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미국 지원을 받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다. 지엠 정권은 권위주의와 부패로 국민적 지지를 잃었고, 베트콩의 게릴라 활동으로 내전이 격화되었다. 1963년 지엠 암살 이후 군부 쿠데타가 이어지며 정치적 혼란이 심화되었고, 톤킨만 사건을 계기로 미국이 본격적으로 개입했다. 1967년 응우옌반티에우 정권이 수립되었으나, 1973년 파리 평화 협정에도 불구하고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베트남 공화국은 대통령 중심제 공화국이었으며, 미국과의 긴밀한 외교 관계를 유지했지만, 경제는 미국의 원조에 크게 의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Military of South Vietnam - 베트남 공화국군
베트남 공화국군은 1955년 베트남 공화국 수립과 함께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에서 북베트남군 및 베트콩과 싸웠으나, 부패와 낮은 사기 등으로 1975년 베트남 공화국 붕괴와 함께 해체된 군대이다. - Military of South Vietnam - 베트남 공화국 육군
베트남 공화국 육군은 1955년 남베트남에서 창설되어 베트콩의 게릴라전에 대응하며 미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았으나, 부패와 사기 저하, 지원 감소로 1975년 사이공 함락과 함께 붕괴된 군대이다. - 남베트남 - 남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공화국은 베트남 전쟁 중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주축으로 수립된 임시혁명정부로서, 남베트남에 대항하며 "독립, 민주, 평화, 중립"을 표방했으나, 사이공 함락 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에 흡수되었고, 북베트남의 괴뢰 정부로 평가받는다. - 남베트남 - 베트남국
베트남국은 1949년 프랑스 연합 내에서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인정받아 바오다이 황제를 수반으로 건국되었으나, 반공주의를 내세우며 베트남 전토의 영유권을 주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통치 지역은 남베트남 일부에 국한되었으며, 1955년 응오딘지엠에 의해 멸망했다. - 베트남의 옛 나라 - 남베트남 공화국
남베트남 공화국은 베트남 전쟁 중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주축으로 수립된 임시혁명정부로서, 남베트남에 대항하며 "독립, 민주, 평화, 중립"을 표방했으나, 사이공 함락 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에 흡수되었고, 북베트남의 괴뢰 정부로 평가받는다. - 베트남의 옛 나라 - 참파
참파는 현재 베트남 중부와 남부 지역에 위치했던 고대 왕국으로, 오스트로네시아계 참족이 건설하여 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아 힌두교와 불교가 융성했으며 해상 무역으로 번성했으나 크메르 제국과 대월의 침략으로 쇠퇴하여 1471년 대월에 의해 멸망한, 통일 왕국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는 다민족 국가이다.
베트남 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베트남 공화국 |
현지 명칭 | 베트남어: Việt Nam Cộng hòa 프랑스어: République du Viêt Nam |
일반 명칭 | 남베트남 |
국가 표어 | 1954년-1967년: 조국 – 명예 – 책임 () 1967년-1975년: 조국 – 공명 – 염정 () |
국가 (國歌) | 시민에게 고함 () |
수도 | 사이공 |
가장 큰 도시 | 수도 |
공용어 | 베트남어 |
국가 언어 | 프랑스어 |
종교 | 불교 기독교 유교 도교 베트남 민속 종교 카오다이교 호아하오교 |
통화 | 동 |
시간대 | 사이공 표준시 (SST) |
UTC 오프셋 | +8 |
차량 통행 방향 | 오른쪽 |
현재 국가 | 베트남 |
정치 | |
정치 체제 | 1955년–1956년: 단일 우위 정당 대통령 공화국 1956년–1963년: 단일 대통령 공화국 하의 독재 1963년–1967년: 단일 대통령 입헌 공화국 하의 군사 독재 1967년–1969년: 단일 대통령 입헌 공화국 1969년–1975년: 단일 대통령 입헌 공화국 하의 군사 독재 |
대통령 | 응오딘지엠 (1955년–1963년) 공석 (군사정부 (1963년–1967년) 응우옌반티에우 (1967년–1975년) 쩐반흐엉 (1975년) 즈엉반민 (1975년) |
부통령 | 응우옌응옥토 (1956년–1963년) 공석 (1963년–1967년) 응우옌까오끼 (1967년–1971년) 쩐반흐엉 (1971년–1975년) 응우옌반후옌 (1975년) |
총리 | 응우옌응옥토 (1963년–1964년) 부반마우 (1975년) |
입법부 | 국회 |
상원 | 상원 |
하원 | 하원 |
역사 | |
시대 | 냉전 |
건국 | 국민투표 (1955년 10월 26일) |
베트남 전쟁 시작 | 1955년 11월 1일 |
1963년 쿠데타 | 1963년 11월 2일 |
제2공화국 수립 | 1967년 4월 1일 |
파리 평화 협정 | 1973년 1월 27일 |
멸망 | 사이공 함락 (1975년 4월 30일) |
인구 | |
1955년 | 약 1200만 명 |
1968년 | 16,258,334 명 |
1974년 | 19,582,000 명 |
인구 밀도 (1968년 기준) | 93.55명/km² |
면적 | |
면적 | 173,809 km² |
2. 역사
== 역사 ==
1955년 10월 26일, 미국의 지원을 받은 응오딘지엠이 반대 세력을 제거하고 국호를 “베트남 공화국”으로 정하며 초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미국은 군사 원조를 약속했지만, 지엠 정권은 권위주의적 통치와 심각한 부정부패로 국민들의 불만을 샀다. 1959년부터는 반정부 게릴라 활동이 활발해졌고, 1960년에는 베트콩(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NLF)이 성립하여 지엠 정권과 미국의 타도를 목표로 게릴라 활동을 시작하면서 베트남 전쟁이 발발했다. 1963년, 지엠 정권의 가톨릭 우대 정책에 대한 불교도들의 반발이 격화되어 분신자살 사건까지 발생했고, 미국의 지엠 정권 지원 철회로 이어졌다. 같은 해 11월 1일, 군사 쿠데타로 지엠 대통령이 살해되면서 지엠 정권은 붕괴되었다. 1963년 베트남 공화국 군사 쿠데타는 남베트남의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켰다. 이후 1964년 발생한 톤킨만 사건을 계기로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본격 개입했고, 1967년까지 끊임없는 군사 쿠데타가 이어지며 남베트남 사회는 극심한 불안정에 빠졌다. 1967년 응웬반티우와 응웬카오키가 새로운 헌법을 공포하고 새로운 정권이 수립되었지만, 베트남 주둔 미군은 50만 명을 넘어섰다. 1968년 1월, 베트콩이 테트 공세를 감행했고, 같은 해 5월 티우 정권은 민정화를 선포하며 파리 평화 회담이 개최되었다. 1968년 10월, 린든 존슨 미국 대통령은 북베트남 폭격을 전면 중지했다. 1969년 6월, NLF는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 혁명 정부를 수립했고,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은 미군 철수를 선언했다. 1970년에는 미국과 남베트남군이 캄보디아를 침공했고, 같은 해 의회 선거에서 불교도 세력이 약진했다. 1971년에는 남베트남군이 라오스를 침공했다가 철수했고, 1972년 북베트남과 베트콩의 대공세가 시작되었다. 1973년 1월, 파리 협정이 체결되고 미군이 철수했지만, 1975년 3월 북베트남군의 맹공이 시작되었고, 4월 30일 사이공이 함락되면서 베트남 공화국은 붕괴되었다. 사이공 함락 이후의 내용은 남베트남 공화국 항목을 참조하라.
