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 라인 (워싱턴 메트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드 라인(Red Line)은 워싱턴 D.C. 메트로의 노선 중 하나이다. 1955년 대중교통 조사에서 시작된 메트로 계획의 일환으로, 1976년 패러것 노스역과 로드 아일랜드 애비뉴-브렌트우드역 구간 운행을 시작으로 갤러리 플레이스, 듀퐁 서클, 브룩랜드-CUA, 실버 스프링, 반 네스-UDC, 그로스버너-스트라스모어, 셰이디 그로브, 휘튼, 글렌몬트역으로 확장되었다. 2004년에는 노마-갤러뎃 대학교역이 추가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셰이디 그로브에서 시작하여 글렌몬트까지 운행하며, 메트로 센터역에서 오렌지/블루/실버 라인, 갤러리 플레이스에서 그린/옐로 라인으로 환승할 수 있다. 2004년과 2009년에는 열차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워싱턴 메트로의 철도 노선 - 그린 라인 (워싱턴 메트로)
그린 라인은 워싱턴 메트로의 노선으로, 메릴랜드주 브랜치 애비뉴 역에서 컬럼비아 특별구의 그린벨트 역을 연결하며, 여러 어려움과 논쟁 끝에 1991년 일부 개통 후 2001년 전체 노선이 완공되어 워싱턴 지역의 중요한 대중교통 수단이 되었다. - 197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삿포로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
삿포로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은 삿포로시 니시구 미야노사와역에서 아쓰베쓰구 신삿포로역을 잇는 삿포로 시 교통국의 지하철 노선으로, 1976년 일부 구간 개통 후 연장되었으며, 2009년 스크린도어 설치 및 원맨 운전이 개시되어 현재 8000형 전동차가 운행 중이다. - 197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소테쓰 이즈미노선
소테쓰 이즈미노선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후타마타가와역에서 후지사와시 쇼난다이역을 잇는 사가미 철도의 노선으로, 1976년 일부 개통 후 연장을 거쳐 1999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2023년 직결 운행으로 수도권 서부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레드 라인 (워싱턴 메트로)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파일:WMATA Red.svg|20px]] 레드 라인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노선 체계 | 워싱턴 메트로 |
운영 상태 | 운영 중 |
관할 구역 | 몽고메리 카운티, 메릴랜드 주 및 워싱턴 D.C. |
기점 | 셰이디 그로브 역 |
종점 | 글렌몬트 역 |
역 수 | 27개 역 |
개통일 | 1976년 3월 27일 |
운영자 | 워싱턴 메트로폴리탄 지역 교통 공사 |
노선 특징 | 지상, 지하, 고가 |
사용 차량 | 3000 시리즈, 6000 시리즈, 7000 시리즈 |
노선 길이 | 31.9마일 (51.3km) |
선로 수 | 복선 |
전기 방식 | 직류 750V 제3궤조 방식 |
![]() |
2. 역사
워싱턴 D.C. 메트로 건설 계획은 1955년 대중교통 조사에서 시작되었으며, 1959년 최종 보고서에는 워싱턴 시내에 두 개의 고속 수송 시스템 건설이 제안되었다. 1962년 수도권 교통국의 보고서에는 현재 레드 라인 노선의 대부분이 계획되었는데, 볼티모어 앤 오하이오 철도 선로를 따라 베세즈다역과 록빌역 사이를 운행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1966년 10월, 워싱턴 수도권 교통국(WMATA)이 설립되면서,[2][3] 시스템 계획은 연방 정부에서 특별구, 메릴랜드, 버지니아 대표가 참여하는 지역 기구로 이관되었다. 이로써 연방 의회의 노선 승인은 더 이상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1969년까지 WMATA는 록빌 너머 셰이디 그로브역까지의 연장을 제외하고 현재의 노선과 역을 결정했다.[5] 몽고메리 카운티 관계자들은 레드 라인이 록빌 시내에서 끝나는 것에 반대하며, 이는 해당 지역의 혼잡을 유발하고 귀중한 유휴 부지를 차고지로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6] 메트로는 레드 라인을 셰이디 그로브까지 역 하나를 더 연장하는 것을 제안하기로 결정했으며, 미국 교통부는 1975년 7월 26일 이 연장에 대한 자금 지원을 조건부로 승인했다.[6]
레드 라인 건설은 1969년 12월 9일 사법 광장역에서 기공식을 열면서 시작되었다.[7] 국립 공원 관리청이 록 크릭 (포토맥강 지류)을 가로지르는 다리를 금지하고 레드 라인이 그 계곡 아래로 터널을 통과하도록 요구했기 때문에 건설에 어려움을 겪었고, 이 터널로 인해 듀퐁 서클역과 우들리 파크역이 더 지하에 건설되었다. 레드 라인은 코네티컷 애비뉴에서 위스콘신 애비뉴까지 유마 스트리트 아래로 터널을 통과할 예정이었지만, 지역 주민들의 소송으로 인해 터널 건설이 2년 동안 지연되기도 했다.
