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 숙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 숙종은 1488년 레 헌종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1499년 왕세자에 책봉되었고, 1504년 레 헌종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되었다. 그는 '타이찐'으로 개원하고 죄수를 석방하며, 토목 공사를 줄이는 등 어진 정치를 펼쳤으며, 신하와 백성들에게 부담을 덜어주었다. 그러나 재위 6개월 만에 병으로 사망하였고, 그의 뒤를 이어 레 위목이 즉위하였으나, 레 왕조는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숙종은 다음 해에 '타이찐' 연호를 사용할 예정이었으나, 사망으로 인해 사용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88년 출생 - 익양군 (1488년)
익양군 이회는 조선 성종의 서9남으로 연산군 시대에 우매한 척 화를 피했으며 중종반정에 협력하여 정국원종공신에 책록되고 사후 순평의 시호가 추서, 묘소는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1488년 출생 - 미코니우스
오스발트 미코니우스는 스위스의 종교 개혁가로, 츠빙글리와 함께 종교 개혁에 참여하여 취리히에서 활동했으며, 이후 바젤에서 설교자, 신약성경 주석 교수로서 바젤 신앙고백 저술에 기여하고 개신교 간의 연합을 추구했다. - 1505년 사망 - 에르콜레 1세 데스테
에르콜레 1세 데스테는 1471년 페라라 공작이 되어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전쟁, 이탈리아 전쟁 등에 연루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 예술을 후원하고 도시 개발에 힘쓴 인물이다. - 1505년 사망 - 프랑스의 잔
프랑스의 잔은 프랑스의 공주이자 성녀로, 정치적 목적으로 루이 12세와 결혼했으나 이혼 후 수녀회를 설립했으며 사후 시성되었다.
레 숙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려숙종 |
본명 | 여순 (黎㵮) |
묘호 | 숙종 (肅宗) |
시호 | 소의현인온공연묵돈효윤공흠황제(昭義顯仁溫恭淵默惇孝允恭欽皇帝) |
존호 | 사황 (嗣皇) |
왕조 | |
가문 | 여 왕조 |
즉위 정보 | |
전임자 | 려 헌종 |
후임자 | 려 위목제 |
즉위일 | 1504년 7월 17일 |
생애 | |
출생일 | 1488년 9월 6일 |
사망일 | 1505년 1월 12일 (만 16세) |
부친 | 려 헌종 |
모친 | 응우옌 호안 (Nguyễn Hoàn) |
통치 | |
칭호 | 대월 황제 |
재위 기간 | 1504년 7월 17일 – 1505년 1월 12일 |
연호 | 태정 (泰貞) |
연호 기간 | 1504년-1505년 |
기타 | |
능묘 | 경릉 (敬陵) |
2. 생애
레 숙종은 즉위 후 연호를 타이찐으로 정하고 어진 정치를 펼쳤다. 죄수를 석방하고 궁녀를 내보냈으며, 불필요한 토목 공사를 중단하고 백성들의 부담을 덜어주었다.[10] 훈구(勳舊)를 임용하고 정사를 친히 살피며, 외척을 경계하고 친족 제후들과의 관계를 돈독히 하였다.[10] 이러한 숙종의 정치는 중국의 성강지치(成康之治), 문경지치(文景之治)에 비견될 정도였다고 평가받는다.[10]
까오방(Cao Bằng)에서 도안 테 능(Đoàn Thế Nùng)이 이끄는 반란이 일어나자, 레 숙종은 군대를 파병하여 도안 테 능과 반란군 500명을 사살하였다.[5]
은 1504년 12월, 아버지의 장례 절차를 마치자마자 병에 걸려 재위 6개월 만에 사망하였다.[6] 그는 병을 이겨낼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그의 두 번째 형인 레 위목을 후계자로 지명했다.[6]
2. 1. 즉위 전