'''참고:''' 본 섹션의 내용은 한국의 관점에서, 특히 민주당의 시각을 반영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응오딘지엠 정권의 부패와 권위주의적 통치, 그리고 미국 개입의 부정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2. 1. 건국 이전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베트남 남부 3분의 1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인 프랑스령 코친차이나였습니다. 프랑스 총독이 인도차이나 전 지역을 관할했고, 코친차이나에는 프랑스 주지사가 통치했습니다. 하지만 코친차이나의 토착 지식인과 부유층은 다른 지역과 달리 프랑스 시민권을 부여받지 못했습니다. 베트남 북부는 프랑스 총독의 통치를 받았고, 북부와 남부 사이에는 프랑스 보호령인 안남이 있었습니다. 후에에 거주하는 베트남 황제 바오다이는 안남과 톤킨의 명목상 통치자였으나, 그의 영향력은 안남보다 톤킨에서 더욱 미약했습니다. 코친차이나(Cochinchina)는 1862년 프랑스에 병합되었고, 심지어 프랑스 국민의회에 의원을 파견하기도 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인도차이나(Indochina)는 비시 프랑스의 통치를 받았고, 1940년 9월 일본에 점령당했습니다. 1945년 3월 9일 일본군은 비시 프랑스 행정부를 전복시켰고, 바오다이 황제는 베트남의 독립을 선포했습니다. 1945년 8월 16일 일본이 항복하자, 바오다이는 퇴위했고, 베트민 지도자 호찌민은 하노이에서 베트남 민주 공화국(DRV)을 선포하며 8월 혁명으로 베트남 전역을 거의 장악했습니다. 1946년 6월, 프랑스는 코친차이나를 북부와 중부 지역과 분리된 공화국으로 선포했습니다. 중국 국민당 군대가 북위 16도선 이북의 베트남을 점령했고, 영국군이 이끄는 군대가 9월에 남부를 점령했습니다. 영국군은 프랑스군의 귀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베트민과 싸웠습니다. 1946년 12월 19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전쟁이 시작되었고, 프랑스는 하노이와 다른 많은 도시들을 다시 장악했습니다.베트남국은 1949년 6월 14일 반공주의 베트남인들과 프랑스 정부 간의 협력을 통해 수립되었습니다. 전 황제 바오다이는 국가 원수직을 수락했습니다. 이를 "바오다이 해결책"이라고 불렀습니다. 베트남의 식민지 투쟁은 전 세계적인 냉전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1950년, 중국, 소련 및 기타 공산 국가들은 베트남 민주 공화국(DRV)을 승인했고, 미국 및 기타 비공산 국가들은 바오다이 정부를 승인했습니다.
1954년 7월, 프랑스와 베트민은 1954년 제네바 협정에서 베트남을 북위 17도선을 경계로 일시적으로 분할하고, 1956년 감독 하에 실시될 통일을 기다리는 동안 베트남국이 북위 17도선 이남 지역을 통치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하지만 미국 지원을 선호했던 남베트남 총리 응오딘지엠은 이 합의를 거부했습니다. 베트남 분할 당시, 주로 로마 가톨릭 신자였던 80만 명에서 100만 명에 달하는 북베트남 주민들이 북부에서의 종교 박해에 대한 두려움으로 프리덤으로의 항로 작전의 일환으로 남쪽으로 향했습니다. 약 9만 명의 베트민이 북쪽으로 철수했고, 일부 간부들이 남쪽에 남았습니다. 사이공-졸론 평화 위원회, 최초의 베트콩 전선이 1954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일본군 철수 후 권력 공백을 이용해 베트민은 하노이 쿠데타를 통해 장쩌민 정권을 붕괴시키고 독립을 선언했습니다. 프랑스는 코친차이나 공화국 건국이나 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를 거쳐 바오다이를 국가원수로 세우는 등 친프랑스 정권 수립을 시도했지만 실패했습니다. 결국 베트민 정권은 중국과 소련의 지원을 받는 공산주의 정권이 되었고, 프랑스 주둔군과의 충돌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발발했습니다. 베트남 민주 공화국은 소련과 중국의 군사 원조를 바탕으로 프랑스군을 몰아냈습니다. 프랑스의 패배를 우려한 미국은 도미노 이론을 제창하고 공산주의 확산 방지에 나섰습니다. 미국의 지원으로 응오딘지엠은 1955년 10월 26일 남부에서 반대 세력을 제거하고, 국호를 “베트남 공화국”으로 하여 정권을 수립했습니다.
2. 2. 제1공화국 (1955-1963)
1955년 10월, 응오딘지엠이 미국의 지원을 받아 베트남 공화국을 수립하고 초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응오딘지엠은 미국식 자유민주주의를 표방했으나, 권위주의적인 통치와 심각한 부정부패로 국민들의 불만을 샀다. 1955년 베트남 국가 총선거에서 98%의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이는 조작된 결과라는 비판을 받았다. 토지 개혁은 소작료 제한에 그쳐 농민들의 삶을 개선하지 못했고, 오히려 소작 쟁의를 야기했다. 소작농 탄압과 종교 차별 정책(특히 불교 탄압)은 민심 이반을 심화시켰다.이러한 상황 속에서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콩)이 결성되어 게릴라 활동을 시작했다. 미국은 행정 고문관을 파견하여 농촌 통제 정책을 실시했지만, 이는 농민들의 반감만 키웠다. 응오딘지엠 정권의 부패와 무능은 베트콩의 세력 확장을 더욱 가속화시켰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과 존 포스터 덜레스 국무장관은 1957년 응오딘지엠을 만나 지지를 표명했지만, 이는 정권의 문제점을 가리지는 못했다. 1956년에 예정된 베트남 통일을 위한 선거는 응오딘지엠에 의해 거부되었고, 국제 감시 위원회는 공정한 선거가 불가능하다고 보고했다. 1956년, 미국의 압력으로 시행된 토지 개혁 또한 부유층의 이익을 보호하는 형태로 진행되어 실패로 끝났다. 1959년, 북베트남은 남베트남에 대한 인민전쟁을 결정하고, 베트콩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응오딘지엠은 베트콩을 탄압했지만, 그 과정에서 무고한 농민들을 탄압하여 오히려 반감만 키웠다. 결국, 1963년 11월 1일, 1963년 베트남 공화국 군사 쿠데타로 응오딘지엠은 살해당하고 그의 정권은 붕괴되었다.