레드 라인(그리고 메트로 전체) 서비스는 1976년 3월 27일 패러것 노스역과 로드 아일랜드 애비뉴-브렌트우드역 사이의 운행으로 시작되었다.[8][9] 갤러리 플레이스역 개장은 모든 사람의 접근성 부족에 대한 법원 명령으로 인해 지연되었지만, 1976년 12월 15일 노선 중간에 개통되었다.[9]
이후 레드 라인은 여러 차례 연장되었다. 서쪽으로는 1977년 1월 17일 듀퐁 서클역까지, 1981년 12월 5일 반 네스-UDC역까지, 1984년 8월 25일 그로스버너-스트라스모어역까지, 1984년 12월 15일 셰이디 그로브역까지 연장되었다.[9] 동쪽으로는 1978년 2월 3일 로드 아일랜드 애비뉴-브렌트우드역에서 브룩랜드-CUA역까지, 1978년 2월 6일 실버 스프링역 (메릴랜드)까지 연장되어 메릴랜드가 처음으로 시스템에 추가되었으며, 1990년 9월 22일 위튼역 (워싱턴 메트로)까지, 1998년 7월 25일 글렌몬트역까지 연장되어 노선이 완성되었다.[9]
레드 라인이 다른 노선과 트랙을 공유한 유일한 시기는 1997년 1월 27일부터 1999년 9월 17일까지로, 그린 라인 통근 숏컷이 브룩랜드–CUA역에서 패러것 노스역까지 레드 라인 트랙을 사용했다.[10]
노마-갤러뎃 대학교역(구 뉴욕 애비뉴-플로리다 애비뉴-갤러뎃 대학교)은 유니언역 (워싱턴 메트로)과 로드 아일랜드 애비뉴-브렌트우드역 사이에 있으며, 2004년 11월 20일에 개통되었다. 이 역은 워싱턴 메트로 시스템에서 최초로 기존 역 사이에 새로 건설된 인필역이다.[11]
2010년 11월, WMATA는 레드 라인에 3700만달러의 설비 개선을 승인했으며, 이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예정된 레드 라인 작업 2.12억달러의 일부였다.[12]
2012년 4월, 글렌몬트 역에 기존 1,700대 규모의 주차장에 더해 1,200대 규모의 주차장이 추가로 개장되었다. 메릴랜드 주에서 자금을 지원한 이 프로젝트는 2009년 12월에 시작되었다.[13][14]
2020년 3월 26일부터 2020년 6월 28일까지, 2020년 워싱턴 D.C. 코로나바이러스 유행으로 인해 열차가 그로스버너-스트라스모어역, 클리블랜드 파크역, 사법 광장역을 통과하지 않고 운행되었다.[15][16] 모든 역은 2020년 6월 28일부터 정상 운행을 재개했다.[17]
2021년 9월 11일부터 2022년 1월 16일까지 록빌 메트로역은 록빌 캐노피 교체 프로젝트로 인해 폐쇄되었다.
2022년 2월 25일, WMATA는 록빌 파이크 동쪽에 새로운 출입구를 개통하고, 메디컬 센터역 (워싱턴 메트로)에 플랫폼으로 연결되는 새로운 엘리베이터와 계단을 설치했다. 이를 통해 파이크 서쪽에서 역을 나와 월터 리드 국립 군사 의료 센터로 가기 위해 혼잡한 6차선 도로를 건너야 했던 수천 명의 일일 승객들의 불편함이 해소되었다.[18] 2009년 9월, 몽고메리 카운티는 2000만달러의 연방 보조금을 신청하여 2011년에 건설을 시작하려 했으나,[19] 2013년에야 프로젝트가 승인되었다.[20] 건설은 2017년 12월에 시작되었다. 미국 국방부에서 주로 자금을 지원하는 6800만달러 규모의 이 프로젝트에는 새로운 심층 엘리베이터, 더 나은 지상 자전거 및 보행자 시설, 록빌 파이크 아래의 보행자 터널, 그리고 2021년 말에 개통된 남쪽 방향 MD 355의 좌회전 차선 연장도 포함된다.
레드 라인의 개통 및 연장 역사는 아래 표와 같다.[48]
날짜 | 개통 구간 | 총 역 수 |
---|---|---|
1976년 3월 27일 | 패러것 노스 역 - 로드 아일랜드 애비뉴 역 | 5개 역 |
1976년 12월 15일 | 갤러리 플레이스 역 개통 | 6개 역 |
1977년 1월 17일 | 듀폰 서클 역까지 연장 | 7개 역 |
1978년 2월 6일 | 로드 아일랜드 애비뉴 역 - 실버 스프링 역 | 11개 역 |
1981년 12월 5일 | 듀폰 서클 역 - 반 네스-UDC 역 | 14개 역 |
1984년 8월 25일 | 반 네스-UDC 역 - 그로브너-스트라스모어 역 | 19개 역 |
1984년 12월 15일 | 그로브너-스트라스모어 역 - 셰이디 그로브 역 | 23개 역 |
1990년 9월 22일 | 실버 스프링 역 - 휘튼 역 | 25개 역 |
1998년 7월 25일 | 휘튼 역 - 글렌몬트 역 | 26개 역 |
2004년 11월 20일 | 노마-갤로데트 U 역 개통 | 27개 역 |
2. 1. 초기 계획 및 건설 (1955년 ~ 1976년)
메트로 계획은 1955년 대중교통 조사에서 시작되었으며, 이 조사는 1980년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고속도로 및 대중교통 시스템을 예측하려 했다. 1959년 조사 최종 보고서는 워싱턴 시내에 지하철을 포함하는 두 개의 급행 노선을 권고했다. 이 계획은 컬럼비아 특별구 내 광범위한 고속도로 건설을 요구했기 때문에, 불안해진 주민들은 1962년 7월 1일까지 고속도로 건설을 유예하는 연방 법안을 위해 로비를 벌였다. 국립 수도 교통청의 1962년 보고서 ''국립 수도 지역의 교통''은 현재의 레드 라인 노선의 상당 부분을 예측했는데, 레드 라인은 볼티모어 앤 오하이오 철도의 부지를 따라 베세즈다역과 록빌역 사이의 직접 노선 대신 실버 스프링과 록빌 사이를 운행할 것으로 예상했다.1966년 10월 워싱턴 수도권 교통국(WMATA)이 설립되면서,[2][3] 시스템 계획은 연방 정부에서 특별구, 메릴랜드, 버지니아 대표가 참여하는 지역 기구로 이관되었다. 의회의 노선 승인은 더 이상 중요한 고려 사항이 아니었다. 대신, 노선은 각 교외 관할 구역에 서비스를 제공하여 시스템 자금 조달을 위한 채권 국민 투표를 승인하도록 해야 했다.
