렬 A, P, Q \in \mathbb{R}^{n \times n} 이고 PQ는 대칭 행렬이다. 표기 P>0은 행렬 P가 양의 정부호임을 나타낸다.

'''정리''' (연속 시간 버전): 임의의 양의 정부호 행렬 Q에 대해, 랴푸노프 방정식 A^T P + P A + Q = 0을 만족하는 유일한 양의 정부호 행렬 P가 존재할 필요충분 조건은 선형 상미분 방정식계 \dot{x}=A x가 전역적으로 점근 안정(globally asymptotically stable)하다는 것이다. 이때, 이차 함수 V(x)=x^T P x는 안정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랴푸노프 함수이다.

2. 2. 이산 시간 시스템

행렬 A \in \mathbb{R}^{n \times n} 와 대칭 행렬 P, Q \in \mathbb{R}^{n \times n} 에 대하여 다음 정리가 성립한다. 표기 P>0Q>0는 각각 행렬 PQ가 양의 정부호임을 의미한다.

'''정리''' (이산 시간 버전): 임의의 양의 정부호 행렬 Q(Q>0)에 대해, 다음 두 조건은 서로 필요충분 조건이다.

# 이산 시간 선형 시스템 x(k+1)=A x(k) (또는 x_{t+1}=A x_{t})가 전역적으로 점근 안정(globally asymptotically stable)하다. 즉, 초기 조건에 관계없이 x(k)k \to \infty일 때 0으로 수렴한다.

# 이산 랴푸노프 방정식 A^T P A -P + Q = 0을 만족하는 유일한 양의 정부호 행렬 P(P>0)가 존재한다.

이때, 이차 함수 V(x) = x^T P x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랴푸노프 함수이다. 다시 말해, 주어진 A 에 대하여 A^T P A -P + Q = 0 을 만족하는 양의 정부호 행렬 P, Q 가 존재하면, 선형 시스템 x(k+1)=A x(k)는 안정하다.

3. 해의 계산

랴푸노프 방정식은 선형 방정식이므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해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ec 연산자 \operatorname{vec}크로네커 곱 \otimes을 이용하여 방정식을 일반적인 선형 방정식 형태로 변환하여 풀 수 있다. 또한, 행렬 A가 안정적인 경우에는 적분(연속 시간 시스템)이나 무한급수(이산 시간 시스템) 형태로 해를 표현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행렬 분해 기법을 사용하면 해 행렬 X의 크기가 n \times n일 때 대략 \mathcal O(n^3)의 계산 복잡도로 해를 구할 수 있다. 그러나 랴푸노프 방정식의 구조적 특징을 활용하면 더 효율적인 계산이 가능한 특수 알고리즘들이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이산 시간 랴푸노프 방정식에는 키타가와의 Schur 방법[3]이, 연속 시간 랴푸노프 방정식에는 바텔스-스튜어트 알고리즘[4]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해석적 및 수치적 해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해석적 해

벡터화 연산자 \operatorname{vec}크로네커 곱 \otimes은 랴푸노프 방정식을 푸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 두 연산을 이용하면, 연속 시간 및 이산 시간 랴푸노프 방정식을 각각 특정 형태의 선형 방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선형 방정식을 풀어서 벡터 \operatorname{vec}(X)를 구한 뒤, 이를 다시 행렬 형태로 재구성하면 원래 랴푸노프 방정식의 해 X를 얻을 수 있다.[9][5][8]

또한, 행렬 A가 특정 안정성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 X를 다른 방식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이산 시간 시스템에서는 해를 무한급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며, 연속 시간 시스템에서는 적분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9][5][8] 각 경우에 대한 구체적인 방정식 형태와 해법, 안정성 조건 등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3. 1. 1. 이산 시간 시스템

벡터화 연산자 \operatorname{vec}(A)는 행렬 A의 열들을 순서대로 이어 붙여 하나의 열벡터로 만드는 연산을 의미한다. 또한 A \otimes B는 행렬 AB크로네커 곱을 나타낸다.

이산 시간 랴푸노프 방정식 X - AXA^H = Q는 vec 연산자의 성질 \operatorname{vec}(ABC)=(C^{T} \otimes A)\operatorname{vec}(B)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행렬 방정식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9][5][8]

: (I_{n^2}-\bar{A} \otimes A)\operatorname{vec}(X) = \operatorname{vec}(Q)

여기서 An \times n 행렬일 때, I_{n^2}n^2 \times n^2 크기의 항등 행렬이다. \bar{A}는 행렬 A의 각 원소에 복소켤레를 취한 행렬이다.[9][5]

이 선형 방정식을 풀면 \operatorname{vec}(X)를 얻을 수 있으며, 이 벡터를 다시 n \times n 행렬 형태로 재구성하면 해 X를 구할 수 있다.[5][8]