2. 3. 군부 시기 (1963-1967)
응오딘지엠 정권은 군부 장교들의 지지를 확보하는 데 실패했다. 당시 남베트남군 장교 대다수는 프랑스 식민지 시절 복무 경험이 있었는데, 지엠은 정권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이들을 배제하려 했다. 이는 군부 내 지지 기반 약화로 이어졌다. 결국 1963년, 군부 실세이자 군사 최고 고문이었던 즈엉반민이 쿠데타를 일으켜 응오딘지엠을 살해했다. 그러나 즈엉반민의 집권도 오래가지 못했다. 이후 끊임없는 군부 쿠데타로 남베트남은 극심한 정치적 혼란에 빠져 제대로 된 국정 운영이 불가능해졌다. 특히 1963년 5월 8일 발생한 훼이 불교 사찰 총격 사건은 불교 위기를 촉발시켜 대규모 반정부 시위와 민중 저항을 불러왔다. 전국적으로 베트남 공화국군 특수부대가 불교 사찰을 습격하는 사건까지 발생하며 수백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상황은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되었다. 결국 11월 1일, 미국의 묵인 아래 응오딘지엠은 쿠데타로 축출되어 살해당했다. 지엠의 몰락은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키고 사이공 정부의 정통성을 떨어뜨렸다. 양반민 장군이 대통령이 되었지만, 1964년 1월 응우옌카인 장군의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이후 판칵수가 국가 원수가 되었으나 실권은 카인이 이끄는 군사 정부에 있었고, 내부 분열은 계속되었다. 1964년 8월 2일 발생한 톤킨만 사건은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을 급격히 확대시켰고, 연말까지 약 20만 명의 미군이 파병되었다. 카인은 붕따우 헌장이라는 새로운 헌법을 통해 권력을 강화하고 시민의 자유를 억압하려 했지만, 광범위한 시위와 파업에 직면하여 결국 물러났다. 1964년 9월과 1965년 2월에도 쿠데타 시도가 이어졌고, 결국 1965년 2월 쿠데타 이후 응우옌까오끼 공군 원수가 총리, 응웬반티우 장군이 명목상의 국가 원수가 되었다. 끼와 티우는 1967년까지 남베트남을 통치하며, 어느 정도 정치적 안정을 가져왔다. 그러나 검열과 시민의 자유 억압, 그리고 반공 노력 강화 등 권위주의적 통치를 펼쳤다. 미국의 압력으로 1967년 대통령과 의회 선거가 치러졌지만, 대통령 선거에서 티우가 3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는데, 이 선거는 광범위한 비판을 받았다.2. 4. 제2공화국 (1967-1975)
1967년, 응우옌반티에우가 군부의 지지를 얻어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베트남 공화국의 행정 혼란은 다소 완화되었다. 그러나 부정부패와 행정 무능, 권위주의는 여전히 심각한 문제로 남아 있었다. 특히, 미군과 대한민국 국군 등 다수의 지원군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공화국군은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콩)에 빈번하게 패배하며 전쟁 수행 능력의 부재를 드러냈다.1973년 1월 27일, 파리 평화 협정 체결로 베트남 전쟁이 종전되고 미군이 철수했지만, 남베트남의 상황은 개선되지 않았다. 산악 지대는 이미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남베트남 인민혁명당이 장악하고 있었고, 남베트남 정부의 무능과 부패, 심각한 빈부격차는 여전했다. 미국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공산측의 휴전 위반 시 미국이 군사적으로 개입할 것이라고 시사했으나, 미국 내 여론의 반발과 케이스-처치 수정안 통과로 인해 실질적인 군사 개입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1973년 10월 발생한 석유 파동은 남베트남 경제에 큰 타격을 입혔고, 심각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남베트남 정부는 군인 급여 지급에도 어려움을 겪었다.
1974년 1월, 잇따른 충돌로 전쟁이 재개되었고, 같은 해 8월 닉슨 대통령의 사임과 미국 의회의 남베트남 지원 감축으로 인해 남베트남의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1974년 12월, 북베트남군은 푸억롱 전투를 통해 남베트남군의 전투력과 정치적 의지를 시험했고, 미국의 군사적 지원 없이 푸억롱 주도가 함락되는 결과를 맞았다.
1975년, 북베트남군은 호치민 공세를 시작하여 반메투엇 전투에서 승리하고, 중부 고원을 장악했다. 남베트남군은 방어와 반격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응우옌반티에우 대통령은 주요 군 부대의 철수를 명령했다. 이는 군사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고, 남베트남군의 사기 저하를 불러왔다. 북베트남군은 후에와 다낭을 점령하고 남쪽으로 진격했으며, 4월 초에는 남베트남 영토의 3분의 2 가까이를 장악했다. 응우옌반티에우 대통령은 미국 제럴드 포드 대통령에게 지원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고, 결국 4월 21일에 사임하고 타이완으로 망명했다. 후임 대통령 장빈민 장군은 북베트남에 무조건 항복했고, 4월 30일 사이공이 함락되면서 베트남 공화국은 멸망했다. 사이공 함락 직전, 미국은 프리퀀트 윈드 작전을 통해 미국 정부 직원과 남베트남 고위 인사들을 대피시켰다. 4월 30일 남베트남 전역에서 남베트남 혁명 임시 정부의 주권이 확정되면서 베트남 공화국은 공식적으로 붕괴되었다. 사이공 함락
3. 정부
베트남 공화국은 대통령 중심제 공화정이었으며, 대통령이 국가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이었다. 초기에는 의회의 권한이 상대적으로 컸으나, 군사 쿠데타와 정치적 불안정 속에서 대통령의 권력이 점점 강화되어 사실상 독재 체제로 변질되었다. 여러 차례의 군사 쿠데타가 발생했고, 정권은 끊임없이 불안정한 상태였다. 정치적 반대파에 대한 탄압 또한 심각했으며, 언론의 자유도 제한되었다. 이는 베트남 전쟁 장기화와 더불어 베트남 공화국 정부의 불신을 증폭시켰고, 결국 공산 정권의 승리로 이어졌다. Ngo Dinh Diem 정권 이후, 여러 군부 독재 정권이 등장하며 국민들의 지지를 잃어갔다. 반면, 북베트남은 공산주의 이념 아래 통합된 체제를 유지하며 전쟁을 지속적으로 수행했다. 결국, 이러한 정부의 무능과 부패는 베트남 공화국의 몰락에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3. 1. 정부 조직
베트남 공화국 정부는 여러 부처로 구성되었으며, 각 부처의 장은 총장(Tổng trưởng)이 맡았다. 주요 부처는 다음과 같다.- 문화교육부 (''Bộ Văn hóa Giáo dục''): 33–5 Lê Thánh Tôn[27]
- 외교부 (''Bộ Ngoại giao''): 4–6 Rue Colombert (현재 4–6 Alexandre de Rhodes)[27]
- 보건부 (''Bộ Y tế''): 57–9 Hong Thap Tu (현재 57-9 Nguyễn Thị Minh Khai)[27]
- 사법부 (''Bộ Tư pháp''): 47 Lê Duẩn[27]
- 국방부 (''Bộ Quốc phòng''): 63 Lý Tự Trọng[27]
- 베트남 공화국 국가경찰 (''Bộ Tư lệnh Cảnh sát Quốc gia''): 258 Nguyễn Trãi[27]
- 건설교통부 (''Bộ Công chính và Truyền thông''): 92 Nam Kỳ Khởi Nghĩa[27]
- 혁명개발부: (주소 정보 없음)
, , , , , , 부분은 원문에서 괄호 안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본문에 필요한 정보가 아니라고 판단되어 제거했습니다. 또한, 주소 정보가 없는 혁명개발부의 경우 주소 정보를 추가할 수 없어 그대로 남겨두었습니다. 추후 정보가 확인되면 추가 바랍니다.
4. 남베트남의 지도자 목록
베트남 공화국의 지도자는 다음과 같다. 응오딘지엠은 1955년 10월 26일부터 1963년 11월 2일까지 집권했으나, 미국이 지원한 쿠데타로 축출되어 암살당했다.[29] 이후 즈엉반민이 1963년 11월 2일부터 1964년까지 권력을 잡았고, 응우옌카인이 1964년에 잠시 집권했다. 판칵스우는 1964년부터 1965년 6월까지 지도자 역할을 맡았다. 응우옌반티에우는 1965년 6월부터 1975년 4월 21일까지 베트남 공화국 대통령으로 재임했으며, 사이공 함락 직전 중화민국으로 망명했다.[29] 1975년 4월 21일부터 26일까지는 쩐반흐엉이 대통령직을 수행했으나, 4월 26일에 베트남을 탈출했다. 마지막으로 즈엉반민이 1975년 4월 28일부터 4월 30일까지 다시 대통령직을 맡았다가 사이공 함락과 함께 베트콩에게 항복했다.[29] 이 외에도 1946년부터 1955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여러 지도자들이 있었는데, 코친차이나 자치 공화국 시절에는 응우옌 반 티잉과 레 반 호아치, 응우옌 반 쑤언 등이 있었다.[29] 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 시절에는 다시 응우옌 반 쑤언이 지도자 역할을 맡았고,[29] 베트남국 시대에는 바오다이가 국가원수로 재임했다.[29] 1963년부터 1965년까지는 여러 차례 쿠데타가 발생하여 여러 단명한 정부가 수립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응우옌까오끼가 군사정권의 마지막 지도자로서 수상직을 역임했다.[29]
5. 지리
베트남 공화국의 지리는 크게 남부의 해안 저지대, 중부 고원(Cao-nguyen Trung-phan) 산악 지대, 그리고 메콩 삼각주로 나뉜다. 표준시는 북베트남보다 1시간 앞선 UTC+8 시간대였으며, 필리핀,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중국, 대만, 서호주 등과 같은 시간대를 사용했다. 본토 외에도 파라셀 군도와 스프래틀리 군도의 일부를 관할했으나, 1974년 파라셀 군도 해전 이후 중국이 파라셀 군도의 지배권을 장악했다. 국토 면적은 17만 3,809km²였고, 최고봉은 안남산맥의 아투아트 산(2,500m)이다. 열대몬순기후로 항상 더운 편이며, 우기는 5월부터 10월까지다. 사이공(호찌민)의 월평균 기온은 25~29℃, 연간 강수량은 약 1,800mm이다. 주요 도시로는 수도 사이공(호찌민, 1968년 당시 인구 168만 명), 다낭, 후에, 달랏 등이 있다.