1969년까지 WMATA는 록빌 너머 셰이디 그로브까지의 연장을 제외하고 현재의 노선과 역을 결정했다.[5] 몽고메리 카운티 관계자들은 레드 라인이 록빌 시내에서 끝나는 것에 반대하며, 이는 해당 지역의 혼잡을 유발하고 귀중한 유휴 부지를 차고지로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6] 메트로는 레드 라인을 셰이디 그로브까지 역 하나를 더 연장하는 것을 제안하기로 결정했으며, 미국 교통부는 1975년 7월 26일 이 연장에 대한 자금 지원을 조건부로 승인했다.[6]
레드 라인 건설은 1969년 12월 9일 사법 광장역에서 기공식을 열면서 시작되었다.[7] 국립 공원 관리청이 록 크릭 (포토맥강 지류)을 가로지르는 다리를 금지하고 레드 라인이 그 계곡 아래로 터널을 통과하도록 요구했기 때문에 건설은 어려움을 겪었고, 이 터널로 인해 듀퐁 서클역과 우들리 파크역이 더 지하에 건설되었다. 레드 라인은 코네티컷 애비뉴에서 위스콘신 애비뉴까지 유마 스트리트 아래로 터널을 통과할 예정이었지만, 지역 주민들이 소송을 제기했고 그 법원 사건으로 인해 터널 건설이 2년 동안 지연되었으며, WMATA는 마침내 그곳에 터널을 건설할 권리를 얻었다.
레드 라인(그리고 메트로 전체) 서비스는 1976년 3월 27일 패러것 노스역과 로드 아일랜드 애비뉴-브렌트우드역 사이의 운행으로 시작되었다.[8][9] 갤러리 플레이스역 개장은 모든 사람의 접근성 부족에 대한 법원 명령으로 인해 지연되었지만, 1976년 12월 15일 노선 중간에 개통되었다.[9]
다음은 레드 라인의 초기 개통 및 연장 연표이다.[9]
날짜 | 개통 구간 | 총 역 수 |
---|---|---|
1976년 3월 29일 | 패러것 노스역 - 로드 아일랜드 애비뉴역 구간 개통 | 5개 역 |
1976년 12월 15일 | 기존 구간에 갤러리 플레이스역 개통 | 6개 역 |
1977년 1월 17일 | 패러것 노스역 - 듀폰 서클역 구간 연장 개통 | 7개 역 |
2. 2. 초기 개통 및 확장 (1976년 ~ 1998년)
워싱턴 D.C.의 메트로 건설 계획은 1955년 대중교통 조사에서 시작되었으며, 1959년 최종 보고서에는 워싱턴 시내에 두 개의 고속 수송 시스템 건설이 제안되었다. 1962년 수도권 교통국의 보고서에는 현재 레드 라인 노선의 대부분이 계획되었는데, 볼티모어 앤 오하이오 철도(Baltimore and Ohio Railroad) 선로를 따라 베세즈다역(Bethesda station)과 록빌역(Rockville) 사이를 운행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1966년 10월, 워싱턴 수도권 교통국(WMATA)이 설립되면서[2][3] 시스템 계획은 연방 정부에서 특별구, 메릴랜드, 버지니아 대표가 참여하는 지역 기구로 이관되었다. 이로써 연방 의회의 노선 승인은 더 이상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1969년까지 WMATA는 록빌 너머 셰이디 그로브역(Shady Grove)까지의 연장을 제외하고 현재의 노선과 역을 결정했다[5]。 몽고메리 카운티 관계자들은 레드 라인이 록빌 시내에서 끝나는 것에 반대하며, 이는 해당 지역의 혼잡을 유발하고 귀중한 유휴 부지를 차고지로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6]。 메트로는 레드 라인을 셰이디 그로브까지 역 하나를 더 연장하는 것을 제안하기로 결정했으며, 미국 교통부는 1975년 7월 26일 이 연장에 대한 자금 지원을 조건부로 승인했다[6]。
레드 라인 건설은 1969년 12월 9일 사법 광장역(Judiciary Square)에서 기공식을 열면서 시작되었다[7]。 국립 공원 관리청(National Park Service)이 록 크릭 (포토맥강 지류)(Rock Creek)을 가로지르는 다리를 금지하고 레드 라인이 그 계곡 아래로 터널을 통과하도록 요구했기 때문에 건설에 어려움을 겪었고, 이 터널로 인해 듀퐁 서클역(Dupont Circle)과 우들리 파크역(Woodley Park)이 더 지하에 건설되었다. 레드 라인은 코네티컷 애비뉴에서 위스콘신 애비뉴까지 유마 스트리트 아래로 터널을 통과할 예정이었지만, 지역 주민들의 소송으로 인해 터널 건설이 2년 동안 지연되기도 했다.