만약 행렬 A가 안정적(stable)이라면, 즉 모든 고유값의 크기가 1보다 작다면 (Schur 안정성), 해 X는 다음과 같은 급수 형태로도 표현될 수 있다.[9][5][8]

: X = \sum_{k=0}^{\infty} A^{k} Q (A^{H})^k

이는 1차원 시스템에서의 방정식 (1 - a^2) x = q (단, |a| < 1)의 해가 x = \frac{q}{1-a^2} = q \sum_{k=0}^{\infty} (a^2)^k = \sum_{k=0}^{\infty} q a^{2k}로 표현되는 것과 유사하다.[5][8]

3. 1. 2. 연속 시간 시스템

벡터화 연산자 \operatorname{vec}(X)를 행렬 X의 열을 순서대로 쌓아 만든 열벡터로 정의하고, A \otimes BAB크로네커 곱으로 정의하면, 연속 시간 랴푸노프 방정식 AX + XA^H = -Q는 다음과 같은 행렬 방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I_n \otimes A + \bar{A} \otimes I_n) \operatorname{vec}X = -\operatorname{vec}Q

여기서 \bar{A}는 행렬 A의 각 성분을 복소 켤레로 바꾼 행렬을 나타내고, I_nn \times n 단위 행렬이며, A^HA켤레 전치이다.

만약 행렬 A가 안정적(Hurwitz 안정성, 즉 모든 고유값의 실수부가 음수)이라면, 해 X는 다음 적분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 X = \int_0^\infty e^{A \tau} Q e^{A^H \tau} d\tau

이 적분 해가 원래의 랴푸노프 방정식을 만족하는지 확인해 보자.

: \begin{align}AX+XA^H &= A \left( \int_0^\infty e^{A \tau} Q e^{A^H \tau} d\tau \right) + \left( \int_0^\infty e^{A \tau} Q e^{A^H \tau} d\tau \right) A^H \\ &= \int_0^\infty \left( A e^{A \tau} Q e^{A^H \tau} + e^{A \tau} Q e^{A^H \tau} A^H \right) d\tau \\ &= \int_0^\infty \frac{d}{d\tau} (e^{A \tau} Q e^{A^H \tau}) d\tau \quad (\text{미분 연쇄 법칙 사용}) \\ &= [e^{A \tau} Q e^{A^H \tau}]_{\tau=0}^{\tau=\infty} \\ &= \lim_{\tau \to \infty} (e^{A \tau} Q e^{A^H \tau}) - (e^{A \cdot 0} Q e^{A^H \cdot 0}) \\ &= 0 - (I Q I) \quad (\because A \text{가 안정적이므로 } \lim_{\tau \to \infty} e^{A \tau} = 0) \\ &= -Q \end{align}

따라서 위 적분은 랴푸노프 방정식의 해가 된다.

비교를 위해 1차원(n=1)의 경우를 생각해보면, 모든 행렬은 스칼라 값이 된다. 랴푸노프 방정식은 ax + xa^* = -q가 된다. 여기서 a^*a의 복소 켤레이다. 만약 a가 실수라면 방정식은 2ax = -q가 되고, 해는 x = \frac{-q}{2a}이다. 안정성 조건은 a < 0이다. 이 경우, 적분 형태의 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x = \int_0^{\infty} q\,e^{2 a \tau} d\tau = q \left[ \frac{e^{2 a \tau}}{2a} \right]_0^\infty = q \left( \lim_{\tau \to \infty} \frac{e^{2 a \tau}}{2a} - \frac{e^0}{2a} \right) = q \left( 0 - \frac{1}{2a} \right) = \frac{-q}{2a}

이는 위에서 구한 대수적 해와 일치한다.

3. 2. 수치적 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랴푸노프 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있다. 랴푸노프 방정식은 선형 방정식이므로, 해 행렬 Xn \times n 크기일 때 표준적인 행렬 분해 기법을 사용하면 대략 \mathcal O(n^3)의 계산 복잡도로 해를 구할 수 있다.

그러나 랴푸노프 방정식의 특별한 구조를 활용하면 더 효율적인 계산이 가능한 특수 알고리즘들이 존재한다.

  • 이산 시간 랴푸노프 방정식: 키타가와 겐시로가 제안한 슈어 방법(Schur method)이 자주 사용된다.[3][6]
  • 연속 시간 랴푸노프 방정식: 바텔스-스튜어트 알고리즘(Bartels-Stewart algorithm)을 사용하여 해를 구할 수 있다.[4][7]

4. 이산 시간 방정식과 연속 시간 방정식 간의 관계

먼저, 다음과 같은 연속 시간 선형 동역학계에서 시작한다.

: \dot{\mathbf{x}} = \mathbf{A}\mathbf{x}

여기서 \mathbf{x}는 상태 벡터, \mathbf{A}는 시스템 행렬, \dot{\mathbf{x}}는 상태 벡터의 시간 미분을 나타낸다.

