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비 상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비 상수는 연분수 이론과 에르고딕 이론을 사용하여 증명되는 수학 상수이다. 이 상수는 가우스 사상과 피보나치 수열을 이용하여 유도되며, 비르코프 에르고딕 정리를 통해 극한값이 특정 값으로 수렴함을 보인다. 레비 상수는 역 피보나치 상수와 연관되어 있으며, 가우스-쿠즈민 분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학 상수 - 허수 단위
    허수 단위 i는 i² = −1을 만족하는 수로, 실수 체계에서는 정의되지 않는 음수의 제곱근을 나타내며 복소수 체계의 기본 구성 요소로서 복소평면에서 90° 회전하는 효과를 가지며 1, i, -1, -i를 주기적으로 순환하는 특징을 가진다.
  • 수학 상수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 특수 함수 - 람베르트 W 함수
    람베르트 W 함수는 we^w = z를 만족하는 w를 찾는 람베르트 이름을 딴 역함수 관계를 가지며, 여러 분야에서 지수 함수 방정식을 푸는 데 응용되는 무한히 많은 가지를 가진 함수이다.
  • 특수 함수 - 감마 함수
    감마 함수는 양의 실수부를 갖는 복소수 z에 대해 오일러 적분으로 정의되고 해석적 연속을 통해 복소평면 전체로 확장된 팩토리얼 함수의 일반화로서, 수학, 물리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여러 표현과 성질을 가진다.
레비 상수
일반 정보
상수 이름레비 상수
분야수학, 수론
기호L
값 (근사값)1.1865691105981206872793069872144987339...
소수 연분수 표현[0; 1, 5, 21, 1, 9, 1, 1, 2, 1, 2, 29, 1, 2, 1, 7, 1, 5, 1, 2, 2, 2, 1, 3, 1, 3, 8, 1, 4, 2, 3, 7, 1, 2, 2, 1, 4, 2, 1, 16, 2, 2, 1, 1, 1, 1, 1, 5, 4, 2, 1, 2, 4, 1, 2, 1, 3, 1, 3, 4, 1, 11, 2, 1, 1, 3, 3, 1, 2, 2, 14, 3, 1, 1, 1, 3, 3, 1, 1, 4, 2, 1, 2, 2, 2, 1, 2, 1, 1, 2, 2, 1, 1, 2, 1, 2, 2, 1, 5, 1, 1, 2, 2, 1, 2, 1, 3, 1, 2, 1, 2, 3, 1, 7, 2, 1, 1, 2, 1, 2, 1, 4, 2, 2, 1, 2, 1, 2, 1, 1, 2, 5, 1, 2, 1, 2, 2, 1, 2, 1, 5, 1, 3, 1, 2, 1, 2, 1, 1, 3, 1, 1, 5, 22, 15, 1, 1, 2, 4, 1, 4, 1, 2, 4, 1, 1, 1, 1, 1, 1, 1, 1, 1, 4, 1, 2, 1, 2, 2, 1, 2, 1, 2, 1, 2, 3, 1, 2, 1, 3, 1, 1, 1, 1, 1, 1, 4, 1, 2, 1, 2, 1, 1, 2, 1, 1, 1, 2, 2, 1, 1, 1, 1, 2, 4, 1, 3, 1, 1, 5, 1, 2, 1, 5, 4, 2, 1, 2, 4, 1, 2, 1, 3, 1, 3, 4, 1, 11, 2, 1, 1, 3, 3, 1, 2, 2, 14, 3, 1, 1, 1, 3, 3, 1, 1, 4, 2, 1, 2, 2, 2, 1, 2, 1, 1, 2, 2, 1, 1, 2, 1, 2, 2, 1, 5, 1, 1, 2, 2, 1, 2, 1, 3, 1, 2, 1, 2, 3, 1, 7, 2, 1, 1, 2, 1, 2, 1, 4, 2, 2, 1, 2, 1, 2, 1, 1, 2, 5, 1, 2, 1, 2, 2, 1, 2, 1, 5, 1, 3, 1, 2, 1, 2, 1, 1, 3, 1, 1, 5, 22, 15...]
성질초월수
무리수
관련 주제레비 분포
연분수
수학적 정의
정의lim (n→∞) q(n)^(1/n) = L. 여기서 q(n)은 n번째 수렴의 분모이다.
L = exp(γ + Σ(p prime) 1/(p(p − 1))) 여기서 γ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이다.
대안적 표현exp(0.6243299885435508709929363831008324369323241453974...)= 1.8656911059812068727930698721...
다른 표현과의 관계
관계식1/n
π²/12 ln(2)
12 ln(2)/π²
1/2 log10 (e^β)
ln 10/2 β
ln 10/2 L
같이 보기
관련 항목OEIS A086702

2. 증명

[4] 이 증명은 연분수의 기본 속성을 가정한다. 증명 과정에서는 가우스 사상 T : x ↦ 1/x mod 1 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1. 보조정리

가우스 사상과 관련된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ln x - \ln p_n(x)/q_n(x)| \leq 1/q_n(x) \leq 1/F_n

여기서 p_n(x)/q_n(x)xn번째 연분수 근사이고, F_nn번째 피보나치 수이다. 이 부등식은 x의 로그 값과 그 연분수 근사의 로그 값 사이의 오차 한계를 피보나치 수의 역수로 제시한다.