레드 라인(그리고 메트로 전체) 서비스는 1976년 3월 27일 패러것 노스역(Farragut North)과 로드 아일랜드 애비뉴-브렌트우드역(Rhode Island Avenue) 사이의 운행으로 시작되었다[8][9]。 갤러리 플레이스역(Gallery Place) 개장은 모든 사람의 접근성 부족에 대한 법원 명령으로 인해 지연되었지만, 1976년 12월 15일 노선 중간에 개통되었다[9]。
이후 레드 라인은 여러 차례 연장되었다. 서쪽으로는 1977년 1월 17일 듀퐁 서클역(Dupont Circle)까지, 1981년 12월 5일 반 네스-UDC역(Van Ness–UDC)까지, 1984년 8월 25일 그로스버너-스트라스모어역(Grosvenor–Strathmore)까지, 1984년 12월 15일 셰이디 그로브역(Shady Grove)까지 연장되었다[9]。 동쪽으로는 1978년 2월 3일 로드 아일랜드 애비뉴-브렌트우드역(Rhode Island Avenue-Brentwood)에서 브룩랜드-CUA역(Brookland-CUA)까지, 1978년 2월 6일 실버 스프링역 (메릴랜드)(Silver Spring)까지 연장되어 메릴랜드가 처음으로 시스템에 추가되었으며, 1990년 9월 22일 위튼역 (워싱턴 메트로)(Wheaton)까지, 1998년 7월 25일 글렌몬트역(Glenmont)까지 연장되어 노선이 완성되었다[9]。
레드 라인이 다른 노선과 트랙을 공유한 유일한 시기는 1997년 1월 27일부터 1999년 9월 17일까지로, 그린 라인 통근 숏컷이 브룩랜드–CUA역(Brookland–CUA)에서 패러것 노스역(Farragut North)까지 레드 라인 트랙을 사용했다[10]。
레드 라인의 개통 및 연장 역사는 아래 표와 같다.[9]
날짜 | 개통 구간 | 총 역 수 |
---|---|---|
1976년 3월 27일 | 패러것 노스 역 - 로드 아일랜드 애비뉴 역 | 5개 역 |
1976년 12월 15일 | 갤러리 플레이스 역 개통 | 6개 역 |
1977년 1월 17일 | 듀폰 서클 역까지 연장 | 7개 역 |
1978년 2월 6일 | 실버 스프링 역까지 연장 | 11개 역 |
1981년 12월 5일 | 반 네스-UDC 역까지 연장 | 14개 역 |
1984년 8월 25일 | 그로브너-스트라스모어 역까지 연장 | 19개 역 |
1984년 12월 15일 | 셰이디 그로브 역까지 연장 | 23개 역 |
1990년 9월 22일 | 휘튼 역까지 연장 | 25개 역 |
1998년 7월 25일 | 글렌몬트 역까지 연장 | 26개 역 |
2004년 11월 20일 | 노마-갤로데트 U 역 개통 | 27개 역 |
2. 3. 노마-갤러뎃 대학교 역 개통 및 시설 개선 (2004년 ~ 현재)
노마-갤러뎃 대학교역(NoMa–Gallaudet University) (구 뉴욕 애비뉴-플로리다 애비뉴-갤러뎃 대학교)은 유니언역 (워싱턴 메트로)(Union Station)과 로드 아일랜드 애비뉴-브렌트우드역(Rhode Island Avenue–Brentwood) 사이에 있으며, 2004년 11월 20일에 개통되었다. 이 역은 워싱턴 메트로 시스템에서 최초로 기존 역 사이에 새로 건설된 인필역이다.[11]2010년 11월, WMATA는 레드 라인에 3700만달러의 설비 개선을 승인했으며, 이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예정된 레드 라인 작업 2.12억달러의 일부였다.[12]
2012년 4월, 글렌몬트 역에 기존 1,700대 규모의 주차장에 더해 1,200대 규모의 주차장이 추가로 개장되었다. 메릴랜드 주에서 자금을 지원한 이 프로젝트는 2009년 12월에 시작되었다.[13][14]
2020년 3월 26일부터 2020년 6월 28일까지, 2020년 워싱턴 D.C. 코로나바이러스 유행(2020 coronavirus pandemic in Washington, D.C.)으로 인해 열차가 그로스버너-스트라스모어역, 클리블랜드 파크역, 사법 광장역을 통과하지 않고 운행되었다.[15][16] 모든 역은 2020년 6월 28일부터 정상 운행을 재개했다.[17]
2021년 9월 11일부터 2022년 1월 16일까지 록빌 메트로역은 록빌 캐노피 교체 프로젝트로 인해 폐쇄되었다.
