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강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 강왕은 주 성왕의 아들로, 서주 시대의 군주이다. 소공 석과 필공고의 보좌를 받아 즉위하였으며, 《강왕지고》를 통해 문왕과 무왕의 업적을 선양하고, 검소함을 강조하며 통치했다. 동이와 귀방을 정벌하여 국력을 강화했으나, 초나라 웅역을 홀대하여 훗날 주나라 쇠퇴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했다. 그의 치세는 '성강의 치'로 불리며 안정된 시기로 평가받지만, 외교적 실책으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주 강왕은 57세에 사망하였으며, 아들인 주 소왕이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0세기 중국의 군주 - 주 소왕
주 소왕은 서주 시대의 군주로, 중원을 정복하고 번성하는 왕국을 물려받았으나, 초와의 전쟁에서 실패하고 익사하며 주 왕조의 명성에 타격을 입었지만 남방 원정을 통해 서주 시대의 남쪽 경계를 확립하고 조상 숭배의 핵심 인물이 되었다. - 기원전 10세기 중국의 군주 - 웅단
- 기원전 11세기 중국의 군주 - 주 무왕
주 무왕은 서주를 건국하고 상나라를 멸망시켜 천자가 된 왕으로, 강태공, 주공단 등 인재를 등용하고 은나라 유민을 포용하는 정책을 펼쳐 주나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사후 성왕으로 추앙받고 도교에서는 영보천존의 화신으로 여겨진다. - 기원전 11세기 중국의 군주 - 주 성왕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주공 단의 섭정을 받은 주 성왕은 삼감의 난을 진압하고 낙양을 건설하는 등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며, 오랑캐 부족을 정벌하여 국경을 안정시키고 아들 강왕과 함께 태평성대를 이루었다. - 기원전 10세기 중국 사람 - 주 소왕
주 소왕은 서주 시대의 군주로, 중원을 정복하고 번성하는 왕국을 물려받았으나, 초와의 전쟁에서 실패하고 익사하며 주 왕조의 명성에 타격을 입었지만 남방 원정을 통해 서주 시대의 남쪽 경계를 확립하고 조상 숭배의 핵심 인물이 되었다. - 기원전 10세기 중국 사람 - 제 계공
제 계공은 중국 춘추 시대 제나라의 군주로, 애공, 호공, 현공 세 아들을 두어 이들 모두 제나라 군주를 역임했으며, 그의 가계는 강태공, 제 정공, 제 환공, 제 의공 등 주요 군주들과 주나라 희씨 부인, 주 무왕까지 연결된다.
| 주 강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칭호 | 왕 |
![]() | |
| 휘 | 희 釗 (Jī Zhāo) |
| 통치 | |
| 왕조 | 주나라 (서주) |
| 재위 기간 | 기원전 1020/05년 – 기원전 996/78년 |
| 계승 순서 | 주나라 왕 |
| 선대 군주 | 주 성왕 |
| 후대 군주 | 주 소왕 |
| 도읍 | 호경 |
| 개인 정보 | |
| 성 | 희 (姬) |
| 이름 | 釗 (Zhāo) |
| 아버지 | 주 성왕 |
| 어머니 | 왕사 |
| 배우자 | 왕강 |
| 자녀 | 주 소왕 |
| 사망 | 기원전 996/78년 |
| 시호 | 강왕 (康王) |
| 기타 | |
| 연호 | 불명 |
2. 생애
주 강왕은 주 성왕의 아들로, 이름은 쇠이다. 성왕은 쇠가 국사를 감당하지 못할 것을 염려하여 소공 석과 필공고에게 보좌를 부탁했다.[1] 성왕 사후, 소공 석과 필공고는 제후들을 이끌고 태자 쇠를 옹립하여 강왕으로 즉위시켰다.[1]
강왕은 즉위 후, 《강왕지고》를 발표하여 문왕과 무왕의 업적을 널리 알렸다. 필공고에게 명하여 신하들의 기강을 바로잡는 글을 쓰게 하고, 수도 호경(지금의 산시성 시안시 창안구 두문가도 이북)의 경계를 정비하여 백성들의 생활 안정을 도모했다.
