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농업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농업당은 1993년 미하일 랍신과 바실리 스타로두브체프에 의해 창당된 러시아의 정당이었다. 창당 초기에는 농업 사회주의와 집산주의를 지향했으며, 1993년 하원 선거에서 8%의 득표율로 37석을 얻었다. 이후 여러 선거에서 의석을 확보했으나, 2007년 선거에서 득표율 저조로 의석을 얻지 못했다. 2008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를 지지한 후 통합 러시아에 흡수되었고, 2012년 재건되었으나, 2019년 7년간 선거 참여 부족으로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해산된 정당 - 평화통일가정당
평화통일가정당은 "가정이 바로서야 나라가 바로섭니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곽정환이 총재를 맡았던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2003년 창당 후 2008년 총선에서 저조한 득표율로 등록이 취소되었다. - 2008년 해산된 정당 - 민주당 (2007년 대한민국)
2005년 중도통합민주당에서 당명 변경 후 2007년 대선에서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한 이인제 후보로 인해 2008년 대통합민주신당과 통합하여 통합민주당으로 재출범하며 소멸된 정당이 민주당 (2007년 대한민국)이다. - 러시아의 정당 - 통합 러시아
통합 러시아는 푸틴의 부상과 옐친의 인기 하락 속에 크렘린의 지원으로 결성되어 여러 정당과의 합당을 거쳐 출범한 러시아의 거대 여당으로, 푸틴 집권 후 압도적인 지지율로 정치를 장악했으나 선거 부정, 부패, 연금 개혁 등으로 이미지에 타격을 입었고 우크라이나 침공 후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으나 내부 균열과 국제 제재에 직면해 있으며, 중도주의, 보수주의, 러시아 보수주의를 표방하면서 푸틴 정권의 정책을 지지하는 포괄적 성격을 띤다. - 러시아의 정당 - 로디나
로디나는 "조국"을 뜻하는 러시아어이며, 한때 두마에 진출했던 러시아 정당 이름으로, 극우 성향과 내부 분열로 몰락 후 재창당되었으나 푸틴 정권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러시아 정치의 복잡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 1993년 설립된 정당 - 신당 (대만)
신당은 1993년 중국국민당에서 분당되어 이등휘 주석의 정책에 반대하는 의원들이 결성한 정당으로, 초기에는 대통령 직선제와 중국 본토와의 경제 협력을 주장했으나, 2000년대 이후 친중 성향 강화와 일국양제 지지로 정치적 영향력을 상실하고 우익 또는 극우 정당으로 분류된다. - 1993년 설립된 정당 - 리투아니아 농민녹색연합
리투아니아 농민녹색연합은 2001년 창당되어 여러 차례 명칭을 변경한 리투아니아의 정당으로, 좌파 포퓰리즘 성향을 띠며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주요 정책으로 내세우지만 사회문화적 문제에는 보수적인 입장을 취한다.
러시아 농업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명칭 | 러시아 농업당 |
원어 명칭 | Аграрная партия России |
약칭 | APR (영어) АПР (러시아어) |
창립일 | 1993년 2월 26일 (첫 번째 러시아 농업당) 2012년 5월 2일 (두 번째 러시아 농업당) |
해산일 | 2008년 9월 12일 (첫 번째 러시아 농업당) 2019년 10월 21일 (두 번째 러시아 농업당) |
창립자 | 미하일 랍신 |
본부 | 러시아, 모스크바, 볼쇼이 골로빈 골목 20번 건물 |
이념 | 농본주의 농업 정책 중도주의 2009년 이전: 농업 사회주의 집단주의 |
정치적 위치 | 중도 ~ 중도좌파 2009년 이전: 좌익 |
청년 조직 | 러시아 농업 청년 연합 |
당원 수 (2008년) | 164,089명 |
신문 | 러시아 땅 |
슬로건 | "강력한 농업인 — 강력한 국가" () 2009년 이전: "모든 가정에 평화와 빵을!" () |
전국 조직 | 전 러시아 인민 전선 (2019년까지) |
상징색 | 녹색 빨간색 노란색 |
국가 | 러시아 땅, 우리는 당신을 잊지 않을 것입니다 |
웹사이트 | agroparty.ru |
![]() | |
지도부 | |
지도자 | 올가 바시마치니코바 |
의석 현황 | |
제1대 국가두마 | 37석 |
제2대 국가두마 | 20석 |
제3대 국가두마 | 11석 |
2. 역사
러시아 농업당은 1993년 창당 이후 여러 차례 해산과 재창당을 반복했다.
1993년 2월 26일, 알타이 공화국 수장 미하일 랍신과 툴라주 주지사이자 구 소련의 국가 비상사태 위원회의 전 위원이었던 바실리 스타로두브체프에 의해 창당되었다.
