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묘호는 군주의 사후에 붙여지는 이름으로, 시호의 첫 글자와 종호 '조'(祖) 또는 '종'(宗)으로 구성된다. '조'는 나라를 세운 군주, '종'은 선왕의 뜻을 이어받아 잘 다스린 군주에게 붙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묘호는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사용되었으며, 중국에서는 당나라 이후 모든 황제에게, 한국에서는 신라 태종무열왕부터 고려, 조선 시대에 걸쳐 사용되었다. 묘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남발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추존된 군주에게도 붙여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묘 제도 - 칠묘
칠묘는 왕조의 정통성 확립을 위해 황제가 7대 조상을 모시는 사당을 의미하며, 제후와 대부의 사당 수는 각각 오묘와 삼묘로 제한되었다. - 종묘 제도 - 태묘
태묘는 황실 조상을 기리는 사당으로, 할버드 문, 조상 사당, 중국어와 만주어 현판 등의 건축적 특징을 가진다. - 마우솔레움 - 압살롬 기념비
압살롬 기념비는 예루살렘 키드론 계곡에 위치한 서기 1세기에 건설된 고대 기념물로, 전통적으로 압살롬의 기념물로 여겨졌으나 헤로데스 아그리파의 무덤일 가능성도 제기되었으며, 사각형 기단과 이집트식, 도리아식, 이오니아식 건축 양식을 갖추고 있다. - 마우솔레움 - 패트리아크 동굴
패트리아크 동굴은 헤브론에 위치하며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모두에게 중요한 족장들의 매장지로 여겨지는 순례지이지만, 종교적, 정치적 변화와 분쟁을 겪으며 현재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의 공동 관할 하에 있다. - 사후 인정 - 시복
시복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이 죽은 이의 덕과 기적을 인정하여 복자로 선포하는 절차로, 초기에는 지역 주교가 권한을 가졌으나 현재는 교황청 시성성에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진행되며, 시복된 이는 특정 지역이나 공동체에서 기념된다. - 사후 인정 - 시성 (기독교)
시성(諡聖)은 기독교에서 신앙과 덕행이 뛰어난 인물을 공식적으로 성인으로 선포하는 행위이며, 가톨릭교회는 교황청 주도로, 정교회는 자치 교회의 회의를 통해 성인을 결정하고, 개신교는 성인 제도를 제한적으로 운영하거나 인정하지 않는다.
묘호 | |
---|---|
일반 정보 | |
용어 | 묘호 |
한자 | 廟號 |
로마자 표기 | Miao hao |
중국어 병음 | miào hào |
광동어 로마자 표기 | miu2 hou3 |
민난어 로마자 표기 | biō-hō |
한국어 | 묘호 |
한자 (한국어) | 廟號 |
로마자 표기 (한국어) | myoho |
매큔-라이샤워 표기 | myoho |
베트남어 | miếu hiệu |
한자 (베트남어) | 廟號 |
몽골어 | 해당 정보 없음 |
2. 구성과 원칙
묘호는 시호의 첫 글자와 종호(宗號)인 '조'(祖) 또는 '종'(宗)의 두 글자로 이루어진다.[2] 종호는 고대 중국의 종법제에서 유래되었는데, '조'는 나라를 세우거나 이에 준하는 공을 세운 군주에게, '종'은 선왕의 뜻을 이어받아 나라를 잘 다스린 군주에게 붙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6]
종호를 붙이는 원칙은 다음과 같다.[7][8]
- 나라를 세운 왕(創業之主)에게는 '조'를 붙이고, 선왕의 뜻을 계승하여 나라를 잘 다스린 왕(繼體之主)에게는 '종'을 붙인다.
- 공이 있으면 '조', 덕이 있으면 '종'(有功曰祖 有德曰宗)을 붙인다. 즉, 나라를 구한 공이 있다면 '조'를, 나라를 덕으로 다스린 이에게는 '종'을 사용한다.
