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신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런던 신학교는 1930년대에 기독교 교사 양성을 목표로 설립 논의가 시작되어, 1943년 에클스턴 홀에서 첫 강의가 열리며 공식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1970년 노스우드로 이전했으며, 1990년대 대학원 센터를 개설했다. 2004년 현재의 런던 신학 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주요 교수진으로는 도널드 구스리, 존 스토트 등이 있으며, 앨리스터 베그, 쉴라 왈시 등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다. 역대 지도자로는 에른스트 케번, 데릭 티드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신학교 - 킹스 칼리지 런던
킹스 칼리지 런던은 1829년 조지 4세에 의해 설립되어 성별, 종교, 인종, 정치적 성향에 차별 없이 교육을 지향한 런던 소재의 공립 연구 중심 대학으로, 런던 대학교의 구성 단과대학에서 출발하여 러셀 그룹 소속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으며 DNA 이중나선 구조 발견에 기여했다. - 영국의 복음주의 - 1910년 세계선교대회
1910년 에든버러 세계 선교 대회는 개신교 선교 100주년을 기념하고 세계 복음화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개최되었으며, 윤치호가 한국 대표로 참석하여 연설했고, 국제선교협의회와 세계 교회 협의회 설립에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복음주의 - 케직 사경회
케직 사경회는 1875년 영국 케직에서 시작되어 성결과 성령의 은사를 강조하며 기독교 신앙을 심화하는 부흥 운동으로, 전 세계로 확산되어 현재까지도 연례 집회와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기독교적 가치관을 증진시키고 있다.
런던 신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런던 신학 대학 |
이전 이름 | 런던 성경 대학 |
종류 | 신학 대학 |
설립일 | 1943년 |
학술 제휴 | 미들섹스 대학교 |
교장 | 마크 J. 카틀리지 |
도시 | 런던, 잉글랜드 |
국가 | 영국 |
웹사이트 | lst.ac.uk |
2. 역사
1930년대에 크루세이더 연합의 비서인 A. J. 베레커, 존 레인 경 등은 런던에 기독교 교사를 위한 고품질 학문 훈련을 제공하는 성경 칼리지를 설립하기 위한 회의를 열었다. 1939년 5월에 열린 첫 회의에 이어 더 많은 대표가 참석한 대규모 회의가 열려 칼리지의 비전과 계획을 세웠다.
같은 해, 설교자 D. 마틴 로이드 존스 박사 등이 참여한 회의에서 칼리지의 기본 사항에 대한 개요를 포함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저녁 학생을 포함하고, 40명(80명으로 확장)을 수용하는 기숙 시설을 갖추며, 런던 대학교에서 해당 과정을 인정받는 것을 목표로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계획이 일시 중단되었으나, 1942년 초 소집자들은 더 광범위한 복음주의 지도자 그룹과 함께 재개했다. 10월에는 칼리지의 교리적 기반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고, 11월에는 "성경 칼리지 협의회"가 설립되었다.
1943년 3월, 그레이엄 스크로기에게 전쟁 기간 동안 칼리지의 원장을 맡아 가르치는 문제를 관장하도록 초청했다. 레인은 "관대한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으며, 올 네이션스 크리스천 칼리지 협의회는 200파운드를 기증했다. 그 해 가을, 첫 번째 강의와 수업이 에클스턴 홀에서 열렸으며, 이는 "칼리지의 공공 활동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첫 번째 교직원은 어니스트 케반, L.F.E. 윌킨슨 (나중에 오크 힐 칼리지의 교장)과 프랭크 콜훈으로 구성되었다.
1944년까지 300명이 넘는 학생들이 등록했으며, 2년 후에는 그 수가 1,400명으로 증가했다.