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에 따르면, 레 왕조 중흥기(中興期)에 최종 형태를 갖춘 대월의 공식 역사서에 기록된 레 숙종(Lê Túc Tông)의 본명은 레 투언(Lê Thuần, 黎㵮)이다. 그는 1488년 9월 6일 수도 동경(東京)에서 태어났으며, 레 성종(Lê Thánh Tông)의 장남인 왕세자 레 트란(Lê Tranh)의 셋째 아들이었다. 투언의 어머니는 응우옌 호안(Nguyễn Hoàn)으로, 흥옌( Hưng Yên) 출신의 레 트란의 후궁이었다.[2][3]1497년, 레 투언이 여덟 살이었을 때 그의 조부 레 성종이 죽고 아버지 레 트란이 즉위하였다. 새 황제는 역사서에 레 헌종(黎憲宗)으로 알려져 있다. 1499년 초, 레 빈(Lê Vĩnh)과 레 낭 능(Lê Năng Nhượng)을 포함한 여러 고위 관리들은 왕조와 국가의 안보와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헌종에게 후계자를 선택할 것을 설득했다. 헌종은 이에 동의했고, 두 명의 형인 레 투언(Lê Tuân)과 레 투안(Lê Tuấn)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레 투언이 지성과 성리학(Neo-Confucianism)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였기에 두 형보다 훨씬 뛰어나다고 여겨 그를 왕세자로 책봉하였다.[4]
2. 2. 즉위 후
레 숙종은 즉위 후 연호를 타이찐(泰貞)으로 정하고 어진 정치를 펼쳤다. 죄수를 석방하고 궁녀를 내보냈으며, 불필요한 토목 공사를 중단하고 백성들의 부담을 덜어주었다.[10] 훈구(勳舊)를 임용하고 정사를 친히 살피며, 외척을 경계하고 친족 제후들과의 관계를 돈독히 하였다.[10] 이러한 숙종의 정치는 중국의 성강지치(成康之治), 문경지치(文景之治)에 비견될 정도였다고 평가받는다.[10]그러나 까오방(Cao Bằng)에서 도안 테 능(Đoàn Thế Nùng)이 이끄는 반란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레 숙종은 군대를 파병하여 도안 테 능과 반란군 500명을 사살하였다.[5]
2. 3. 죽음
은 재위 6개월 만인 1504년 12월, 아버지의 장례 절차를 마치자마자 병에 걸려 사망하였다.[6] 그는 병을 이겨낼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그의 두 번째 형인 레 투안(레 위목)을 후계자로 지명했다.[6] 레 투안은 레 왕조의 8대 황제로 즉위하였으며, 사망한 황제의 시호(temple name)를 숙종(Túc Tông)으로 정했다.[6] 레 숙종의 죽음은 레 왕조 쇠퇴의 시작으로 볼 수 있는데, 레 투안은 곧 많은 황족을 죽이고 부패한 관리들을 등용하는 잔혹하고 사치스러운 군주임이 드러났기 때문이다.[6]숙종은 즉위했을 때, 다음 해(1505년)에 아버지의 연호인 경통(Cảnh Thống, 景統)을 태정(Thái Trinh, 泰貞)으로 변경할 것이라고 선포했으나, 1504년이 끝나기 전에 사망하여 그의 짧은 통치 기간 동안에는 여전히 경통 연호가 사용되었고 태정 연호는 사용되지 않았다.[7] 그의 뒤를 이은 레 투안은 연호를 단경(Đoan Khánh)으로 변경했다.[7]
3. 연호
숙종은 즉위하면서 다음 해(1505년)에 사용할 연호로 태정(Thái Trinh, 泰貞)을 선포하였으나, 1504년이 끝나기 전에 사망하여 실제로 사용하지는 못했다.[7] 그의 짧은 통치 기간 동안에는 아버지 레 헌종의 연호인 경통(Cảnh Thống, 景統)을 계속 사용하였다.[7] 그의 뒤를 이은 레 투안은 연호를 단경(Đoan Khánh)으로 변경했다.[7]
4. 기년
참조
[1]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Ho Chi Minh City General Publishing House
[2]
Harvnb
[3]
Harvnb
[4]
Harvnb
[5]
Harvnb
[6]
Harvnb
[7]
Harvnb
[8]
문서
이름을 '氵辜'로 적은 기록도 있다.
[9]
서적
명사·안남전(安南傳)
[10]
서적
대월사기전서·본기권지십사(本紀卷之十四)·숙종흠황제장(肅宗欽皇帝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