이 시스템을 이산화하기 위해 시간 미분을 작은 시간 간격 \delta > 0에 대한 전방 차분으로 근사한다.

: \dot{\mathbf{x}} \approx \frac{\mathbf{x}_{t+1}-\mathbf{x}_{t}}{\delta}

여기서 \mathbf{x}_t는 시간 t에서의 상태 벡터를 의미한다.

이 근사식을 원래의 연속 시간 방정식에 대입하고 \mathbf{x}_{t+1}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이산 시간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 \frac{\mathbf{x}_{t+1}-\mathbf{x}_{t}}{\delta} \approx \mathbf{A}\mathbf{x}_t

: \mathbf{x}_{t+1} \approx \mathbf{x}_t + \delta \mathbf{A} \mathbf{x}_t = (\mathbf{I} + \delta\mathbf{A})\mathbf{x}_t

여기서 \mathbf{I}단위행렬이다. 이산 시간 시스템 행렬을 \mathbf{B} \equiv \mathbf{I} + \delta\mathbf{A}로 정의하면, 이산 시간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mathbf{x}_{t+1} = \mathbf{B}\mathbf{x}_t

이제 시스템 행렬 \mathbf{B}에 대한 이산 시간 랴푸노프 방정식을 고려한다. 여기서 \mathbf{M}대칭행렬이고 양의 정부호 행렬이다. 일반적인 이산 시간 랴푸노프 방정식은 \mathbf{B}^T\mathbf{M}\mathbf{B} - \mathbf{M} = -\mathbf{W} 형태이며, \mathbf{W}도 양의 정부호 행렬이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서는 우변을 -\delta\mathbf{Q} (단, \mathbf{Q}는 양의 정부호 행렬)로 표기하였으므로, 해당 표기를 따라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 \mathbf{B}^T\mathbf{M}\mathbf{B} - \mathbf{M} = -\delta\mathbf{Q}

위 식에 \mathbf{B} = \mathbf{I} + \delta\mathbf{A}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 (\mathbf{I} + \delta \mathbf{A})^T\mathbf{M}(\mathbf{I} + \delta \mathbf{A}) - \mathbf{M} = -\delta \mathbf{Q}

이 식을 전개하면,

: (\mathbf{I} + \delta \mathbf{A}^T)\mathbf{M}(\mathbf{I} + \delta \mathbf{A}) - \mathbf{M} = -\delta \mathbf{Q}

: (\mathbf{M} + \delta \mathbf{A}^T\mathbf{M}) (\mathbf{I} + \delta \mathbf{A}) - \mathbf{M} = -\delta \mathbf{Q}

: \mathbf{M} + \delta \mathbf{M}\mathbf{A} + \delta \mathbf{A}^T\mathbf{M} + \delta^2 \mathbf{A}^T\mathbf{M}\mathbf{A} - \mathbf{M} = -\delta \mathbf{Q}

: \delta(\mathbf{A}^T\mathbf{M} + \mathbf{M}\mathbf{A}) + \delta^2 \mathbf{A}^T\mathbf{M}\mathbf{A} = -\delta \mathbf{Q}

여기서 \delta는 매우 작은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delta가 0에 가까워질수록 시스템은 연속 시간 동역학에 가까워진다. 양변을 \delta로 나누고 \delta \to 0극한을 취하면 \delta^2 항은 사라지게 된다.

: \mathbf{A}^T\mathbf{M} + \mathbf{M}\mathbf{A} + \delta \mathbf{A}^T\mathbf{M}\mathbf{A} = -\mathbf{Q}

\delta \to 0 극한에서 다음 식을 얻는다.

: \mathbf{A}^T\mathbf{M} + \mathbf{M}\mathbf{A} = -\mathbf{Q}

이는 우리가 찾고자 했던 연속 시간 랴푸노프 방정식이다. 따라서 이산 시간 랴푸노프 방정식에서 시간 간격 \delta를 0으로 보내는 극한을 통해 연속 시간 랴푸노프 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다.

참조

[1] 논문 A. M. Lyapunov's stability theory—100 years on * https://doi.org/10.1[...] 1992-01-01
[2] 논문 Computational Methods for Linear Matrix Equations https://epubs.siam.o[...] 2016-01-01
[3] 논문 An Algorithm for Solving the Matrix Equation X = F X F' + S
[4] 논문 Algorithm 432: Solution of the matrix equation AX + XB = C
[5] 서적 Time Series Analysis Princeton University Press
[6] 논문 An Algorithm for Solving the Matrix Equation X = F X F' + S
[7] 논문 Algorithm 432: Solution of the matrix equation AX + XB = C
[8] 서적 Time Series Analysis Princeton University Press
[9] 서적 Time Series Analysi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