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타이 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타이 공화국은 러시아 연방의 자치 공화국으로, 서시베리아 남부에 위치하며 중국, 몽골, 카자흐스탄과 국경을 접한다. 험준한 알타이 산맥을 중심으로, 유목 문화의 흔적과 다양한 민족, 종교가 공존하며, 금, 은, 철광석 등 천연 자원과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1922년 오이로트 자치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92년 현재의 알타이 공화국이 되었다. 주민 구성은 러시아인이 가장 많고, 알타이인, 카자흐인 등이 거주하며, 러시아 정교회, 텡그리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타이 공화국 - 투발라르족
투발라르족은 튀르크계 부족이 시베리아 원주민과 융합되어 형성된 민족으로, 여러 지배를 거쳐 러시아에 복속되었고 전통 문화가 쇠퇴하였으나 현재는 문화와 언어 보존을 위해 노력하며, 잣나무 숭배와 정교회 및 샤머니즘 신앙을 가지고 있다. - 알타이 공화국 - 알타이인
알타이인은 러시아 알타이 지역에 거주하며 튀르크계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 집단으로, 북부와 남부로 나뉘며 샤머니즘을 기반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종교와 문화를 겪었다. - 중앙아시아 -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공화국은 중앙아시아 내륙국으로 톈산 산맥 중심의 산악 지형이 대부분이며 여러 국가와 국경을 접하고 키르기스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유목민 전통의 문화를 지녔으나, 소련 붕괴 후 독립했음에도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적 어려움, 국경 분쟁, 권위주의적 성향 강화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중앙아시아 - 시베리아
우랄 산맥 동쪽에 위치한 시베리아는 러시아 영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양한 유목 민족의 터전이었으나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어 자원 개발이 이루어졌고, 현재는 러시아 연방의 일부로서 경제 성장과 함께 환경 문제, 민족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는 지역이다.
알타이 공화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알타이 공화국 |
현지 명칭 | 알타이어: Алтай Республика 러시아어: Республика Алтай (레스푸블리카 알타이) 카자흐어: Алтай Республикасы |
별칭 | 고르니알타이 (산악 알타이) |
![]() | |
![]() | |
국가 | 알타이 렐спубли카니ҥ 김ны |
수도 | 고르노알타이스크 |
공식 언어 | 알타이어 러시아어 카자흐어 |
행정 구역 | |
연방 관구 | 시베리아 연방 관구 |
경제 지구 | 서시베리아 경제 지구 |
OKTMO ID | 84000000 |
차량 번호판 | 04 |
지리 | |
면적 | 92,903 km² |
인구 통계 | |
인구 (2021년) | 210,924명 |
인구 밀도 | 2.27명/km² |
도시 인구 비율 | 31% |
농촌 인구 비율 | 69% |
인구 순위 | 러시아 연방 내 81위 |
정치 및 정부 | |
정부 형태 | 국가 회의 - 엘 쿠룰타이 |
수장 | 안드레이 투르차크 |
시간대 | |
시간대 | 크라스노야르스크 시간 (MSK+4) |
UTC 오프셋 | +7 |
기타 정보 | |
ISO 코드 | RU-AL |
웹사이트 | 알타이 공화국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864년 타르바가타이 조약을 통해 알탄 누르 우량하이가 러시아 제국에 자발적으로 편입되면서 알타이 공화국은 러시아 영토가 되었다.[11] 이후 러시아 내전 시기에는 알타이 연합 공화국이 세워지기도 했지만, 결국 러시아에 다시 합병되었다. 기원전부터 유목 문화가 번성하여, 파지리크 쿠르간군과 카탄가, 악-알라하 등 많은 쿠르간이 남아있다. 이 유적들은 파지리크 문화 (기원전 6세기~기원전 2세기)로 통칭된다. 현재 주민의 53.7%가 러시아인, 37%가 알타이인, 6.4%가 카자흐인이다.
2. 1. 고대 ~ 중세
흉노 제국(기원전 209년 ~ 서기 93년)은 현대 알타이 공화국의 영토를 지배했다. 이 지역은 돌궐 제국, 위구르 제국, 예니세이 키르기즈의 일부였다. 이 시기에 지역 주민들은 문화적으로나 언어적으로 완전히 튀르크화되었다.[10]알타이 공화국의 남쪽 지역은 나이만 칸국의 지배를 받았다. 현대 알타이 공화국의 영토는 몽골계 선비 (93–234), 유연 제국 (330–555), 몽골 제국 (1206–1368), 킵차크 칸국 (1240–1502), 준가르 칸국 (1634–1758)의 지배를 받았다.
