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값 정리는 미분 가능한 함수의 성질에 대한 중요한 정리로, 함수의 변화율과 접선의 기울기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닫힌 구간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에서 미분 가능한 함수에 대해, 함수의 양 끝점을 잇는 직선과 평행한 접선이 구간 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롤의 정리는 평균값 정리의 특수한 경우이며, 코시의 평균값 정리는 평균값 정리의 일반화된 형태로, 두 함수의 관계를 다룬다. 적분 평균값 정리는 함수의 적분값을 평균값으로 나타내는 정리이며, 제1, 제2 적분 평균값 정리와 가우스의 평균값 정리 등의 여러 형태가 존재한다. 평균값 정리는 다양한 명제를 유도하는 데 사용되며, 상수함수, 단조증가 함수 등을 증명하는 데 활용된다. 이 정리는 바타세리 파라메슈바라에 의해 처음 입안되었으며, 미셸 롤, 오귀스탱 루이 코시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2. 정의
연속 함수 가 에서 미분 가능 함수일 때, 다음을 만족하는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18]
:
이를 '''평균값 정리'''라고 한다. 평균값 정리에 따라, 충분히 매끄러운 함수의 그래프 에 대하여, 양 끝점을 잇는 직선과 평행하는 그래프의 접선이 존재한다. 롤의 정리는 평균값 정리에서 인 특수한 경우이다.
함수 는 와 사이의 할선의 기울기를 점 에서의 도함수로 얻는다.
할선과 평행한 접선이 여러 개 존재할 수도 있다.
곡선의 시작과 끝을 잇는 직선과 평행하는 접선을 찾을 수 있다.
'''코시 평균값 정리'''(Cauchy's mean value theorem영어) 또는 '''확장 평균값 정리'''(extended mean value theorem영어)에 따르면, 연속 함수 가 에서 미분 가능 함수이고, 일 때,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
기하학적으로, 코시 평균값 정리에 따르면, 충분히 매끄러운 단순 곡선 이 임계점을 갖지 않는다면, 두 끝점을 잇는 직선과 평행하는 접선을 갖는다. 평균값 정리는 코시 평균값 정리에서 인 특수한 경우이다.
함수 가 에서 연속 함수, 에서 미분 가능 함수라고 할 때,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
코시 평균값 정리는 여기서 을 취한 특수한 경우이다.
미분 가능 함수인 다변수 함수 (는 볼록열린집합이며, 의 부분집합)에서, 두 점 에 대해 다음 식을 만족하는 가 존재한다.
:
이는 일변수 함수에 대한 평균값 정리에서 을 취한 특수한 경우이다.
2. 1. 롤의 정리
연속 함수 가 에서 미분 가능 함수이고, 이면, 인 가 존재한다. 이를 '''롤의 정리'''라고 한다. 평균값 정리는 를 가정하여 위 식의 우변이 0이 되는 롤의 정리의 일반화이다.
2. 2. 평균값 정리 (라그랑주의 평균값 정리)
연속 함수 가 에서 미분 가능 함수일 때, 다음을 만족하는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18]
:
이를 '''평균값 정리'''라고 한다. 평균값 정리에 따라, 충분히 매끄러운 함수의 그래프 에 대하여, 양 끝점을 잇는 직선과 평행하는 그래프의 접선이 존재한다. 롤의 정리는 평균값 정리에서 인 특수한 경우이다.
이 명제들은 평균값 정리를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은 서로 유사하다. 첫 번째 명제를 예로 들어 증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의 임의의 두 점 에 대하여, 는 구간 에서 평균값 정리의 전제를 만족한다. 따라서 다음을 만족하는 가 구간 안에 존재한다.
:
즉, 이다. 이는 가 내부에서 상수 값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함수는 연속이므로 전체에서 상수 함수가 된다.
5. 역사
이 정리의 최초 입안자는 인도의 바타세리 파라메슈바라로 기록되어 있으며[19] 처음으로 공식화한 사람은 오귀스탱 루이 코시이다.
이 정리의 특수한 경우는 인도 케랄라 천문 수학 학파의 파라메슈바라(1380–1460)가 고빈다스와미와 바스카라 II에 대한 해설에서 처음 기술했다.[1] 1691년 미셸 롤은 이 정리의 제한된 형태인 롤의 정리를 미적분학 기술 없이 다항식에 대해서만 증명하였다.[2] 현대적 형태의 평균값 정리는 1823년 오귀스탱 루이 코시에 의해 제시되고 증명되었다.[3][4]
[1]
웹사이트
Paramesvara
https://mathshistory[...]
2000
[2]
웹사이트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mean value theorem
http://abesenyei.web[...] [3]
논문
Some variants of Cauchy's mean value theorem
https://www.tandfonl[...]
2020-10-02
[4]
서적
Mean value theorems and functional equations
https://www.worldcat[...]
World Scientific
1998
[5]
웹사이트
Extended Mean-Value Theorem
http://mathworld.wol[...]
2018-10-08
[6]
뉴스
Cauchy's Mean Value Theorem
https://www.math24.n[...]
2018-10-08
[7]
문서
2015
[8]
웹사이트
Mathwords: Mean Value Theorem for Integrals
http://www.mathwords[...] [9]
서적
Calculus: The Elements
World Scientific
2002
[10]
논문
On the Second Mean-Value Theorem of the Integral Calculus
https://zenodo.org/r[...] [11]
논문
A Probabilistic Analogue of the Mean Value Theorem and Its Applications to Reliability Theory
[12]
문서
A Complex Rolle’s Theorem
1992-11
[13]
웹사이트
Paramesvara
http://www-groups.dc[...]
2000
[14]
웹사이트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mean value theorem
http://abesenyei.web[...] [15]
문서
解析概論
[16]
문서
実一変数関数
[17]
서적
대학수학
기전연구사
2008
[18]
서적
An Introduction to Numerical Methods A MATLAB Approach
학산미디어
2013
[19]
웹사이트
Paramesvara
http://www-groups.dc[...]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