2022년 2월 25일, WMATA는 록빌 파이크 동쪽에 새로운 출입구를 개통하고, 메디컬 센터역 (워싱턴 메트로)(Medical Center station)에 플랫폼으로 연결되는 새로운 엘리베이터와 계단을 설치했다. 이를 통해 파이크 서쪽에서 역을 나와 월터 리드 국립 군사 의료 센터(Walter Reed National Military Medical Center)로 가기 위해 혼잡한 6차선 도로를 건너야 했던 수천 명의 일일 승객들의 불편함이 해소되었다.[18] 2009년 9월, 몽고메리 카운티는 2000만달러의 연방 보조금을 신청하여 2011년에 건설을 시작하려 했으나,[19] 2013년에야 프로젝트가 승인되었다.[20] 건설은 2017년 12월에 시작되었다. 미국 국방부(Department of Defense)에서 주로 자금을 지원하는 6800만달러 규모의 이 프로젝트에는 새로운 심층 엘리베이터, 더 나은 지상 자전거 및 보행자 시설, 록빌 파이크 아래의 보행자 터널, 그리고 2021년 말에 개통된 남쪽 방향 MD 355의 좌회전 차선 연장도 포함된다.
2. 4. 사건 및 사고

2004년 11월 3일, 레드 라인 회송 열차가 후진하여 우들리 파크 역에 정차해 있던 영업 열차와 충돌, 20명이 부상당했다.[51] 이 사고로 회송 열차 운전사는 해고되었고, 워싱턴 메트로는 300량 이상의 차량에 후진 방지 기능을 추가했다.[52]

2009년 6월 22일, 타코마 역- 포트 토튼 역 구간에서 열차 추돌 사고가 발생, 9명이 사망하고 70명 이상이 부상당했다. 이는 워싱턴 메트로 역사상 가장 많은 사망자를 낸 사고였다.[53] 미국 국가 교통 안전 위원회(NTSB)는 열차 자동 제어 장치의 회로 고장이 사고 원인이라고 판단했다.[54][55]
2. 4. 1. 2004년 우들리 파크 역 사고
2004년 11월 3일, 운행하지 않는 레드 라인 열차가 우들리 파크 역으로 후진하여 플랫폼에 정차해 있던 운행 중인 열차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20명이 부상을 입었다.[21] 14개월에 걸친 조사 결과, 열차 운전사의 부주의가 사고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이 나왔다. 안전 담당자들은 열차가 만석이었다면 최소 79명이 사망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사고 이후, 열차 운전사는 해고되었고, 워싱턴 메트로 관계자들은 300량 이상의 철도 차량에 롤백 방지 장치를 추가하기로 합의했다.[22]
2. 4. 2. 2009년 열차 추돌 사고
2009년 6월 22일 오후 5시 3분, 타코마와 포트 토튼 사이 구간에서 6량 열차가 텔레스코핑 방식으로 정차해 있던 열차와 충돌했다. 이 사고로 승객 8명과 열차 운전사가 사망했으며 최소 70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는 워싱턴 메트로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사고이다.[23]
같은 날, 타코마 역 - 포트 토튼 역 구간에서 정차 중이던 남행 제214열차에 후속 제112열차가 추돌했다. 추돌 시 제214열차의 마지막 차량이 제112열차의 선두 차량에 파고드는 텔레스코핑 현상이 발생하여, 제112열차의 운전사 및 승객 8명 등 총 9명이 사망하고 최소 70명이 부상했다. [53]
미국 교통 안전 위원회의 2010년 7월 27일 보고서는 이 충돌의 원인을 자동 열차 제어 시스템의 일부인 결함 있는 궤도 회로로 지목했다.[24][25] 미국 국가 교통 안전 위원회의 보고서(2010년 7월 27일)는 열차에 탑재된 자동 열차 제어 장치의 회로 고장으로 인한 자동 제동 장치의 불작동이 사고의 원인으로 판단했다.[54][55]
3. 노선
레드 라인은 지상에 있는 셰이디 그로브 역에서 시작하여, CSX 교통의 메트로폴리탄 하위 구역(MARC 브런즈윅선 열차가 운행)과 나란히 트윈브룩 역으로 향한다. 트윈브룩 역을 지나면 터널로 들어가지만, 곧바로 개착 구간에 들어가 화이트 플린트 역에 도착한다. 이후에도 개착 구간을 지나 그로브너-스트라스모어 역을 통과하고 주간 고속도로 495호선을 넘으면 다시 터널로 들어가 메디컬 센터 역에 도착한다. 베세즈다 역 - 프렌드십 하이츠 역 구간에서 메릴랜드주에서 워싱턴 D.C.로 들어가면 텐리타운-AU 역에서 터널은 동쪽으로 꺾여 밴 네스-UDC 역에 이른다. 밴 네스-UDC 역을 지나면 터널은 남쪽으로 꺾여 클리블랜드 파크 역, 우드리 파크 역을 통과하면 오렌지 라인, 블루 라인, 실버 라인과의 환승역인 파라구트 노스 역에 들어간다. 파라구트 노스 역을 지나면 오렌지 라인으로 연결되는 선로가 분기되고, 3개 노선과의 환승역인 메트로 센터 역, 옐로우 라인, 그린 라인과의 환승역인 갤러리 플레이스 역에 도착한다.[39]
갤러리 플레이스 역에서 주디셔리 스퀘어 역을 향해 남동쪽으로 진행하여, D 스트리트에서 다시 동쪽으로 꺾여 유니온 역에 도착한다. 거기에서 북쪽으로 꺾어 지상으로 나오면 2004년 11월 20일에 개업한 노마-갤러뎃 U 역에 들어간다. 미국 국도 50호선을 언더패스하고 브렌트우드 차량기지를 지나 메트로폴리탄 하위 구역을 오버패스하면 로드 아일랜드 애비뉴-브렌트우드 역에 도착한다. 역을 지나면 메트로폴리탄 하위 구역이 레드 라인을 사이에 두고 나란히 진행하기 시작하여 브루클랜드-CUA 역에 들어간다. 브루클랜드-CUA 역을 지나면 그린 라인으로 연결되는 선로가 분기되어, 그린 라인 및 옐로우 라인과의 환승역인 포트 토튼 역에 들어간다. 워싱턴 D.C. 내 마지막 역인 타코마 역을 통과하고 메릴랜드주에 들어가면, 지금까지 나란히 진행해 온 메트로폴리탄 하위 구역과의 환승역인 실버 스프링 역에 도착한다. 실버 스프링 역을 출발하면 메트로폴리탄 하위 구역과 분리되어 터널로 들어간다. 앞서 오버패스했던 주간 고속도로 495호선을 언더패스하고 조지아 애비뉴 아래로 북쪽으로 진행하여, 포레스트 글렌 역, 위턴 역을 통과하여 종착역인 글렌몬트 역에 도착한다.[39] 역 앞쪽에는 차량기지가 존재한다.