- 새롭게 일어나면 '조', 계승하면 '종'(入承曰祖 繼承曰宗)을 붙인다. 즉, 이전의 왕통이 끊어져 새로운 방계 출신 왕이 즉위하였다면 '조'를, 선왕의 자리를 계승해 대대로 그 왕위를 전했다면 '종'으로 모신다.
묘호는 원래 국가에 특별한 공덕을 남긴 소수의 군주에게만 주어졌으나,[9] 후대로 갈수록 재위한 모든 황제에게 묘호를 올리는 경향이 나타났다.
3. 역사
묘호의 기원은 중국 상나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초기에는 뛰어난 통치자에게만 사후에 묘호를 부여했다.
상나라 시대에는 묘호 체계가 확립되어 다음 4가지 형용사만 사용했다.
- 태(太): 왕조를 세운 사람에게 붙였다.
- 고(高): 위대한 업적을 이룬 군주에게 붙였다.
- 세(世): 영원히 기억될 만한 통치자에게 붙였다.
- 중(中): 쇠퇴하던 왕조를 부흥시킨 군주에게 붙였다.
주나라에서는 시호는 사용했지만 묘호는 받지 않았다. 진나라 시대에는 묘호와 시호를 모두 폐지했다. 한나라는 두 칭호를 모두 다시 도입했지만, 묘호는 시호보다 더 드물게 부여되었다. 또한 한나라 시대에 4가지 외에 다른 형용사가 묘호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서기 190년, 한 헌제는 많은 한나라 황제의 묘호를 제거했다.
초기에는 군주를 '조(祖)' 또는 '종(宗)'으로 칭할 때, '조'는 훌륭한 통치자에게, '종'은 덕이 있는 통치자에게 부여한다는 원칙을 엄격하게 지켰다. 그러나 이 원칙은 오호 십육국 시대에 여러 비한족 정권에서 '조'를 널리 사용하면서 사실상 사라졌다.
당나라 때부터 묘호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 일찍 죽은 군주, 폐위된 군주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중국 군주들은 후손에게 묘호를 받았다.
통치자에게 묘호를 부여하는 관습은 이후 한반도와 베트남을 포함한 동아시아 문화권(한자 문화권)의 다른 왕조 정권에 의해 채택되었다. 일본은 시호와 연호를 중국에서 도입했지만, 군주에게 묘호를 부여하지는 않았다.
3. 1. 중국
상나라에서 묘호가 처음 사용되기 시작했다. 상나라에서는 태(太), 고(高), 세(世), 중(中)의 4가지 묘호를 사용했는데, 태갑(태종), 태무(중종), 무정(고종)만이 이 묘호를 받았다.[10]주나라에서는 시호 제도가 정착되면서 묘호가 사용되지 않았다. 진나라에서는 진 시황제가 후대 군주와 대신들이 선대 군주의 행적을 살펴 묘호와 시호를 정하는 것을 탐탁지 않게 여겨 묘호와 시호가 모두 폐지되었다.[11]
한나라에서는 상나라의 묘호 제도와 주나라의 시호 제도를 모두 받아들였으나, 묘호는 소수의 황제에게만 주어졌다. 나라를 세운 전한 고제(태조), 덕이 도타웠던 문제(태종), 국위를 떨친 무제(세종), 나라를 중흥시킨 선제(중종)가 묘호를 받았다.[12] 전한 때에는 원제(고종), 성제(통종), 애제(원종)의 묘호가 삭제되었고, 후한 시기에는 광무제(세조), 명제(현종), 장제(숙종)을 제외한 모든 묘호가 삭제되었다.[13][14]
당나라 때부터 묘호 제도가 크게 바뀌어 묘호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고조는 자신의 4대조[16]에게 모두 묘호와 시호를 올리고 태묘에 모셨다. 측천무후는 국호를 당에서 주로 바꾸고 자신의 조상 7명에게 각각 시조(始祖), 예조(睿祖), 엄조(嚴祖), 숙조(肅祖), 열조(烈祖), 현조(顯祖), 태조라는 묘호를 올렸다.[17][18] 또한, 이미 붕어한 황제를 시호 대신 묘호로 자주 부르기 시작했는데, 이는 시호가 점차 길어져 간단히 지칭하기 쉬운 묘호로 대신 불렀기 때문이다.[19]
송나라에서는 도교의 영향을 받아 도교 신에게 묘호를 올리기도 하였다.