1990년대에 농업당은 러시아 연방 공산당의 동맹으로서 하원에서 보완 관계를 유지하며 농업 부문을 위해 사회주의적인, 더 많은 국고 보조를 주장했다. 주요 지지 기반은 콜호스, 소프호스, 농공 복합체의 지도층과 지역 유권자였다.[4]
2007년 러시아 하원 선거에서는 의석 획득 요건을 7%로 하는 완전 비례 대표제가 도입되었기 때문에 2.3%의 득표에 그쳐 하원의 모든 의석을 잃었다. 2008년 러시아 대선에서는 러시아 연방 공산당과의 공조 노선을 전환하여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제1부총리를 지지하고 그의 당선에 기여했다.
이후, 2012년에 재창당하여 중도주의 노선을 채택하고 러시아 인민 전선 및 러시아 생태당 "녹색"과 연합했지만, 2019년 10월 21일 러시아 대법원에 의해 다시 해산되었다.[3]
2. 1. 창당 및 초기 활동 (1993-2008)
러시아 농업당은 1993년 2월 26일, 알타이 공화국 수장 미하일 랍신과 툴라주 주지사이자 구 소련의 국가 비상사태 위원회의 전 위원이었던 바실리 스타로두브체프에 의해 창당되었다.[1] 미하일 랍신은 1993년부터 2004년까지 당을 이끌었으며, 그의 지도력하에 당은 러시아 연방 공산당(CPRF) 및 조국 - 전 러시아 블록과 동맹을 맺었다. 2008년까지 당은 농업 사회주의[1] 및 집산주의를 지지했다.
1993년 러시아 입법 선거에서 농업당은 8%의 득표율로 하원에서 37석을 얻었다. 1994년에서 1996년 사이에는 당원 이반 르비킨이 러시아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1995년 러시아 입법 선거에서는 5%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3.78%의 득표율을 얻는 데 그쳤다. 2003년 러시아 입법 선거에서는 3.6%의 득표율로 하원 450석 중 3석을 획득했다.
1990년대 농업당 하원 의원들은 국가 두마에서 공산당의 동맹이었으며, 농업 부문에 대한 정부의 더 큰 지원을 옹호했다.[4]
2004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서는 농업당 당원 니콜라이 하리토노프가 러시아 연방 공산당의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여 13.7%의 득표율로 블라디미르 푸틴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2007년 선거에서는 2.30%의 득표율로 7%의 장벽을 넘지 못해 두마에서 의석을 얻지 못했다.
2008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서 농업당은 드미트리 메드베데프의 후보를 지지했으며, 이후 현재 두마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하고 있는 당인 통합 러시아와 합병되었다.[1]
2. 2. 통합 러시아와의 합병 (2008-2012)
2007년 러시아 하원 선거에서 농업당은 2.30%의 득표율을 얻어 7%의 장벽을 넘지 못해 두마에서 의석을 얻지 못했다.[1]2008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서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후보를 지지했으며, 이후 통합 러시아와 합병되었다.[1]
2008년 10월 10일, 농업당은 공식적으로 해산되어 정부 여당인 통합 러시아에 흡수 합병되었다.
2. 3. 재창당과 해산 (2012-2019)
2012년은 러시아 농업당에게 특히 주목할 만한 시기였다. 이 해에 당은 공식적으로 재건되었고, 올가 바슈마치니코바가 대표로 선출되어 5월 18일에 농업 협회 집행 이사로 취임했다. 이를 통해 당은 농업 사회주의와 집산주의 이념에서 벗어나 중도주의 노선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또한, 창당 이후 지속적으로 연합 관계를 맺어왔던 러시아 연방 공산당과의 동맹을 포기하고, 러시아 인민 전선 및 러시아 생태당 "녹색"과 새롭게 연합했다.[2]2012년, 2013년, 2014년 선거에서 러시아 농업당은 지역 및 시 의회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
2019년 10월 21일, 러시아 대법원은 러시아 법무부의 소송에 따라 7년간 선거에 참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당을 해산시켰다.[3]
3. 이념 및 정책
농업당은 농업 사회주의[1]와 집산주의를 주요 이념으로 삼았다.[1] 1990년대에는 농업 부문에 대한 정부의 더 큰 지원을 옹호했으며, 주요 지지 기반은 콜호스, 소프호스, 농공 복합체의 지도층과 지역 유권자였다.[4]
2008년 통합 러시아에 흡수합당 된 이후, 2012년에 재창당되면서 중도주의 노선을 채택하고, 농업 사회주의와 집산주의 이념에서 벗어났다.[2]
4. 역대 지도부
역대 러시아 농업당의 지도부는 다음과 같다.
대 | 이름 | 임기 |
---|---|---|
초대 | 미하일 랍신 | 1993년 — 2004년 |
2대 | 블라디미르 플로트니코프 | 2004년 — 2009년 |
3대 | 올가 바슈마치니코바 | 2012년 — 2019년 |
Руководство партииru는 '당의 지도부'를 의미하며, 당 대표를 포함한 주요 직책자들이 해당된다.