6. 정치
베트남 공화국의 정치는 짧은 기간 동안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는 바오다이 황제가 국가 원수였지만, 프랑스 협력자로 여겨지면서 인기가 없었다. 1955년 응오딘지엠 총리는 조작된 국민투표를 통해 바오다이를 폐위하고 베트남 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초기 성공에도 불구하고, 지엠은 독재적인 지도자가 되었고, 1963년 미국 CIA의 지원을 받은 쿠데타로 암살당했다.
이후 군부는 1964년 1월 응우옌칸의 쿠데타까지 짧은 군정을 유지했고, 1965년 말까지 여러 차례의 쿠데타와 정권 교체가 이어졌다. 1965년, 군부는 국가의 안정을 위해 다시 권력을 장악했고, 준대통령제로 정부 체제를 전환했다. 응우옌까오끼가 수상, 응우옌반티우가 국가 원수가 되면서 잠시 안정을 찾았지만, 까오끼의 강경한 통치와 억압적인 태도는 불교 봉기를 불러일으켰다.
1967년 단원제 국회는 양원제로 개편되었고, 응우옌반티우는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티우는 권력을 강화했고, 1971년 재선에 성공했지만, 그의 통치는 부정선거 논란을 벗어나지 못했다. 1975년 4월 21일 티우는 사임했고, 4월 30일 공산군에게 무조건 항복하면서 베트남 공화국은 멸망했다. 국회는 사이공 오페라 하우스(현 호찌민시 시립극장), 상원은 현재 호찌민시 증권거래소 건물에 위치해 있었다.
남베트남 정부는 많은 정치범을 구금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국제앰네스티는 1973년 보고서에서 수감자 수를 20만 명 이상으로 추산했고, 그중 상당수가 "공산주의자"로 분류된 정치범이었다. 의원내각제를 표방했지만, 군부의 쿠데타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정치적 불안정을 야기했다. 이는 장기간의 식민지 지배와 우민화 정책, 민족 운동 탄압 등의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대통령의 임기는 4년이었고, 1966년 제헌의회에서 헌법을 초안하여 1967년 새로운 헌법을 공포했다. 하지만 1971년 대통령 선거는 티우의 압도적인 승리에도 불구하고 부정선거 의혹을 받았다.
6. 1. 역대 대통령/국가원수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의 역대 국가원수 및 대통령은 다음과 같다.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부터 1975년 사이공 함락까지 존재했으며, 이 기간 동안 여러 차례의 정권 교체와 쿠데타가 발생했다. 특히 미국이 지원한 정권이 다수를 차지했으며, 그들의 정책은 종종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응오딘지엠 (Ngô Đình Diệm): 1955년 10월 26일부터 1963년 11월 2일까지 재임. 초기에 미국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패로 비판받았다. 결국 미국이 지원한 쿠데타로 축출되어 암살당했다.
- 즈엉반민 ( Dương Văn Minh): 1963년 11월 2일부터 1964년까지, 그리고 1975년 4월 28일부터 4월 30일까지 재임. 1963년 쿠데타 이후 잠시 권력을 잡았으며, 1975년 사이공 함락 당시에는 남베트남 정부의 항복을 선언했다.
- 응우옌카인 (Nguyễn Khánh): 1964년에 잠시 권력을 장악했다. 여러 차례의 쿠데타와 정치적 혼란 속에서 단명한 정권을 이끌었다.
- 판칵스우 (Phan Khắc Sửu): 1964년부터 1965년 6월까지 재임. 정치적 불안정 속에서 짧은 기간 동안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 응우옌반티우 (Nguyễn Văn Thiệu): 1965년 6월부터 1975년 4월 21일까지 재임. 미국의 지원을 받은 정부를 이끌었으나, 베트남 전쟁에서의 패배로 인해 1975년 4월 21일 중화민국으로 망명했다. 그의 정권은 부패와 무능력으로 비판받았으며, 전쟁 수행 방식에 대한 논란도 컸다.
- 쩐반흐엉 ( Trần Văn Hương): 1975년 4월 21일부터 4월 26일까지 재임. 응우옌반티우의 망명 이후 짧은 기간 동안 대통령직을 수행했고, 베트남 공화국이 붕괴 직전 4월 26일에 탈출했다.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 중반까지 베트남은 프랑스의 지배 아래 있었고, 그 과정에서 여러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 시기의 지도자들은 다음과 같다.
- 프랑스 코친차이나 자치 공화국 (Chính phủ Cộng hoà Nam Kỳ tự trị): 1946년 - 1947년
- 응우옌 반 티잉 (Nguyễn Văn Thắng) (1946년)
- 레 반 호아치 (Lê Văn Hoạch) (1946년–1947년)
- 응우옌 반 쑤언 (Nguyễn Văn Xuân) (1947년–1948년)
- 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 (Chính phủ lâm thời Quốc gia Việt Nam): 1948년–1949년
- 응우옌 반 쑤언 (Nguyễn Văn Xuân) (1948년–1949년)
- 베트남국 (Quốc gia Việt Nam): 1949년–1955년
- 바오다이 (Bảo Đại) (1949년–1955년):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황제에서 퇴위하여 국가원수로 재직했다.
이들은 모두 베트남 전쟁과 남베트남의 몰락이라는 격변의 시대를 배경으로 활동했던 인물들이다. 그들의 통치는 성공과 실패, 그리고 논란을 동반했으며, 이후 베트남 역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6. 2. 정부 부처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의 주요 정부 부처는 다음과 같다. 각 부처의 장은 총장(Tổng trưởng)이 맡았다.- 문화교육부 (''Bộ Văn hóa Giáo dục''): 33–5 Lê Thánh Tôn[27] 당시 베트남의 문화와 교육 정책을 담당했던 부처이다. 진보적인 교육 개혁을 추진했는지, 아니면 보수적인 정책을 유지했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 외교부 (''Bộ Ngoại giao''): 4–6 Rue Colombert (현재 4–6 Alexandre de Rhodes)[27] 베트남 공화국의 대외 관계를 담당하는 중요한 부처였다. 미국과의 관계를 중시했던 외교 정책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보건부 (''Bộ Y tế''): 57–9 Hong Thap Tu (현재 57-9 Nguyễn Thị Minh Khai)[27] 국민의 건강 증진을 위해 노력했을 것으로 예상되나, 당시 의료 시스템의 현황과 한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 사법부 (''Bộ Tư pháp''): 47 Lê Duẩn[27] 법률 제정 및 사법 시스템 운영을 담당했던 부처이다. 법치주의 확립에 기여했는지, 아니면 권위주의적 성향을 보였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 국방부 (''Bộ Quốc phòng''): 63 Lý Tự Trọng[27] 베트남 공화국의 군대를 통솔하고 방위 정책을 수립했던 핵심 부처였다. 베트남 전쟁과 관련된 국방부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 국가경찰사령부 (''Bộ Tư lệnh Cảnh sát Quốc gia''): 258 Nguyễn Trãi[27] 치안 유지 및 사회 질서 확립을 담당했던 부서이다. 당시 경찰의 역할과 인권 문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 건설교통부 (''Bộ Công chính và Truyền thông''): 92 Nam Kỳ Khởi Nghĩa[27] 국가의 기반 시설 건설 및 교통 시스템 관리를 담당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당시 베트남의 사회기반시설 현황과 개선 노력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 혁명개발부: 구체적인 내용이 부족하여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혁명개발부의 역할과 정책 목표에 대한 설명이 추가되어야 한다.