명나라 이후에는 일세일원제가 채택되면서 연호로 황제를 칭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나, 묘호는 여전히 사용되었다.
청나라는 중국 지배 이전의 군주에게도 묘호를 추존하였으며, 중국 지배 이후에는 연호로 황제를 칭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1967년 청나라 황가는 선통제에게 공종(恭宗)이란 묘호를 내렸으나, 이는 비공식 사시에 해당되며[23] 중국 정부도 인정하지 않고 있다.
3. 2. 한국
한국에서는 이미 삼국시대부터 묘호와 비슷한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고구려에서는 6대 임금인 태조대왕이 146년(태조대왕 94년)에 스스로 태조대왕이라 칭하였고,[24] 백제와 신라에서도 태조, 세조 등의 묘호가 사용된 기록이 있다.[26][27][28]삼국 중 최초로 정식 묘호를 사용한 왕은 신라의 무열대왕이며 '''태종'''이란 묘호를 사용했다.[14] 이는 당나라의 묘호 제도를 채용한 것으로, 이후 신문왕과 혜공왕 때에 이르러 오묘제를 확립하였다.[29]
고려는 외왕내제를 지향하며 묘호 제도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였으나, 원종 이후 원 간섭기가 시작되면서 충렬왕 때부터 묘호 사용이 금지되었다.[30]
조선 시대에는 묘호 제도가 부활하였다. 1411년 태종이 4대조에게 묘호를 올리면서 조선의 오묘제가 확립되었다.[32] 그러나 중국과의 사대 관계 속에서 묘호 사용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성종 대에는 묘호 대신 시호만 쓰자는 주장이 있었으나, 김종직을 위시한 사림파의 반대로 무산되었다.[33][34] 정유재란 당시에는 명나라에서 조선의 묘호 사용을 문제 삼기도 했다.[36]
조선에서는 추존 왕에게도 묘호를 올렸다. 인조는 자신의 정통성을 확립하기 위해 아버지 정원군을 1632년에 왕으로 추존하고 2년 뒤인 1634년에 원종으로 묘호를 올렸다.[38]
대한제국 고종은 1897년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에 오른 뒤 황실의 정통성을 위해 직계 조상들을 황제로 추존하고, 묘호를 격상하였다.[39] 순종 역시 1908년에 황제국의 종묘 제도인 칠묘제에 따라 진종, 헌종, 철종도 모두 황제로 추숭하였다.[39] 대한제국 멸망 이후에도 이왕직과 조선총독부에 의해 고종과 순종에게 묘호가 올려졌다.[40]
3. 2. 1. 결정 과정
조선 시대의 묘호는 선왕이 승하한 후, 후임 왕이 대신들과 논의하여 결정하였다. 이때 묘호와 더불어 시호, 존호, 능호 등도 함께 올려 동시에 반포하였다.[41] 2품관 이상이 참석하는 빈청회의에서 대신들이 묘호, 시호, 존호 등에 대한 자신의 소견을 말하고,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의 삼정승이 세 개의 묘호 후보를 추렸다. 각 묘호 후보는 수망(首望), 부망(副望), 말망(末望)으로 불렸으며, 이를 삼망단자라 하였다. 새 임금은 마음에 드는 묘호 후보 위에 점을 찍어 승낙을 표하고, 만약 마음에 들지 않으면 재논의를 명하였다. 대신들이 다시 묘호 후보를 올리면 왕이 최종적으로 묘호와 시호를 함께 공포하였다.[41]3. 3. 베트남

베트남도 외왕내제를 지향하여 안으로는 황제를 자칭하였고, 재위한 군주들에게 묘호를 붙였다. 베트남에서 가장 먼저 묘호를 쓰기 시작한 왕조는 전 레 왕조였으나, 시호를 올리지 않고 묘제 또한 정립되지 않아, 제대로 절차를 밟아 올려진 묘호가 아니었다.[42] 이후 본격적으로 묘호 제도가 정착된 왕조는 12세기 중엽에 세워진 리 왕조로, 중국의 남송에 의해 이전의 교지군왕(交趾郡王)에서 안남국왕(安南國王)으로 격상되어 책봉되며, 외왕내제 체제를 확립함과 동시에 군주들에게 묘호를 붙였다.[43] 중간에 명나라가 베트남을 침략하여 안남국 대신 교지국으로 그 격을 낮추고, 역시 묘호와 시호를 쓰는 등의 풍습을 금하였으나, 20년 만에 레 왕조가 들어서며 다시 묘제를 부활시켰다. 베트남인들은 마지막 왕조인 응우옌 왕조까지 제도를 유지하여 군주들에게 모두 묘호와 시호를 올렸다.