내부적으로 레드 라인은 메트로 센터 역을 기준으로 셰이디 그로브 역 쪽을 '''셰이디 그로브 루트''' (A), 글렌몬트 역 쪽을 '''글렌몬트 루트''' (B)라고 부른다.[39]
레드 라인은 최대 용량으로 운전하기 위해 44개 편성의 열차 (8량 10개 편성, 6량 34개 편성, 총 차량 수 284량)를 필요로 한다.[40] 열차는 아침, 저녁 러시아워에는 4분 간격, 주간 시간대에는 6분 간격, 21시 30분 이후에는 1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41]
레드 라인은 그린 라인과 함께 버지니아주로 들어가지 않는 노선이다.
4. 역 목록
레드 라인(Red Line)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북서쪽에서 북동쪽 방향)[63]
역명 | 역 번호 | 개업년도 | 환승 노선 | 비고 |
---|---|---|---|---|
새디 그로브 Shady Grove station|샤디 그로브영어 | A15 | 1984 | 북서부 시·종착역 | |
락빌 Rockville station|락빌영어 | A14 | 1984 | ||
트윈브룩 Twinbrook station|트윈브룩영어 | A13 | 1984 | ||
화이트 플린트 White Flint station|화이트 플린트영어 | A12 | 1984 | ||
그로스베너-스트라스모어 Grosvenor–Strathmore station|그로스베너-스트라스모어영어 | A11 | 1984 | ||
메디컬 센터 Medical Center station|메디컬 센터영어 | A10 | 1984 | ||
베데스다 Bethesda station|베데스다영어 | A09 | 1984 | ||
프렌드쉽 하이츠 Friendship Heights station|프렌드십 하이츠영어 | A08 | 1984 | ||
텐리타운-AU Tenleytown–AU station|텐리타운-AU영어 | A07 | 1984 | ||
밴 네스-UDC Van Ness–UDC station|밴 네스-UDC영어 | A06 | 1981 | ||
클리블랜드 파크 Cleveland Park station|클리블랜드 파크영어 | A05 | 1981 | ||
우들리 파크 Woodley Park station|우들리 파크영어 | A04 | 1981 | ||
듀폰트 서클 Dupont Circle station|듀폰트 서클영어 | A03 | 1977 | ||
패러것 노스 Farragut North station|패러것 노스영어 | A02 | 1976 | ||
메트로 센터 Metro Center station|메트로 센터영어 | A01 | 1976 | 오렌지 라인, 블루 라인, 실버 라인 | |
갤러리 플레이스 Gallery Place station|갤러리 플레이스영어 | B01 | 1976 | 그린 라인, 옐로 라인 | |
주디시어리 스퀘어 Judiciary Square station|주디시어리 스퀘어영어 | B02 | 1976 | ||
유니언 역 Union Station|유니언 스테이션영어 | B03 | 1976 | ||
NoMa-갈루뎃U NoMa–Gallaudet U station|노마-갤러뎃 U영어 | B35 | 2004 | ||
로드 아일랜드 애비뉴-브렌트우드 Rhode Island Avenue–Brentwood station|로드 아일랜드 애비뉴-브렌트우드영어 | B04 | 1976 | ||
브루클랜드-CUA Brookland–CUA station|브루클랜드-CUA영어 | B05 | 1978 | ||
포트 토튼 Fort Totten station|포트 토튼영어 | B06 | 1978 | 그린 라인, 옐로 라인 | |
타코마 Takoma station|타코마영어 | B07 | 1978 | ||
실버 스프링 Silver Spring station|실버 스프링영어 | B08 | 1978 | ||
포레스트 글렌 Forest Glen station|포레스트 글렌영어 | B09 | 1990 | ||
휘튼 Wheaton station|휘튼영어 | B10 | 1990 | ||
글렌먼트 Glenmont station|글렌먼트영어 | B11 | 1998 | 북동부 시·종착역 |
5. 향후 계획
2010년 11월, 워싱턴 메트로폴리탄 교통국(WMATA)은 레드 라인에 3700만달러의 설비 개선을 승인했으며, 이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예정된 레드 라인 작업 2.12억달러의 일부였다.[64]
2009년 12월, WMATA는 글렌몬트역(Glenmont)에 기존의 1,700대 주차장을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1,200대 주차 시설을 건설하기 시작하여 2012년 4월에 개장했으며,[65] 메릴랜드 주정부가 자금을 지원했다.[66]
WMATA는 위스콘신 애비뉴(Wisconsin Avenue) 동쪽에 있는 메디컬 센터 역과 입구를 연결하는 보행자용 터널을 새로 계획하고 있다. 현재 약 7,000여명의 승객이 위스콘신 서쪽에 있는 역에서 나온 다음, 혼잡한 6차선 도로를 건너 월터 리드 국립군사의료센터(Walter Reed National Military Medical Center)에 도착한다.[67]
2011년, WMATA는 셰이디 그로브 역에서 메트로폴리탄 그로브 역까지 레드 라인을 2040년까지 연장하는 가능성을 검토했다.[33][34][35][36]
참조
[1]
웹사이트