6. 3. 행정 구역
1974년 당시 베트남 공화국은 44개 성과 11개 직할시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다음은 주요 성들의 목록입니다. 괄호 안은 베트남어 명칭과 한국어 발음을 병기했습니다. 일부 지역은 당시 명칭과 현재 명칭이 다르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사이공은 현재 호찌민 시로 불립니다.성 (한국어) | 성 (베트남어) | 성도 (한국어) | 성도 (베트남어) |
---|---|---|---|
호찌민 특별시 (사이공) | Thành phố Hồ Chí Minh|쩨잉 포 호찌민vi | ||
박리에우성 | Bạc Liêu|박리에우vi | 박리에우 | Bạc Liêu|박리에우vi |
프억투이성 (Phước Tuy) | Phước Tuy|프억 투이vi | 바리아-붕따우 (Phước Lễ) | Phước Lễ|프억 레vi |
안슈옌성 (An Xuyên) | An Xuyên|안 슈옌vi | 까마우 (Quản Long) | Quản Long|콴 롱vi |
키엔장성 | Kiên Giang|키엔 장vi | 락자 | Rạch Giá|락 자vi |
키엔화성 (Kiến Hòa) | Kiến Hòa|키엔 호아vi | 벤쩌 (Trúc Giang) | Trúc Giang|쭉 장vi |
타이닌성 | Tây Ninh|따이닌vi | 타이닌 | Tây Ninh|따이닌vi |
닥락성 | Đắk Lắk|닥 락vi | 부온마투엇 | Buôn Ma Thuột|부온 마 투엇vi |
카인호아성 | Khánh Hòa|카인 호아vi | 냐짱 | Nha Trang|냐짱vi |
꼰뚜므성 | Kon Tum|꼰 투므vi | 꼰뚜므 | Kon Tum|꼰 투므vi |
롱안성 | Long An|롱 안vi | 떤안 | Tân An|떤 안vi |
꽝남성 | Quảng Nam|꽝 남vi | 호이안 | Hội An|호이 안vi |
꽝득성 (Quảng Đức) | Quảng Đức|꽝 득vi | 자응이아 | Gia Nghĩa|자 응이아vi |
꽝띤성 (Quảng Tín) | Quảng Tín|꽝 띤vi | 땀끼 | Tam Kỳ|땀 끼vi |
푸본성 (Phú Bổn) | Phú Bổn|푸 본vi | 아윤파 (Hậu Bổn) | Hậu Bổn|허우 본vi |
플레이쿠성 (Pleiku) | Pleiku|플레이쿠vi | 플레이쿠 | Pleiku|플레이쿠vi |
꽝찌성 | Quảng Trị|꽝 찌vi | 동하 | Đông Hà|동 하vi |
꽝응아이성 | Quảng Ngãi|꽝 응아이vi | 꽝응아이 | Quảng Ngãi|꽝 응아이vi |
빈딘성 | Bình Định|빈 딘vi | 퀴년 | Quy Nhơn|퀴 년vi |
키엔퐁성 (Kiến Phong) | Kiến Phong|키엔 퐁vi | 까오랑 (Cao Lãnh) | Cao Lãnh|까오 랑vi |
프억롱성 (Phước Long) | Phước Long|프억 롱vi | 프억롱 (Phước Bình) | Phước Bình|프억 빈vi |
푸옌성 | Phú Yên|푸 옌vi | 투이호아 | Tuy Hòa|투이 호아vi |
닌투언성 | Ninh Thuận|닌 투언vi | 판랑-타프참 (Phan Rang) | Phan Rang|판 랑vi |
안장성 | An Giang|안 장vi | 롱슈옌 | Long Xuyên|롱 슈옌vi |
빈투언성 | Bình Thuận|빈 투언vi | 판티엣 | Phan Thiết|판 티엣vi |
빈투이성 (Bình Tuy) | Bình Tuy|빈 투이vi | 함탄 (Hàm Tân) | Hàm Tân|함 탄vi |
투아티엔성 (Thừa Thiên) | Thừa Thiên|투아 티엔vi | 후에 | Huế|후에vi |
빈즈엉성 | Bình Dương|빈 즈엉vi | 투자우멋 (Phú Cường) | Phú Cường|푸 끄엉vi |
빈빈성 (Vĩnh Bình) | Vĩnh Bình|빈 빈vi | 짜빈 (Phú Vinh) | Phú Vinh|푸 빈vi |
투옌득성 (Tuyên Đức) | Tuyên Đức|투옌 득vi | 달랏 | Đà Lạt|다 랏vi |
빈롱성 | Vĩnh Long|빈 롱vi | 빈롱 | Vĩnh Long|빈 롱vi |
퐁딘성 (Phong Dinh) | Phong Dinh|퐁 딘vi | 껀터 | Cần Thơ|컨 터vi |
증티엔성 (Chương Thiện) | Chương Thiện|증 티엔vi | 비타인 | Vị Thanh|비 타인vi |
고꽁성 (Gò Công) | Gò Công|고 꽁vi | 고꽁 | Gò Công|고 꽁vi |
딩투엉성 (Định Tường) | Định Tường|딩 투엉vi | 미토 | Mỹ Tho|미 토vi |
비엔호아성 (Biên Hòa) | Biên Hòa|비엔 호아vi | 비엔호아 | Biên Hòa|비엔 호아vi |
자딩성 (Gia Định) | Gia Định|자 딩vi | 호찌민 (자딩) | Gia Định|자 딩vi |
허우응이아성 (Hậu Nghĩa) | Hậu Nghĩa|허우 응이아vi | 득호아현 (Khiêm Cường) | Khiêm Cường|키엠 끄엉vi |
키엔투엉성 (Kiến Tường) | Kiến Tường|키엔 투엉vi | 목호아현 (Mộc Hoá) | Mộc Hoá|목 호아vi |
빈롱성 (Bình Long) | Bình Long|빈 롱vi | 빈롱 (An Lộc) | An Lộc|안 록vi |
롱카인성 (Long Khánh) | Long Khánh|롱 카인vi | 쑤언록 (Xuân Lộc) | Xuân Lộc|쑤언 록vi |
람동성 | Lâm Đồng|람 동vi | 바오록 | Bảo Lộc|바오 록vi |
쩌우독성 (Châu Đốc) | Châu Đốc|쩌우 독vi | 쩌우독 | Châu Đốc|쩌우 독vi |
바슈옌성 (Ba Xuyên) | Ba Xuyên|바 슈옌vi | 속짱 (Khánh Hưng) | Khánh Hưng|카인 흥vi |
사덱성 | Sa Đéc|사 덱vi | 사덱 | Sa Đéc|사 덱vi |
위 표는 1974년 당시 행정 구역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현재와는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당시 사용되었던 일부 지역 명칭은 현재 사용되지 않거나, 다른 지역으로 통합되었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각 지역의 위키백과 항목을 참조하십시오.