2. 2. 근대
1922년 1월 1일 알타이 지방에 포함된 '''오이로트 자치주'''(Ойро́т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가 설치되었다.[12] 1948년 7월 7일 '''고르노알타이 자치주'''(Го́рно-Алта́й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로 이름이 바뀌었다.[12] 1991년 고르노알타이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ASSR)으로 잠시 변경되었다가, 1992년부터 알타이 공화국이 되었다.흉노 제국(기원전 209년 ~ 서기 93년)은 현대 알타이 공화국의 영토를 지배했다. 이 지역은 돌궐 제국, 위구르 제국, 예니세이 키르기즈의 일부였다. 이 시기에 지역 주민들은 문화와 언어적으로 튀르크화되었다.[10]
알타이 공화국의 남쪽 지역은 나이만 칸국의 지배를 받았다. 현대 알타이 공화국의 영토는 몽골계 선비 (93–234), 유연 제국 (330–555), 몽골 제국 (1206–1368), 킵차크 칸국 (1240–1502), 준가르 칸국 (1634–1758), 청나라 (1757–1864)의 지배를 받았다.
청나라 시대는 두 개의 알탄 누르 우량하이 자치구와 일곱 개의 알타이 우량하이 깃발의 감독을 받는 반자치 시대였다. 청나라 행정 기간 동안 시베리아 총독 표도르 이바노비치 소이모노프는 1760년 알탄 누르 지역으로 비군사적 원정을 시작하여 요새 건설을 시작했으나, 후에 청나라의 헤세리 잘라풍가에 의해 철거되었다. 1820년대부터 정기적인 국경 검사가 덜 빈번해졌고, 추야강 유역은 러시아인에 의해 점령되었다.
알탄 누르 우량하이는 타르바가타이 조약에 의해 1864-1865년에 자발적으로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11] 러시아 내전 동안, 알타이 연합 공화국(카라코룸-알타이 지역)이 1918년에 설립되었으며, 칭기즈 칸의 몽골 제국 재건의 첫 단계로 선언되었다.[12] 그러나 러시아 내전에서 경쟁 세력이 되지 못했고, 1918년부터 1920년 1월까지 중립을 유지하다가 러시아에 다시 합병되었다. 두 번째 알타이 공화국은 1921년에 형성되어 1922년 볼셰비키에 의해 병합될 때까지 지속되었다.[12]
1922년 6월 1일, 알타이인들은 오이로트 자치주(Ойро́т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ru)의 창설과 함께 자치권을 되찾았으며, 이는 알타이 지방의 일부였다. 이 지역의 원래 이름은 바즐라였다. 1948년 1월 7일, 고르노-알타이 자치주(Го́рно-Алта́й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ru)로 이름이 바뀌었다. 1991년에는 고르노-알타이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ASSR)으로 개편되었다. 1992년에는 알타이 공화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700년대 중반부터 러시아인이 이 지역의 식민지화를 추진했고, 알타이인은 점차 유목 생활에서 정착 생활로 옮겨갔다. 20세기 초, 러시아 지배로부터의 해방을 호소하는 종교 집단이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지만, 곧 저항 운동은 억눌렸다.
1922년, 소비에트 연방 당국은 알타이인을 위해 오이로트 자치주를 설치했다. 1948년, 고르노-알타이 자치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91년, 알타이 지방에서 분리되어, 자치주에서 공화국으로 승격하여 고르노-알타이 공화국이 되었고, 같은 해 말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와 함께 1992년에 러시아 연방 내의 알타이 공화국이 되었다.
2012년, 공화국 헌법 개정으로 카자흐어가 공용어로 추가되었다[27]。
2. 3. 러시아 혁명과 소비에트 시대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내전 동안인 1918년에 알타이 연합 공화국(카라코룸-알타이 지역)이 설립되었으며, 칭기즈 칸의 몽골 제국 재건의 첫 단계로 선언되었다.[12] 그러나 이 공화국은 러시아 내전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지 못했고, 1918년부터 1920년 1월까지 중립을 유지하다가 러시아에 다시 합병되었다. 1921년에는 두 번째 알타이 공화국이 형성되었으나, 1922년 볼셰비키에 의해 다시 병합되었다.[12]1922년 6월 1일, 알타이인들은 오이로트 자치주(Ойро́т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ru)의 설립과 함께 자치권을 되찾았으며, 이 자치주는 알타이 지방의 일부였다. 이 지역의 원래 이름은 바즐라였다. 1948년 1월 7일, 고르노-알타이 자치주(Го́рно-Алта́й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ru)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91년에는 고르노-알타이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ASSR)으로 개편되었다. 1992년에는 알타이 공화국으로 개칭되었다.
2. 4. 현대
1922년 1월 1일 알타이 지방에 포함된 오이로트 자치주(Ойро́т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가 설치되면서 자치 공화국이 되었다. 1948년 7월 7일 고르노알타이 자치주(Го́рно-Алта́й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로 이름이 바뀌었다. 1991년에는 고르노알타이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ASSR)으로 잠시 바뀌었다가 1992년부터 알타이 공화국이 되었다.[10]러시아 내전 중이던 1918년, 칭기즈 칸의 몽골 제국 재건을 목표로 하는 카라코룸-알타이 지역의 알타이 연합 공화국(카라코룸 정부)이 설립되었다.[12] 그러나 이 공화국은 러시아 내전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지 못하고 1920년 1월까지 중립을 유지하다 러시아에 다시 합병되었다. 1921년에는 두 번째 알타이 공화국이 세워졌으나 1922년 볼셰비키에 의해 다시 병합되었다.[12]
1922년 6월 1일, 알타이인들은 오이로트 자치주(Ойро́т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ru) 설립과 함께 자치권을 얻었으며, 이 지역은 알타이 지방의 일부였다. 원래 이 지역의 이름은 바즐라였다. 1948년 1월 7일, 고르노-알타이 자치주(Го́рно-Алта́й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ru)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91년에는 고르노-알타이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ASSR)으로 개편되었다가 1992년에 알타이 공화국으로 최종 개칭되었다.