응우옌 가문은 본래 광남국을 다스리고 있었으나 떠이선 왕조에 의해 멸망하자, 살아남은 왕족 자롱이 후에에 도읍을 정하고 다시 왕조를 세웠다. 그는 자신의 조상들인 광남국의 역대 왕들을 모두 황제에 추숭, 태조의 묘호를 받은 응우옌 호앙(Nguyễn Hoàng)을 비롯한 광남국의 역대 왕들은 태묘(太廟)에, 응우옌 호앙의 아버지 응우옌 킴(Nguyễn Kim)은 조조(肇祖)라는 묘호를 올리고 별묘인 조묘(肇廟)에 모셨다. 또한 황제가 되지 못했던 아버지 역시 흥조(興祖)라는 묘호를 바치고 흥묘(興廟)라는 별묘에 모셨다. 이후 자롱의 아들 민망이 왕위에 오른 후, 아버지에게 세조의 묘호를 올리고 새로 세묘(世廟)를 증축하여, 묘호를 받은 응우옌 왕조의 황제들의 신위가 이곳에 봉안되었다.[44] 이처럼 베트남인들은 종묘를 지을 때 그 이름을 군주의 묘호의 시자에서 착안하여 지었다.
4. 변질과 남발
후대에 이르러 묘호는 본래의 취지를 잃고 남발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추존 군주에게 묘호를 올리는 경우가 많아졌는데, 너무 먼 조상에게까지 묘호를 올리는 일도 있었다. 당나라 현종은 743년(천보 2년) 도교의 교조인 노자에게 대성조(大聖祖)라는 묘호를 올렸고,[46][47] 북송은 1012년(대중상부 5년) 도교의 신 조현랑에게 성조(聖祖)라는 묘호를 올렸다.[48] 이처럼 당나라와 송나라 황제들은 도교와 종법제를 결부시켜 도교의 권위를 높이기도 했다.
중국에서는 혼란기에 난립한 왕조들이 '조'(祖)를 남발하는 경향이 있었다. 삼국시대 위는 조조, 조비, 조예 3대가 나란히 '조' 묘호를 받았고, 남북조 시대와 오대 십국 시대 국가들 중에도 '조'를 올린 군주가 2명 이상인 경우가 많다. 중국에서 실제 재위한 군주에게 가장 '조'를 많이 올린 국가는 북위로, 도무제(태조), 태무제(세조), 헌문제(현조), 효문제(고조) 4명이었다.
한국에서는 조선 시대에 '조'(祖)로 시작되는 묘호가 매우 남발되었다. 태조 이성계, 태조의 4대조,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사도세자(장조), 정조, 순조, 효명세자(문조) 등 총 13명에게 '조' 묘호가 올려졌다. 실제 재위하지 않고 추존된 군주를 제외해도 27명의 왕 중 7명이다.