6. 4. 자치 지역
베트남 공화국은 역사적으로 행정 구역 조직 개혁을 여러 차례 거쳤다.[31] 1956년 10월 24일, 응우옌딘지엠 대통령은 147a/NV 법령을 통해 행정 구역 시스템을 개혁했는데, 이는 중부 베트남을 중원 중부와 중부 고원으로 나누는 것을 골자로 했다.[31] 중부 지역에는 중앙 정부 대표와 보좌관이 배치되었고, 대표는 부온마투엇, 보좌관은 후에에 사무실을 두었다.[31]1963년 미국이 지원한 쿠데타로 응우옌딘지엠이 축출된 이후, 중부 지역의 중앙 정부 대표는 점차 전술구역 사령관(Tư lệnh Vùng Chiến thuật)의 통제 아래 놓이면서 민정이 군정으로 전환되었다.[31] 하지만 1967년 상원 의원 선거 이후 군정은 다시 민정으로 바뀌었다.[31]
1969년 1월 1일, 응우옌반티우 대통령 재임 중 001/69 법률에 따라 정부 대표와 정부 보좌관 직책이 폐지되었고, 1969년 5월 12일 544 – NĐ/ThT/QTCS 법령으로 중원 중부 지역의 민정은 완전히 폐지되어 전술구역 사령관의 통제 아래 놓이게 되었다.[31]
7. 대외 관계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은 존재 기간 동안 다수의 국가와 외교 관계를 맺었다. 아시아에서는 바레인, 버마(미얀마), 캄보디아(1963년까지, 1970년부터), 중화민국, 인도, 인도네시아(1964년까지), 이란, 이스라엘, 일본, 요르단, 한국(대한민국), 쿠웨이트, 라오스, 레바논, 말레이시아, 네팔, 필리핀,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태국, 튀르키예 등과 관계를 맺었다. 유럽에서는 오스트리아, 벨기에, 키프로스, 덴마크, 프랑스, 서독, 그리스,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모나코, 네덜란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산마리노,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영국 등과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브라질, 캐나다,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도미니카 공화국,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그레나다, 과테말라, 가이아나, 아이티, 온두라스, 자메이카, 멕시코, 니카라과,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트리니다드 토바고, 미국,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등과 관계를 맺었다. 아프리카에서는 보츠와나,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에티오피아, 감비아, 가나, 코트디부아르, 케냐, 레소토, 라이베리아, 말라위, 모로코, 니제르, 나이지리아, 르완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와질란드(에스와티니), 토고, 튀니지, 상볼타(부르키나파소), 자이르(콩고 민주 공화국) 등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오세아니아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 피지, 뉴질랜드, 통가, 서사모아(사모아)와 관계를 맺었다.
특히 미국과는 긴밀한 전략적 동맹 관계를 맺었으며, 인도차이나 전쟁 기간 동안 미국의 지원을 받아 북베트남과 같은 공산 국가에 대한 주요 견제 세력으로 기능했다. 그러나 1954년 제네바 협정에서 약속된 통일 베트남을 위한 선거는 미국의 개입과 남베트남 정부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했고, 이는 베트콩의 게릴라 활동과 베트남 전쟁으로 이어졌다. 미국의 개입은 남베트남 정권을 지탱하는 데 기여했으나, 결국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남베트남은 멸망하고 베트남은 통일되었다. 사이공 함락 이후 남베트남 대사관은 폐쇄되면서 남베트남 제작 영화 필름들을 미국 의회도서관에 기증했다. 남베트남은 또한 아시아 개발 은행, 세계 은행, 국제통화기금 등 여러 국제 기구의 회원국이었다. 미국과의 긴밀한 관계는 남베트남의 외교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미국 중심의 반공주의 노선으로 이어졌다는 비판도 존재한다.[32] [33] [35] [35] [36] [37] [38] [39] [40] [41]
8. 군사
베트남 공화국군(RVNMF; 베트남어: Quân lực Việt Nam Cộng hòa – QLVNCH)은 1955년 12월 30일 공식 창설되었다.[42] 이는 1951년 7월 프랑스 주도의 베트남 국군(Quân Đội Quốc Gia Việt Nam – QĐQGVN, 프랑스어: Armée Nationale Vietnamiènne – ANV)으로 통합된 프랑스 연합군의 식민지 인도차이나 보조 부대(프랑스어: Supplétifs) 출신으로 구성되었다. 1950년대 중반에는 육군, 공군, 해군으로 구성되었다.
- 베트남 공화국 육군 (ARVN)
- 베트남 공화국 공군 (RVNAF)
- 베트남 공화국 해군 (RVNN)
- 베트남 공화국 해병대 (RVNMD)
베트남 공화국군의 임무는 자유 베트남 국가와 공화국의 주권을 보호하고, 내부 안보를 유지하여 정치적, 사회적 질서와 법치를 확립하며, 외부 및 내부 위협으로부터 베트남 공화국을 방어하고, 궁극적으로 베트남 통일을 지원하는 것이었다.
프랑스는 1956년 베트남 공화국군에 대한 훈련을 중단하고, 미국의 고문에게 훈련을 넘겼으며, 미군식으로 군대를 재편성했다.[43]
베트남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제1군단, 제2군단, 제3군단, 제4군단의 4개 군단 전술 지역과 사이공 및 주변 지역의 수도 군관구로 나뉘었다. 제1군단, 제2군단, 제3군단, 제4군단
파리 평화 협정 당시, 남베트남은 미국의 강화 및 강화 플러스 프로그램 덕분에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규모의 군대(약 150만 명)를 보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충분한 훈련 부족과 예비 부품, 연료, 탄약에 대한 미국의 의존은 정비 및 물류 문제를 야기했다. 1973년 석유 파동, 경제 악화, 인플레이션, 미국의 원조 감소는 남베트남의 군사 지출과 효율성을 꾸준히 감소시켰다.[44][45]
1970년 기준, 총 병력은 50만 3천 명이었다.(육군 41만 명, 해군 3만 9천 명, 공군 4만 1천 명, 해병대 1만 3천 명, 보조 병력 55만 5천 명. 보조 병력은 총 병력에 포함되지 않음) 북베트남과의 분단 및 전시 상황을 고려하여 1971년 국방비로 5억 6,400만 달러를 사용했다. 이는 헝가리 인민공화국(5억 1,100만 달러)보다 많았으나, 당시 일본(18억 6,400만 달러)의 1/3 수준이었다. 하지만 총 병력은 일본(25만 9천 명), 이스라엘(30만 명), 이탈리아(46만 4천 명), 영국(38만 명), 서독(46만 7천 명) 등 남베트남보다 국방비 지출이 많은 국가들을 훨씬 웃돌았고, 프랑스(50만 1천 명)에 필적했다.
베트남 공화국군은 미국과 함께 북베트남과 싸웠고, 캄보디아 침공에 참여했다. 또한 남베트남군 단독으로 라오스를 침공하기도 했다(람손 719 작전 참조. 미국 공군 지원). 캄보디아와 라오스 침공은 호치민 루트 차단을 위한 것이었으며, 영토 정복을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었다.