1700년대 중반부터 러시아인들이 이 지역을 식민지화하면서 알타이인들은 점차 유목 생활에서 정착 생활로 변화했다. 20세기 초, 러시아 지배로부터의 해방을 요구하는 종교 집단이 널리 지지를 얻었으나, 곧 저항 운동은 억압되었다.
1922년, 소비에트 연방 당국은 알타이인을 위해 오이로트 자치주를 설치했다. 1948년에는 고르노알타이 자치주로 이름이 바뀌었는데, '고르노(Горно-)'는 '산악의'라는 뜻이다. 유목 생활은 거의 사라졌지만, 소비에트 시대에도 알타이인의 전통적인 생활 양식은 상당 부분 남아있었다. 1991년, 알타이 지방에서 분리되어 자치주에서 공화국으로 승격, 고르노알타이 공화국이 되었다. 같은 해 말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하면서 1992년 러시아 연방 내의 알타이 공화국이 되었다.
2012년, 공화국 헌법 개정으로 카자흐어가 공용어로 추가되었다.[27]
3. 지리
알타이 공화국의 지리 관련 정보는 다음과 같다.
주요 지리 정보:
- 위치: 서시베리아 남부, 유라시아 중심부
- 접경 지역: 중국, 몽골, 카자흐스탄, 투바 공화국, 하카스 공화국, 알타이 지방, 케메로보주
- 지형: 알타이 산맥에 위치, 타이가, 초원, 반사막 지대가 만남. 숲은 영토의 약 25% 차지.
- 최고봉: 벨루하 산 (4506m)
- 주요 강: 카툰 강, 비야 강 (합류하여 오비 강 형성)
- 주요 호수: 텔레츠코예 호수
- 기후: 온대 대륙성 기후 (짧고 온화한 여름, 길고 추운 겨울)
- 천연 자원: 금, 은, 철광석, 리튬, 광천수, 온천, 빙하 (담수)
알타이 공화국의 기후는 전반적으로 남동부 지역이 북부 지역보다 더 혹독하다.
항목 | 내용 |
---|---|
연평균 기온 | 1°C ~ -6.7°C |
1월 평균 기온 | -9.2°C ~ -31°C |
7월 평균 기온 | 11°C ~ 19°C |
연평균 강수량 | 100–1000 mm |
3. 1. 위치 및 지형
서시베리아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유라시아 중부에 위치해 중국, 몽골, 카자흐스탄과 접해 있다. 러시아 내에서는 투바 공화국, 하카스 공화국, 알타이 지방, 케메로보주와 접해 있다.알타이 공화국은 아시아 중심부의 알타이 산맥에 위치하며, 시베리아의 타이가, 카자흐스탄의 초원, 몽골의 반사막이 만나는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숲은 공화국 영토의 약 25%를 덮고 있다.
- 면적:
- 경계:
- 내부: 케메로보주(북), 하카스 공화국(북동), 투바 공화국(동), 알타이 지방(서/북서).
- 국제: 몽골 (바양울기 주) (남동), 중국 (알타이 지구, 신장) (남), 카자흐스탄 (동카자흐스탄주) (남/남서)
- 최고점: 벨루하 산 (4506m)
- 최대 남북 거리: 360km
- 최대 동서 거리: 380km
알타이 공화국의 가장 눈에 띄는 지리적 특징은 산악 지형이다. 공화국은 러시아에 속한 알타이 산맥의 일부에 위치하며, 이는 공화국의 넓은 지역을 덮고 있으며 인접한 카자흐스탄, 몽골, 중국까지 이어진다. 이 지역은 주기적으로 상당한 지진 활동을 겪고 있으며, 이는 좁고 깊은 강 계곡으로 분리된 산들의 특징적으로 높고 험준한 산등성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나타난다. 공화국의 최고봉인 벨루하 산(4506m)은 시베리아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
남부에는 벨루하 산(4506m)에서 몽골로 이어지는 알타이 산맥이 뻗어 있으며, 4000m급 산맥은 빙하지대를 이룬다. 남쪽 끝 몽골 국경 부근에는 우코크 고원이 펼쳐져 있다. 오비 강은 이곳 알타이에서 발원하여 서시베리아 저지를 종단하여 멀리 북쪽의 카라 해로 흘러든다. 또한 후미로 유명한 투바 공화국은 동쪽에 인접해 있다. 북동쪽의 하카스 공화국 또한 후미로 알려져 있다. 북서쪽은 러시아의 알타이 지방이다. 남쪽은 몽골,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알타이 지구, 카자흐스탄과 접한다.