4. 1. 역대 당수
대 | 이름 | 임기 |
---|---|---|
초대 | 미하일 랍신 | 1993년 — 2004년 |
2대 | 블라디미르 플로트니코프 | 2004년 — 2009년 |
3대 | 올가 바슈마치니코바 | 2012년 — 2019년 |
5. 주요 선거 결과
러시아 농업당은 주요 선거에서 다양한 결과를 보였다. 대통령 선거와 총선(하원 선거) 결과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총선 (하원 선거): 1993년 러시아 입법 선거에서 8%의 득표율로 37석을 획득하며 원내 진출에 성공했고, 당 간부인 이반 류브킨이 하원 의장에 선출되기도 했다.[1] 그러나 1995년 러시아 입법 선거에서는 3.78%의 득표율로 5% 득표율 문턱을 넘지 못했다.[1] 2003년 러시아 입법 선거에서는 3.6%의 득표율로 3석을 얻는데 그쳤다.[1] 2007년 선거에서는 2.30%의 득표율로 7% 득표율 장벽을 넘지 못해 원외 정당이 되었다.[1]
- 대통령 선거: 1990년대에 농업당은 러시아 연방 공산당과 협력 관계를 유지하며 농업 부문에 대한 정부 지원 확대를 주장했다.[4] 2004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서는 농업당 당원 니콜라이 하리토노프가 러시아 연방 공산당 후보로 출마하여 13.7%의 득표율로 2위를 기록했다. 이후 2008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서는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후보를 지지했으며, 통합 러시아와 합병되었다.[1]
5. 1. 대통령 선거
선거 | 후보 | 1차 투표 | 2차 투표 | 결과 | ||||
---|---|---|---|---|---|---|---|---|
득표수 | % | 득표수 | % | |||||
1996년 | 겐나디 주가노프 | 24,211,686 | 30,102,288 | 패배 | ||||
2000년 | 블라디미르 푸틴 | 39,740,434 | colspan=2 bgcolor=lightgrey| | 당선 | ||||
2004년 | 블라디미르 푸틴 | 49,565,238 | colspan=2 bgcolor=lightgrey| | 당선 | ||||
2008년 |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 52,530,712 | colspan=2 bgcolor=lightgrey| | 당선 | ||||
2012년 | 당은 통합 러시아의 일부였으며, 선거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 |||||||
2018년 | 블라디미르 푸틴 | 56,430,712 | colspan=2 bgcolor=lightgrey| | 당선 |
5. 2. 총선 (하원 선거)
1993년 러시아 입법 선거에서 농업당은 8%의 득표율로 하원에서 37석을 얻었다.[1] 1994년부터 1996년까지 당원 이반 르비킨은 러시아 국회의장이었다. 1995년 러시아 입법 선거에서 농업당은 5%의 득표율 문턱을 넘지 못하고 3.78%의 득표율을 얻었다.[1] 2003년 러시아 입법 선거에서는 3.6%의 득표율로 하원 450석 중 3석을 얻었다.[1]1990년대 농업당 하원 의원들은 국가 두마에서 공산당과 동맹 관계였으며, 농업 부문에 대한 정부의 더 큰 지원을 옹호했다.[4]
2007년 선거에서 농업당은 2.30%의 득표율로 7%의 득표율 장벽을 넘지 못해 두마 의석을 얻지 못했다.[1]
농업당은 2008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서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후보를 지지했으며, 이후 두마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가진 통합 러시아와 합병되었다.[1]
선거 | 정당 대표 | 성과 | 의석 | +/- | 순위 | 정부 | ||
---|---|---|---|---|---|---|---|---|
득표수 | % | ± pp | ||||||
1993년 | 미하일 랍신 | 4,292,518 | 7.99% | 신규 | 37 / 450 | 신규 | 4위 | 연립 |
1995년 | 2,613,127 | 3.78% | ▼ 4.21 | 20 / 450 | ▼ 17 | 5위 | 야당 (1995–1998) | |
연립 (1998–1999) | ||||||||
야당 (1999) | ||||||||
1999년 | 8,886,753 | 13.33% (조국 - 전 러시아) | ▲ 9.55 | 11 / 450 | ▼ 9 | 7위 | 연립 | |
2003년 | 2,205,704 | 3.63% | ▼ 9.70 | 2 / 450 | ▼ 9 | 7위 | 야당 | |
2007년 | 블라디미르 플로트니코프 | 1,600,234 | 2.30% | ▼ 1.33 | 0 / 450 | ▼ 2 | 5위 | 원외 정당 |
2011년 | 정당은 통합 러시아의 일부였으며 선거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 |||||||
2016년 | 올가 바슈마치니코바 | 불참 | 원외 정당 | |||||
참조
[1]
웹사이트
Russia
http://www.parties-a[...]
2008
[2]
웹사이트
The program and Charter of the Agrarian Party of Russia on the website of the Ministry of Justice of Russia
http://minjust.ru/ta[...]
2015-01-05
[3]
문서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of the Russian Federation No. AKPI19-796 of October 21, 2019
http://vsrf.ru/stor_[...]
[4]
서적
ロシア現代政治
東京大学出版会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