1970년, 칼리지는 이전에 런던 신학 칼리지 (또는 런던 신학 학교)로 사용되었던 성공회 기관인 노스우드로 이전했다. 1990년대에는 이슬람 연구 센터가 있던 거스리 센터라는 새로운 대학원 센터가 문을 열었다. 2004년, 칼리지의 이름이 런던 신학 학교로 변경되었다.[1]
2. 1. 설립 배경 (1930년대-1940년대 초)
1930년대에 크루세이더 연합의 비서인 A. J. 베레커, 존 레인 경 등은 런던에 기독교 교사를 위한 성경 칼리지를 설립하기 위한 회의를 열었다. 1939년 5월에 열린 첫 회의에 이어 더 많은 대표가 참석한 대규모 회의가 열려 칼리지의 비전과 계획을 세웠다.이후 그 해에 D. 마틴 로이드 존스 박사 등이 참여한 회의에서 칼리지의 기본 사항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저녁 학생을 포함하고, 40명(80명으로 확장)을 수용하는 기숙 시설을 갖추며, 런던 대학교에서 해당 과정을 인정받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39년 발발한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계획이 일시 중단되었다가, 1942년 초에 더 광범위한 복음주의 지도자 그룹과 함께 재개되었다. 10월에는 칼리지의 교리적 기반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고, 11월에는 "성경 칼리지 협의회"가 설립되었다.
"성직자와 평신도, 베테랑과 젊은 피 등 앵글리칸과 자유 교회 신도들이 잘 어우러졌습니다. W. H. 올디스 목사, A. 스튜어트 맥네어른 목사, D. M. 밀러, F. 미첼 등이 외국 선교를 대표했습니다. 청소년 및 국내 선교는 전국 젊은 생명 캠페인의 F. P. 우드와 몬태규 굿맨, F. D. 베이컨과 같은 사람들이 대변했습니다. 여성들은 나중에 포함되었는데, 특히 하워드 후커 부인, 아이린 크로커 양, 에이미 밀러 양이 두드러졌습니다."
1943년 3월, 그레이엄 스크로기에게 전쟁 기간 동안 칼리지의 원장을 맡아 가르치는 문제를 관장하도록 초청했다. 레인은 "관대한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으며, 올 네이션스 크리스천 칼리지 협의회는 200파운드를 기증했다. 그 해 가을, 첫 번째 강의와 수업이 에클스턴 홀에서 열렸으며, 이는 "칼리지의 공공 활동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첫 번째 교직원은 어니스트 케반, L.F.E. 윌킨슨 (나중에 오크 힐 칼리지의 교장)과 프랭크 콜훈으로 구성되었다.
1944년까지 300명이 넘는 학생들이 등록했으며, 2년 후에는 그 수가 1,400명으로 증가했다.
2. 2. 초기 발전과 성장 (1940년대-1970년)
1930년대에 크루세이더 연합의 비서인 A. J. 베레커, 존 레인 경 등은 런던에 기독교 교사를 위한 고품질 학문 훈련을 제공하는 성경 칼리지를 설립하기 위한 회의를 열었다. 1939년 5월에 열린 첫 회의에 이어 더 많은 대표가 참석한 대규모 회의가 열려 칼리지의 비전과 계획을 세웠다.같은 해, 설교자 D. 마틴 로이드 존스 박사 등이 참여한 회의에서 칼리지의 기본 사항에 대한 개요를 포함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저녁 학생을 포함하고, 40명(80명으로 확장)을 수용하는 기숙 시설을 갖추며, 런던 대학교에서 해당 과정을 인정받는 것을 목표로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계획이 일시 중단되었으나, 1942년 초 소집자들은 더 광범위한 복음주의 지도자 그룹과 함께 재개했다. 10월에는 칼리지의 교리적 기반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고, 11월에는 "성경 칼리지 협의회"가 설립되었다.
1943년 3월, 그레이엄 스크로기에게 전쟁 기간 동안 칼리지의 원장을 맡아 가르치는 문제를 관장하도록 초청했다. 레인은 "관대한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으며, 올 네이션스 크리스천 칼리지 협의회는 200파운드를 기증했다. 그 해 가을, 첫 번째 강의와 수업이 에클스턴 홀에서 열렸으며, 이는 "칼리지의 공공 활동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첫 번째 교직원은 어니스트 케반, L.F.E. 윌킨슨 (나중에 오크 힐 칼리지의 교장)과 프랭크 콜훈으로 구성되었다.
1944년까지 300명이 넘는 학생들이 등록했으며, 2년 후에는 그 수가 1,400명으로 증가했다.
1970년, 칼리지는 이전에 런던 신학 칼리지 (또는 런던 신학 학교)로 사용되었던 성공회 기관인 노스우드로 이전했다.