3. 2. 수자원
텔레츠코예 호수는 알타이 공화국에서 가장 큰 호수이다.[14] 알타이 공화국의 산악 지형에는 2만 개가 넘는 지류가 뻗어 있으며, 총 수로는 60000km 이상에 달한다. 공화국의 가장 큰 강은 카툰 강과 비야 강으로, 두 강 모두 산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른다. 두 강이 합류하여 오비 강을 이루는데, 이 강은 시베리아에서 가장 긴 강 중 하나로 북쪽으로 흘러 북극해로 들어간다.검은색 비야 강의 발원지는 산맥의 외딴 남쪽에 위치한 이 지역 최대의 호수인 텔레츠코예 호수이다.[13] 에메랄드빛 카툰 강의 발원지는 공화국 최고봉인 벨루하 산에 위치한 겔블러 빙하이다. 특히 카툰 강은 원주민 알타이인뿐만 아니라 그 지역에 거주하는 많은 러시아인들에게도 종교적 의미를 지니는데, 벨루하 산은 알타이 민속에서 신비로운 왕국인 샹바라로 들어가는 관문으로 알려져 있다.[13]
공화국의 수문망에는 약 7,000개의 호수가 포함되어 있으며, 총 면적은 700km2 이상이다. 가장 큰 호수는 텔레츠코예 호수로, 길이는 80km이고 너비는 5km이며, 면적은 230.8km2이고 최대 수심은 325m이다.[14] 알타이의 산악 호수는 문명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매우 깨끗한 품질의 엄청난 담수 매장량을 포함하고 있다.[14] 텔레츠코예 호수 하나만으로도 40km3 이상의 매우 맑은 물을 담고 있다.
잠재적인 지하수 저장량은 하루 22e6m3로 평가되며, 현재 사용량은 하루 약 44000m3이다.


3. 3. 기후

알타이 공화국은 옴스크 시간대(OMST)에 속해 있으며, 협정 세계시(UTC)와의 시차는 +0700이다.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여름은 짧고 덥지만, 겨울은 길고 매우 춥다.
일반적으로 울라간스키 구와 코쉬-아가치 구와 같은 남동부 지역의 기후는 고도가 낮은 북부 지역보다 더 혹독하다.
항목 | 내용 |
---|---|
연평균 기온 | 1°C ~ -6.7°C |
1월 평균 기온 | -9.2°C ~ -31°C |
7월 평균 기온 | 11°C ~ 19°C |
연평균 강수량 | 100–1000 mm |
3. 4. 천연 자원
알타이 공화국에서는 금, 은, 철광석 등이 생산된다.[1] 다양한 수역은 알타이 공화국의 가장 중요한 천연 자원 중 하나이다.[1] 광천수와 온천은 관광객과 지역 주민들에게 인기 있는 명소이며, 치료 효과로 유명하다.[1] 또한, 알타이 빙하에는 많은 양의 담수가 포함되어 있다.[1] 등록된 알타이 빙하의 총 얼음 부피는 57km3이며, 그 중 52km3가 물이다.[1] 빙하의 총 물 저장량은 알타이 강 전체의 연평균 유출량인 43km3/년을 초과한다.[1] 가장 큰 빙하는 볼쇼이 탈두린스키(35km2), 멘수(21km2), 소피이스키(17km2), 볼쇼이 마셰이(16km2)이다.[1]이 지역의 광물 자원에는 주로 금, 은, 철광석, 리튬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외에도 소량의 다른 광물들이 있다.[1] 알라킨스코예 광산은 리튬 매장지이다. 인근 알타이 지방의 대도시 바르나울은 알타이 지역의 광물을 가공하는 중심지로 설립되었지만, 현재 광물 채굴 산업은 과거보다 훨씬 작다.[1] 축산업, 목재 공업, 건설 자재, 금 채굴도 이루어진다.[1] 특히 이 나라에서 채취되는 수정은 높은 가치를 지닌다.[1]
4. 행정 구역
알타이 공화국은 행정적으로 10개의 구와 고르노알타이스크 시로 나뉜다. 각 구는 92개의 셀소베트로 세분된다.[15]
알타이 공화국은 공화국 직할시이자 수도인 고르노알타이스크 시와 10개의 구(243개의 농촌 정착지가 포함)로 구성되어 있다.
종류 | 명칭 | 알타이어 명칭 |
---|---|---|
직할시 | 고르노알타이스크 | |
구 | 마이마 구 | 마이마 아ймак |
초야 구 | Чоя аймак | |
투라차크 구 | Турачак аймак | |
체말 구 | Чамал аймак | |
셰발리노 구 | Шебалин аймак | |
옹구다이 구 | Оҥдой аймак | |
우스치칸 구 | Кан-Оозы аймак | |
우스치콕사 구 | Кӧк-Суу Оозы аймак | |
우라간 구 | Улаган аймак | |
코시 아가치 구 | Кош-Агаш аймак |
5. 주민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인이 11만 6,510명(57%)으로 가장 많고, 알타이인은 6만 2,192명(30.6%)을 차지한다. 이 외에도 카자흐족 1만 2,108명(5.97%), 텔렝기트족 2,386명(1.18%), 투발라르족 1,533명(0.76%), 우크라이나인 1,437명(0.71%)과 독일인, 쿠마딘족(0.46%), 라트비아인, 에스토니아인 등 소수 민족이 거주한다.[16][17]
2021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서는 러시아인이 53.7%, 토착 알타이인이 37.0%, 카자흐인이 6.4%를 차지했으며, 그 외 다양한 소수 민족 집단이 각 0.5% 미만을 차지하고 있다.[18]
알타이 공화국의 인구 변화는 아래 표와 같다.