강왕은 한극궁(지금의 산시성 후센 동쪽)에서 '한극궁의 조(酆宫之朝)'라는 제후대회를 개최하는 등 제후들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그는 재위 기간 동안 검소함을 몸소 실천했다.
강왕 12년 6월, 호경에서 풍경(지금의 산시성 시안시 서남, 풍하 서쪽)까지 직접 걸어가 선조에게 제사를 지냈고, 이때 필공고가 군대를 이끌고 그를 호위했다. 강왕은 제사 때 상나라 유민을 잘 교화하라는 내용의 필명(毕命)을 지어 필공고에게 내렸다. 강왕은 명산대천을 유람하고 성을 쌓는 것을 즐겼다.
강왕은 상 · 주 시기 황하 유역 하류 주민을 칭하던 동이를 평정하여 주나라의 위협을 없앴다. 또한, 귀방(鬼方)을 정벌하여 5039명을 사살하고, 수령 4명과 1만 3천여 명의 포로를 잡고, 전차와 말, 소와 양을 대거 노획했다.[1]
여상의 아들 제 정공, 위 강숙의 아들 위강백, 당숙 수의 아들 진후 섭, 주공 단의 아들 노공 백금에게는 보물을 하사했지만, 함께 주 강왕을 모셨던 초군 웅역에게는 아무것도 주지 않았다.[1] 이는 훗날 초나라가 소왕 때 반란을 일으킨 원인이 되었다.[1]
강왕의 사망 이후, 그의 아들 주 소왕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2. 1. 왕위를 계승하다
소공 석과 필공고는 주 성왕이 아들 쇠( 주 강왕)가 국사를 감당하지 못할 것을 염려하여 보좌를 부탁한 신하들이다.[1] 성왕 사후, 소공 석과 필공고는 제후들을 이끌고 태자 쇠를 옹립하여 강왕으로 즉위시켰다.[1] 이들은 강왕에게 주 문왕과 주 무왕의 업적을 상기시키며 검소함과 탐욕을 경계하고 국정에 전념할 것을 강조했다.[1]2. 2. 통치 기간
강왕은 즉위 후, 《강왕지고》를 발표하여 문왕과 무왕의 업적을 널리 알렸다. 또한 필공고에게 명하여 신하들의 기강을 바로잡는 글을 쓰게 하고, 수도 호경(지금의 산시성 시안시 창안구 두문가도 이북)의 경계를 정비하여 백성들의 생활 안정을 도모했다.강왕은 한극궁(지금의 산시성 후센 동쪽)에서 '한극궁의 조(酆宫之朝)'라는 제후대회를 개최하는 등 제후들과의 관계 강화에도 힘썼다. 한궁지조는 제후조회와 하계시의 균태지향, 상탕시의 경박지명, 주 무왕 때의 맹진의서, 주 성왕 때의 기양지수, 주 목왕 때의 도산지회, 제 환공 때의 소릉회맹, 진 문공 때의 천토지맹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재위 기간 동안 검소함을 몸소 실천하여, 진후 섭이 화려한 궁궐을 짓자 사신을 보내 그의 낭비를 꾸짖기도 했다. 또한 당숙 우의 소자인 공명우자를 가국(지금의 산시성 샹펀현 시자향)에 봉했다.
강왕 12년 6월, 강왕은 호경에서 풍경(지금의 산시성 시안시 서남, 풍하 서쪽)까지 직접 걸어가 선조에게 제사를 지냈고, 이때 필공고가 군대를 이끌고 그를 호위했다. 강왕은 제사를 지내면서 상나라 유민을 잘 교화하라는 내용의 필명(毕命)을 지어 필공고에게 내렸다. 강왕은 명산대천을 유람하고 성을 쌓는 것을 즐겼는데, 여산에는 강왕골이 있고 산꼭대기에는 쇠성이라는 성이 있는데, 이는 강왕의 방문을 기념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누현 동남쪽 90리 해중에 있는 금산성(지금의 상하이시 진산구 경내)도 강왕이 건설 명령을 내린 것이다.