세조의 경우 본래 신종(神宗), 예종(睿宗), 성종(聖宗) 중 하나를 고르는 것이었으나, 예종이 부왕의 공덕이 세종을 뛰어넘고 전한의 세종과 세조 고사를 예로 들며 세조로 정할 것을 강력히 주장했다.[49] 선조, 영조, 순조는 본래 선종(宣宗), 영종(英宗), 순종(純宗)이었으나, 공이 있다 하여 '조'로 격상되었다. 선조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나라를 구한 공으로, 영조는 오랜 재위와 빛나는 업적으로, 순조는 천주교의 세로부터 나라를 지켜냈다는 공을 인정받았다. 중종 역시 인종의 강력한 주장으로 중조(中祖)로 정하려 했으나, 신료들이 선왕은 성종을 이은 군주로서 성종보다 높이 받들 수 없다 하여 무산되었다.[50]
이는 정통성을 세우기 위한 조처였다. 후대 왕들은 묘호를 올림으로써 선왕과 자신의 정통성을 동시에 세우려 했다. 고종 때에는 묘호 격상과 함께 시호와 존호도 자주 올렸고, '종'을 '조'로 높이는 움직임과 함께 좋은 뜻의 시자를 남발하는 경향이 빈번해졌다. 이유원은 이러한 시자 남발에 대해 "옛날에는 양(煬), 혹(惑), 황(荒), 묵(墨) 등의 악시를 준 적도 있었는데, 지금에 이르러서는 대소 신료 모두 충(忠)이나 문(文) 등의 시호를 얻지 못하면 큰 불만을 나타낸다"라며 경계했다.[52] 한국학자 임민혁은 특히 임진왜란 이후 '종'을 '조'로 격상한 사례가 많다 지적하며, 이는 정치사회적 배경에서 기인하여 점차 조·종에 대한 인식도 변해갔다고 설명하였다.[53]
참조
[1]
논문
Art, Ancestors, and the Origins of Writing in China
https://www.jstor.or[...]
1996
[2]
간행물
Borrowing Legitimacy from the Dead: The Confucianization of Ancestral Worship
https://brill.com/di[...]
Brill
2024-09-30
[3]
웹사이트
두산백과사전 EnCyber & EnCyber.com
http://100.naver.com[...]
[4]
서적
왕의 이름, 묘호
문학동네
2010-12-24
[5]
문서
2010년
[6]
문서
《예기》 권15, 대부
[7]
영상
왕의 이름, 묘호
http://www.ebs.co.kr[...]
2012-10-05
[8]
뉴스
X종보다 X조? 느낌 아니까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4-01-04
[9]
웹인용
庙号、谥号、尊号和年号
http://www.ht88.com/[...]
2014-01-03
[10]
문서
《사기》권3, 은본기
[11]
뉴스
中国历史上皇帝的“庙号、谥号”的由来(图)
http://www.newsancai[...]
新三才
2014-01-04
[12]
문서
《서한회요》권13, 묘의
[13]
문서
《[[자치통감]]》권59, 한기 제51
[14]
문서
2010년
[15]
문서
수나라의 초대 황제 수 문제는 아버지 양충에게 태조 무원황제라는 묘호와 시호를 올려 황제로 받들었으나, 증조부 양렬과 조부 양정에게는 각각 강왕(康王), 헌왕(獻王)의 시호를 올려 왕으로만 추존하고 더 이상의 예를 표하지 않았다.
[16]
문서
고조부, 증조부, 조부, 그리고 부친을 일컫는다.
[17]
문서
《[[구당서]]》 권6, 측천황후본기
[18]
문서
《[[신당서]]》 권4, 측천황후·중종본기
[19]
문서
예를 들어 [[수 문제]]의 정식 시호는 단순히 문황제(文皇帝)였던데 반해, [[당 태종]]의 정식 시호는 문무대성대광효황제(文武大聖大廣孝皇帝)여서 어느 한 글자만 집어서 지칭하기가 어려워졌다. 당 태종 같은 경우에도 본래 시호도 역시 문황제(文皇帝)로 시자가 하나 밖에 없었으나, 이후 문무성황제(文武聖皇帝)로, 문무대성황제(文武大聖皇帝)로 점차 시자가 늘어갔고, 그리고 [[754년]](천보 13재)에 문무대성대광효황제라는 시호를 최종 확정하였다.