연도 | 1970 | 1975 | 1980 | 1985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
연평균 인구(× 1000) | 168 | 170 | 175 | 185 | 194 | 196 | 197 | 197 | 198 | 199 | 200 | 200 | 201 | 202 | 203 | 203 | 203 | 203 | 202 | 202 | 202 | 202 | 203 | 204 | 206 | 207 | 209 | 211 | 213 | 214 | 216 | 217 |
출생아 수 | 3,236 | 3,805 | 3,841 | 4,256 | 3,753 | 3,579 | 3,263 | 2,878 | 2,931 | 2,853 | 2,704 | 2,686 | 2,923 | 2,742 | 2,907 | 3,033 | 3,252 | 3,392 | 3,513 | 3,502 | 3,395 | 4,066 | 4,442 | 4,266 | 4,224 | 4,719 | 4,693 | 4,442 | 4,404 | 4,022 | 3,911 | 3,443 |
사망자 수 | 1,486 | 1,724 | 2,082 | 2,097 | 2,126 | 2,064 | 2,271 | 2,630 | 2,875 | 2,637 | 2,567 | 2,547 | 2,367 | 2,536 | 2,645 | 2,870 | 3,061 | 3,173 | 3,015 | 3,170 | 2,837 | 2,574 | 2,549 | 2,492 | 2,508 | 2,529 | 2,416 | 2,392 | 2,365 | 2,347 | 2,151 | 2,099 |
자연 증가 | 1,750 | 2,081 | 1,759 | 2,159 | 1,627 | 1,515 | 992 | 248 | 56 | 216 | 137 | 139 | 556 | 206 | 262 | 163 | 191 | 219 | 498 | 332 | 558 | 1,492 | 1,893 | 1,774 | 1,716 | 2,190 | 2,277 | 2,027 | 2,039 | 1,675 | 1,760 | 1,344 |
조출생률 (1000명당) | 19.3 | 22.4 | 21.9 | 23.0 | 19.3 | 18.2 | 16.6 | 14.6 | 14.8 | 14.3 | 13.5 | 13.4 | 14.5 | 13.6 | 14.3 | 14.9 | 16.0 | 16.7 | 17.4 | 17.3 | 16.8 | 20.1 | 21.9 | 20.9 | 20.6 | 22.7 | 22.4 | 21.1 | 20.7 | 18.7 | 18.1 | 15.8 |
조사망률 (1000명당) | 8.8 | 10.1 | 11.9 | 11.3 | 10.9 | 10.5 | 11.5 | 13.4 | 14.5 | 13.2 | 12.8 | 12.7 | 11.8 | 12.6 | 13.0 | 14.1 | 15.1 | 15.7 | 14.9 | 15.7 | 14.1 | 12.7 | 12.5 | 12.2 | 12.2 | 11.5 | 11.3 | 11.1 | 10.9 | 10.0 | 9.6 | |
자연 증가율 (1000명당) | 10.4 | 12.2 | 10.1 | 11.7 | 8.4 | 7.7 | 5.0 | 1.3 | 0.3 | 1.1 | 0.7 | 0.7 | 2.8 | 1.0 | 1.3 | 0.8 | 0.9 | 1.1 | 2.5 | 1.6 | 2.8 | 7.4 | 9.3 | 8.7 | 8.3 | 10.5 | 10.9 | 9.8 | 9.6 | 7.8 | 6.2 |
알타이 공화국의 민족 구성 비율은 아래 표와 같다.