9. 경제
남베트남은 자본주의 자유 시장 경제를 기반으로 서구와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베트남 항공 설립 등 경제 활동이 활발했으나, 중공업은 미약하고 경공업과 농업이 주축을 이루었다. 베트남 전쟁 기간(1961~1973년) 동안 미국의 지원은 남베트남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력 생산량은 14배 증가했고, 산업 생산량은 연평균 6.9% 증가했다.[46] 쌀 생산량도 203% 증가했으며, 대학생 수는 2,000명에서 90,000명으로 급증했다.[46] 미국의 지원은 1973년 23억 달러로 최고점을 찍었으나, 이후 감소하기 시작했다.[47]
그러나 1973년 10월 석유 파동과 미국의 지원 감소는 심각한 경제적 타격을 안겼다. 인플레이션은 200%까지 치솟았고,[47] 무역 적자는 매년 확대되었다. 농업과 공업 생산 감소 또한 인플레이션을 심화시켰다. 미국, 프랑스, 일본 등 외국 지원에 크게 의존한 경제 구조의 취약성이 드러난 것이다. 1969년 남베트남의 국내총생산은 41억 5천만 달러였고, 1인당 국민소득은 181달러에 불과했다. 1970년 수입액은 3억 2천 5백만 달러(주요 국가: 미국, 일본)였으나, 수출액은 700만 달러(주요 품목: 고무, 주요 국가: 프랑스, 일본)에 그쳤다. 당시 환율은 1 피아스트르 = 0.57 일본 엔 = 0.21 미국 센트였다. 주요 농산물은 쌀, 고무, 옥수수, 사탕수수, 차, 담배, 계피, 대나무, 목재, 염료, 인산염, 펄프, 시멘트, 잡화 등이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 제당업, 방직업, 제지업 등이었다. 2017년 ''외교사'' 학술지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남베트남 경제 기획자들은 대만과 한국의 경제 발전 모델을 참고하여 남베트남 경제를 구축하려 했다고 한다.[48] 1976년 베트남 통일 이후에는 북베트남의 중앙 계획 경제가 남부에 도입되었다.
10. 인구 통계
== 인구 통계 ==
1968년, 남베트남의 인구는 16,259,334명으로 추산되었지만, 꽝찌성 남쪽까지의 지역 주민 약 5분의 1은 베트콩이 장악한 지역에 거주했다. 1970년 기준 인구의 약 90%는 (베트남어) Kinh(베트남인)이었고, 나머지 10%는 화인(중국계), 몬타냐르족, 프랑스인, 크메르족, 참족, 유라시아인 등으로 구성되었다.
베트남어는 공식 언어였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했다. 프랑스 식민 통치 종식 후에도 프랑스어는 행정, 교육(특히 중등 및 고등 교육), 무역, 외교 등에서 여전히 큰 영향력을 유지하며 지배 엘리트 계층에서 사용되었다.[15]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 이후에는 영어가 군대에 도입되어 제2의 외교 언어가 되었다. 소수 민족 언어로는 중국어, 크메르어, 참어, 그리고 몬타냐르족의 여러 언어가 사용되었다.[49]
1955년부터 응우옌딘지엠 정부는 중부 고원의 원주민(몬타냐르족)과 참족에 대한 동화 정책을 시행하여 공립학교에서 참어를 금지하고 원주민의 토지를 몰수하여 주로 자유 통행 작전 중에 남베트남으로 이주한 북부 경족 가톨릭 신자들에게 배분했다. 이로 인해 참족과 다른 원주민들 사이에서 민족주의와 독립을 지지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일부 참족은 공산주의 NFL에, 다른 일부는 Front de Libération des Hauts Plateaux du Champa에 가입했다. 1964년까지 참족 단체를 포함한 원주민의 시민권 운동가와 독립 단체는 Front Unifié de Lutte des Races Opprimées(FULRO)로 통합되어 1980년대 후반까지 남베트남 정부와 후계자인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에 맞서 싸웠다.[50][51]
인구의 대다수는 불교 신자였고, 약 10%는 주로 가톨릭을 포함한 기독교 신자였다.[52] 까오다이교와 호아하오교도 존재했으며, 윤리 철학으로서의 유교는 남베트남에 큰 영향을 미쳤다.[53][54] 1973년 인구는 1,937만 명이었고, 인구 증가율은 2.6%였다. 민족 구성은 베트남인(베트인, 경인)(베트남인)이 대다수였고, 화교가 약 3%, 태국인(타이족), 크메르인(크메르족) 등 여러 소수 민족이 있었다. 1970년 기준 비율은 베트남인이 약 90%, 산악 소수 민족(주로 메오족, 라데족, 로로족 등) 5%, 유럽인(유럽인) 3%, 기타 2%였다.
11. 문화
== 문화 ==
18세기 프랑스의 지배가 시작될 때까지 베트남의 문화는 중국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그 이후 전통 문화에는 서구적 특징이 더해지기 시작했다. 많은 가정에서 3대가 함께 살았다. 1960년대 등장한 남베트남의 중산층과 젊은이들은 점점 더 서구화되었고, 특히 사이공과 같은 주요 도시에서는 미국 문화와 사회적 경향을 음악, 패션, 사회적 태도 등 여러 면에서 받아들였다. 정부 소유의 AM 방송국 4개와 FM 방송국 1개가 있었는데, 모두 'Đài Vô tuyến Việt Nam'(라디오 베트남)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이 중 하나는 전국 민간 방송, 다른 하나는 군사 방송으로 운영되었고, 나머지 두 개는 프랑스어 방송과 중국어, 영어, 크메르어, 태국어로 방송하는 외국어 방송국이었다. 1955년 응오딘지엠 대통령 시절 운영을 시작한 라디오 베트남은 1975년 4월 30일 응웬반민의 항복 방송과 함께 운영이 중단되었고, 이후 전 남베트남 지역의 라디오 방송국들은 공산 정권에 의해 그들의 국가 운영 라디오 서비스 방송에 재사용되었다. 텔레비전은 1966년 2월 7일 남베트남에 흑백 FCC 시스템으로 도입되어 초기에는 하루 1시간 방송으로 시작했지만, 1970년대에는 저녁 시간대 방송 시간이 6시간으로 증가했다. 주요 채널로는 베트남어로 방송되던 THVN-TV(Truyền hình Việt Nam-TV) 9번 채널과, 미군을 대상으로 영어로 방송되었던 AFVN-TV(미군 방송망(American Forces Network)의 베트남 방송) 11번 채널이 있었다. 두 채널 모두 스트래토비전 시스템을 사용하여 고고도 비행 중인 항공기에서 전파를 중계했다.
11. 1. 미디어
11. 1. 1. 라디오
베트남 공화국에는 정부 소유의 AM 방송국 4개와 FM 방송국 1개가 있었다. 모두 ''Đài Vô tuyến Việt Nam''(라디오 베트남)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그중 하나는 전국 민간 방송으로, 다른 하나는 군사 방송으로 운영되었다. 나머지 두 개는 프랑스어 방송과 중국어, 영어, 크메르어, 태국어로 방송하는 외국어 방송국이었다. 응오딘지엠 대통령 시절인 1955년에 운영을 시작한 라디오 베트남은 1975년 4월 30일 응웬반민의 항복 방송과 함께 운영이 중단되었다. 이후 전 남베트남 지역의 라디오 방송국들은 공산 정권에 의해 그들의 국가 운영 라디오 서비스 방송에 재사용되었다.11. 1. 2.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1966년 2월 7일 남베트남에 흑백 FCC 시스템으로 도입되어, 초기에는 하루 1시간 방송으로 시작했다. 1970년대에는 저녁 시간대 방송 시간이 6시간으로 증가했다. 주요 채널은 다음과 같다.- THVN-TV(Truyền hình Việt Nam-TV) 9번 채널은 베트남어로 방송되었으며, 뉴스, 사이공의 특별 공지 등 베트남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들을 방영했다.
- AFVN-TV(미군 방송망(American Forces Network)의 베트남 방송) 11번 채널은 미군 방송 및 텔레비전 서비스(현재 미군 방송망)에서 운영했고, 남베트남 주둔 미군을 대상으로 영어로 방송되었다. "에드 설리번 쇼"와 "투나잇 쇼 스타링 조니 카슨"과 같은 인기 미국 프로그램과 월드 시리즈와 같은 스포츠 경기 중계는 물론, 미국 정부와 군 사령관의 뉴스 및 특별 공지도 방송했다.