2. 3. 최근 발전 (1990년대-현재)
1990년대에는 이슬람 연구 센터가 있던 거스리 센터라는 새로운 대학원 센터가 문을 열었다.[1] 2004년, 칼리지의 이름이 런던 신학 학교로 변경되었다.[1]3. 교수진 및 동문
'''주요 교수진'''
런던 신학교의 교수진으로는 신약학 학자인 도널드 구스리, R. T. 프랑스, 랄프 P. 마틴, 맥스 터너 등이 있으며, 실천 신학자이자 종교 사회학자인 데릭 티드볼도 포함된다. 런던 신학교는 성공회 신학자 존 스토트와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는데, 그는 학교의 중요한 지지자이자 전 학교 위원이었다.
'''저명한 동문'''
- 제레미 발푸어
- 앨리스터 베그
- 클라이브 칼버
- 루스 에드워즈
- 댄 포쇼
- 그레이엄 켄드릭 명예 박사
- 쉴라 왈시
3. 1. 주요 교수진
런던 신학교의 교수진으로는 신약학 학자인 도널드 구스리, R. T. 프랑스, 랄프 P. 마틴, 맥스 터너 등이 있으며, 실천 신학자이자 종교 사회학자인 데릭 티드볼도 포함된다. 런던 신학교는 성공회 신학자 존 스토트와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는데, 그는 학교의 중요한 지지자이자 전 학교 위원이었다.3. 2. 저명한 동문
- 제레미 발푸어
- 앨리스터 베그
- 클라이브 칼버
- 루스 에드워즈
- 댄 포쇼
- 그레이엄 켄드릭 명예 박사
- 쉴라 왈시
4. 역대 지도자
- 1946년-1965년 - 에른스트 케번/Ernest Kevan영어[3]
- 1966년-1980년 - 길버트 커비/Gilbert Kirby영어[3]
- 1980년-1989년 - 마이클 그리피스/Micheal Griffiths영어[3]
- 1989년-1995년 - 피터 코터렐/Peter Cotterell영어[3]
- 1994년-2007년 - 데릭 티드볼[3]
- 2007년-2008년 - 안나 로빈스 (대행)[3]
- 2008년-2010년 - 싸이먼 스티어/Simon Steer영어[3]
- 2010년-2012년 - 크리스 잭 (대행)[3]
- 2012년-2016년 - 교장 부재, 수석 리더십 팀 모델 사용[3]
- 2014년 - 2016년 6월: 크리쉬 칸디아
- 2017년-2019년 - 캘빈 사무엘[3]
- 2019년-2019년 - 그레이엄 트웰프트리 (대행)[3]
- 2019년-현재 - 마크 J. 카트리지/Mark J. Cartledge영어[3]
4. 1. 학장(Principals)
- 1946년-1965년 - 에른스트 케번/Ernest Kevan영어[3]
- 1966년-1980년 - 길버트 커비/Gilbert Kirby영어[3]
- 1980년-1989년 - 마이클 그리피스/Micheal Griffiths영어[3]
- 1990년-1994년 - 피터 고터렐/Peter Cotterell영어[3]
- 1994년-2007년 - 데릭 티드볼[3]
- 2007년-2010년 - 싸이먼 스티어/Simon Steer영어[3]
- 1989–1995 – 피터 코터렐[3]
- 2007–2008 – 안나 로빈스 (대행)[3]
- 2010–2012 – 크리스 잭 (대행)[3]
- 2012–2016 – 교장 부재, 수석 리더십 팀 모델 사용[3]
- 2017–2019 – 캘빈 사무엘[3]
- 2019–2019 – 그레이엄 트웰프트리 (대행)[3]
- 2019–현재 – 마크 J. 카트리지/Mark J. Cartledge영어[3]
4. 2. 총장(Presidents)
- 크리쉬 칸디아는 2014년부터 2016년 6월까지 런던 신학교의 총장을 역임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Blog Interview – Dr Graham McFarlane – London School of Theology
https://biblicalstud[...]
2014-07-28
[2]
웹사이트
Ralph P. Martin 1925–2013
http://www.sbl-site.[...]
[3]
웹사이트
New Principal for London School of Theology
https://www.premier.[...]
2019-09-14
[4]
서적
《기독교인물사상사전》-복음주의 신학, 오늘에 이르기까지
홍성사
[5]
웹사이트
런던신학교의 학교소개
http://www.lst.ac.u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