민족 집단 | 1926년 인구 조사 | 1939년 인구 조사 | 1959년 인구 조사 | 1970년 인구 조사 | 1979년 인구 조사 | 1989년 인구 조사 | 2002년 인구 조사 | 2010년 인구 조사 | 2021년 인구 조사 | |||||||||
---|---|---|---|---|---|---|---|---|---|---|---|---|---|---|---|---|---|---|
수 | % | 수 | % | 수 | % | 수 | % | 수 | % | 수 | % | 수 | % | 수 | % | 수 | % | |
알타이인 | 42,2131 | 42.4% | 39,285 | 24.2% | 38,019 | 24.2% | 46,750 | 27.8% | 50,203 | 29.2% | 59,130 | 31.0% | 68,0272 | 33.6% | 69,9633 | 34.5% | 73,242 | 37.0% |
러시아인 | 51,813 | 52.0% | 114,209 | 70.4% | 109,661 | 69.8% | 110,442 | 65.6% | 108,795 | 63.2% | 115,188 | 60.4% | 116,510 | 57.5% | 114,802 | 56.6% | 106,258 | 53.7% |
카자흐인 | 2,326 | 2.3% | 4,280 | 2.6% | 4,745 | 3.0% | 7,170 | 4.3% | 8,677 | 5.0% | 10,692 | 5.6% | 12,108 | 6.0% | 12,524 | 6.2% | 12,647 | 6.4% |
기타 | 3,309 | 3.3% | 4,405 | 2.7% | 4,736 | 3.0% | 3,899 | 2.3% | 4,365 | 2.5% | 5,821 | 3.1% | 5,914 | 2.9% | 5,447 | 2.7% | 5,741 | 2.9% |
- 1 3,414명의 텔렌기트인, 1,384명의 쿠만딘인, 344명의 텔레우트인 포함
- 2 2,368명의 텔렌기트인, 1,533명의 투발라르인, 931명의 쿠만딘인, 830명의 첼칸인, 141명의 쇼르인, 32명의 텔레우트인 포함
- 3 3,648명의 텔렌기트인, 1,891명의 투발라르인, 1,062명의 쿠만딘인, 1,113명의 첼칸인, 87명의 쇼르인 포함
- 4 2,587명의 텔렌기트인, 3,424명의 투발라르인, 1,037명의 쿠만딘인, 1,170명의 첼칸인, 91명의 쇼르인 포함
- 5 3,432명이 행정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었으며, 민족을 밝힐 수 없었다. 이 집단의 민족 구성 비율은 신고된 집단과 동일한 것으로 추정된다.[19]
알타이인은 튀르크어계 민족들이 혼합되어 형성되었다. 이들은 텔레우트, 텔레응기트 등 튀르크계 민족 (552년~745년), 위구르 (745년~840년), 키르기스 (8세기~13세기 초) 등 3개의 칸국의 주요 민족이었다. 13세기에는 칭기스 칸의 몽골 제국에 정복되었다. 1700년대 중반부터 러시아가 이 지역을 식민지화하면서 알타이인은 점차 유목 생활에서 정착 생활로 전환했다. 20세기 초, 러시아 지배로부터의 해방을 요구하는 종교 운동이 일어났으나 곧 억압되었다.
1922년, 소비에트 연방은 알타이인을 위해 오이로트 자치주를 설치했다(당시 알타이인은 오이로트인으로 불렸다). 1948년에는 고르노-알타이 자치주로 개칭되었는데, '고르노(Горно-)'는 '산악의'라는 뜻이다. 비록 유목 생활은 거의 사라졌지만, 소비에트 시대에도 알타이인의 전통적인 생활 양식은 상당 부분 유지되었다. 1991년, 알타이 지방에서 분리되어 자치주에서 공화국으로 승격, 고르노-알타이 공화국이 되었다. 같은 해 말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하면서 1992년 러시아 연방 내의 알타이 공화국이 되었다.
2012년에는 공화국 헌법 개정으로 카자흐어가 공용어로 추가되었다.[27]
6. 경제
알타이 공화국은 농업이 매우 발달한 지역이다. 그러나 식품, 비철 야금, 화학, 금 채굴, 신발, 낙농업, 임업 등 일부 산업도 존재한다. 관광 산업 또한 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하기 시작했으며, 상당수의 새로운 호텔과 리조트가 생겨났다.[1] 축산업, 목재 공업, 건설 자재, 금 채굴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이 나라에서 채취되는 수정은 높은 가치를 지닌다.[2]
소련의 붕괴와 함께 알타이 공화국의 관광 산업은 크게 성장했다. 인근 러시아 지역의 부유한 러시아인들이 알타이의 가장 흔한 관광객 유형이지만, 이 지역의 영적 중요성 때문에 외국인들의 관심 또한 증가했다.[2]
인기 있는 관광지는 도로 접근성이 더 좋은 북쪽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북쪽에서 산으로 이어지는 주요 도로인 추이스키 고속도로를 따라 거의 완전히 위치해 있지만, 현재(2006년)는 2차선에 불과하다. 북쪽은 또한 여름에도 추운 고지대 남부 지역보다 훨씬 따뜻하다.[2]
알타이 공화국의 더 잘 알려진 관광 명소로는 인기 있는 목욕 장소인 아이야 호수와 그림 같은 체말 지역이 있다. 더 모험적인 여행객들은 때때로 더 외딴 텔레츠코예 호수나 남쪽의 벨루하 산을 방문하기도 한다.[2]
7. 교통
알타이 공화국은 러시아의 연방 주체 중 철도가 연결되지 않은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이다. 주요 포장 도로는 수도 고르노알타이스크에서 북쪽으로 시작하여 남쪽의 몽골-러시아 국경까지 공화국을 가로지르는 추이스키 트랙트이다. 공화국의 주요 포장 도로는 험준한 알타이 산맥을 통과한다. 택시와 버스 시스템이 정착촌 간의 사람들을 수송하며, 정착촌 내에서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걷거나 말을 탄다.