2. 2. 1. 동이 평정
상 · 주 시기 중원 주민들은 황하 유역 하류 주민을 동이라 불렀다. 주 성왕, 강왕 때 동이는 여러 차례 대규모 반란을 일으켰다. 주 강왕은 위강백에게 은팔사단을 이끌게 하고, 염공에게 사씨를 지휘하게 하는 등 여러 장수들을 파견하여 동이의 반란을 평정하였다. 이 전투로 동이는 세력이 크게 약화되어 더 이상 주나라에 위협이 되지 못했다. 이 밖에도 위강백은 북정하여 경양 (지금의 산시성 경양현) 부근까지 이르렀다.
2. 2. 2. 귀방 정벌
귀방(鬼方)은 상(商)·주(周) 시기 중국 서부에서 유목과 수렵을 주로 하던 부족이었다. 주 강왕은 재위 중 귀방의 침략을 막기 위해 재위 기간 25년 중, 두 차례에 걸쳐 대신 우(逌)가 이끄는 군대를 보내 귀방을 정벌하였다.[1] 주나라 군대는 5039명을 사살하고, 수령 4명과 1만 3천여 명의 포로를 잡고, 전차와 말, 소와 양을 대거 노획했다.[1] 이후 주 강왕은 태묘에서 포로를 바치는 의식을 거행하고 신하들에게 우궁화(宇宮火), 패주(覇舟) 등의 선물을 하사했다.[1]2. 2. 3. 초군 홀대
강왕은 여상의 아들 제 정공, 위 강숙의 아들 위강백, 당숙 수의 아들 진후 섭, 주공 단의 아들 노공 백금에게는 보물을 하사했지만, 함께 주 강왕을 모셨던 초군 웅역에게는 아무것도 주지 않았다.[1] 초 영왕은 530년 이 일을 언급하며 여전히 분개했다.[1] 강왕이 웅역을 홀대한 것은 훗날 초나라가 소왕 때 반란을 일으킨 원인이 되었다.[1]2. 3. 사망
강왕의 사망 이후, 그의 아들 주 소왕이 왕위를 계승하였다. 주 소왕의 통치 기간 동안 서주의 국력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3. 가족
왕비는 강(姜)씨 왕강(王姜|왕강중국어)이며, 태자의 어머니였다.[1] 아들은 태자 하(기원전 1027년 ~ 기원전 977년)로, 기원전 995년부터 기원전 977년까지 주 소왕으로 통치했다.[2]
3. 1. 왕비
- 강(姜)씨 왕강(王姜|왕강중국어), 태자의 어머니
3. 2. 아들
태자 하(기원전 1027년 ~ 기원전 977년, 기원전 995년 ~ 기원전 977년 주 소왕으로 통치)4. 가계
5. 평가
주 강왕의 치세는 아버지 주 성왕의 치세와 함께 '성강의 치'로 불리며, 백성들이 평화롭게 살고 나라가 안정된 시기로 평가받는다. "40여 년간 오류를 범하지 않았다"라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태평성대를 이루었다.[1] 그러나 초나라를 홀대한 일은 훗날 주나라의 쇠퇴를 불러온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기도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강왕이 내치와 외치에서 모두 훌륭한 업적을 남겼지만, 외교적인 면에서는 다소 미흡한 점이 있었다고 평가한다.
참조
[1]
서적
The Authentic Confucius
https://archive.org/[...]
Scribner
[2]
서적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3]
서적
Confucius & Confucianism: The Essentials
https://books.google[...]
[4]
서적
The Authentic Confucius
Scrubn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