Timetables {{!}} WMATA
https://www.wmata.co[...]
2024-10-06
[2]
웹사이트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Transit Authority Compact
https://www.wmata.co[...]
2018-03-28
[3]
뉴스
D.C. Area Transit Compact Approved
1966-10-14
[4]
웹사이트
WMATA's Metro Proposal from 1967
https://architectoft[...]
2016-06-19
[5]
서적
Financing Subway System for National Capital Region: Joint Hearings Before the Committee on the District of Columbia and the Subcommittee No. 4 of the Committee on the District of Columbia
[6]
뉴스
Rockville and Greenbelt Lines Are Funded by U.S. for Metro
1975-07-27
[7]
웹사이트
WMATA History
https://www.wmata.co[...]
WMATA
2018-03-28
[8]
뉴스
First section of new subway system opens
https://news.google.[...]
2010-12-11
[9]
웹사이트
Sequence of Metrorail openings
https://www.wmata.co[...]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Transit Authority
[10]
웹사이트
Metro – Community Outreach – Lunchtalk Online Chat
http://www.wmata.com[...]
WMATA
2011-03-03
[11]
웹사이트
Metro's New York Ave-Florida Ave-Gallaudet U Metrorail station opens today on the Red Line
https://www.wmata.co[...]
WMATA
2018-03-28
[12]
웹사이트
Overhaul of the Red Line continues
http://www.wmata.com[...]
WMATA
2010-12-10
[13]
웹사이트
Can a parking deck be "green"? New Glenmont garage isn't
http://greatergreate[...]
2012-04-26
[14]
뉴스
Metro unveils design for Glenmont parking garage
http://www.gazette.n[...]
2010-12-10
[15]
웹사이트
Special Covid-19 System Map
https://www.wmata.co[...]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Transit Authority
2020-04-14
[16]
웹사이트
Metrorail stations closed due to COVID-19 pandemic
https://www.wmata.co[...]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Transit Authority
2020-04-14
[17]
웹사이트
Metro to reopen 15 stations, reallocate bus service to address crowding, starting Sunday {{!}} WMATA
https://www.wmata.co[...]
2020-06-22
[18]
뉴스
New entrance, pedestrian tunnel planned for Medical Center Metro
http://www.gazette.n[...]
2013-04-21
[19]
뉴스
County proposes underpass for Medical Center Metro station
http://www.gazette.n[...]
2010-12-10
[20]
웹사이트
Medical Center Metro Crossing Project
http://www.montgomer[...]
Montgomery County Government
2018-02-11
[21]
뉴스
20 Injured in Crash of 2 Red Line Trains
https://www.washingt[...]
2009-01-27
[22]
뉴스
Dozing Operator Blamed in Rail Accident
https://www.washingt[...]
2006-03-23
[23]
뉴스
Three Minutes to Fort Totten
https://www.washingt[...]
2009-06-30
[24]
웹사이트
Fatal Washington Metro Crash Shows Need for U.S. Transit Rules, NTSB Says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0-07-28
[25]
웹사이트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Transit Authority Rear-end collision: Accident Report Detail
https://www.ntsb.gov[...]
2018-03-28
[26]
간행물
Metro demonstrates safety commitment, compliance with NTSB recommendations, including replacement of 1000 series rail cars
https://www.wmata.co[...]