헬리콥터는 응급 수송, 외딴 정부 초소에 물품 공급, 부유한 관광객 수송 등에 이용된다. 2012년에는 공화국 수도 인근 고르노알타이스크 공항의 활주로 용량이 두 배로 늘어났다. 같은 해 6월에 S7 항공은 모스크바에서 직항편 운항을 시작했다.[20] 이전에 승객들은 알타이 지방의 바르나울 또는 노보시비르스크를 경유하여 항공편을 이용했다.[20]
8. 교육
알타이 공화국에는 고르노알타이스크 국립 대학교를 포함해 12개의 대학교와 205개의 중등학교가 있다.
9. 문화
알타이 문화는 알타이 지역을 신성하게 여긴다. 토착 튀르크어는 이 지역의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 알타이 구전 역사는 후미 창법을 사용하는 가수에 의해 전해진다. 알타이 문화는 소비에트 시대에 억압받았으나, 이후 부활하고 있다. 10개 지역의 모든 씨족은 격년으로 열리는 문화 축제를 위해 옐로 마을에 모인다.
또한 러시아 정교회와의 분열로 300년 전에 알타이로 도망친 많은 수의 "구교도"가 있다.
유네스코 세계 유산인 "알타이의 황금 산맥"은 많은 입석과 쿠르간이 있는 우코크 고원을 보호한다. 고고학자들은 쿠르간을 매장지로 여기지만, 토착민들은 그것이 지구로 우주의 에너지를 흐르게 하는 고도로 정제된 자기 도구라고 믿는다. 따라서 영구 동토층에서 보존된 2,500년 된 특별한 미라, 시베리아 얼음 공주의 발굴과 이송에 대해 지역 주민들은 큰 분노를 표하고 있다.
고르노알타이스크에는 "알타이 공주" 미라를 소장하고 있는 알타이 공화국 국립 박물관, 알타이 공화국 국립 도서관, 알타이 공화국 국립 극장 및 시립 문화 회관이 있다.
정기적으로 열리는 명절인 마슬레니차, 노루즈, 차가 - 바이라무는 2013년 2월 공화국 행사로 공식적인 지위를 받았다.
2013년, 알타이 공화국은 튀르크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했다. 알타이 공화국의 출품작은 아르투르 마를루조코프가 부른 "알타이임 메닌"이었다. 알타이 공화국은 콘테스트에서 5위를 차지했다.
10. 종교
2012년 조사에 따르면, 알타이 공화국 인구의 27.6%가 러시아 정교회를 믿는다.[21] 민족 종교와 자연 종교는 두 번째로 인기 있는 종교로, 로드노베리(슬라브 토착 신앙), 텡그리교(중앙 아시아 토착 신앙) 및 부르칸교가 인구의 총 13%를 차지한다. 인구의 6%는 이슬람교를 따르고, 2%는 힌두교(슬라브-베다, 크리슈나교, 탄트라교 운동 포함), 1%는 구교도, 1%는 개신교이다. 인구의 25%는 "종교적이지는 않지만 영적인" 상태이며, 14%는 무신론자이고 7.4%는 기타 종교를 따르거나 질문에 응답하지 않았다.[21]
종교 | 비율 |
---|---|
러시아 정교회 | 27.6% |
구교도 | 1.2% |
개신교 | 1% |
기타 기독교 | 3% |
이슬람교 | 6.2% |
힌두교 | 2% |
텡그리교 및 기타 토착 신앙 | 13% |
종교적이지는 않지만 영적인 | 24.6% |
무신론 및 불가지론 | 14.4% |
기타 및 미응답 | 7.4% |
알타이 원주민의 전통적인 종교는 현대 텡그리교 운동과 부르칸교에 의해 부활된 텡그리교 샤머니즘이다. 러시아인은 주로 러시아 정교회와 로드노베리(슬라브 토착 신앙)를 따르는 반면, 카자흐족은 전통적으로 이슬람교를 믿는다. 티베트 불교 또한 최근 몽골과 투바를 통해 어느 정도 진출하기 시작했다.
불교가 언제 알타이에 전래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역사적으로 다양한 시기에 알타이 영토와 그 주민들은 불교가 공식 또는 공식 종교 중 하나였던 인접 국가, 즉 키탄 (10-12세기), 몽골 제국 (13-14세기), 준가르 칸국 (17-18세기)에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복속되었다.[23]
1904년부터 1930년대까지, 부르칸교(또는 "아크 장", "백색 신앙")라는 새로운 종교 운동이 알타이 원주민들 사이에서 대중화되었다. 이 종교는 알타이에서 시작되었으며 샤머니즘의 "백색" 측면을 강조했다. 부르칸교는 알타이 민족 의식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남아 있으며, 현재 전반적인 알타이 토착 문화와 함께 여러 형태로 부활하고 있다.
러시아 이교도 추종자들은 종종 벨루하 산을 순례하는데, 일부 이교도와 알타이 지역 주민 모두에게 샹발라의 위치로 여겨진다. 이 지역에서 샤머니즘적 영성의 발현을 자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툰 강을 따라, 샤머니즘 종교를 믿는 현지 신자들은 근처 나무에 흰 리본을 묶고 영혼에게 동전이나 음식을 바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샤머니즘은 오늘날 훨씬 덜 널리 행해지고 있지만,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 새로운 종교의 자유로 인해 다시 인기를 얻고 있다.