[20]
서적
이야기 중국사 3
청아출판사
2006-07-25
[21]
문서
《[[명사 (역사서)|명사]]》권17, 세종숙황제본기1
[22]
웹인용
효종 6권, 2년(1651 신묘 / 청 순치(順治) 8년) 2월 18일(을축) 3번째 기사 - 이시방과 정유성이 섭정왕의 왕위 찬탈 음모와 의순 공주의 거취를 알리다
http://sillok.histor[...]
2013-12-27
[23]
문서
나라가 망했을 때에야 묘호를 내려도 사실상 사시에 해당된다.
[24]
문서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제3 태조대왕편
[25]
문서
《[[삼국사기]]》 권 제6 안승을 고구려의 왕으로 책봉하다
https://db.history.g[...]
[26]
문서
《[[삼국유사]]》 권 제3 금관성파사석탑
https://db.history.g[...]
[27]
웹사이트
http://busan.grandcu[...]
[28]
문서
《조선왕조실록》영조 33년(1757) 3월 26일 5번째 기사
[29]
문서
《[[예기]]》권23, 제법
[30]
웹인용
세종 25권, 6년(1424 갑진 / 명 영락(永樂) 22년) 8월 11일(계축) 3번째 기사 - 동지춘추관사 윤회가 교정하여 편찬한 《고려사》를 올리다
http://sillok.histor[...]
2014-01-05
[31]
웹인용
태조 1권, 1년(1392 임신 / 명 홍무(洪武) 25년) 7월 28일(정미) 2번째기사 - 태조의 4대 조상에게 존호를 올리다
http://sillok.histor[...]
2014-07-31
[32]
웹인용
태종 21권, 11년(1411 신묘 / 명 영락(永樂) 9년) 4월 22일(임자) 1번째 기사 -종묘의 4실에 존호를 가상하다
http://sillok.histor[...]
2014-01-05
[33]
웹인용
성종 200권, 18년(1487 정미 / 명 성화(成化) 23년) 2월 8일(무인) 3번째기사 - 동지사 김종직 등이 《동국여지승람》의 교정을 마쳐서 바치다
http://sillok.histor[...]
2014-01-05
[34]
웹인용
성종 200권, 18년(1487 정미 / 명 성화(成化) 23년) 2월 21일(신묘) 3번째 기사 - 동지사 김종직이 《동국여지승람》의 묘호를 시호로 고치지 말 것을 아뢰다
http://sillok.histor[...]
2014-01-05
[35]
문서
“조”를 칭하여 높이 받든다는 뜻으로, 선왕들에게 묘호를 올린다는 뜻이다.
[36]
서적
임민혁
2010
[37]
웹인용
성종 63권, 7년(1476 병신 / 명 성화(成化) 12년) 1월 8일(계축) 1번째기사 - 회간 대왕의 옥책과 금보를 발표하다
http://sillok.histor[...]
2014-07-31
[38]
웹인용
인조 29권, 12년(1634 갑술 / 명 숭정(崇禎) 7년) 7월 14일(무술) 2번째 기사 - 대제학 최명길이 원종의 옥책을 지어 올리다
http://sillok.histor[...]
2014-11-05
[39]
서적
임민혁
2010
[40]
문서
바오다이
[41]
서적
임민혁
2010
[42]
서적
대남사기전서
[43]
서적
대남사기전서
[44]
서적
대남실록전편
[45]
서적
일주서
[46]
서적
신당서
[47]
서적
신당서
[48]
서적
송사
[49]
웹인용
예종 1권, 즉위년(1468 무자 / 명 성화(成化) 4년) 9월 24일(경진) 2번째 기사 - 대행 대왕의 존호와 시호를 속히 정할 것을 전교하다
http://sillok.histor[...]
2014-11-05
[50]
웹인용
인종 1권, 1년(1545 을사 / 명 가정(嘉靖) 24년) 1월 6일(경자) 2번째 기사 - 시호를 중조로 고치는 것에 관해 전교하다
http://sillok.histor[...]
2014-11-05
[51]
서적
임민혁
2010
[52]
서적
임민혁
2010
[53]
서적
임민혁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