WMATA
2018-03-28
[27]
문서
Metro Draft Environmental Statement
WMATA
1973-02
[28]
웹사이트
WMATA Red Line
https://www.nycsubwa[...]
2018-03-28
[29]
웹사이트
Approved Fiscal 2009 Annual Budget
https://www.wmata.co[...]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Transit Authority
[30]
웹사이트
Metro System Map
https://www.wmata.co[...]
WMATA
2018-03-28
[31]
뉴스
"[https://search.proquest.com/docview/307231764/9531637D770A4AA7PQ/1 New Metro Stop Is Way Down Under;Curious in Md. Take Preview Plunge Into Area's Deepest Station]"
The Washington Post
1989-11-06
[32]
웹사이트
Overhaul of the Red Line continues
http://www.wmata.com[...]
WMATA
2010-12-10
[33]
웹사이트
Meeting
https://planitmetro.[...]
2020-06-17
[34]
웹사이트
TAG Meeting #7: Analysis of Enhanced Surface Transit, Metrorail Extensions, and New Metrorail Lines Through and Around the Core
https://planitmetro.[...]
2020-06-17
[35]
웹사이트
Metro planners contemplate system's second generation
https://ggwash.org/v[...]
2020-06-17
[36]
웹사이트
Five (mostly rejected) ideas for Metro expansion you've probably forgotten about
https://ggwash.org/v[...]
2018-01-22
[37]
웹사이트
Can a parking deck be "green"? New Glenmont garage isn't
http://greatergreate[...]
2012-04-26
[38]
뉴스
Metro unveils design for Glenmont parking garage
http://www.gazette.n[...]
2010-12-10
[39]
웹사이트
Metro Draft Environmental Statement
https://books.google[...]
WMATA
2018-03-28
[40]
웹사이트
Approved Fiscal 2009 Annual Budget
https://www.wmata.co[...]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Transit Authority
2019-12-16
[41]
웹사이트
Timetables {{!}} WMATA
https://www.wmata.co[...]
2019-04-18
[42]
웹사이트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Transit Authority Compact
https://www.wmata.co[...]
2018-03-28
[43]
뉴스
D.C. Area Transit Compact Approved
1966-10-14
[44]
서적
Financing Subway System for National Capital Region: Joint Hearings Before the Committee on the District of Columbia and the Subcommittee No. 4 of the Committee on the District of Columbia
[45]
뉴스
Rockville and Greenbelt Lines Are Funded by U.S. for Metro
1975-07-27
[46]
웹사이트
WMATA History
https://www.wmata.co[...]
WMATA
2018-03-28
[47]
뉴스
First section of new subway system opens
https://news.google.[...]
2010-12-11
[48]
웹사이트
Sequence of Metrorail openings
https://www.wmata.co[...]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Transit Authority
2018-03-28
[49]
웹사이트
Metro – Community Outreach – Lunchtalk Online Chat
http://www.wmata.com[...]
WMATA
2011-03-03
[50]
웹사이트
Metro's New York Ave-Florida Ave-Gallaudet U Metrorail station opens today on the Red Line
https://www.wmata.co[...]
WMATA
2018-03-28
[51]
뉴스
20 Injured in Crash of 2 Red Line Trains
https://www.washingt[...]
2009-01-27
[52]
뉴스
Dozing Operator Blamed in Rail Accident
https://www.washingt[...]
2006-03-23
[53]
뉴스
Three Minutes to Fort Totten
https://www.washingt[...]
2009-06-30
[54]
웹사이트
Fatal Washington Metro Crash Shows Need for U.S. Transit Rules, NTSB Says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10-07-28
[55]
웹사이트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Transit Authority Rear-end collision: Accident Report Detail
https://www.ntsb.gov[...]
2018-03-28
[56]
지도
Metro Washington D.C. Beltway
American Automobile Association
[57]
웹인용
WMATA Red Line
http://world.nycsubw[...]
www.nycsubway.org
2010-12-11
[58]
웹인용
106 Mile Regional System Track Schematic
http://www.wmata.com[...]
2010-12-15
[59]
웹인용
Approved Fiscal 2009 Annual Budget
http://wmata.com/abo[...]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Transit Authority
2009-02-28
[60]
웹인용
Metrorail System Adds Trains to Fleet
http://www.wmata.com[...]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Transit Authority
2009-12-27
[61]
웹인용
Metrorail Timetable Weekday Mid-Day
http://www.wmata.com[...]
WMATA
2010-12-11
[62]
웹인용
Metrorail Timetable Weekday Evening
http://www.wmata.com[...]
WMATA
2010-12-11
[63]
웹인용
Metro - Rail - Maps
http://www.wmata.com[...]
WMATA
2010-12-11
[64]
웹인용
Overhaul of the Red Line continues
http://www.wmata.com[...]
WMATA
2010-12-10
[65]
웹인용
Can a parking deck be "green"? New Glenmont garage isn't
http://greatergreate[...]
2012-04-26
[66]
뉴스
Metro unveils design for Glenmont parking garage
http://www.gazette.n[...]
2010-12-10
[67]
뉴스
New entrance, pedestrian tunnel planned for Medical Center Metro
http://www.gazette.n[...]
2013-04-21
[68]
뉴스
Metro inches closer to new entrance, walkway at Medical Center
http://www.washingto[...]
2013-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