11. 정치
알타이 공화국의 행정 수반은 4년 임기로 주민들이 선출하는 공화국 수반이다. 2024년 현재 공화국 수반은 안드레이 투르차크이며, 올레크 호로호르딘의 뒤를 이었다. 공화국의 최고 입법 기관은 4년마다 주민들이 선출하는 41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된 국가 의회—엘 쿠룰타이이다. 이고르 야이모프는 2002년 1월부터 현재까지 국가 의회-엘 쿠룰타이의 의장이다.
공화국의 헌법은 1997년 6월 7일에 채택되었다.
12. 스포츠
알타이 공화국에서는 밴디가 행해진다.[25][26]
13. 저명한 알타이 공화국 출신
- Александр Бердниковru (알렉산드르 베르드니코프, 1953년 4월 8일 출생): 2006년 1월 20일부터 알타이 공화국 정부 의장이자 공화국 수장을 맡고 있다.
- Григо́рий Ива́нович Чоро́с-Гуркинru (그리고리 구르킨, 1870년 1월 24일 ~ 1937년 10월 11일): 풍경 화가이다.
- Михаил Лапшинru (미하일 라프신, 1934년 9월 1일 ~ 2006년 6월 17일): 2002년 1월 19일부터 2006년 1월 19일까지 알타이 공화국 대통령을 역임했다.
- Сергей Очурдяповru (세르게이 오추르댭포프, 1974년 2월 24일 출생): 알타이 공화국 문화 공로자이다. 2017년 9월 13일부터 알타이 공화국 문화 유산 보호 국가 검사국 국장을 맡고 있으며, 악-케벡의 집 대표이다.
- Серге́й Михайлович Микаелянru (세르게이 미카엘리안, 1992년 4월 27일 출생):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이다.
- Швайко, Виктор Владимировичru (빅토르 슈바이코, 1965년 출생): 화가이다.
- Семён Зубакинru (세묜 주바킨, 1952년 5월 4일 출생): 1998년 1월 13일부터 2002년 1월 19일까지 러시아 알타이 공화국 수장을 역임했다.
- Байрышев, Болот Васильевичru (볼로트 바이르셰프)
- 알렉산드르 베르드니코프: 대통령
참조
[1]
문서
Constitution, Article 8
[2]
웹사이트
"Об исчислении времени". Официальный интернет-портал прав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http://pravo.gov.ru/[...]
2019-01-19
[3]
문서
Law #92
[4]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the Altai Republic
http://eng.altai-rep[...]
2011-05-14
[5]
문서
Official throughout the Russian Federation according to Article 68.1 of the [[Constitution of Russia]]
[6]
문서
Constitution, Article 13.
[7]
웹사이트
Территория, число районов, населённых пунктов и сельских администраций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Territory, Number of Districts, Inhabited Localities, and Rural Administration by Federal Subjects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perepis2002.r[...]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11-11-01
[8]
웹사이트
news-city.info
https://altaj.news-c[...]
2022-12-31
[9]
웹사이트
Статья 4. Правовое положение языков | ГАРАНТ
http://base.garant.r[...]
[10]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Routledge
[11]
문서
Самаев Г. П. «ГОРНЫЙ АЛТАЙ В XVII — СЕРЕДИНЕ XIX В.: ПРОБЛЕМЫ ПОЛИТИЧЕСКОЙ ИСТОРИИ И ПРИСОЕДИНЕНИЯ К РОССИИ». Page 171.
https://search.rsl.r[...]
[12]
논문
Power of Myth: Popular ethnonationalism and Nationality Building in Mountain Altai, 1904–1922
http://src-home.slav[...]
2005
[13]
웹사이트
Wild Sightings in the Altai
http://www.altaiassi[...]
2016-08-10
[14]
웹사이트
Altai Republic, Russia
http://www.engg.ksu.[...]
2006-12-28
[15]
간행물
OKATOReference
[16]
웹사이트
БГД
http://www.gks.ru/bg[...]
2018-02-19
[17]
웹사이트
Каталог публикаций::Федеральная служба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статистики
http://www.gks.ru/wp[...]
2018-12-24
[18]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12-30
[19]
웹사이트
Перепись-2010: русских становится больше
http://www.perepis-2[...]
2018-12-25
[20]
웹사이트
Altai Republic slowly opening up to outside world
http://www.telegraph[...]
2013-03-27
[21]
웹사이트
Main page project "Arena" : Non-profit research based consulting "Sreda"
https://sreda.org/en[...]
2022-12-31
[22]
웹사이트
2012 Arena Atlas Religion Maps
http://c2.kommersant[...]
[23]
논문
Lamaism in the Altai
2001-04-01
[24]
웹사이트
Home - Sustainability – Syracuse University
https://sustainabili[...]
[25]
웹사이트
"РОО Республики Алтай ""Федерация хоккея с мячом"" | VK"
http://vk.com/club36[...]
[26]
웹사이트
Федерация хоккея с мячом России
https://www-rusbandy[...]
[27]
문서
アルタイ共和国憲法
https://docs.cntd.ru[...]
2022-02-19
[28]
웹인용
news-city.info
https://altaj.news-c[...]
2022-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