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 의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 의종은 레 유종의 아들로, 1735년 황제에 즉위하여 연호를 빈흐우로 사용하였다. 1740년 정왕태비 부티응옥응우옌에 의해 퇴위당하고 조카인 레주이지에우에게 양위하여 태상황으로 물러났다. 1759년에 사망하였으며, 묘호는 의종, 시호는 온가장숙개제통민관홍연예휘황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59년 사망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은 바로크 시대의 중요한 작곡가로,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작품을 남겼으며 독일에서 태어나 영국에서 활동하며 오페라와 오라토리오 작곡가로서 성공을 거두었고, 그의 음악은 독창적인 스타일과 극적인 표현력으로 현재까지도 사랑받고 있다.
  • 1759년 사망 - 피에르 루이 모페르튀이
    피에르 루이 모페르튀이는 프랑스의 수학자, 천문학자, 생물학자, 철학자로서, 지구 형태 논쟁에서 뉴턴의 주장을 옹호하고 최소 작용의 원리를 제안했으며 진화론적 사고의 선구자로서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 회장을 역임했다.
  • 1719년 출생 - 다누마 오키쓰구
    다누마 오키쓰구는 에도 시대 후기 쇼군의 신임을 얻어 로주에 올라 막부 재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부정부패와 농촌 황폐화로 비판받으며 실각한 인물이다.
  • 1719년 출생 -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는 "보니 프린스 찰리"라는 애칭으로 알려진 18세기 자코바이트 반란 지도자이자 스튜어트 왕가의 왕위 요구자였으나, 컬로든 전투에서 패배 후 망명 생활을 하며 왕위 계승의 꿈을 이루지 못했다.
  • 베트남의 역사 - 응우옌 왕조
    응우옌 왕조는 응우옌 푹 아인이 떠이선 왕조를 무너뜨리고 1802년부터 1945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왕조로,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중앙집권화를 추진했으며, 프랑스 침략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가 되었고, 베트남 역사상 최초로 현재의 베트남과 거의 같은 영토를 통일했다.
  • 베트남의 역사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레 의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레 주이 턴 (Lê Duy Thận/黎維祳/여유신)
별칭태상황 (太上皇)
다른 이름레 주이 이 (Lê Duy Y/黎維禕/여유의)
묘호의종 (Ý Tông/懿宗)
시호온가장숙개제통민환홍연예휘황제 (Ôn Gia Trang Túc Khải Túy Minh Mẫn Khoan Hồng Uyên Duệ Huy Hoàng đế/溫嘉莊肅愷悌通敏寬洪淵睿徽皇帝)
능호부여릉 (Phù Lê Lăng/扶黎陵)
출생일빈틴 (永盛) 15년 2월 9일 (1719년 3월 29일)
사망일까인흥 (景興) 20년 윤 6월 16일 (1759년 8월 10일)
매장지부여릉
통치 정보
국가대월
칭호황제
왕조후 레 왕조
재위 기간1735년 ~ 1740년
즉위일빈흐우 (永祐) 원년 윤 4월 27일 (1735년 6월 17일)
연호빈흐우 (永祐) 1735년 ~ 1740년
전임자투언 똔간황제(純宗簡皇帝)
후임자히엔 똔영황제(顯宗永皇帝)
섭정찐장
추가 통치 정보
칭호태상황
재위 기간1740년 6월 14일 ~ 1759년 8월 10일
전임자유종(裕宗)
가족 관계
아버지유종화황제(裕宗和皇帝)
어머니헌자황태후(憲慈皇太后)

2. 생애

레 의종은 1719년 3월 29일(빈틴 15년 2월 9일) 레 유종의 11번째 아들로 태어나, 찐끄엉의 정실 부인 부티응옥응우옌의 손에 찐 주의 왕부에서 자랐다.[1] 1735년 맏형 레 순종이 죽자 찐장에 의해 황제로 옹립되었고, 연호를 빈흐우로 정했다.[1]

1740년 정월, 찐장이 폐위되고 찐조아인이 왕위에 오르면서 찐조아인은 레 순종의 아들 레주이지에우를 황제로 세우려 했다. 결국 같은 해 5월 21일 의종은 레주이지에우에게 양위하고 태상황이 되었다.[1]

1759년 윤6월 18일, 의종은 세상을 떠났고, 묘호는 의종, 시호는 온가장숙개제통민환홍연예휘황제로 정해졌다.[1]

2. 1. 초기 생애와 즉위

빈틴 15년 2월 9일(1719년 3월 29일)에 레 유종의 11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찐끄엉의 정실(正室)인 부티응옥응우옌(武氏玉源)의 조카였으며, 그녀에 의해 찐 주의 왕부(王府)에서 양육되었다.[1]

롱득 4년(1735년), 맏형인 레 순종이 사망하자 찐장은 그가 순종과 용모가 닮았다는 이유로 황제로 옹립하였다. 연호를 빈흐우로 고치고, 생일을 춘화성절(春和聖節)이라 하였다.[1]

2. 2. 퇴위와 사망

1740년 정월, 정왕태비(鄭王太妃) 부티응옥응우옌(武氏玉源)이 찐장을 퇴위시키고 찐조아인을 왕으로 옹립하였다. 찐조아인은 레 순종의 아들 레주이지에우가 적자(嫡子) 출신이라 여겨 황제로 옹립하려고 했다.[1] 같은 해 5월 21일(6월 14일), 찐조아인의 요구에 따라 레주이지에우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태상황으로 물러났다.[1]

1759년 윤6월 18일(8월 10일) 사망하였다.[1] 묘호는 의종(懿宗), 시호는 온가장숙개제통민환홍연예휘황제(溫嘉莊肅愷悌通敏寬洪淵睿徽皇帝)이다.[1]

3. 연호

레 의종은 재위 기간 동안 빈흐우(永祐) 연호를 사용하였다. 연호와 관련된 정보는 다음 표와 같다.

연호원년2년3년4년5년6년
서력1735년1736년1737년1738년1739년1740년
간지을묘(乙卯)병진(丙辰)정사(丁巳)무오(戊午)기미(己未)경신(庚申)
영우(永祐)원년2년3년4년5년6년


4. 기년

의종원년2년3년4년5년6년
서력(西曆)1735년1736년1737년1738년1739년1740년
간지(干支)을묘(乙卯)병진(丙辰)정사(丁巳)무오(戊午)기미(己未)경신(庚申)
연호(年號)영우(永祐) 원년2년3년4년5년6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