2. 1. 1. 보조정리 증명

증명하고자 하는 부등식은 다음과 같다.

|\ln x - \ln p_n(x)/q_n(x)| \leq 1/q_n(x) \leq 1/F_n

여기서 F_n피보나치 수이다.

'''증명.'''

함수 f(t) = \ln\frac{p_n + p_{n-1}t}{q_n + q_{n-1}t}를 정의한다. 추정해야 할 양은 |f(T^n x) - f(0)|이다.

평균값 정리에 의해, 모든 t\in [0, 1]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f(t)-f(0)| \leq \max_{t \in [0, 1]}|f'(t)|



여기서 f'(t)의 절댓값의 최댓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max_{t \in [0, 1]}|f'(t)| = \max_{t \in [0, 1]} \left| \frac{d}{dt} \ln\frac{p_n + p_{n-1}t}{q_n + q_{n-1}t} \right| = \max_{t \in [0, 1]} \frac

{(p_n + tp_{n-1})(q_n + tq_{n-1})}



연분수의 성질에 따라 |p_{n-1}q_n - p_n q_{n-1}| = 1 이므로,



\max_{t \in [0, 1]}|f'(t)| = \max_{t \in [0, 1]} \frac{1}{(p_n + tp_{n-1})(q_n + tq_{n-1})}



분모는 t=0일 때 최솟값을 가지므로, 최댓값은 다음과 같다.



\max_{t \in [0, 1]}|f'(t)| = \frac{1}{p_nq_n}



p_n \geq 1 이므로 (일반적으로 연분수 근사에서 성립),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f(t)-f(0)| \leq \frac{1}{p_nq_n} \leq \frac{1}{q_n}



분모 수열 q_0, q_1, q_2, \dots는 점화 관계를 만족하므로, 피보나치 수열1, 1, 2, \dots보다 크거나 같다. 즉, q_n \geq F_n 이다.

그러므로 \frac{1}{q_n} \leq \frac{1}{F_n} 이다.

결론적으로 다음 부등식이 증명된다.



|\ln x - \ln p_n(x)/q_n(x)| \leq \frac{1}{q_n} \leq \frac{1}{F_n}


2. 2. 에르고딕 이론을 이용한 증명

연분수의 근사 분모 q_n에 대해 다음 관계식이 성립한다.


  • \ln q_n = \ln x + \ln Tx + \dots + \ln T^{n-1}x + \delta



여기서 T는 가우스 사상이며, 오차항 |\delta|는 유한한 값인 역 피보나치 상수 \sum_{k=1}^\infty 1/F_k 보다 작거나 같다.

비르코프 에르고딕 정리에 의해, \frac{\ln q_n}{n}의 극한값은 거의 모든 x \in [0, 1]에 대해 특정 값으로 수렴한다.



\lim_{n \to \infty}\frac{\ln q_n}{n} = \int_0^1 ( -\ln t )\rho(t) dt



이 적분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int_0^1 ( -\ln t )\rho(t) dt = \frac{\pi^2}{12\ln 2}



여기서 \rho(t) = \frac{1}{(1+t) \ln 2}는 가우스 분포의 확률 밀도 함수이다. 이 극한값이 바로 레비 상수의 로그값과 같다.

2. 2. 1. 추가 설명

레비 상수의 값에 대한 증명은 연분수의 기본 속성을 활용한다.[4] 증명 과정에서는 여러 수학적 개념과 도구가 사용된다.

먼저, 가우스 사상 T : x \mapsto 1/x \mod 1이 정의된다. 이 사상은 연분수 전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증명에서는 연분수의 근사 분수 p_n(x)/q_n(x)와 관련된 부등식 |\ln x - \ln p_n(x)/q_n(x)| \leq 1/q_n(x) \leq 1/F_n을 사용하는데, 여기서 F_n피보나치 수이다. 이는 분모 q_n이 피보나치 수열보다 크거나 같다는 성질을 이용한다.

또한, 증명 과정에서 역 피보나치 상수 \sum_{k=1}^\infty 1/F_n가 등장한다. 이는 특정 오차 항의 상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핵심적인 부분은 비르코프 에르고딕 정리를 적용하는 것이다. 이 정리를 통해 \lim_{n \to \infty}\frac{\ln q_n}{n}의 극한값이 특정 적분값으로 거의 확실하게 수렴함을 보인다. 이 적분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int_0^1 ( -\ln t )\rho(t) dt = \frac{\pi^2}{12\ln 2}

여기서 \rho(t) = \frac{1}{(1+t) \ln 2}는 가우스-쿠즈민 분포를 나타내는 확률 밀도 함수이다. 이 분포는 [0, 1] 구간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실수의 연분수 전개에 나타나는 계수들의 통계적 분포를 설명한다.

결과적으로, 에르고딕 정리와 가우스-쿠즈민 분포를 이용하여 연분수 분모의 기하 평균 극한값이 레비 상수와 관련됨을 증명한다.

참조

[1] 서적 Continued fractions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2] 논문 Zur metrischen Kettenbruchtheorie
[3] 서적 Théorie de l'addition des variables aléatoires Paris
[4] 간행물 Ergodic Theory with Applications to Continued Fractions https://web.archive.[...] 2020-05-18
[5] 웹사이트 LevyConstant http://mathworld.wo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