두 채널 모두 스트래토비전 시스템을 사용하여 고고도 비행 중인 항공기에서 전파를 중계했다.
12. 기타
베트남 공화국의 도시 지역 대중교통은 버스와 택시, 사이클로가 주를 이루었으며, 철도망은 미비했고 지하철은 없었다. 장거리 이동은 인근 국가들과의 경우 장거리 버스가 주요 수단이었다. 베트남항공은 떤선녓국제공항(싸이공 국제공항)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각국 도시와 노선을 운항했고, 일본 하네다 공항과 이타미 공항(싸이공 출발 오사카 경유 도쿄행)에도 취항했다. 싸이공 주변과 메콩 삼각주 지역에서는 싸이공 강과 메콩 강 등의 하천과 운하가 발달하여 삼판과 정크를 이용한 수운이 활발했다.
일본과 국교가 있었기에 정식 루트를 통한 입국이 가능했지만, 베트남 전쟁 장기화로 인해 일반 관광은 어려웠다. 비자는 필요 없었으나, 예방접종(종두) 및 장티푸스 예방접종이 필요했고, 일본 경유 시 소요 시간은 약 7시간이었다.
공용어는 베트남어였으며, 중국어와 크메르어도 사용되었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대의 영향으로 소수 엘리트 계층 사이에서는 프랑스어도 사용되었다. 종교는 불교(주로 대승불교)가 약 70%를 차지했고, 도교, 로마 가톨릭 등도 존재했다. 또한, 호아하오교와 까오다이교도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참조
[1]
서적
Language Education and Foreign Relations in Vietnam
Routledge
[2]
서적
Law at War: Vietnam 1964–1973
https://history.army[...]
Department of the Army
2021-07-25
[3]
서적
The Enemy in Our Hands: America's Treatment of Enemy Prisoners of War from the Revolution to the War on Terro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5-10-27
[4]
뉴스
The End of South Vietnam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8-11-03
[5]
서적
State Succession and Membership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egal Theories Versus Political Pragmatism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15-10-27
[6]
서적
Vietnam: A Global Studies Handbook
https://archive.org/[...]
ABC-CLIO
[7]
서적
Empire, Colony, Genocide: Conquest, Occupation, and Subaltern Resistance in World History
Berghahn Books
[8]
웹사이트
Maintenance Agency for ISO 3166 Country Codes – English Country Names and Code Elements
http://www.iso.org/i[...]
ISO
2010-04-28
[9]
웹사이트
Origins of the Insurgency in South Vietnam, 1954–1960
http://www.mtholyoke[...]
The Pentagon Papers
2019-09-30
[10]
서적
Vietnamese Communists' Relations with China and the Second Indochina War (1956–62)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6-08-05
[11]
논문
The Bao Dai Experiment
Pacific Affair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12]
간행물
Geneva Agreements 20–21 July 1954
United Nations
[13]
서적
Unheralded Victory: The Defeat Of The Viet Cong And The North Vietnamese ...
https://books.google[...]
[14]
서적
Government and Revolution in Vietnam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Vietnam: A History
Penguin Books
[16]
웹사이트
The Vietnam War: Seeds of Conflict: 1945–1960
http://www.historypl[...]
2019-09-30
[17]
서적
Unheralded Victory: The Defeat of The Viet Cong and The North Vietnamese
Presidio Press
[18]
서적
The Vietnam Experience, a Collision of Cultures
https://archive.org/[...]
Boston Publishing Company
[19]
서적
Victory in Vietnam: The Official History of the People's Army of Vietnam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
서적
The Pentagon Papers: The Secret History of the Vietnam War
https://books.google[...]
Skyhorse Publishing
2020-11-03
[21]
서적
The Oil Kings: How the U.S., Iran, and Saudi Arabia Changed the Balance of Power in the Middle East
Simon & Schuster
2011
[22]
웹사이트
This Day in History 1974: Thieu announces war has resumed
http://www.history.c[...]
[23]
서적
The NVA and Viet Cong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1-06-11
[24]
웹사이트
Fall of Saigon - 1975 Year in Review - Audio - UPI.com
http://www.upi.com/A[...]
2009-04-22
[25]
웹사이트
About Vietnam
http://www.vietnam.g[...]
2020-05-29
[26]
서적
The Sixties Chronicle
Legacy Publishing
[27]
서적
Exploring Saigon-Cholon – Vanishing Heritage of Ho Cho Minh City
Thế Giới Publishers
[28]
간행물
Political Prisoners in South Vietnam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1973-01-01
[29]
서적
Histoire du Viêt-Nam de 1940 à 1952.
Éditions du Seuil
1952
[30]
웹사이트
Pacific Stars and Stripes MACV Orientation Edition
https://www.vietnam.[...]
Pacific Stars and Stripes
2019-10-02
[31]
웹사이트
Significant Collections > Fonds of the Tòa Đại Biểu Chánh Phủ Tại Trung Nguyên Trung Phần or the Office of the Government's Representative in Central Midlands
https://mocban.vn/en[...]
The National Archives Center No. 4 (State Records and Archives Department of Vietnam)
2021-03-31
[32]
간행물
A Foreign Policy of Independence and Peace
1974-01
[33]
서적
The Pentagon Papers
Beacon Press
1971
[34]
서적
The Pentagon Papers
Beacon Press
1971
[35]
서적
The Pentagon Papers
Beacon Press
1971
[36]
서적
Mandate for Change
Doubleday & Company
1963
[37]
서적
The Pentagon Papers
Beacon Press
1971
[38]
서적
The Pentagon Papers
Beacon Press
1971
[39]
서적
Unheralded Victory: The Defeat of The Viet Cong and The North Vietnamese
Presidio Press
2005
[40]
서적
The Perfect War: Technowar in Vietnam
The Atlantic Monthly Press
1986
[41]
웹사이트
Vietnam on Film and Television: Documentaries in the Library of Congress
http://www2.iath.vir[...]
University of Virginia
2013-12-31
[42]
서적
Army of the Republic of Vietnam 1955–75, Men-at-arms series 458
Osprey Publishing Ltd
[43]
서적
United States Army in Vietnam Advice and Support: The Early Years 1941–1960
https://history.army[...]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9-10-03
[44]
서적
Vietnam from Cease Fire to Capitulation
https://history.army[...]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9-09-26
[45]
서적
Black April The Fall of South Vietnam 1973–75
Encounter Books
[46]
웹사이트
The South Vietnamese Economy During the Vietnam War, 1954–1975
http://www.zum.de/wh[...]
[47]
서적
The Vietnam War, 1956–1975
[48]
학술지
Imagining Taiwan: The Nixon Administration, the Developmental States, and South Vietnam's Search for Economic Viability, 1969–1975
http://eprints.white[...]
2023-01-29
[49]
컨퍼런스
The Role of English in Vietnam's Foreign Language Policy: A Brief History
http://www.englishau[...]
2006
[50]
서적
Le Campā: Géographie, population, histoire
Indes savantes
[51]
논문
Indigenous Peoples and the Vietnamese Revolution, 1930–1975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52]
서적
Encyclopedia of the Vietnam War: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ABC-CLIO
[53]
학회발표
Reestablishment of Human Nature and Social Morality: A Study of the Anniversary of Confucius' Birthday in South Vietnam 1955–1975
2014-09
[54]
학회발표
Nationalism, Decolonization, and Tradition: The Promotion of Confucianism in South Vietnam 1955–1975 and the Role of Nguyễn Đăng Thục
2014-11
[55]
웹사이트
国会から見た経済協力・ODA
https://www.sangiin.[...]
参議院
2024-05-11
[56]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20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